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995A -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995A
KR20190032995A KR1020180079464A KR20180079464A KR20190032995A KR 20190032995 A KR20190032995 A KR 20190032995A KR 1020180079464 A KR1020180079464 A KR 1020180079464A KR 20180079464 A KR20180079464 A KR 20180079464A KR 20190032995 A KR20190032995 A KR 20190032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purchase
information
settlemen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878B1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코인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인큐 filed Critical (주)코인큐
Publication of KR2019003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2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with decreasing value according to a parameter, e.g.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결제 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화폐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환불하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환불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 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money payment gateway server with purchase cancellation function reflecting the electronic money marke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전자화폐결제 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화폐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환불하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환불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 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화폐란 IC 칩이 내장된 카드나 공중정보통신망과 연결된 PC 등의 전자기기에 전자기호 형태로 화폐적 가치를 저장하였다가 상품 등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지급 수단이다.
사용되고 있는 전자화폐의 경우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2-0028519호 [PC방 관리자용 전자화폐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재화 대리 구매 장치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아이템 등의 구매에 전자화폐를 이용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온라인 게임상에서만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어 실제의 화폐를 대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전자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Bitcoin)이 제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이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영어: Satoshi Nakamoto)가 만든 디지털 통화로,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신에, 비트코인의 거래는 동등계층간 통신망(P2P: peer-to-peer network)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개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결제방식을 갖는 비트코인은 신용카드 결제 시에 필요한 카드번호나 유효기간, CVV(Card Verification Value), CVC(Card Validation Code) 번호 등의 정보 없이도 이용이 가능하여 도용의 위험성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수료도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비트코인은 지갑 파일의 형태로 저장되고, 이 지갑에는 각각의 고유주소 즉,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 및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프라이빗 키(Private key)가 부여되며, 그 퍼블릭 어드레스(Public address)라는 주소를 기반으로 비트코인을 이용한 물품구매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전자화폐에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 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거래자가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내역이 수집 보관되는 블록체인(block chain)이 전자지갑에 저장되어지기 때문에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을 통칭하여 전자화폐라 지칭한다.
이와 같은, 결제특성을 갖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전자화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매자는 빗썸, 코인원, 코빗 등의 비트코인 거래소에 가입하여 전자지갑을 개설한 상태에서 원화에 해당하는 KRW를 충전한다.
이후,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매매되고 있는 비트코인의 현재 시세를 확인한 후 구매를 원하는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화폐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하여 구매주문을 하면, 거래조건에 맞는 판매주문을 통해 거래가 성립되어 전자화폐의 판매와 구매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트코인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비트코인 가맹점에 방문한 후 필요한 물품을 선택하고, 비트코인 관련정보(일예; 비트코인 결제용 QR코드)를 가지는 비트코인 가맹점의 POS 단말기(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포함)로 가서 POS 단말기의 비트코인 관련결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구매한 상품의 상품 구매금액에 대한 비트코인을 상기 비트코인 관련결제정보에 대응하는 주소로 전자화폐를 송금하여 대금결제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결제특성을 갖는 비트코인 결제시스템은 비트코인 구매자가 상점에서 물품을 구매할 때마다 상점에 설치된 비트코인 결제기를 통해 건건히 구매를 진행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전자화폐의 거래 특성은 거래소를 통하더라도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전자지갑을 갖고 있어야만 가능했다.
