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131A -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131A
KR20220116131A KR1020220100524A KR20220100524A KR20220116131A KR 20220116131 A KR20220116131 A KR 20220116131A KR 1020220100524 A KR1020220100524 A KR 1020220100524A KR 20220100524 A KR20220100524 A KR 20220100524A KR 20220116131 A KR20220116131 A KR 2022011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ccommodating
coupling
receiving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351B1 (ko
Inventor
권장호
박범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3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절연커버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부; 및 커버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선을 감싸며 밀착하는 접속개소부를 포함하고, 커버부는 접속개소부에 밀착 고정되고, 커버부는, 접속개소부를 수용하고, 접속개소부에 밀착되는 커버몸체부; 커버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용부; 및 커버몸체부의 타측에 수용부에 대항되게 배치되고,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커버몸체부에 장착되는 수용베이스부; 수용베이스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와 결합되는 수용체결부; 커버몸체부에 수용베이스부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수용베이스부와의 사이 공간에 결합부가 삽입 가능하게 하는 수용형성부; 및 수용베이스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가압되어 수용베이스부와 수용형성부 사이를 벌려서 결합부와 수용체결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수용해제부를 포함하고, 접속개소부는 내부에 내장되고, 원형으로 복원시키는 접속개소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커버{INSULATING COVER}
본 발명은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이 용이하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전공사에 있어서 직접활선 공법이 폐지되고, 간접활선 공법이 확대되고 있다. 간접활선 공법에서 사용되는 간접활선 공구는 절연커버의 양단을 테이핑하는 힘이 약해, 강풍 등 기상여건 악화시 절연커버가 이탈됨으로써, 충전부가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간접활선용 절연커버에는 직선커버, 분기슬리브 커버, 분기고리 커버, 데드앤드클램프 커버(Dead And Clamp Cover) 등이 있다. 이 절연커버는 커버 취부 후 양단을 로터스틱으로 테이핑을 하는데 있어서, 커버와 전선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하여 커버 안으로 빗물 등의 수분이 유입되고 압축개소가 부식되어 전선 단선으로 인한 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3302호(2017.09.13 공개, 발명의 명칭: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이 용이하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선을 감싸며 밀착하는 접속개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속개소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속개소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개소부에 밀착되는 커버몸체부; 상기 커버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커버몸체부의 타측에 상기 수용부에 대항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버몸체부에 장착되는 수용베이스부; 상기 수용베이스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수용체결부; 상기 커버몸체부에 상기 수용베이스부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베이스부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 가능하게 하는 수용형성부; 및 상기 수용베이스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가압되어 상기 수용베이스부와 상기 수용형성부 사이를 벌려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수용체결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수용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개소부는 내부에 내장되고, 원형으로 복원시키는 접속개소복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접속개소부와 밀착 고정되는 충진재가 충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진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충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에서 발생되는 온도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전선에 밀착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내측면에 코어부가 장착되고, 상기 코어부의 인출 시, 상기 접속개소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수축되어 상기 전선에 밀착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일측이 개구되는 "C"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내측면에 상기 접속개소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에 의하면, 커버부가 전선을 완전 밀착하여 감싸는 접속개소부를 덮고, 수용부와 체결부에 의하여 커버부가 전선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을 완전 밀폐 및 방수하여 보호하는 커버부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선의 고정과 전선의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 밀착되어 전선으로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고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결합부와 수용부의 결합 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결합부가 수용부로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결합부가 수용부에서 해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접속개소부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접속개소부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걸림고리부가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접속개소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속개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결합부와 수용부의 결합 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결합부가 수용부로 삽입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결합부가 수용부에서 해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접속개소부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접속개소부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커버에서 걸림고리부가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서 접속개소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속개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는 커버부(200)와 접속개소부(300)를 포함한다.
커버부(200)는 접속개소부(300)와 전선(1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에 접속개소부(300)를 수용한다. 커버부(200)는 접속개소부(300)에 밀착 고정된다. 또는 커버부(200)는 전선(10)을 모양대로 본 뜬 형태로 형성되어, 전선(10)을 완전히 감싸며 밀착 고정되는 충진재가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충진된다.
