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884A -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884A
KR20220114884A KR1020210018455A KR20210018455A KR20220114884A KR 20220114884 A KR20220114884 A KR 20220114884A KR 1020210018455 A KR1020210018455 A KR 1020210018455A KR 20210018455 A KR20210018455 A KR 20210018455A KR 20220114884 A KR20220114884 A KR 2022011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tal
partner
revisiting
user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506B1 (ko
Inventor
홍사욱
정인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영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영업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영업자
Priority to KR102021001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5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물품대여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통해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물품대여기기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는 물품대여 관리부, 및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파트너 상점 재방문의 횟수가 특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파트너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REVISIT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은 재방문 고객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대여기기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고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의 재방문 고객에게 이벤트를 제공하여 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 활동을 하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공유경제는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을 말하며,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특징인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에 대비해 생겨났다.
즉, 물품은 물론 생산설비나 서비스 등을 개인이 소유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자신이 필요 없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공유 소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공유경제를 활용한 물품 대여 서비스는 잠시 쓰다 남에게 줘야 하는 아기용품에서부터 계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정수기 등의 다양한 가전기기와 가구 등 일상생활용품까지 다양한 물품에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를 대여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소유 보다 대여 형태의 소비패턴이 활성화됨에 따라 물품 대여 상점들은 상점의 물품이나 서비스에 고객이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고 단골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76838(2001.08.16)호는 물품 대여점에서의 대여 물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대여 물품들에 대한 회계정보를 관리하고 망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호스트 컴퓨터, 상기 중앙 호스트 컴퓨터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회원별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각 물품의 대여 정보를 상기 중앙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며 각 수단들을 제어하는 각 대여점에 대응되어 설치된 컴퓨팅수단, 대여 물품에 고유하게 할당된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각 회원들에게 제공되고 고유의 번호를 가지며 물품의 대여 정보 및 지불가능 금액 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및 물품에 마그네틱 정보를 기입하거나 착자된 마그네틱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착자 및 탈자수단을 포함하여, 대여 물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물품 대여점에서의 대여 물품 관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2117(2015.10.07)호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단골고객 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매장 입구에 설치되어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해당 고객의 방문일시에 관한 기록을 고객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되 고유번호가 부여된 무선통신 단말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방문일시에 관한 기록을 전송받아 서버의 해당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고객 단말기, 및 매장 내의 각 테이블에 구비된 디지털 메뉴판과 연동되어 고객 아이디와 해당 고객이 주문한 주문내역을 매칭시킨 데이터를 서버의 해당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점주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점주가 특정 고객의 성향과 충성도를 파악하고 해당 고객에게 이벤트, 쿠폰발급 등 최적화된 맞춤형 정보를 매장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단골고객 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포스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76838(2001.08.1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2117(2015.10.0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품대여기기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고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의 재방문 고객에게 이벤트를 제공하여 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트너 상점을 방문한 고객의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고객의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고객의 재방문에 따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 파트너 상점 재방문에 따른 이벤트의 수신 가능 조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는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물품대여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통해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물품대여기기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는 물품대여 관리부, 및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파트너 상점 재방문의 횟수가 특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파트너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대여 관리부는 상기 대여물품의 제공 전에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기 등록 결제코드를 기초로 상기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품대여 관리부는 상기 대여물품으로 공유 보조배터리를 제공하고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반납을 검출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파트너 상점관리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파트너 상점 재방문에 따른 재방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이벤트의 수신 가능 조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점관리기기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재방문의 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이벤트 제공 조건을 상기 특정 조건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상점관리기기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를 제공할 재방문의 회수에 대한 결정 및 상기 결정에 따른 이벤트의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품대여 관리부는 상기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파트너 상점을 떠나기 전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즉시 할인 쿠폰을 제공하고,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파트너 상점에서 판매되는 물품의 계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계산의 처리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디지털 즉시 할인 쿠폰을 독출하여 상기 물품의 할인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는 물품대여기기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고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의 재방문 고객에게 이벤트를 제공하여 고객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는 파트너 상점을 방문한 고객의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고객의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고객의 재방문에 따른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관리를 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파트너 상점 재방문에 따른 이벤트의 수신 가능 조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단골 고객을 유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출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의 파트너 상점 재방문 고객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에서 