이로 인해, 전자화폐는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하는 각 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반화폐의 기본적인 기능인 구매기능을 제대로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구매자와 일반 판매자 간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화폐의 승인 및 입금에 대한 시간은 증여자가 수증자에게 전자화폐를 전송할 경우, 그 수수료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수료를 낮게 부담할수록 승인 및 입금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증여자와 수증자가 같은 거래소의 전자지갑을 이용하거나, 증여자가 많은 수수료를 부담할 경우에만 거래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은 많은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는 이상 구매자가 전자화폐로 결제를 수행한 후 많게는 하루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에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인증이 완료되어 판매자가 전자화폐의 입금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실시간 거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구매자는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상품을 배송 받게 된다.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는 배송받은 후, 상품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제품에 하자가 있는 경우 구매취소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드구매 및 현금 구매한 경우 카드취소 및 현금 환불을 통해 구매취소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화폐로 구매한 경우, 전자화폐의 특성 상 구매시점과 환불시점에서 시세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종래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취소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553호(2011.03.07.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화폐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환불하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환불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 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는: 임의의 판매자의 상품의 구매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구매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수신받아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정보 및 지불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에 있어서, 전자화폐 거래소의 거래소 서버로부터 전자화폐의 시세정보를 수집하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결제 취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환전 여부가 환전인 경우,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구매취소 시점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용시세를 결정하고, 결정된 구매취소 시점의 적용시세에 따라 환전된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현금 또는 타 전자화폐로 환전되지 않은 미환전인 경우, 상기 판매대금으로 수신된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여 환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대금 정산이 통화화폐인 현금으로 환전되어 이루어진 경우, 구매취소 시점에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전자화폐 시세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시세로 선택한 후, 환전된 상기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은: 임의의 판매자의 상품의 구매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구매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수신받아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정보 및 지불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화폐 거래소에 설치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전자화폐에 대한 시세정보를 관리하며, 시세정보 요청 발생 시 시세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래소 서버;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는, 전자화폐 거래소의 거래소 서버로부터 전자화폐의 시세정보를 수집하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결제 취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환전 여부가 환전인 경우,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구매취소 시점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용시세를 결정하고, 결정된 구매취소 시점의 적용시세에 따라 환전된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현금 또는 타 전자화폐로 환전되지 않은 미환전인 경우, 상기 판매대금으로 수신된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여 환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대금 정산이 통화화폐인 현금으로 환전되어 이루어진 경우, 구매취소 시점에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전자화폐 시세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시세로 선택한 후, 환전된 상기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방법은: 임의의 판매자의 상품의 구매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구매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수신받아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정보 및 지불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결제벙법에 있어서, 전자화폐결제서버가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송금한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구매취소 모니터링 과정;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결제 취소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 과정은,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대금 정산 판단 단계;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환전이면, 거래소 서버들로부터 구매취소 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용시세를 결정하는 적용시세 결정 단계;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구매취소 시점의 적용시세를 적용하여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를 구매하는 환불 전자화폐 금액 구매 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상기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환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취소 과정은, 상기 판매대금 정산 판단 단계에서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미환전이고 전자화폐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수신된 판매대금인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정산 전자화폐 환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시세 결정 단계는, 구매취소 시점에서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전자화폐 시세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시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화폐로 구매한 상품에 대해서도 구매취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에게 판매대금이 현금으로 지급된 상태에서 구매취소가 발생되면 구매시점과 구매취소 시점의 전자화폐 시세를 반영하여 판매자에게 환전된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구매자에게 환불하므로 시세에 따라 구매자의 구매취소를 지양시키고 전자화폐의 유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판매에 대한 판매대금 그대로 구매취소 시점에서의 시세를 반영하여 전자화폐를 구매한 후 구매자에게 환불하므로 판매자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대금이 전자화폐로 수신되어 저장된 경우, 구매취소 시점의 전자화폐 시세에 상관없이 판매대금에 대해 수신된 전자화폐를 그대로 구매자에게 환불하여 주면 되므로 판매자 및 구매자 입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에 대한 구매취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상품 판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결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에서의 결제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결제서버에서의 결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및 전자화폐결제서버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 및 서버에서의 전자화폐결제방법 및 구매취소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부(100), 상품 판매부(200), 거래소 서버(300) 및 전자화폐결제서버(400)를 포함한다.
구매자 단말부(100), 상품 판매부(200), 거래소 서버(300) 및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접속하여 전송제어규약(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따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부(100) 및 상품 판매부(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 UWB),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통신망이다.
구매자 단말부(100)는 상품 판매부(200)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결제를 요청하며,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부터 결제 요청에 대한 송금 요청 발생 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송금하고, 구매자에 의해 구매취소 발생 시 구매취소 요청 정보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하고, 구매 시에 송금한 전자화폐 금액과 동일한 전자화폐 금액을 환불받아 저장한다.
상기 구매자 단말부(100)는 상기 상품의 구매 및 설치된 전자지갑을 통해 전자화폐를 송금하는 하나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 단말기(101) 및 구매 단말기(101)에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화폐를 송금하기 위한 전자지갑이 설치되어 있는 결제 단말기(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매자 단말부(100)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컴퓨터 단말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기, 별도의 전용 단말기, 인터넷 TV 등과 같이 상품 판매부(200)에 접속 후 상품을 구매하여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 및 판매자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 전자지갑이 설치되어 전자화폐를 송금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모두 가능할 것이다.
