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96A -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696A
KR20200118696A KR1020190040977A KR20190040977A KR20200118696A KR 20200118696 A KR20200118696 A KR 20200118696A KR 1020190040977 A KR1020190040977 A KR 1020190040977A KR 20190040977 A KR20190040977 A KR 20190040977A KR 20200118696 A KR20200118696 A KR 20200118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tal
auxiliary battery
shared auxiliary
charging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291B1 (ko
Inventor
나준기
Original Assignee
나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준기 filed Critical 나준기
Priority to KR102019004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2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기록되고,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 및 대여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에 필요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단말; 및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승인하고, 대여 및 반납에 따른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대여동작 및 반납동작을 제어하는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결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결제정보는 전자화폐, 가상(암호화)화폐 및 실물화폐 중 어느 하나로 결제된 결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nting and returning shared auxiliary batteries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유경제란 물적 자산을 대여하기 위해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는 경제 행위이다.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소유물을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임차인은 한 기간 동안 해당 물건을 사용할 권리가 있지만 물건의 소유건은 임대인에게 있다.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물건을 사용할 권리를 임대료로 지불해야 한다.
한편, 2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번 쓰고 버리는 1차전지(primary battery)와 달리 2차전지는 여러 번 충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중대형 배터리를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또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2차 전지가 휴대 단말과 같이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크기에 맞춰 소형화 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 사용자들은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보조 배터리 역시 용량이 크지 않으며, 대용량의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여 소지하고 다니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를 사용할 때마다 상시 충전을 해둬야 하며, 보조 배터리까지 모두 사용한 경우, 충전 대체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801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기록되고,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 및 대여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에 필요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단말; 및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승인하고, 대여 및 반납에 따른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대여동작 및 반납동작을 제어하는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결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결제정보는 전자화폐, 가상(암호화)화폐 및 실물화폐 중 어느 하나로 결제된 결제정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복수 개의 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부; 완충 및 미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및 상기 결제정보가 가상(암호화)화폐 결제정보일 경우,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된 종류의 가상(암호화)화폐의 현제시세를 출력하고, 상기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비용을 환전하기 위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을 출력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를 송금할 지갑주소를 식별코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한 상기 고객단말을 통하여 상기 지갑주소로 상기 출력된 수량의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된 경우 입금 이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가상(암호화)화폐 입금확인부; 상기 복수 개의 충전부 각각의 충전단자의 접속상태 및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접속/충전상태 확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충전부 내에 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종류를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승인정보를 수신 후, 상기 승인정보 내에 기록된 ID에 해당하는 충전부의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지갑주소 및 입금할 코인의 수량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된 인출시간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로 제공하는 타이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부는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상기 충전단자에서 이탈되는 시점을 상기 인출시간을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에서 전송된 고객단말의 위치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이 설치된 설치장소의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고객단말에서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시에,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로부터 대여시점을 수신한 후, 해당 공유 보조배터리가 반납될 시점까지 대여시간을 카운트한 정보를 반납될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및 고객단말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가상(암호화)화폐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내에 발생하는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반영하고, 상기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로부터 미대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및 관리하고,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간의 분산 장부를 공유하는 P2P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에서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 회원을 등급별 및 연령별로 관리하고, 상기 회원의 마일리지와 대여내역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체인코드를 이용한 자율거래계약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관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고객단말로부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를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에서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과 호환가능한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하는 대여장소의 지리적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고객단말에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대여장소에 설치된 충전단말의 식별코드를 스캔한 스캔정보 및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를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에서 상기 충전단말의 대여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충전단말에서 상기 대여요청 이벤트에 부합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가 가능할 경우, 대여 승인요청 및 대여료 결제요청을 상기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에서 상기 대여료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충전단말 내의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되도록 상기 충전단말의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5 단계 이후, 상기 고객단말에서 상기 대여료를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처리할 경우,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된 종류의 가상(암호화)화폐의 현제시세 및 상기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비용을 환전하기 위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 상기 가상(암호화)화폐를 송금할 지갑주소를 식별코드로 제공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한 상기 고객단말을 통하여 상기 지갑주소로 상기 제공된 수량의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된 경우 입금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6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충전단말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인출시각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에서 인출시각부터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반납되는 시점까지의 대여시간을 카운트한 후, 카운트한 대여시간에 따른 대여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출시간은 상기 충전단말의 충전단자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이탈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운 복수 개의 지정 매장에서 편리하게 공유 보조배터리를 보관, 충전 및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방법은 실물 화폐뿐만 아니라, 전자화폐 및 가상(암호화)화폐를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로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예시한 도이다.
