KR20220116597A - 에어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597A
KR20220116597A KR1020210019605A KR20210019605A KR20220116597A KR 20220116597 A KR20220116597 A KR 20220116597A KR 1020210019605 A KR1020210019605 A KR 1020210019605A KR 20210019605 A KR20210019605 A KR 20210019605A KR 20220116597 A KR20220116597 A KR 2022011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outlet
slit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노홍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노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노홍길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6597A/ko
Priority to US17/512,388 priority patent/US11906194B2/en
Priority to DE102021128902.5A priority patent/DE102021128902A1/de
Priority to CN202111385581.1A priority patent/CN114940053A/zh
Publication of KR2022011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림한 형상을 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풍향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릿 조립체; - 상기 슬릿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입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유입 플레이트; 및 일 측은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출구 플레이트를 포함함; 및 상기 슬릿 조립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슬릿 조립체에 연결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벤트 조립체{AIR VENT ASSEMBLY}
본 발명은 에어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림한 형상을 취하면서 효과적으로 풍향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와 탑승자를 위해 차실 내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구비한다. 공조장치에 의해 컨디셔닝된 공기는 에어덕트를 유동하여 차실 내에 마련되는 에어벤트를 통해 차실 내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에어벤트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패널, 크래쉬 패드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토출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토출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고안된 에어벤트 중에는 다수의 가로방향 날개와 다수의 세로방향 날개를 포함하는 윙 에어벤트가 있다. 윙 에어벤트는 좌우방향 풍향과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하여 날개를 포함하는데, 다수의 날개를 장착해야 하므로 센터페시아 패널 및 크래쉬 패드의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주변에 계기판,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과의 관계에서 차실 전방 부분의 디자인 자유도를 저하시킨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2187호 (공개일자: 2018.06.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슬림한 형상의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시에 효과적인 풍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 또는 크래쉬 패드 디자인에 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슬림한 크래쉬 패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릿 조립체; - 상기 슬릿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입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유입 플레이트; 및 일 측은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출구 플레이트를 포함함; 및 상기 슬릿 조립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슬릿 조립체에 연결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벤트의 상하방향 크기가 축소된 에어벤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속의 손실이 없고 효과적인 풍향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에어벤트 조립체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슬릿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A에서 바라본 에어벤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點構?,
도 7a 내지 7c는 도 6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8c는 도 6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가 표준 상태에 있는 경우의 풍향해석 결과를 도시하고,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토출방향이 상향 우측으로 지향된 상태의 풍향해석 결과를 도시하고,
도 11a 내지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풍향 실험 모습을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1)는 하우징(100) 및 슬릿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 내에는 빈 공간인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0)의 양 측에는 공기 입구(120) 및 공기 출구(130)가 마련된다. 공기 입구(120)는 차량의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과 연통하여, 공기 입구(1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로 HVAC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된다. 하우징(100)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 출구(130)를 통해 차실 측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40) 및 하부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제 조립상의 편의를 위해 상부 하우징(140) 및 하부 하우징(150)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우징(100)을 상부 하우징(140) 및 하부 하우징(150) 둘의 별개의 구성이 결합된 구성요소로서 설명하나, 하우징(100)이 반드시 분리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다.
하우징(100)에는 트랙(142, 152)이 형성된다. 특히, 트랙(142, 15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트랙(142, 15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하우징(100)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트랙(142, 15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00)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트랙(142, 152)은 상부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상부 트랙(142) 및 하부 하우징(150)에 형성되는 하부 트랙(152)을 포함한다. 상부 트랙(142)과 하부 트랙(152)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략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7a 등 참조).