구매자 단말부(100)는 상품 판매부(200)를 통해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금액(판매자 입장에서는 "판매대금"이라 함)을 포함하는 구매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정보, 판매자 정보 및 자신의 정보인 단말기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결제요청정보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해 IP 주소와 함께 인터넷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것이다. 또한, 상기 판매자 정보는 판매자 이름, 판매자 아이디(ID) 및 판매자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 전화번호, 판매자가 살고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국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결제요청정보는 상품정보 및 구매자의 국가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기정보는 구매자 단말부(100)의 전화번호인 MDN(Mobile Directory Number), 구매자 단말부(100)의 구매자가 사용하는 메신저, SNS 등의 ID, 이메일 정보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품 판매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정보, 판매자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 인터넷 쇼핑몰 서버, 쇼핑몰 앱서버 등과 같은 서버일 수도 있고, 오프라인 매장의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POS: Point of sale) 등이 될 수도 있으며, 개인 간 판매를 위한 개인의 스마트 단말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품 판매부(200)는 전자지갑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전자지갑 및 입금계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등록되어 있는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판매만 처리하는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상품 판매부(200)는 전자지갑을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부터 판매대금을 전자화폐로 수신받아 저장하거나 자신의 입금계좌로 상기 판매대금에 대한 현금을 이체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판매자는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접속하여 판매자 인증 후 자신에게 할당된 전자지갑을 조회하고, 전자지갑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자신의 별도의 개인 단말기에 설치된 전자지갑으로 송금하거나 현금으로 자신의 입금계좌로 이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판매자는 판매대금으로 받은 전자화폐 또는 현금을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계정(전자지갑)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거래소 서버(300)는 전 세계에 설립된 거래소에 설치되는 서버로 국가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본원발명의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부터 시세정보의 요청 발생 시 현재의 전자화폐의 시세정보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제공한다.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상기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둘 이상의 거래소 서버(300)로 시세정보를 요청하여 거래소별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세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적용 시세를 적용하여 상기 구매금액을 전자화폐 금액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상기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지불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부(1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전송한 후,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전자지갑주소로 송금된 전자화폐에 대한 거래 승인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구매금액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거래 간주 승인횟수와 상기 획득된 거래 승인횟수를 비교하여 거래 승인횟수가 상기 거래 간주 승인횟수 이상이면 상기 구매자 단말부(100)에 의해 송금된 전자화폐가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전자화폐의 수신 간주 시점에서 송금된 전자화폐를 판매자가 미리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 정보에 따라 처리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구매금액에 따른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만족하면 판매자에게 판매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 판매자와 구매자간 빠른 상품 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전자화폐의 활용성 증대 및 전자화폐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구매취소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구매취소의 발생 시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판매대금의 환전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의 전자화폐의 시세를 적용하여 판매대금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여 환불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상품 판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부(200)는 판매 저장부(210), 판매 통신부(220), 판매 디스플레이부(230), 판매 입력부(240) 및 판매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판매 저장부(210)는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명, 상품가격, 상품설명 등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판매자가 거주하는 국가에 대한 국가정보, 판매자 이름, 판매자 아이디, 판매자 식별번호 등을 포함하는 판매자정보를 저장하고, 구매자가 결제 요청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구매금액 등을 포함하는 구매이력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판매 저장부(210)는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전자지갑에 의해 전자화폐를 저장한다.
판매 통신부(22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실시예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접속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단말부(100)와 단말 대 단말로 무선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판매 통신부(22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수단 및 단말 대 단말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판매 디스플레이부(230)는 본 발명의 상품 판매부(2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판매 입력부(240)는 키보드, 마우스, 판매 디스플레이부(23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는 터치패드 등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판매자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판매 입력부(240)는 실시예에 따라 상품 판매부(200)가 POS인 경우 스캐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품 판매부(200)가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판매 입력부(240)는 판매자에 의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으로, 실시예에 따라 상품 판매부(200)가 서버인 경우, 키보드, 마우스, 판매 디스플레이부(23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 판매부(200)가 POS 등과 같은 결제단말기이면 키보드, 스캐너, 터치패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판매부(200)가 모바일 단말기이면, 버튼입력장치, 터치패드, 카메라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판매 제어부(250)는 상품 판매 처리부(251), 전자화폐 결제수단 제공부(252) 및 전자화폐 결제 처리부(253)를 포함하는 판매 결제 처리부(260) 및 결제 취소 처리부(27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판매 결제 처리부(260)는 판매 및 결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품 판매 처리부(251)는 상품 판매부(200)가 쇼핑몰인 경우 상품 표시 및 검색 수단을 구매자 단말부(100)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페이지에 대한 상품정보를 판매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상품정보들을 로드하여 구매자 단말부(100)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임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시 전자화폐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수단 선택 수단을 구매자 단말부(100)로 전송하여 결제수단을 선택받으며, 결제수단 선택 수단을 통해 전자화폐 결제수단이 선택되면 전자화폐 결제 수단 제공부(252)를 활성화시킨다.
전자화폐 결제 수단 제공부(252)는 선택된 결제수단인 전자화폐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구매자 단말부(100)로 제공한다.