도 9는 블록체인 전자지갑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추가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예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100)은 고객단말(200),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 및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을 포함한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고객단말(200) 및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먼저, 고객단말(200)은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 및 반납한 사용자의 단말로서, 대여 및 반납 시에 플랫폼(앱)을 통해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에 접속하여 대여 및 반납에 필요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이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의 식별코드를 스캔한 스캔정보 및 고객단말의 대여 및 반납에 따른 요청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는 바코드, QR 코드(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2차원 바코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별코드는 스캔을 통해 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코드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200)은 플랫폼(앱)을 통해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를 지불하는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정보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를 전자화폐, 가상(암호화)화폐 및 실물화폐 중 어느 하나로 결제한 결제정보(보증료의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료는 보증료 + 사용료가 합산된 금액으로, 사용자가 대여한 공유 보조배터리를 반납 시에, 대여한 시간에 따른 사용료를 차감한 나머지 금액을 보증료로 환불받는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고객단말(200)은 블록체인 기반 가상(암호화)화폐 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암호화)화폐를 구매자 별로 생성된 지갑주소를 통하여 입금받고, 가상(암호화)화폐에 대응하는 가치의 가격을 가지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 또는 보증료 또는 사용료의 지불완료처리를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고객단말(200)은, 고객의 신원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가상(암호화)화폐의 입출금을 확인하여 결제대금의 지불처리를 하는 단말이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고객단말(200)은, 구매자가 선택한 종류의 통화와 가상(암호화)화폐의 실시간 시세를 조회 및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고객단말(200)은, 고객의 신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수단(예컨대, 지문판독, 동공판독, 음성판독 등)을 통해 판별하는 것은 물론, 성인인증을 함으로써 거래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200)은,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보증료, 사용료 등)에 대응하는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을, 고객이 선택한 종류의 통화로 환산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시세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은 공유 보조배터리를 보관, 충전, 대여, 반납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지정 매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지정 매장은 사용자에게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 및 공유하기 위하여 제휴관계를 형성한 매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정 매장은 편의점, 카페, 패스트푸드 매장, 생필품 매장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단말을 설치할 수 있는 어떠한 매장이든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은 외부로부터 투입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보관 및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은 충전부(410), 접촉/충전상태 확인부(420), 제어부(430), 통신부(440) 및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복수 개의 충전부(411)를 포함하고, 각 충전부(411)는 충전포트(411-1) 및 충전슬롯(411-2)을 포함한다.
접촉/충전상태 확인부(420)는 복수 개의 충전부의 충전포트(411-1)의 접속상태 및 공유 보조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430)는 복수 개의 충전부(411) 내에 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종류를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후술하는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로 제공하고,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의 대여/반납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충전부의 대여/반납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440)는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은 디스플레이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50)는 상기 충전부(410)에 완충 및 미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및 상기 결제정보가 가상(암호화)화폐 결제정보일 경우,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된 종류의 가상(암호화)화폐의 현제시세를 출력하고, 상기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비용을 환전하기 위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을 출력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를 송금할 지갑주소를 식별코드로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50)는 완충 및 불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및 위치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은 블록체인의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일 수 있다. 이때, 가상(암호화)화폐 중 비트코인에 대해 살펴보면 전자서명(암호화 프로토콜)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적 지불수단의 일종이며 금 등의 실물자산과 국가 등의 발행주체의 신용력에 의존하는 대신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분산형(Peer to Peer, 이하 P2P라 한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참가자(채굴자)가 Proof of Work라고 하는 특수한 계산작업을 (신규생성 비트코인의 교부를 인센티브로서) 자주적이고 경쟁적으로 행하여 정당성이 인정된 블록체인 공개거래기록을 연속적으로 보존하는 것으로 이중지불의 위험이 방지되는 점이 최대의 특징이다.