상점관리기기에 재방문 알람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에서 상점관리기기 또는 관리자 단말에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시스템(100)은 물품대여기기(110), 상점관리기기(120), 사용자 단말(130), 관리자 단말(140),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물품대여기기(110)는 물품의 대여 및 반납을 위한 기기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대여기기(110)는 대여물품을 구비하고 고객의 요청에 따라 대여물품을 제공하거나 대여물품의 반납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여물품은 공유 보조배터리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점관리기기(120)는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의 관리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점관리기기(120)는 상점 포스(POS)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물품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 요청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30)들은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재방문 고객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하, '물품대여앱' 이라 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40)은 상점관리기기(120)와 연관되며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관리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를 관리할 수 있고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상점에 대해 파트너 관리를 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기기(110)와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에 연동하여 물품대여기기(110)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와 사용자 단말(130)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재방문의 횟수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30) 및 관리자 단말(14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 및 관리자 단말(14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60)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60)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가 물품대여기기(110)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고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 재방문 고객의 사용자 단말(130)에 이벤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물품대여기기(110)를 통한 물품대여 관리 및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의 재방문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과정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 관리부(310), 파트너 관리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물품대여기기(110)와 연결되고 디지털 식별코드가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통해 인식되면 사용자 단말(130)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물품대여기기(110)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는 물품대여기기 식별을 위한 QR코드일 수 있다. 디지털 식별코드는 물품대여기기(1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파트너 상점 내의 물품대여기기(110)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실행시켜 물품대여기기(110)에 장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물품 대여요청을 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사용자 단말(130)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사용자 식별코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회원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사용자 식별코드가 검출되고 사용자의 물품 대여요청에 따라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기 등록 결제코드를 기초로 자동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대여물품의 제공 전에 사용자의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결제를 수행한 후 물품대여기기(110)를 제어하여 물품대여기기(110)로부터 대여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 단말(130)에 파트너 상점을 떠나기 전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즉시 할인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대여물품으로 공유 보조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물품대여기기(110)는 물품대여 관리부(310)의 제어를 통해 배터리를 분출하여 사용자에게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대여기기(110)는 복수의 보조배터리들을 보관할 수 있고 보관중인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의 물품대여앱에서 대여 가능한 보조배터리 개수와 충전 중인 보조배터리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물품대여기기(110)의 대여 가능한 보조배터리 중 하나를 분출하여 사용자에게 대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품대여기기(110)로부터 분출된 보조배터리를 인출하면 '대여완료'를 알리는 문자 또는 톡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반납을 검출하여 공유 보조배터리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물품대여기기(110)에 공유 보조배터리가 반납되면 물품대여기기의 디지털 식별코드를 기초로 대여 위치와 반납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유 보조배터리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디지털 식별코드와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파트너 상점 재방문의 횟수가 특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식별한 파트너 상점의 재방문 고객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방문 고객이란 한 파트너 상점에 2회 이상 방문하여 2번 이상 물품을 대여한 사용자를 의미한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와 연결되고,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파트너 상점 재방문에 따른 재방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대여물품의 제공 후 사용자가 재방문 고객인 경우에는 상점관리기기(120)에 사용자의 재방문 횟수를 포함한 재방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트너 관리부(330)는 상점관리기기(120)에 "파트너님, ooo 고객님이 N번째 방문을 하셨어요! 인사를 건네보면 어떨까요?" 라는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상점관리기기(120)에 사용자의 방문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사용자의 방문일자, 대여 및 반납 시간, 타 파트너 상점에 반납한 경우 반납 상점 등의 방문내역 정보를 상점관리기기(120)에 제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130)에 이벤트의 수신 가능 조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대여물품의 제공 후 사용자의 재방문 횟수가 이벤트 제공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단말(130)에 이벤트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벤트 제공을 위한 조건을 사용자 단말(130)에 알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트너 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30)에 "ooo 고객님, N번째 방문에 감사드립니다. 2번 더 방문하여 이용해 주시면 ***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깜짝선물이 있어요!" 라는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상점관리기기(120)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140)을 통해 재방문의 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이벤트 제공 조건을 특정 조건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상점관리기기(120) 또는 관리자 단말(140)에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제공하고,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기초로 이벤트를 제공할 재방문의 회수에 대한 결정 및 결정에 따른 이벤트의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사용자 연령별 또는 성별에 따른 재방문 회수, 이용시간, 이벤트 참여도 및 이벤트 선호도를 포함하는 재방문 통계를 상점관리기기(120) 또는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하여 상점 관리자로 하여금 이벤트 제공 조건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기초로 몇 번째 재방문에 이벤트를 제공할지, 그 재방문에 따라 어떤 이벤트를 제공할지 상점관리기기(120) 또는 관리자 단말(140)에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파트너 상점 관리자의 참여를 통해 재방문에 따른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트너 관리부(330)는 상점관리기기(120) 또는 관리자 단말(140)에서 재방문 회수에 따른 이벤트 제공 주기, 재방문 시 제공할 알람 내용, 이벤트 형태, 이용 기간 등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파트너 상점 관리자가 이벤트 제공을 거부한 경우에는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재방문 고객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파트너 상점 관리자가 이벤트의 제공을 거부한 경우, 제공 거부 1회차에는 이벤트 제공을 위한 재방문 회수의 조건을 상향 조정하고, 제공 거부 2회차에는 해당 파트너 상점의 대여물품에 대한 재방문 고객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 있다.