그러면 구매자 단말부(100)는 제공받은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와 연결되고,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통해 전자화폐 결제를 위한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상품 판매부(200)가 POS 등과 같은 결제 단말기이면, 상품 판매 처리부(251)는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가격들에 대한 판매금액을 계산하여 표시하고 결제수단 선택 수단을 표시하며, 상기 결제수단 선택 수단을 통해 전자화폐 결제가 선택되면 전자화폐 결제 수단 제공부(252)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전자화폐 결제 수단 제공부(252)는 판매 통신부(220)를 통해 인접한 구매자 단말부(100)로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정보, 판매자정보 등을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면 구매자 단말부(100)는 제공받은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와 연결되고,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통해 전자화폐 결제를 위한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할 것이다.
전자화폐 결제 처리부(253)는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대금에 대한 전자화폐를 수신받도록 처리하거나, 전자화폐를 현금으로 전환하여 판매자의 등록된 입금계좌로 이체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결제 취소 처리부(270)는 판매 통신부(220)를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부터 구매취소요청 발생 통지 정보 및 환불금액 송금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판매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결제 취소 처리부(270)는 외부 전자지갑을 사용하고 환불 전자화폐 금액 송금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환불 전자화폐 금액 송금 요청 정보에 포함된 환불금액인 환불 전자화폐 금액을 표시하고, 송금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표시하며, 상기 송금 수단을 통해 상기 환불 전자화폐 금액의 송신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환불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송금한다. 상기 송금 수단은 전자화폐전자지갑 앱에 의해 활성화되는 수단일 수도 있고,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서 제공되는 웹 기반의 수단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결제 취소 처리부(270)는 환불금액 송금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환불금액 송금 요청 정보에 포함된 환불금액인 현금 금액 또는 다른 전자화폐로 수신받은 경우 다른 전자화폐 금액을 표시하고, 현금이면 현금 이체 수단을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대한 은행계좌로 상기 환불금액을 송금하고, 다른 전자화화폐이면 다른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화폐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전자지갑 주소로 전송하거나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내부 전산 처리를 통한 송금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결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서버 저장부(410), 서버 통신부(420), 서버 디스플레이부(430), 서버 입력부(440) 및 서버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410)는 판매자들에 대한 판매대금을 전자화폐 및 현금을 저장하는 전자지갑, 판매자정보, 입금계좌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계정을 가지는 판매자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판매자 및 구매자별 상품 거래 내역 등을 저장하는 거래 내역 DB 등을 포함한다. 판매자 상품 거래 내역은 판매자가 판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판매대금, 구매자 결제수단, 판매대금 정산 여부, 판매대금 정산 화폐 종류, 수수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구매자 거래 내역은 구매한 상품정보, 결제수단, 구매금액, 판매자정보, 구매취소 여부, 구매취소 사유, 구매취소 승인 여부, 구매취소에 따른 환불 절차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버 저장부(410)는 본 발명에 따라 구매금액 대별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거래 간주 승인횟수는 구매 금액이 제1금액 미만이면 0, 제1금액 내지 제2금액이면 1 내지 3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제2금액을 초과하면 4 내지 6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 통신부(42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실시예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접속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 디스플레이부(43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서버 입력부(44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을 포함하여 서버 관리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 제어부(450)로 제공한다.
서버 제어부(450)는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451), 국가 식별부(452),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 전자화폐 환전부(454), 전자화폐 송금 요청부(455), 거래 처리부(456), 전자화폐 송금부(457) 및 결제 취소부(458)를 포함하여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451)는 임의의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결제요청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451)는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실시예에 따라 국가 식별부(452)를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국가 식별부(452)는 상기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451)를 통해 수신된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와 함께 인터넷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IP를 검출하고, IP에 의해 구매자 단말부(100)의 국가를 식별하고, 판매자정보에 포함된 국가정보에 의해 판매자의 국가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매자의 국가정보 또한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여 식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는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451)를 통해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거래소 서버(300)들로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수신한다.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는 국가 식별부(452)가 포함되는 경우, 국가 식별부(452)를 통해 구매자 및 판매자, 즉 구매 단말기(100) 및 상품 판매부(200)가 위치한 국가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국가의 거래소 서버(300)들로만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국가의 거래소별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한다.
전자화폐 환전부(454)는 거래소별 전자화폐 시세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거래소별 전자화폐 시세정보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 가중평균가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중평균가는 거래소 서버(300)별 이용 횟수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한 평균가이다.