즉 본 발명은 커버부(200)와 전선(10)을 감싸는 접속개소부(300)를 포함하는 구조와, 커버부(200)와 전선(10)을 감싸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충진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충진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HDPE 재질을 포함하는 밀폐부(500)는 절연성이 우수하면서, 내기계성이 우수하여 성형된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충진재는 커버부(200)의 압착에 의해 수용부(220)와 결합부(230)가 힘에 의해 결합되면서, 변형 및 융착되어 전선(10)의 모양대로 본뜬 형태로 전선(10)을 완전 밀폐 및 밀착 고정한다.
충진재는 커버부(200)의 내측면의 일부(도 1 기준 "ㅁ"자형) 또는 전체에 충진된다. 충진재가 커버부(200)에 일부가 충진되어, 간접활선 공구(미도시)를 통해 커버부(200)가 압착되면서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고르게 퍼질 수 있다.
또한 충진재는 커버부(200)의 내측면 전체에 충진되어, 간접활선 공구를 통해 커버부(200)가 압착되면서 커버부(200)의 전선배출부(240)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커버부(200) 전체를 밀폐시켜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200)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즉 커버부(200)의 좌우 양쪽의 접촉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따라서 커버부(200)의 체결시 커버부(200)의 좌우측 접촉면이 완전하게 밀폐 결합된다. 커버부(200)는 커버몸체부(210), 수용부(220), 결합부(230)를 포함한다.
커버몸체부(210)는 접속개소부(300)를 수용하고, 전선(10)은 접속개소부(300)에 밀착된다. 커버몸체부(210)에는 접속개소부(300)의 일부가 커버몸체부(210)의 일부 또는 중앙 부분에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211)은 전선(10)을 감싸는 접속개소부(300)에 밀착된다. 따라서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211)에 충진된 충진재가 전선(10)을 형틀 형태로 포함하여 밀착하거나, 접속개소부(300)가 전선(10)을 감싸며 밀착됨으로써, 전선(10)의 유동을 방지하고, 전선(10)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진재는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211)에 전체 또는 "ㅁ"자형으로 일부가 충진되어 있다.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211)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접착제는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211)에 일부 또는 전체가 충진되어 있다.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211)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전선(10)과 접속개소부(300)가 이탈을 방지하고, 내부 공간으로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서 커버몸체부(210)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내수성과 절연성을 구비한다.
커버몸체부(210)는 전선(10)과 접속개소부(300)를 밀착하여 덮는 것으로, 접속개소부(300)를 갖는 구조에서 상온 열 수축 또는 코어부(340)의 인출시 탄성 수축되는 접속개소부(300)와 일체를 이룬다.
또는 커버몸체부(210)는 내부에 충진재가 충전되는 구조에서 커버부(200)에 "ㅁ"자형으로 일부 또는 전체가 충진된 충진재가 커버부(200) 결합시 압력에 의한 전선(10)의 모양대로 본 떠진 형틀처럼 변형된 충진재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수용부(220)는 커버몸체부(210)의 일측(도 3 기준 우측)에 배치되고, 결합부(2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230)는 커버몸체부(210)의 타측(도 3 기준 좌측)에 수용부(220)에 대항되게 배치되고, 수용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수용부(220)는 수용베이스부(221), 수용체결부(223), 수용형성부(225)를 포함한다. 수용베이스부(221)는 커버몸체부(210)에 돌출되게 장착된다.
수용체결부(223)는 수용베이스부(221)의 단부(도 4 기준 우측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230)의 결합돌기부(23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용체결부(223)는 결합부(230)의 결합돌기부(233)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용형성부(225)는 커버몸체부(210)에 수용베이스부(221)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수용베이스부(221)와의 사이 공간에 결합부(230)가 삽입 가능하게 한다. 수용형성부(225)와 수용베이스부(221)의 이격 거리는 결합돌기부(233)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220)는 수용해제부(227)를 더 포함한다. 수용해제부(227)는 수용베이스부(221)의 단부(도 4 기준 우측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수용해제부(227)는 수용베이스부(221)에 수용체결부(223)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용해제부(227)의 단부의 가압 시, 수용베이스부(221)와 수용형성부(225) 사이가 벌려져서, 결합부(230)와 수용체결부(223)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가 개방된다(도 6 참조).