법정통화의 송금이 원칙적으로 금융기관과 송금업자 등의 매개기관을 통해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 비해, 비트코인의 경우 사용자의 전자지갑이 P2P네트워크에서의 접속 포인트로서 기능하고 비트코인을 사용자의 전자지갑 간 직접 거래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트코인은 특정한 발행주체가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통적인 화폐와 법정통화 그 자체는 아닌 점은 명확하지만 비트코인에 지불가치, 교환가치가 있다고 사인이 인정한 점, 게다가 그 자체가 근거로써, 채권채무관계의 해소를 위한 지불 및 결제수단과 격지자 간의 자금이동에 이용할 수 있고, 통화와 결제성 자금에 유사한 기능을 다하고 있다.
일반인이 비트코인을 이용할 경우, 자신의 PC등에 인스톨한 전자지갑 주소, 또는 비트코인거래소의 사이트에 개설한 주소를 통해서 엔과 미국 달러 등의 전통적 화폐를 지불하고 비트코인을 구입한 다음, 비트코인이 사용가능한 온라인마켓 등에서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받는 대가로 사용하거나 다른 이용자와의 간에 판매를 하거나 혹은 전통적 화폐로 재환금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P2P(Peer-to-Peer) 네트워크, 암호화, 분산 장부, 분산 합의와 같이 크게 4가지의 기반 기술로 구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비대면 가상(암호화)화폐결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각각의 기술들은 블록체인의 가치라 할 수 있는 탈중앙화,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등을 위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취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동작 메커니즘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응용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는 프로그램의 실행 코드 및 그 결과에 대한 무결성, 신뢰성을 제공해주는 기술로서 자동화된 거래, 제어 등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우선, 블록체인의 참여자들 간 연결 및 통신은 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P2P 네트워크는 기존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에서 탈피한 동등한 계층의 참여자들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로서 크게 structured P2P(구조적 P2P)와 unstructured P2P(비구조적 P2P)로 분류된다.
특히 unstructured P2P는 서버를 중심으로 참여자들 간의 망이 이루어지는 중앙 집중형 방식과 데이터의 flooding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형 P2P 네트워크로 다시 구분 할 수 있다. 블록 체인은 기술의 특징이자 이념인 탈중앙화 분산 네트워크를 위해 flooding 기반의 unstructured P2P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또한 P2P 네트워크의 통신은 UDP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블록체인에서는 TCP/IP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참여자들은 자신과 물리적으로 가장 인접한 참여자들의 IP를 유지하고 있으며(비트코인의 경우, 3개의 IP를 유지) 이를 사용하여 메시지 및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두 번째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기술은 1)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머클 트리(Merkle Tree), 2) 거래의 부인방지를 위한 공개키 기반 디지털 서명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머클 트리는 해시 트리의 일종으로 모든 비 리프노드의 이름이 자식 노드들의 해시로 구성된 트리를 일컫는다. 즉, 리프 노드들은 파일이나 특정 값 등의 데이터를 가리키며 상위 노드는 이 리프 노드의 해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는 트리를 구성하는 모든 리프 노드들의 데이터의 해시값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사용자는 루트 노드의 해시를 검증하는 것만으로 데이터들의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에서는 리프 노드에 참여자들 간의 거래, 정보 들을 삽입함으로써 머클 트리의 기초를 구성하며 상위 노드를 만들 때 사용될 수 있는 해시 함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블록체인에서는 SHA-256 함수를 사용하여 머클 트리를 활용하고 있다.
공개키 기반의 디지털 서명 방식은 사전에 비밀 키를 나누어 가지지 않은 참여자간의 안전한 통신을 이루어지게 하는 암호화 기술로 본인 인증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개 키 기반 구조에서는 공개 키와 비밀 키 두 개의 키 쌍이 존재하며, 공개 키는 모든 참여자들이 알 수 있지만 이에 대응되는 비밀 키는 해당 소유자만이 알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개 키 기반 디지털 서명 방식을 블록체인에서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거래를 발생시키려는 사용자가 자신의 비밀 키를사용하여 해당 거래에 대해 서명을 하고 이에 대응되는 자신의 공개 키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거래정보를 전송한다. 이 거래 정보를 받은 다른 모든 참여자들은 거래에 담긴 송신자의 공개 키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그 거래는 블록체인의 참여자가 보냈음을 확인한다.