시세 선택 조건이 최저가이면 전자화폐 환전부(454)는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451)를 통해 수신한 결제요청정보의 구매정보에 포함된 구매금액에 최저가인 시세를 적용하여 구매금액을 전자화폐 금액으로 변환한 후, 전자화폐 송금 요청부(455)로 제공한다.
전자화폐 송금 요청부(455)는 상기 변환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송금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서버 통신부(420)를 통해 구매자 단말부(100)로 전송한다.
거래 처리부(456)는 전자화폐 송금 요청부(455)에 의해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송신한 후, 서버 저장부(410)에 저장된 구매금액 별 거래 간주 승인횟수에 의해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결정한다.
거래 간주 승인횟수가 결정되면 거래 처리부(456)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전자화폐가 송금되었는지의 여부 및 거래 승인횟수를 수집하고, 거래 승인횟수가 상기 결정된 거래 간주 승인횟수가 되는지를 검사하고, 거래 승인횟수가 상기 결정된 거래 간주 승인횟수 이상이면 판매 승인 메시지를 상품 판매부(200)로 송신한다.
즉, 제1금액이 100,000원이고, 제2금액이 1,000,000원이라 가정하면, 구매금액 정보가 100,000원 미만일 경우 거래 간주 승인횟수가 0으로 즉시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상품 판매부(200)로 전송하고, 구매금액이 100,000 이상 및 1,000,000원 미만의 금액이고 거래 간주 승인횟수가 3인 경우, 거래 승인횟수가 3이 확인될 경우 상기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상품 판매부(200)로 전송하며, 구매금액이 1,000,000 이상이고 거래 간주 승인횟수가 6인 경우, 거래 승인횟수가 6일 경우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상품 판매부(200)로 전송한다.
이때, 거래 처리부(456)는 판매자가 미리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에 따라 전자화폐 또는 현금으로 환전 후 판매자의 계정의 전자지갑에 저장한다.
판매자는 상품 판매부(200)가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부터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수신받은 시점부터 상품 판매부(200)를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접속하여 전자화폐로 구매금액에 대한 판매대금을 수신받아 전자지갑에 저장하거나, 바로 전자화폐에 대응하는 현금으로 환전하여 판매자의 입금계좌로 입금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판매자는 전자지갑이 없더라도 현금을 이체 받을 수 있다.
또한, 거래 처리부(456)는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도 전자화폐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전자화폐가 수신되면 전자화폐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전자지갑에 저장한다.
전자화폐 송금부(457)는 거래 처리부(456)를 통해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가 발생된 상품 판매부(200) 및 판매자가 접속한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전자화폐의 이체, 현금 이체 등의 전자화폐 처리 요청이 발생되면 판매대금으로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고 있는 전자화폐를 상품 판매부(200)의 전자지갑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상품 판매부(200)의 판매자의 입금계좌로 상기 판매대금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에 대한 현금을 이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 송금부(457)는 판매대금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의 이체 시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 중 최고가 또는 평균가 시세정보를 적용하여 환전 후 판매자의 입금계좌로 송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제 취소부(45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품 구매에 따른 구매자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의 송금 후,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구매확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또는 구매취소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구매취소가 발생하는 경우 판매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 정보를 검사하여 판매대금의 정산에 따른 환전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구매확정 이벤트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부(100)를 통해 구매확정을 선택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고, 상품 수령 후 일정 시간(예: 15일 등) 후에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환불금액의 통화수단은 전자화폐일 수도 있고, 현금일 수도 있을 것이다.
결제 취소부(458)는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 취소에 따른 환불 처리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취소부(458)는 환전여부 판단에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 정보가 미환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판매자 계정의 전자지갑에 수신되어 저장된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인출하여 구매자에게 송금한다. 상기 구매자로부터 수신된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는 상기 환전 여부 정보가 미환전으로 되어 있는 경우, 구매자로부터 수신된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는 그대로 판매자의 계정, 즉 전자지갑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즉 판매자에 대한 환전 여부 정보가 미환전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구매 취소부(458)는 구매자로부터 수신된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환불금으로 구매자에게 그대로 송금한다.
결제 취소부(458)는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환전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를 통해 구매취소 시점의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하여 판매자가 환전한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구매자에게 송금한다.