하우징(100)에는 슬릿 조립체(200)가 수용된다. 특히,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슬릿 조립체(200)가 수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릿 조립체(200)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를 포함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는 하우징(100) 내에서 공기 입구(120) 측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하우징(100) 내에서 공기 출구(130) 측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유입 슬릿(S1)이 형성된다(도 8a 참조). 즉,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는 일정 거리 이격하여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다. 유입 슬릿(S1)으로는 공기 입구(12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사이에는 출구 슬릿(S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일정 간격 떨어져서 하우징(100) 내에 연결된다. 출구 슬릿(S2)은 유입 슬릿(S1)과 연통하며, 유입 슬릿(S1)을 통과한 공기가 출구 슬릿(S2)을 거쳐 공기 출구(13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는 하우징(100) 또는 상부 하우징(140)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의 양 측에는, 각각, 상부 슬라이드점(212)이 형성된다. 상부 슬라이드점(212)은 상부 트랙(142)에 의해 이동을 안내받고, 상부 트랙(142)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에서 상부 슬라이드점(21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는 상부 이동점(214)이 마련된다. 상부 이동점(214)은 하우징(100)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부 슬라이드점(212)의 구속 하에서 일정 범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도 하우징(100) 내지는 하부 하우징(150)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에는 각각, 하부 슬라이드점(222)이 형성되고, 하부 슬라이점(222)은 하부 트랙(15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부 트랙(152)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에서 하부 슬라이드점(22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는 하부 이동점(224)이 마련된다. 하부 이동점(224)은 하우징(100) 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부 슬라이드점(222)의 구속 하에서 일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은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공기 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 모두가 실질적으로 유입 슬릿(S1)을 통해서 이동하도록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은 적어도 거의 차단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의 양 측에는 하방으로 또는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를 향해 돌출하는 상부 칸막이(216)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양 측에는 상방으로 또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를 향해 돌출하는 하부 칸막이(226)가 형성된다. 상부 칸막이(216)와 하부 칸막이(226)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구성되어, 유입 슬릿(S1) 측방향 양 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지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상부 이동점(214)에 연결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의 양 측에는 상부 연결점(232)이 마련되고, 상부 연결점(232) 각각에 각 상부 이동점(214)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의 타 측은 하우징(100) 내지는 상부 하우징(140)에 연결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상부 연결점(23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 피벗점(234)을 포함한다. 상부 피벗점(234)은 하우징(100) 내지는 상부 하우징(140)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는 상부 결합부(236)를 포함할 수 있고, 둘 이상의 상부 결합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236)는 상부 연결점(232)과 상부 피벗점(234)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결합부(236)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의 양 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의 사이에 출구 슬릿(S2)을 형성하며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의 일 측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의 양 측에는 하부 연결점(242)이 형성되고, 하부 연결점(242)이 하부 이동점(224)과 연결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서 하부 연결점(24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는 하부 피벗점(244)이 마련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하부 피벗점(244)에 의해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하부 결합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결합부(246)는 하부 연결점(242)과 하부 피벗점(244)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 결합부(236)와 유사하게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결합부(236)와 하부 결합부(236)는 슬릿 조립체(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한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서로 연결된다. 즉,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중 어느 하나가 상부 피벗점(234) 또는 하부 피벗점(244)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중 다른 하나도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연결링크(250)에 의해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연결링크(250)가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연결링크(250)는 복수의 홀(252, 254, 256)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연결링크(250)는 상부 홀(252), 중간 홀(254) 및 하부 홀(25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링크(250)의 상부 홀(252)에는 상부 결합부(236)가 삽입되고, 연결링크(250)의 하부 홀(256)에는 하부 결합부(246)가 삽입됨으로써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연결될 수 있다.
노브(260)는 에어벤트 조립체(1)의 외부에서 토출 풍향을 바꿀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노브(260)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 중 어느 하나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노브(260)는 노브 슬라이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노브(260)의 노브 슬라이드부(262)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결합되는 경우, 노브 슬라이드부(262)는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대하여 좌우로 일정 거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는 하부 슬라이드부(26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되는 수용부(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노브(260)는 후술하는 베젤(3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고 좌우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노브(260)는 베젤(3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피벗부(264)를 포함한다.