결합부(230)는 결합환형부(231)와 결합돌기부(233)를 포함한다. 결합환형부(231)는 커버몸체부(210)에 개구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수용베이스부(221)와 수용형성부(225)의 사이로 삽입 가능하다(도 5 참조).
결합돌기부(233)는 결합환형부(23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수용체결부(223)에 결합된다. 결합돌기부(233)는 결합환형부(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부(233)가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돌기부(233)와 수용체결부(223)와 결합에서 불량이 발생되어도 다른 결합돌기부(233)에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230)는 결합가압부(235)를 더 포함한다. 결합가압부(235)는 결합환형부(231)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가압되어 결합환형부(231)가 수용베이스부(221)와 수용형성부(225)의 사이로 삽입되게 한다. 결합가압부(235)는 간접활선 공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가압됨으로써, 결합환형부(231)가 수용베이스부(221)와 수용형성부(225)의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수용부(220)와 결합부(230)는 커버몸체부(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고, 커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설정 크기로 복수개로 구성된다. 수용부(220)와 결합부(230)가 커버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커버부(200)가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용부(220)의 수용체결부(223)와 결합부(230)의 결합돌기부(233)는 수용베이스부(221)와 결합환형부(2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선배출부(240)는 커버부(200)의 커버몸체부(210)의 양단부에 중공형의 원뿔대 형상의 반쪽 모향으로 형성된다. 전선배출부(240)는 커버몸체부(210)의 양단부에 전선(10)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선배출부(240)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수축되면서 전선(10)에 밀착될 수 있다.
전선배출부(240)에는 상술한 수용부(220)와 결합부(230)와 같은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전선배출부(240)의 일측에 수용부(220)가 배치되고, 타측에 결합부(230)가 배치되어, 결합부(230)가 수용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선배출부(240)는 수용부(220)와 결합부(230)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접속개소부(300)는 커버부(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선(10)을 감싸며 완전 밀착된다. 접속개소부(3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선(10)의 외측면을 감싼다.
전선(10)을 감싼 접속개소부(300)는 커버부(200)와 일부(중앙 또는 한쪽면)가 결합된 일체형 구조로 전선(10)을 감싼 채로 커버부(200)에 의해 덮히게 된다.
접속개소부(300)는 전선(10)에 원통 구조로 감싸고 밀착되는 형태로 시공 후 전선(1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상온 상태에서 열융착되거나, 코어부(340)를 인출하여 수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접속개소부(300)는 일측(도 3 기준 우측)이 개구되는 "C"자형으로 형성된다. 접속개소부(300)는 일측이 개구된 "C"자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전선(10)을 수용하고, 수분이 전선(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접속개소부(300)는 내측면에 접속개소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홈부(310)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절개홈부(310)는 접속개소부(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접속개소부(300)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절개홈부(310)가 형성되어, 원형으로 용이하게 말려지고, 전선(10)의 외측면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밀착되게 감쌀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접속개소부(300)는 일단부(도 10 기준 상단부)에 걸림고리부(320)가 형성되고, 타단부(도 10 기준 하단부)에 걸림홈부(330)가 형성된다. 걸림고리부(320)는 접속개소부(300)에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홈부(330)에 결합된다. 걸림고리부(320)가 걸림홈부(330)에 걸리게 되어, 접속개소부(300)는 전선(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환형을 이루게 된다.
걸림홈부(330)는 접속개소부(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의 전선(10)에 대해, 걸림고리부(320)가 복수의 걸림홈부(330)의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되고, 접속개소부(300)가 전선(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융착되거나, 코어부(340)의 인출에 의해 수축되면서 "C"형 구조로 개구된 접속개소부(300) 양단부의 일정부분이 겹쳐지면서 전선(1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접속개소부(300)는 내측면에 코어부(340)가 장착된다. 코어부(340)는 접속개소부(30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한쪽면이 절개된 "C"형 구조의 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하면서 접속개소부(300)가 전선(10)을 감쌀 수 있는 "C"형의 열린 부분이 확실히 벌려진 구조를 이루면서 전선(10)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이다.