상기 구매취소 시점의 시세정보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를 통해 구매시점에서 반영된 시세정보를 제공한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의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둘 이상의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둘 이상의 시세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세 선택 조건에 의해 임의의 하나가 선택되어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 조건 또는 가중평균가 조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중평균가는 거래소 서버별 이용 횟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평균가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매 취소부(458)는 판매자 계정의 전자지갑에 구매취소 시점의 판매대금에 대응하는 현금 또는 전자화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판매대금 중 판매자의 계정에 있는 금액을 반영한 부족분 또는 판매대금 전체를 입금해 줄 것을 판매자에게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결제 취소부(458)의 구매취소 방법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에서의 결제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부(100)는 상품 판매부(200)로부터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상품 판매부(200)로 구매 의사를 밝혀 구매 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S111). 도 4에서는 구매자 단말부(100)와 상품 판매부(200)가 상품정보 제공 및 구매의사를 전달하는 것처럼 표시되었으나, 구매자와 판매자가 직접 만나서, 판매자가 직접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구매자가 구매의사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품 판매부(200)가 쇼핑몰 서버 등의 온라인 판매를 제공하는 경우 도 4의 S111과 같이 구매자 단말부(100)와 상품 판매부(200)가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의사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품 판매부(200)가 판매자의 모바일 단말기거나 POS 등의 결제단말기인 경우, 구매자는 판매자를 만나거나 매장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상품정보를 제공받고 그 구매 의사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구매자의 구매의사가 전달되면 상품 판매부(200)는 구매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한다(S113).
구매정보가 생성되면 상품 판매부(200)는 결제수단 선택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결제수단 선택 수단을 통해 구매자로부터 결제수단을 선택받아야 할 것이다. 상기 결제수단 선택 수단은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단말부(100)에 표시될 수도 있고, 상품 판매부(200)에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품 판매부(200)는 결제수단으로부터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선택받아야 할 것이다(S115).
결제수단으로 전자화폐가 선택되면 상품 판매부(200)는 구매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구매자 단말부(100)로 제공한다(S117). 이때 전자화폐 결제수단은 상품 판매부(200)가 온라인상의 서버이면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구매자 단말부(100)로 제공되고, 상품 판매부(200)가 오프라인 매장의 POS 거나 판매자의 모바일 단말기이면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제공받은 구매자 단말부(100)는 전자화폐 결제수단을 통해 전자화폐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구매정보, 판매자정보 및 단말기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한(S121) 후,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한다(S123). 상기 결제요청정보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전송될 것이다. 이때 결제요청정보가 포함되는 인터넷프로토콜 메시지에는 국가를 식별할 수 있는 IP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자신이 알고 있는 거래소 서버(300)들로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요청한다(S125).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및 판매자의 국가를 식별하는 경우,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판매자 및 구매자가 속한 국가의 거래소 서버(300)들로만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상기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요청에 대한 시세정보를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수신받아 서버 저장부(410)에 저장하고(S127), 수집된 시세정보들 중 시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시세를 적용 시세로 결정한 후 적용 시세를 반영하여 구매정보에 포함된 구매정보 금액을 전자화폐 금액으로 환전한다(S129).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송금할 것을 요청하는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구매자 단말부(100)로 전송한다(S131).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는 전자지갑 대 전자지갑의 세션 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으나, 전자지갑을 활성화하는 QR 코드, 바코드, URL 등을 포함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과 같은 이동통신메시지, 카톡, 네이트온 등을 통한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송신 후, 서버 저장부(410)에 저장된 구매금액별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구매금액에 대한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결정한다(S133). 상기 거래 간주 승인횟수는 결제요청정보의 수신에 의한 구매금액 검출 시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매자 단말부(100)는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부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전자지갑을 활성화한다(S135). 상기 전자지갑은 결제요청정보의 생성 및 전송 후 구매자에 의해 미리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매자 단말부(100)는 하나의 구매 단말기(101)로 구성되어 상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QR코드, 바코드, URL 등을 터치하는 것으로 전자지갑을 활성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매자 단말부(100)는 구매 단말기(101) 및 결제 단말기(102)로 구성되어, 제1구매자 단말기인 구매 단말기(101)가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구매자의 다른 제2구매자 단말기인 결제 단말기(102)로 구매 단말기(101)에 표시된 QR코드, 바코드 등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된 것을 촬영하여 전자지갑을 활성화하고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매자 단말부(100)는 전자지갑이 활성화되면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수신에 따른 전자화폐 금액을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로부터 검출하여 표시하거나 구매자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며, 구매자의 송금 요청 발생 시 해당 전자화폐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전자화폐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송금(거래)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한다(S137).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된 송금정보는 거래 승인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승인횟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의 장부(거래내역) 기입 시마다 승인과정을 수행하며, 승인과정에 따른 승인 성공 시마다 1씩 증가된다.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송신 후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전자화폐 송금 요청에 대해 자신의 전자화폐 주소를 목적지로 송금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송금중인 송금정보로부터 거래 승인횟수를 획득한다(S139).
거래 승인횟수가 획득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획득된 거래 승인횟수가 상기 결정된 거래 간주 승인횟수인지를 판단한다(S141).