또한, 노브(26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가 이동 또는 회동된다. 예를 들어, 노브(260)는 후술하는 베인(270)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를 이동 또는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60)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결합되는 경우, 노브(260)의 상하이동에 의해 노브(260)와 결합된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도 회동한다.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회동하면서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연결되는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도 이동하고,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연결링크(250)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에 연결되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노브(260)의 상하이동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가 회동할 때,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상시 평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링크(250)는 강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상부 결합부(236) 또는 하부 결합부(246)에 대하여 회동가능하지 않게 구성되어, 슬릿 조립체(200)가 회동할 때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항상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출구 슬릿(S2)은 노브(260)가 어느 위치에 있든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에 의해 토출 공기의 지향방향이 형성된다. 한편, 중복되는 내용이므로 설명은 생략하나, 노브 슬라이드부(262)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노브(260)는 베인(27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베인(270)은 수직형 베인일 수 있다. 즉, 각 베인(270)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각 베인(270) 사이로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베인(270)은 노브(260)의 좌우이동에 의해 바람의 토출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베인(270)은 출구 슬릿(S2)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노브(260)와 베인(270)은 베인 링크(280)에 의해 연결된다. 베인 링크(280)는 노브(260)의 좌우이동에 의해 베인(270)이 노브(260)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노브(260)와 베인(270)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베인 링크(280)에는 복수의 연결부(282)가 마련되고, 베인(270)에는 각 연결부(282)가 결합되는 복수의 베인 결합부(272)가 마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노브(26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베인 링크(280)도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베인(270)을 좌측을 향하게 한다. 반대로 노브(26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베인(270)은 우측을 향하게 된다.
베인(270)은 베인 스페이서(290)에 결합된다. 베인 스페이서(290)는 베인(270)을 출구 슬릿(S2) 또는 공기 출구(130) 측에 위치시키면서 출구 슬릿(S2) 또는 공기 출구(130)에서 부유하되 좌우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인(270)을 장착시킨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베인 스페이서(290)의 양 측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292)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92)는 연결링크(250)의 중간 홀(254)에 삽입됨으로써 베인(270)을 출구 슬릿(S2)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하우징(100) 내에 슬릿 조립체(200)가 수용되고, 공기 입구(120) 측에는 베젤(300)이 장착된다. 베젤(300)은 출구 슬릿(S2)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개구(31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젤(300)은 노브 피벗부(264)를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베젤(300)은 회동점(320)을 포함하고, 회동점(320)은 노브(260)가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노브 피벗부(264)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1)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a 내지 7c는 도 6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하방향 토출방향 조절을 도시하고, 도 8a 내지 8c는 도 6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로서 좌우방향 토출방향 조절을 도시한다.
도 7a는 노브(26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표준상태를 도시한다.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노브(260)는 베젤(300)의 개구(310) 내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다. 슬릿 조립체(200)는 서로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인 유입 슬릿(S1) 및 출구 슬릿(S2)을 형성한다. 노브(260)가 회동하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또는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꺾임으로써 출구 슬릿(S2)을 통해 흐르는 바람을 꺾인 방향으로 토출되게 한다.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와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그리고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와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는 서로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는 하우징(100) 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노브(260)의 회동에 의해 슬릿 조립체(200)가 연동하여 작동한다.
도 7b에는 노브(260)가 하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노브(260)가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면, 상부 피벗점(234) 및 하부 피벗점(236)에 대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상측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부 연결점(232) 및 하부 연결점(234) 각각에 연결되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상부 이동점(214) 및 하부 이동점(224)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슬라이드점(212) 및 하부 슬라이드점(222)은, 각각, 상부 트랙(142) 및 하부 트랙(152) 상에서 미끄럼이동 하게 된다. 공기 입구(120)로 유입된 공기는 서로에 대하여 꺾인 유입 슬릿(S1) 및 출구 슬릿(S2)을 유동하며 하측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며 회동한다.