세 번째로, 분산 장부는 참여자들 간의 합의에 의해 복제되고 공유, 동기화된 정보의 기록 저장소이다. 특히 분산 장부가 P2P 네트워크상에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분산 장부의 기록에 대한 참여자들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블록체인에서도 그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분산 장부는 발생하는 모든 거래, 정보들을 참여자들의 검증과정을 거쳐 기록하며,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정보를 유지한다. 거래나 정보를 검증 할 시에는 먼저 참여자 개개인이 유지하고 있는 분산 장부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참여자들 간의 합의를 거쳐 적법한 거래나 정보만이 블록체인의 분산 장부에 저장된다. 거래나 정보를 저장 시에는 이들을 일정 시간동안 누적하여 블록이라는 단위로 저장하고 이 블록 간의 연결성을 부여한 상태에서 분산 장부에 저장한다.
이러한 분산 장부는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데이터 무결성 보장의 바탕이 된다. 블록체인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들은 동일한 분산 장부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격자가 특정 데이터를 위변조하거나 이중거래 등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이 유지하고 있는 분산 장부들 중 절반 이상의 장부들에 대해 공격을 시도해야하기 때문에 높은 비용과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로 한다.
네 번째로, 분산 합의는 분산 컴퓨팅과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등의 분야에서 결함이 있는 프로세스가 있는 경우, 전반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나 에이전트 간의 특정 데이터 값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위한 분산 합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지니고 있다.
우선, 유효성(Validity), 즉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제안 했다면, 모든 프로세스들은 제안된 데이터에 결정(유효, 무효)을 내리고, 두 번째로, 무결성(Integrity), 즉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이 하나의 데이터를 채택하였다면 그 데이터는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제안된 데이터이며, 세 번째로, 동의(Agreement),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은 반드시 어떤 데이터에 대해 동의하여야 하며, 네 번째로, 종료(Termination), 모든 올바른 프로세스들은 어떤 데이터들에 대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
블록체인에서는 위와 같은 분산 합의 프로토콜 설계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거래나 정보에 대해 참여자 간의 합의를 이끌어낸다. 합의를 거쳐 적합한 거래나 정보만이 블록체인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핵심이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또한 어떠한 방식의 분산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따라 블록체인의 특징이 구별되어지고 시스템의 신뢰성 또한 영향을 받는다. 대표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의 경우 작업 증명(Proof-of-work)이라는 분산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이 작업 증명 프로토콜은 참여자들이 블록으로 저장되기 위한 거래 및 데이터들과 SHA-256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시행착오 방식으로 특정 해시 값을 찾아내는 작업을 함으로써 참여자간의 블록 정보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프로토콜이다. 이때, 블록체인은 지분증명(Proof-ofstake)이라는 투표 기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안성은 작업 증명 합의보다 낮아졌지만 합의 속도, 전력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지분증명(Proofof-stake)을 기초로 하여(DPoS)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of-Stake),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기반의 Tendermint 등의 합의 알고리즘이 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전자 상거래를 위한 컴퓨터 프로토콜로, 계약 조건을 실행하는 컴퓨터 트랜잭션 프로토콜로 정의되고 있으며, 거래의 신뢰를 위한 중개인을 최소화하는 한편 계약 조건을 충족시키고 악의적인 예외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블록체인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는데 이를 통하여 중개 혹은 중앙 기관 없이 거래 당사자 간의 자동화된 직접 거래를 가능케 하며, 그 조건과 결과를 모두 분산 장부에 유지함으로써 거래 정보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담은 프로토콜 스마트 컨트랙트를 프로그래밍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는 다른 블록체인 참여자들에 의해 검증 및 실행이 된다.