파트너 관리부(330)는 파트너 상점에서 판매되는 물품의 계산 요청을 수신하고 계산의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30)과 연동하여 디지털 즉시 할인 쿠폰을 독출하여 물품의 할인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물품대여 관리부(310) 및 파트너 관리부(33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의 파트너 상점 재방문 고객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통해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단계 S41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에 방문시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실행시켜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식별코드는 QR코드 형태일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30)의 물품대여앱을 통해 QR코드를 스캔하여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20). 일 실시예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 관리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의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기 등록된 결제코드를 기초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에 물품대여앱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 식별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에 최초 방문하여 물품 대여 비용 결제시 사용한 결제수단을 등록할 수 있다. 물품대여 관리부(310)는 사용자의 파트너 상점 재방문시 기 등록해놓은 결제수단으로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결제 후 물품대여기기(110)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 관리부(310)를 통해 물품대여기기(110)에 보관된 대여물품을 분출시켜 사용자가 대여물품을 수령하면 대여를 완료할 수 있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디지털 식별코드와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에 재방문에 따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40). 일 실시예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파트너 관리부(330)를 통해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가 파트너 상점에 2회 이상 방문하고 방문시마다 물품을 대여한 경우 재방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상점관리기기(120)에 사용자의 재방문 사실을 알려 사용자 관리를 통해 단골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사용자의 파트너 상점 재방문의 횟수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50). 일 실시예에서,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파트너 관리부(330)를 통해 파트너 상점 재방문의 횟수가 특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트너 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30)에 이벤트의 수신 가능 조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벤트를 제공받기 위한 조건을 충족하도록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에서 상점관리기기에 재방문 알람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물품대여기기(110)의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물품대여기기(110)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식별한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파트너 상점에 사용자의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에 파트너 상점 재방문에 따른 재방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는 파트너 상점의 포스(POS)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도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재방문 고객 알람 메시지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점 관리자는 상점관리기기(120)에 표시된 재방문 고객 알람을 통해 사용자의 재방문 횟수를 알 수 있고 사용자의 재방문에 따른 단골고객 유인을 위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에서 상점관리기기 또는 관리자 단말에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는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 또는 상점관리기기(120)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140)에 보유 단골고객수를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 상점관리기기(120) 또는 상점관리기기(140)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고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방문 횟수 추이, 방문 주연령층, 방문시간대를 포함하는 재방문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파트너 상점 관리자는 재방문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단골고객 대상 이벤트 참여, 친구 초대 등의 여러 마케팅을 시도해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방문 고객 서비스 시스템
110: 물품대여기기 120: 상점관리기기
130: 사용자 단말 140: 관리자 단말
150: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16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물품대여 관리부 330: 파트너 관리부
350: 제어부

Claims (8)

  1.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물품대여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물품대여앱을 통해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물품대여기기의 제어를 통해 대여물품을 제공하는 물품대여 관리부; 및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물품대여기기를 설치한 파트너 상점 재방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파트너 상점 재방문의 횟수가 특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파트너 관리부를 포함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대여 관리부는
    상기 대여물품의 제공 전에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기 등록 결제코드를 기초로 상기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대여 관리부는
    상기 대여물품으로 공유 보조배터리를 제공하고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반납을 검출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 가능한 파트너 상점관리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파트너 상점 재방문에 따른 재방문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코드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이벤트의 수신 가능 조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점관리기기와 연관된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재방문의 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이벤트 제공 조건을 상기 특정 조건으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상점관리기기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유형별 재방문 통계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를 제공할 재방문의 회수에 대한 결정 및 상기 결정에 따른 이벤트의 추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대여 관리부는