거래 승인횟수가 거래 간주 승인횟수 이상이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상품 판매부(200)로 전송한다(S143).
이때,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송금된 전자화폐를 실질적으로 수신한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상기 거래 승인횟수가 거래 간주 승인횟수 이상이면 상기 상품 판매부(200)에 대응하는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송금된 판매대금의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저장한다.
즉, 상기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의 송신 시점부터 상품 판매부(200)로부터 또는 판매자가 판매자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도시하지 않음) 후 판매대금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상품 판매부(200)의 전자지갑으로 송금시키거나 상기 판매대금의 전자화폐에 대응하여 환전된 현금금액으로 환전한 후 미리 등록된 판매자의 입금계좌로 이체할 수 있도록 한다(S145).
또한,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의 송신 후 전자화폐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147).
전자화폐가 수신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는 송금정보의 전자화폐를 자신의 전자지갑에 저장한(S149) 후 구매자 단말부(100)로 거래 완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거래의 완료를 통지한다(S15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결제서버에서의 결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구매자 및 판매자의 국가를 식별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서버 제어부(450)는 서버 통신부(420)를 통해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에 의한 결제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211).
결제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판매자 및 구매자의 국가를 검출한다(S213).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매자의 국가는 수신되는 결제요청정보에 대한 IP정보에 의해 식별하고, 판매자의 국가는 판매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국가정보에 의해 식별될 것이다.
국가가 식별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거래 당사자의 국가에 속해 있는 거래소의 거래소 서버(300)들로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요청한다(S215).
서버 제어부(450)는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거래 당사자의 국가에 속한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한다(S217).
전자화폐 시세정보가 수집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설정된 시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시세를 선택한다(S219).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 가중평균가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 시세가 결정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선택된 전자화폐의 시세를 적용하여 결제요청정보의 구매금액을 전자화폐 금액으로 환전한다(S221).
환전이 완료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환전된 전자화폐 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를 구매자 단말부(100)로 전송한다(S223).
상기 전자화폐 송금 요청정보의 송신 후 서버 제어부(450)는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결정한다(S225).
거래 간주 승인횟수가 결정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전자화폐의 송금을 요청한 해당 거래의 송금정보로부터 거래 승인횟수를 획득한다(S227).
거래 승인횟수가 획득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거래 승인횟수가 거래 간주 승인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29).
거래 승인횟수가 거래 간주 승인횟수를 만족하지 않으면 서버 제어부(450)는 승인실패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고(S231), 승인실패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술한 S227 내지 S231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거래 승인횟수가 거래 간주 승인횟수보다 미만인 상태에서 승인실패가 발생하면 서버 제어부(450)는 구매자 단말부(100) 및 상품 판매부(200) 둘 모두로 거래 취소를 통지한다(S233).
반면, 거래 승인횟수가 거래 간주 승인횟수 이상이면 서버 제어부(450)는 판매 승인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품 판매부(200)로 전송한다(S235).
상기 승인 통지 메시지의 전송 후 서버 제어부(450)는 전자화폐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37).
전자화폐가 수신되면 서버 제어부(450)는 자신의 전자지갑에 구매자가 송금한 전자화폐를 저장한(S245) 후 구매자 단말부(100)로 거래 완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247).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자의 판매자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가 완료된(S311) 후,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서버 제어부(450)의 결제 취소부(458)는 판매되어 결제된 상품에 대한 구매결정이 발생되는지(S313), 상품 수령 확인 후 일정 시간이 초과되는지(S315), 구매취소가 발생되는지(S317)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모니터링 중 구매결정 통지 정보가 구매자 단말부(100)로부터 수신되면 결제 취소부(458)는 구매결정이 된 것으로 확정하여 종료하고, 상품 수령 확인 후 일정 시간(예: 15일 등)이 초과되면 결제 취소부(458)는 최종적인 구매결정(확정)이 된 것으로 간주한(S319) 후 종료한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부(100)를 통해 상품의 수령여부 및 상품 수령에 따른 구매확정을 위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접속할 것이다(S321). 구매자는 상품의 수령 후에도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접속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일정 시간이 초과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결제 취소부(458)는 구매결정이 된 것으로 간주할 것이다.
상기 구매자 단말부(100)는 전자화폐결제서버(400)에 접속하여 구매확정, 구매취소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구매결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표시하고, 표시된 구매결정 수단을 통해 구매결정이 발생되는지(S325), 구매취소가 발생되는지(S323)를 모니터링한다.
구매결정이 발생되면 구매자 단말부(100)는 구매결정 통지 정보를 전자화폐결제서버(400)로 송신한다(S327).