실행 결과는 다시금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거래 결과에 대한 정보의 무결성과 신뢰성 또한 보장한다. 특히, 컴퓨팅 파워를 가진 기기 간의 자동, 자율적 협업 및 제어가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가능하다. 후술할 블록체인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상술한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더 이용할 수 있는데,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란 각 가맹점을 노드로 하여 트랜잭션 데이터, 회원 데이터, 구매 데이터 등을 공유하는 네트워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공개되지 않고 각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간에서만 보유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그 기능은 상술한 블록체인의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회사가 모든 것을 통제하는 기업형 블록체인으로, 암호 감사(Cryptographic auditability)의 기능이 추가된 기존의 중앙집중식 데이터베이스로 정의될 수 있고, 중앙관리의 역할은 유지하되 기존의 중앙집중방식의 보안성을 개선하고 프로세스처리의 한계 등을 해결할 목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특정한 기관, 업체들의 목적 및 특성에 맞도록 설계된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가지는 공개성 및 분산성 등의 특성을 모두 구현하지 않아도 가능하나, 해당 특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상 운용노드가 각 가맹점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코인을 발행할 경제적 토대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 발행할 필요는 없으나 발행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분산하여 관리하는데 적합한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고객단말(200)에서 전송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승인하고,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의 대여동작 및 반납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고객단말(200)로부터 대여 및 반납 요청에 따른 대여 및 반납 장소에 관한 정보를 고객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고객단말(200)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에 따른 대여비를 대여시간을 기초로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고, 고객단말(200)에서 대여비 지급시에 지정된 지점에 위치한 충전단말에서 공유 보조배터리가 대여되도록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의 대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300)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암호화)화폐 결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에서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보증료, 사용료)의 입금을 받을 계정인 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식별코드를 제공한 경우, 생성된 지갑주소에 입금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단말(400)에 부여된 전자지갑주소로 가상(암호화)화폐를 입금한 경우, 환전 수수료를 공제하는 서버일 수 있고, 블록체인 내의 노드의 장부를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 및 고객단말(200)과 연동되어, 고객의 진위여부판별 및 성인인증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진위여부 및 성인여부 등을 판별하여 고객단말(200) 및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로 피드백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점에 존재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에서 대여 및 비대여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종류 및 개수 등을 로그로 저장하고 회원관리를 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가상(암호화)화폐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내에 발생하는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반영하고, 상기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로부터 미대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및 관리하고,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간의 분산 장부를 공유하는 P2P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에서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 회원을 등급별 및 연령별로 관리하고, 상기 회원의 마일리지와 대여내역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체인코드를 이용한 자율거래계약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는 대여 및 반납 플랫폼을 고객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고, 고객단말(200)은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통해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고객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300)는 입출력부(310), 고객관리부(320), 공유 보조배터리 관리부(330), 지리정보 제공부(340), 대여료 산출부(350), 결제처리부(360) 및 플랫폼 제공부(37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310)는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고객단말(200) 및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과 통신한다.
고객관리부(320)는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 및 반납한 고객정보(고객단말의 기종, 이름, 주소)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고객관리부(320)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시에 납입한 대여료를 고객별로 관리한다.
공유 보조배터리 관리부(330)는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 및 반납가능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이 설치된 설치장소, 설치장소에서 보유한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및 공유 보조배터리의 기종, 개수 등을 관리한다.
지리정보 제공부(340)는 대여 및 반납 플랫폼으로부터 고객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고객단말의 기 설정된 섹터에 위치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이 설치된 설치장소정보를 제공한다.
대여료 산출부(350)는 고객이 지정한 대여매장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에서 공유 보조배터리가 대여된 시점(충전단자와 분리된 시점)부터 반납한 시점(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시점)까지의 대여시간에 단위 시간당 대여료를 곱한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과 고객단말(200) 간에 이루어진 결제정보를 처리한다.
결제처리부(360)는 고객단말(200)에서 공유보조배터리의 대여료를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처리하는 경우, 가상(암호화)화폐 결제처리에 대한 트랜잭션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처리부(36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과 고객단말(200) 간에 이루어진 가상(암호화)화폐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내에 발생하는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반영하고, 상기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로부터 미대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및 관리하고,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간의 분산 장부를 공유한다.
또한, 결제처리부(360)는 가상(암호화)화폐 입금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암호화)화폐 입금확인부는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한 상기 고객단말(200)을 통하여 상기 지갑주소로 상기 출력된 수량의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된 경우 입금 이벤트를 생성하여 고객단말로 출력한다.
이때, 결제처리부(360)는, 고객단말에서 가상(암호화)화폐의 현 시세를 조회하거나, 지갑주소에 입금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하는 등의 프로세스를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상(암호화)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역할을 분배하여 별도로 또는 통합하여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분산장부, 재고관리, 회원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처리부(360)는 고객단말과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충전 단말 간에 거래(대여)행위가 발생하면, 대여료에 따른 거래이력(전자화폐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제1 전자화폐지갑을 생성한다. 상기 제1 전자화폐지갑은 고객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결제처리부(360)는 고객단말의 제1 전자화폐지갑과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전자화폐지갑 간에 이루어진 거래이력(전자화폐 트랜잭션)을 각 전자화폐지갑에 기록한다.
이때, 제1 전자화폐지갑은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거래이력 당 거래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거래블록은 후속의 거래블록과 서로 연계된다. 또한, 상기 거래블록은 암호화 블록일 수 있다.