도 7c에는 노브(260)가 상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노브(260)가 상방으로 회동하면 상부 피벗점(234) 및 하부 피벗점(236)에 대해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가 하측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부 연결점(232) 및 하부 연결점(234) 각각에 연결되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210)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220)의 상부 이동점(214) 및 하부 이동점(224)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슬라이드점(212) 및 하부 슬라이드점(222)은, 각각, 상부 트랙(142) 및 하부 트랙(152) 상에서 미끄럼이동 하게 된다. 공기 입구(120)로 유입된 공기는 서로에 대하여 꺾인 유입 슬릿(S1) 및 출구 슬릿(S2)을 유동하며 상측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부 출구 플레이트(230)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240)는 서로 평행을 이루고, 평행한 출구 슬릿(S2)을 통해 토출 공기의 지향방향을 형성한다.
도 8a는 노브(26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표준상태를 도시한다.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노브(260)는 좌우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8b는 도 6의 A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으로 노브(260)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노브 피벗부(264)에 의해 베젤(3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노브(26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노브(260)에 연결되는 베인(270)이 좌측으로 회동하고, 좌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도 8c는 도 6의 A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으로 노브(260)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베젤(3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노브(26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베인 결합부(272)에 의해 베인 링크(280)에 연결되는 베인(270)이 우측으로 회동하고, 우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도 9a 내지 9c에는 에어벤트 조립체(1)가 표준 상태에 있는 경우의 풍향해석 결과를 도시한다. 운전자와 동승자 사이로 바람이 매우 정확하게 토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d에는 에어벤트 조립체(1)의 토출방향이 상향 우측으로 지향된 상태의 풍향해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조수석에 탑승한 동승자의 두부 측으로 풍향 지향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립체(1)의 풍향 실험 결과와 같이, 상방 및 하방으로 풍향 제어가 우수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상하방향의 날개 개수를 줄여 슬림한 형상의 에어벤트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적은 개수의 날개로는 바람 지향을 위한 유로를 만들기가 어려웠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날개가 없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슬릿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바람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고 용이한 풍향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존에는 에어벤트 하우징에 상측 유로 및 하측 유로를 설치하고, 선택되는 토출방향에 따라 상측 유로 및 하측 유로 중 일 측을 막고 타 측을 개방함으로써 바람의 유로를 형성하였다. 이때 막히는 측 유로에서 부딪힘에 의한 풍속 손실이 발생하고, 중간방향 풍향제어 시에는 상하방향 바람이 서로 부딪혀서 세부적인 제어가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설치된 트랙을 이용하여 희망하는 토출풍향에 따라 상하로 꺾이는 유입 슬릿 및 출구 슬릿의 단일한 유로를 형성하여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방향도 한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므로 부딪힘에 의한 풍속 손실이 없고, 세부적인 풍향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에어벤트 조립체 100: 하우징
110: 수용공간 120: 공기 입구
130: 공기 출구 140: 상부 하우징
142: 상부 트랙 150: 하부 하우징
152: 하부 트랙 200: 슬릿 조립체
210: 상부 유입 플레이트 212: 상부 슬라이드점
214: 상부 이동점 216: 상부 칸막이
220: 하부 유입 플레이트 222: 하부 슬라이드점
224: 하부 이동점 226: 하부 칸막이
230: 상부 출구 플레이트 232: 상부 연결점
234: 상부 피벗점 236: 상부 결합부
240: 하부 출구 플레이트 242: 하부 연결점
244: 하부 피벗점 246: 하부 결합부
250: 연결링크 252: 상부 홀
254: 중간 홀 256: 하부 홀
260: 노브 262: 노브 슬라이드부
264: 노브 피벗부 270: 베인
272: 베인 결합부 280: 베인 링크
282: 연결부 290: 베인 스페이서
292: 돌기 300: 베젤
310: 개구 320: 회동점
R: 수용부 S1: 유입 슬릿
S2: 출구 슬릿

Claims (17)

  1.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슬릿 조립체; - 상기 슬릿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유입 플레이트;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입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유입 플레이트; 및 일 측은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출구 플레이트를 포함함; 및
    상기 슬릿 조립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슬릿 조립체에 연결되는 노브;
    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 플레이트 내에는 상기 유입 슬릿과 연통하는 출구 슬릿이 형성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좌우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상기 출구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출구 슬릿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노브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틸트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브 및 베인을 연결하는 베인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인 링크의 일 측은 노브에 결합되고 상기 베인 링크의 타 측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베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구 슬릿에 부유하도록 상기 출구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베인에 결합되는 베인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 슬릿 및 출구 슬릿의 양 측은 폐쇄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 및 하부 유입 플레이트에 이웃하는 공기 입구;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출구 플레이트에 이웃하는 공기 출구;
    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 출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출구 슬릿과 연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 플레이트는,