코어부(340)의 인출 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속개소부(300)가 탄성 수축된다. 즉, 코어부(340) 인출시 접속개소부(300)는 전선(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융착 등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수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접속개소부(300)는 접속개소복원부(350)를 더 포함한다. 접속개소부(300)의 양단부에는 원형모양으로 복원하려는 접속개소복원부(350)가 내장된다. 코어부(340) 인출시, 접속개소부(300)의 양단부에 있는 접속개소복원부(350)에 의하여 접속개소부(300)가 원형모양으로 탄성 수축된다. 이로써, 접속개소부(300)는 수축되면서 전선(10)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폐된다. 따라서 전선(10)은 접속개소부(300)에 밀착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이 차단된다. 접속개소복원부(350)는 접속개소부(300)의 양단부에 내장되고, 코어부(340)에 의해 일측이 개구되는 "C"자형으로 유지하다가, 코어부(340) 인출시 뒤집어진 6자모양, 골뱅이 모양(@) 등으로 말리면서 일정 부분이 중첩되어, 접속개소부(300)가 전선(10)을 원통 구조로 완전히 밀착하여 감싼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는 밀폐부(500)를 더 포함한다. 밀폐부(500)는 전선배출부(240)에 전선(10)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밀폐부(5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되면서 전선배출부(240)와 전선(10) 사이를 밀폐한다. 따라서 밀폐부(500)에 의해 외부에서 빗물 등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선(10)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부(500)는 원뿔대 형상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밀폐부(500)는 전선배출부(240)에 배치된다. 밀폐부(500)는 전선배출부(240)의 내측면에 단차지게 배치된다. 밀폐부(500)가 전선배출부(240)의 내측면에 단차지게 배치되어, 직경이 작은 전선(10)이 밀폐부(500)에 의해 전선배출부(240)에서 이격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며, 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밀폐부(500)는 커버부(200)의 전선배출부(24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밀폐부(50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DPE 재질을 포함하는 밀폐부(500)는 절연성이 우수하면서, 내기계성이 우수하여 성형된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다.
밀폐부(500)는 전선(10)의 직경에 따라 개구된 크기가 변경된 사이즈로 전선배출부(240)에 장착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전선(10)에 대응되는 밀폐부(500)가 전선배출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양한 전선(10)에 적용될 수 있다.
밀폐부(500)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밀폐부(500)의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전선(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내부 공간으로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서 밀폐부(500)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내수성과 절연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에 의하면, 커버부가 전선을 완전 밀착하여 감싸는 접속개소부를 덮고, 수용부와 체결부에 의하여 커버부가 전선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을 완전 밀폐 및 방수하여 보호하는 커버부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선의 고정과 전선의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 밀착되어 전선으로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시공 품질이 향상되고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선 200: 커버부
210: 커버몸체부 220: 수용부
221: 수용베이스부 223: 수용체결부
225: 수용형성부 227: 수용해제부
230: 결합부 231: 결합환형부
233: 결합돌기부 235: 결합가압부
240: 전선배출부 300: 접속개소부
310: 절개홈부 320: 걸림고리부
330: 걸림홈부 340: 코어부
350: 접속개소복원부 500: 밀폐부

Claims (8)

  1.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선을 감싸며 밀착하는 접속개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속개소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속개소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개소부에 밀착되는 커버몸체부;
    상기 커버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커버몸체부의 타측에 상기 수용부에 대항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버몸체부에 장착되는 수용베이스부;
    상기 수용베이스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수용체결부;
    상기 커버몸체부에 상기 수용베이스부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베이스부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 가능하게 하는 수용형성부; 및
    상기 수용베이스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가압되어 상기 수용베이스부와 상기 수용형성부 사이를 벌려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수용체결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수용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개소부는 내부에 내장되고, 원형으로 복원시키는 접속개소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접속개소부와 밀착 고정되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에서 발생되는 온도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전선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내측면에 코어부가 장착되고,
    상기 코어부의 인출 시, 상기 접속개소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수축되어 상기 전선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일측이 개구되는 "C"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개소부는 내측면에 상기 접속개소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커버.