각 거래블록은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 프라이빗 키(Private key) 및 입금정보(전자화폐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블록은 블록 헤더(블록 크기, 버전, 이전 블록 해시, 머클루트(Markle Root), 타임스탬프, 난이도, 난스(nonce) 포함) 및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크기는 해당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고, 상기 버전은 블록 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버전을 나타내며, 이전 블록 해시는 블록 체인 구조에서 이전 블록(즉, 부모블록)에 대한 해시 참조값을 나타낸다.
머클 루트는 블록에 포함된 거래에서 생성된 머클 트리 루트에 대한 해시(hash)이다. 타임 스탬프는 블록의 생성시간이 기록된다. 난이도 목표는 블록의 작업증명 알고리즘에 대한 난이도 목표를 나타낸다. 난스는 작업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임의의 값이다.
다음으로, 트랜잭션 데이터는 트랜잭션 카운트, 화폐 발행 트랜잭션 및 트랜잭션을 포함한다. 트랜잭션 카운트는 해당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개수를 나타낸다. 블록 체인이 확장될 때에 상기 전자화폐의 트랜잭션에 기록된 타입 정보는 새로 연결되는 신규 블록에 상속될 수 있다.
상기 전자화폐의 단위 가치는 실물화폐의 단위 가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높을 수 있다. 트랜잭션은 가상(암호화)화폐의 거래 내역이 기록된다. 도 9는 블록 체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상위 블록은 하위 블록과 연결된다. 즉, 상위 블록은 하위 블록(즉, 이전 블록인 부모 블록)의 해시를 참조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블록 연결 구조에 따라, 중간의 블록이 위조되거나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결제처리부(360)는 전자지갑 목록 D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지갑 목록 DB는 결제처리부(360)에서 생성된 전자지갑을 관리한다.
한편, 상기 전자지갑 목록 DB는 오라클(Oracle), MYSQL, MSSQL,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은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필드 또는 엘리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 제공부(370)는 고객단말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제공한다.
여기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10)은 도 3 내지 도 7 참조, 대여/반납 장소 찾기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대여/반납 장소 찾기 기능은 고객이 현 위치, 단말 기종, 대여 수량을 입력하면, 입력정보에 부합하는 공유 보조배터리가 구비된 고객단말(200)의 현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섹터 내에 위치하는 대여장소 이름, 대여장소 거리순위를 표시한다.
또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10)은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의 식별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스캔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바 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10)은 해당 충전단말의 식별코드를 스캔한 스캔정보의 스캔결과(해당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에서 대여가능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10)은 대여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기능은, 실물화폐, 전자화폐, 및 가상(암호화)화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된 수단에 따른 서로 다른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대여료 결제는 선지급 형태로서, 보증금+기본이용료가 합산된 금액일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이 공유 보조배터리를 반납할 경우, 대여시점부터 반납시점까지의 대여기간 X 시간당 대여료를 산출한 금액을 기본이용료에서 먼저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보증금에서 차감되도록 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추가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방법(S700)은 먼저,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300)가 고객단말(200)로부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를 수신(S710)하면, 상기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200)과 호환가능한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하는 대여장소의 지리적 정보를 제공(S720)한다.
이후, 상기 고객단말(200)에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여장소에 설치된 충전/대여 단말(400)의 식별코드를 스캔한 스캔정보 및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를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로 전송(S730)하면,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에서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가능여부를 판단(S740)한다.
이때,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에서 상기 대여요청 이벤트에 부합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가 가능할 경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300)가 대여 승인요청 및 대여료 결제요청을 상기 고객단말(200)로 전송(S750)한다.
상기 S750 과정 이후, 상기 고객단말에서 상기 대여료를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처리할 경우,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된 종류의 가상(암호화)화폐의 현제시세 및 상기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비용을 환전하기 위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 상기 가상(암호화)화폐를 송금할 지갑주소를 식별코드로 제공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한 상기 고객단말을 통하여 상기 지갑주소로 상기 제공된 수량의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된 경우 입금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객단말(200)에서 상기 대여로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충전단말 내의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되도록 상기 충전/대여 단말(400)의 인출 승인정보를 제공(S760)한다.