    상기 대여물품의 제공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파트너 상점을 떠나기 전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즉시 할인 쿠폰을 제공하고,
    상기 파트너 관리부는
    상기 파트너 상점에서 판매되는 물품의 계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계산의 처리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디지털 즉시 할인 쿠폰을 독출하여 상기 물품의 할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1020210018455A 2021-02-09 2021-02-09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10247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55A KR102477506B1 (ko) 2021-02-09 2021-02-09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55A KR102477506B1 (ko) 2021-02-09 2021-02-09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84A true KR20220114884A (ko) 2022-08-17
KR102477506B1 KR102477506B1 (ko) 2022-12-15

Family

ID=8311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455A KR102477506B1 (ko) 2021-02-09 2021-02-09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669B1 (ko) * 2023-09-26 2024-04-22 (주)이상기술 지역 상권 및 로컬푸드 활성화와 연계된 홍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838A (ko) 2000-01-28 2001-08-16 임효순 물품 대여점에서의 대여 물품 관리 시스템
KR20130033500A (ko) * 2011-09-06 2013-04-04 전동기 상점 코드를 이용한 고객 재방문 유도를 위한 혜택 제공 방법
KR20150112117A (ko) 2014-03-26 2015-10-07 주식회사 앱필로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단골고객 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포스 시스템
KR101746705B1 (ko) * 2016-06-29 2017-06-13 박효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KR20180137679A (ko) * 2017-06-19 2018-12-28 이의환 배터리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8696A (ko) * 2019-04-08 2020-10-16 나준기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838A (ko) 2000-01-28 2001-08-16 임효순 물품 대여점에서의 대여 물품 관리 시스템
KR20130033500A (ko) * 2011-09-06 2013-04-04 전동기 상점 코드를 이용한 고객 재방문 유도를 위한 혜택 제공 방법
KR20150112117A (ko) 2014-03-26 2015-10-07 주식회사 앱필로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단골고객 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포스 시스템
KR101746705B1 (ko) * 2016-06-29 2017-06-13 박효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KR20180137679A (ko) * 2017-06-19 2018-12-28 이의환 배터리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8696A (ko) * 2019-04-08 2020-10-16 나준기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669B1 (ko) * 2023-09-26 2024-04-22 (주)이상기술 지역 상권 및 로컬푸드 활성화와 연계된 홍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506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265B1 (ko) 빈자리 안내 및 예약 서비스 시스템
US20190266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helf display units and for graphically presenting information on shelf display units
JP5980585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の接続パスワードの多重化割り当てによる顧客関係管理方法、顧客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ourouthanassis et al. Developing consumer-friendly pervasive retail systems
TWI453686B (zh) 結合社交網路之消費管理系統及方法
JP4753616B2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50251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intelligent multimedia marketing operations
US2014035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oint of sale function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30346201A1 (en) Method for in-store competition with internet sales pricing
US20090125394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s in-store assistant
US20090125411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nfigured to order out of stock items
JP200511584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US20100070357A1 (en) Incentive based marketing through social networks
US20150371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rtual discount coupons to customers of a retail enterprise based on shopping history
KR101858139B1 (ko) 결제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결제 처리 서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US20160292710A1 (en) Mobile device inducements for causing consumer interactions with kiosks, such as product sample kiosks
JP2006215897A (ja) 商品管理システム
CN110533471A (zh) 基于头肩识别和人脸识别的店铺用户智能管理系统
JP2007265365A (ja) クーポン配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クーポン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77506B1 (ko)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JP2020161126A (ja) 在庫追跡システム
KR101720700B1 (ko) 대리점 온-오프 라인 통합 고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065480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110057499A (ko) 지역총판매장 관리방법
JP649650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