KR1020220100524A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KR10245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524A KR102457351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882A KR102433232B1 (ko) 2020-07-01 2020-07-01 절연커버
KR1020220100524A KR102457351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882A Division KR102433232B1 (ko) 2020-07-01 2020-07-01 절연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131A true KR20220116131A (ko) 2022-08-22
KR102457351B1 KR102457351B1 (ko) 2022-10-24

Family

ID=7934749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882A KR102433232B1 (ko) 2020-07-01 2020-07-01 절연커버
KR1020220100526A KR102457353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KR1020220100524A KR102457351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KR1020220100525A KR102457352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KR1020220100523A KR102457350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882A KR102433232B1 (ko) 2020-07-01 2020-07-01 절연커버
KR1020220100526A KR102457353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525A KR102457352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KR1020220100523A KR102457350B1 (ko) 2020-07-01 2022-08-11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433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938B1 (ko) * 2022-05-12 2022-10-06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KR20240022148A (ko) 2022-08-11 2024-02-20 한국전력공사 분리식 절연커버 및 절연형 압축공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971B1 (ko) *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322706B1 (ko) * 2012-05-24 2013-10-29 한국전력공사 전선 보호 커버
KR20160029174A (ko) * 2014-09-04 2016-03-15 한국전력공사 가공배전선로용 연결장치
KR20160109557A (ko) * 2015-03-12 2016-09-21 (주)대림엠이씨 분기슬리브 커버
JP2017152401A (ja) * 2017-05-01 2017-08-31 三和レジン工業株式会社 被覆材
JP2017187122A (ja) * 2016-04-06 2017-10-12 住友電装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接続部の防水構造、並びに熱収縮チューブ付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20067131A (ja) * 2018-10-24 2020-04-30 エヌ・ティ・ティ・インフラネット株式会社 電線保護管の防錆用被覆管、その防錆構造及びその防錆方法
KR20200059335A (ko) * 2018-11-20 2020-05-29 한국전력공사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971B1 (ko) *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322706B1 (ko) * 2012-05-24 2013-10-29 한국전력공사 전선 보호 커버
KR20160029174A (ko) * 2014-09-04 2016-03-15 한국전력공사 가공배전선로용 연결장치
KR20160109557A (ko) * 2015-03-12 2016-09-21 (주)대림엠이씨 분기슬리브 커버
JP2017187122A (ja) * 2016-04-06 2017-10-12 住友電装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接続部の防水構造、並びに熱収縮チューブ付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7152401A (ja) * 2017-05-01 2017-08-31 三和レジン工業株式会社 被覆材
JP2020067131A (ja) * 2018-10-24 2020-04-30 エヌ・ティ・ティ・インフラネット株式会社 電線保護管の防錆用被覆管、その防錆構造及びその防錆方法
KR20200059335A (ko) * 2018-11-20 2020-05-29 한국전력공사 절연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232B1 (ko) 2022-08-17
KR20220117186A (ko) 2022-08-23
KR20220116130A (ko) 2022-08-22
KR102457351B1 (ko) 2022-10-24
KR102457350B1 (ko) 2022-10-24
KR20220116132A (ko) 2022-08-22
KR102457353B1 (ko) 2022-10-24
KR20220003276A (ko) 2022-01-10
KR102457352B1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351B1 (ko) 절연커버
US4142592A (en) Repairable assembly for protecting a cable jun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5382756A (en) Encapsulation closure for cables
JP3393859B2 (ja) 長形の物体を保持し、導き通すための装置と方法
EP0320189B1 (en) Cable closure
JP2622480B2 (ja) 電気ケーブルの保護包摂方法及び装置
US20060169475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JPH05276619A (ja) ケーブルスプライス装置
GB2282922A (en) Insulating electrical connection
MXPA01004532A (es) Cierre para cable.
US3209069A (en) Joint enclosure for joined electric cables
JP2019075882A (ja) シールド電線の止水構造及び止水方法
KR20210036041A (ko) 옥외용 현장조립 방수 광커넥터 플러그 및 이의 제조방법
US5208428A (en) Splice closures
KR101548357B1 (ko)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
JP4250527B2 (ja) 多部品構成絶縁被覆品
US20200366075A1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GB2046030A (en) Sleeve assembly for sealing a joint between two cable ends
WO1999049548A1 (en) Single-ended joint cable sealing system
CA2333370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RU2794068C1 (ru) Штекер опт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го монтажа на мест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штекера
JP2973394B2 (ja) 止水部材及び該防水部材を用いた止水方法
JP2008019971A (ja) 配管接続構造及びカバー部材
KR20230085641A (ko) 개폐형 패킹
JPH09264480A (ja) 電気融着式分岐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