한편, 도 11을 참조, 상기 S760 과정이 완료되면,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은 대여승인정보를 확인한 후, 공유 보조배터리와 충전단자를 분리하고,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분리된 시각, 예턴대, 인출시각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로 제공하고,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300)에서 상기 인출시각부터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반납되는 시점까지의 대여시간을 카운트한 후, 카운트한 대여시간에 따른 대여료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인출시간은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400)의 충전단자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이탈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300)에서 산출된 대여료는 단위 시간당 대여료와 대여시간을 곱한 값을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산출방식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른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대여료를 산출하는 시점은 고객이 대여한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단말로 반납(예컨대, 공유 보조배터리와 충전단자간의 접촉완료)된 시점까지를 카운트한 대여시간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가까운 복수 개의 지정 매장에서 편리하게 배터리를 보관, 충전 및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방법은 실물 화폐뿐만 아니라, 전자화폐 및 가상(암호화)화폐를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료로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다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와 반납 시스템
200: 고객단말
300: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
310: 입출력부
320: 고객관리부
330: 공유 보조배터리 관리부
340: 지리정보 제공부
350: 대여료 산출부
360: 플랫폼 제공부
400: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410: 충전부
411: 충전부
411-1: 충전포트
411-2: 충전슬롯
420: 접촉/충전상태 확인부
430: 제어부
460: 통신부
450: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식별코드가 기록되고,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 및 대여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에 필요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단말; 및
    상기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승인하고, 대여 및 반납에 따른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대여동작 및 반납동작을 제어하는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결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결제정보는 전자화폐, 가상(암호화)화폐 및 실물화폐 중 어느 하나로 결제된 결제정보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복수 개의 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부;
    완충 및 미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및 상기 결제정보가 가상(암호화)화폐 결제정보일 경우,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된 종류의 가상(암호화)화폐의 현제시세를 출력하고, 상기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비용을 환전하기 위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을 출력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를 송금할 지갑주소를 식별코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한 상기 고객단말을 통하여 상기 지갑주소로 상기 출력된 수량의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된 경우 입금 이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가상(암호화)화폐 입금확인부;
    상기 복수 개의 충전부 각각의 충전단자의 접속상태 및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접속/충전상태 확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충전부 내에 완충된 공유 보조배터리의 수량, 종류를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승인정보를 수신 후, 상기 승인정보 내에 기록된 ID에 해당하는 충전부의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되도록 상기 충전부의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지갑주소 및 입금할 코인의 수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된 인출시간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로 제공하는 타이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부는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상기 충전단자에서 이탈되는 시점을 상기 인출시간을 판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에서 전송된 고객단말의 위치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이 설치된 설치장소의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고객단말에서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시에,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로부터 대여시점을 수신한 후, 해당 공유 보조배터리가 반납될 시점까지 대여시간을 카운트한 정보를 반납될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및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의 가상(암호화)화폐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내에 발생하는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반영하고, 상기 트랜잭션 및 대여 데이터로부터 미대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및 관리하고,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 간의 분산 장부를 공유하는 P2P 네트워크인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보조배터리 충전/대여 단말에서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 회원을 등급별 및 연령별로 관리하고, 상기 회원의 마일리지와 대여내역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체인코드를 이용한 자율거래계약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
  9. 고객단말로부터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를 대여 및 반납 중개 서버에서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과 호환가능한 공유 보조배터리를 대여하는 대여장소의 지리적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고객단말에서 대여 및 반납 지원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대여장소에 설치된 충전단말의 식별코드를 스캔한 스캔정보 및 대여요청 이벤트 정보를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에서 상기 충전단말의 대여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충전단말에서 상기 대여요청 이벤트에 부합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가 가능할 경우, 대여 승인요청 및 대여료 결제요청을 상기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에서 상기 대여료 결제요청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충전단말 내의 공유 보조배터리가 인출되도록 상기 충전단말의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이후,
    상기 고객단말에서 상기 대여료를 가상(암호화)화폐로 결제처리할 경우, 상기 고객단말에서 선택된 종류의 가상(암호화)화폐의 현제시세 및 상기 고객이 대여하고자 하는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비용을 환전하기 위한 가상(암호화)화폐의 수량, 상기 가상(암호화)화폐를 송금할 지갑주소를 식별코드로 제공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리딩 또는 스캔한 상기 고객단말을 통하여 상기 지갑주소로 상기 제공된 수량의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상(암호화)화폐가 입금된 경우 입금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고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충전단말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의 인출시각을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 및 반납 중개서버에서 인출시각부터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반납되는 시점까지의 대여시간을 카운트한 후, 카운트한 대여시간에 따른 대여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시간은