    일 측은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출구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출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출구 슬릿을 형성하며 연결되고, 일 측은 상기 하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출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의 상부 슬라이드점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트랙 및;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유입 플레이트의 하부 슬라이드점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랙;
    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슬라이드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출구 플레이트의 상부 연결점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이동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유입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슬라이드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출구 플레이트의 하부 연결점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이동점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출구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연결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피벗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출구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연결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피벗점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출구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하우징 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고 상기 상부 유입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출구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유입 플레이트와 함께 하우징 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고 상기 하부 유입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출구 슬릿 측의 하우징에 상기 출구 슬릿과 연통하게 결합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베젤에 대하여 회동가능 및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출구 플레이트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는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상부 출구 플레이트 및 하부 출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벤트 조립체.
KR1020210019605A 2021-02-15 2021-02-15 에어벤트 조립체 KR20220116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05A KR20220116597A (ko) 2021-02-15 2021-02-15 에어벤트 조립체
US17/512,388 US11906194B2 (en) 2021-02-15 2021-10-27 Air vent assembly
DE102021128902.5A DE102021128902A1 (de) 2021-02-15 2021-11-05 Luftauslassvorrichtung
CN202111385581.1A CN114940053A (zh) 2021-02-15 2021-11-22 通风口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05A KR20220116597A (ko) 2021-02-15 2021-02-15 에어벤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597A true KR20220116597A (ko) 2022-08-23

Family

ID=8261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605A KR20220116597A (ko) 2021-02-15 2021-02-15 에어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06194B2 (ko)
KR (1) KR20220116597A (ko)
CN (1) CN114940053A (ko)
DE (1) DE1020211289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30Y1 (ko) * 2023-07-19 2024-02-08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차량용 에어벤트의 히든베인용 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187A (ko) 2016-12-21 2018-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3744A (ja) * 2004-04-28 2005-11-10 Toyoda Gosei Co Ltd レジスタ
KR102088275B1 (ko) * 2018-09-20 2020-03-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187A (ko) 2016-12-21 2018-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30Y1 (ko) * 2023-07-19 2024-02-08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차량용 에어벤트의 히든베인용 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28902A1 (de) 2022-08-18
US20220260275A1 (en) 2022-08-18
CN114940053A (zh) 2022-08-26
US11906194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586B2 (en)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US11161393B2 (en) Air vent for a vehicle
US5101883A (en) Method of assembly of single and multi-zone vehicle heating and a/c systems
JP2017526579A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US11007851B2 (en)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CN105682958A (zh) 空气喷嘴
JP2016135673A (ja) 風向調整装置
US11285785B2 (en) Air vent for automobile
CN113306361B (zh) 用于车辆的通风装置
KR102552157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CN114786974A (zh) 汽车用细长型通风口的风向调节装置
KR20220116597A (ko) 에어벤트 조립체
JP2002067679A (ja) 空調用吹出口装置
KR20120136968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JP2011251590A (ja) 風向調整装置
JP2017094989A (ja) 車両用レジスタ装置
JP2015006851A (ja) 風向調整装置
KR102498410B1 (ko)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JP5680478B2 (ja) 風向調整装置
US10807443B2 (en) Air vent for a vehicle HVAC system
KR102432863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JP26612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98833B1 (ko)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US11280517B1 (en) Air vent with rotating control elements and a central element defining channels and method of controlloing air flow via same
CN112440682B (zh) 车辆的空调出风结构、车辆空调系统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