    상기 충전단말의 충전단자에서 상기 공유 보조배터리가 이탈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 대여 및 반납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90040977A 2019-04-08 2019-04-08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10225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77A KR102255291B1 (ko) 2019-04-08 2019-04-08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77A KR102255291B1 (ko) 2019-04-08 2019-04-08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96A true KR20200118696A (ko) 2020-10-16
KR102255291B1 KR102255291B1 (ko) 2021-05-24

Family

ID=7303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77A KR102255291B1 (ko) 2019-04-08 2019-04-08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29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9596A (zh) * 2020-12-07 2021-03-1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基于区块链的电池溯源系统和方法
CN112598466A (zh) * 2020-12-23 2021-04-02 南京知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的农机自助付费租赁方法
KR102387014B1 (ko) * 2021-06-04 2022-04-15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의 감가에 따른 토큰 소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114884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자영업자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102470665B1 (ko) * 2022-01-25 2022-11-25 네오에스티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유저가 온실가스 감축 청정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가상화폐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기 위한 방법
EP4123551A1 (en) * 2021-07-19 2023-01-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n electric battery and vehicle renta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918A (ko) * 2022-05-12 2023-1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대여 시스템, 배터리 스테이션 관리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18B1 (ko) 2015-07-20 2016-10-21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JP2017134451A (ja) * 2016-01-25 2017-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収納装置およびバッテリレンタルシステム
JP2018160072A (ja) * 2017-03-22 2018-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90032995A (ko) * 2017-09-20 2019-03-28 (주)코인큐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18B1 (ko) 2015-07-20 2016-10-21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JP2017134451A (ja) * 2016-01-25 2017-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収納装置およびバッテリレンタルシステム
JP2018160072A (ja) * 2017-03-22 2018-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90032995A (ko) * 2017-09-20 2019-03-28 (주)코인큐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9596A (zh) * 2020-12-07 2021-03-1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基于区块链的电池溯源系统和方法
CN112598466A (zh) * 2020-12-23 2021-04-02 南京知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的农机自助付费租赁方法
CN112598466B (zh) * 2020-12-23 2023-12-26 南京知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联盟链的农机自助付费租赁方法
KR20220114884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자영업자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102387014B1 (ko) * 2021-06-04 2022-04-15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의 감가에 따른 토큰 소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87015B1 (ko) * 2021-06-04 2022-04-15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분실된 이동 기구의 조회 및 보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17883B1 (ko) * 2021-06-04 2022-07-06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의 특정 및 기록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4123551A1 (en) * 2021-07-19 2023-01-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n electric battery and vehicle rental system
KR102470665B1 (ko) * 2022-01-25 2022-11-25 네오에스티지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유저가 온실가스 감축 청정기의 사용에 의한 탄소감축 실적을 가상화폐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291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Sunyaev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112223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based gemstone ownership, identity, custody, supply-chain transfer, trading, and secure payments
US11783323B1 (en) Autonomous devices
US1173467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transaction recordation
Chen et al. A brief introduction to blockchain economics
Baiod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across multiple domains: A survey
Guerar et al. A fraud-resilient blockchain-based solution for invoice financing
US20170243222A1 (en) System for use of secure data from a process data network as secured access by users
KR101908701B1 (ko)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EP41658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KR10219398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및 환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98335B1 (ko)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결제 가맹점 단말 및 가상화폐 결제 및 환전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599213A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物品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533405B (zh) 跨境移动支付的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202264B1 (ko) 가상화폐결제 상품권 판매 키오스크 및 가상화폐결제를 이용한 상품권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258266A (zh) 使用移动装置结算支付的装置和方法
Bhattacharya et al. A blockchain based peer-to-peer framework for exchanging leftover foreign currency
KR10220431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기부 관리 서버 및 방법
To Reimagining the future of aviation with blockchain
Dash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for blockchain-based intelligent networks systems: 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KR20200130558A (ko) 암호 화폐 거래소의 타거래소 연동거래 운영 방법
WO2021249208A1 (zh) 采用码链区块的数字货币模型、方法、系统及装置
KR102116559B1 (ko) 블록체인 기반 검증된 실구매자의 소비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01915A (ko) 블록체인 기반 연구중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