반면, 구매취소가 발생하면 구매자 단말부(100)는 결제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취소 요청 정보를 전자화폐 결제서버(400)로 전송한다(S329). 상기 결제식별정보는 결제날짜, 판매 및 구매 승인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매취소 요청 정보를 수신한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결제 취소부(458)는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었음을 상품 판매부(200)로 통지하고(S331), 구매취소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식별정보에 의해 결제정보 및 판매대금 정산(지불) 내역을 획득한다(S333).
결제정보 및 판매대금 정산 내역이 획득되면 결제 취소부(458)는 결제정보 및 판매대금 정산 내역 또는 미리 설정된 정산 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 정보로부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를 판단한다(S335).
판매대금에 대한 환전 여부 정보가 미환전으로 설정되어 있어 환전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전자화폐는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저장된다. 따라서 판매대금으로 받은 전자화폐 금액이 환전되지 않았으면 결제 취소부(458)는 판매자의 전자지갑에서 판매대금으로 받은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인출하여 구매자 단말부(100)로 송금한다(S337).
반면, 판매대금이 전자화폐로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저장되지 않고, 현금으로 환전되어 저장된 경우, 결제 취소부(458)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를 통해 판매자가 거래하는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래소 서버(300)로 시세정보를 요청하고(S339), 그에 따른 전자화폐 시세를 포함하는 시세정보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S341). 다른 실시예로 결제 취소부(458)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453)를 통해 구매자가 구매시점에서 적용된 시세정보를 제공한 거래소 서버(300)와 동일한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구매취소 시점의 시세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시세정보가 수집되면 결제 취소부(45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하나의 시세를 적용시세로 결정한(S343) 후, 적용시세를 반영하여 환전한 판매대금을 판매자의 계정(전자지갑)으로부터 인출하여 판매대금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구매하여(S345) 구매 취소한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부(100)로 송금한다(S347).
이때의 구매자 단말부(100) 또는 구매자에게로의 송금은 구매자의 전자지갑 주소로의 전자화폐를 송금함을 의미한다. 상기 전자지갑 주소는 동일 시스템인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내부 전자지갑 주소일 수도 있고, 다른 전자화폐 거래소의 전자화폐결제서버의 전자지갑 주소인 외부 전자지갑 주소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의 구매자 단말부(100)의 송금 표현은 구매자가 자신의 구매자 단말부(100)에 설치된 전자지갑을 통해 전자화폐를 관리하므로 최종적인 확인을 구매자 단말부(100)를 통해 확인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구매자가 판매자 국가의 전자화폐 시세가 1000만원/1BTC인 상황에서 판매금액이 1000만원인 상품A를 구매하고, 구매 전자화폐 금액으로 1BTC를 송금하여 거래를 완료하고, 판매자가 상기 전자화폐 시세로 판매대금 1000만원을 현금으로 환전받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예에서 구매자가 구매취소를 요청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취소 처리부(458) 구매자가 구매취소를 요청한 구매취소 시점에서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시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하나의 시세를 적용시세로 결정한다. 이때의 적용시세가 2000만원/1BTC이였다면, 결제 취소부(458)는 판매자에게 환전된 1000만원을 전자지갑으로부터 인출하고, 1000만원으로 구매취소시점의 2000만원/1BTC인 전자화폐 0.5BTC를 구매하여 구매자에게 송금한다. 다른 예로 적용시세가 500만원/1BCT이었다면 결제 취소부(458)는 판매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환전된 판매대금 1000만원을 인출하여 2BTC의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구매자에게 송금할 것이다.
구매자가 판매자 국가의 전자화폐 시세가 1000만원/1BTC인 상황에서 판매금액이 1000만원인 상품A를 구매하고, 구매 전자화폐 금액으로 1BTC를 송금하여 거래를 완료하고, 판매자가 구매자로부터 수신된 전자화폐를 환전하지 않고 수신하여 자신의 전자지갑에 1BTC를 저장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예에서 구매자가 구매취소를 요청하면 전자화폐결제서버(400)의 취소 처리부(458) 구매자가 구매취소를 요청한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자의 전자지갑에서 상기 구매자로부터 수신한 전자화폐 1BTC를 그대로 인출하여 구매자에게 송금한다.
다른 실시예로, 만일 판매자의 전자지갑에 1BTC가 없고, 0.5BTC만 있다면 거래소 서버(300)들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시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하나의 시세를 적용시세로 결정한다. 이때의 적용시세가 2000만원/1BTC이였다면, 판매자에게 0.5BTC를 구매하기 위한 1000만원을 송금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요청에 의해 1000만원이 입금되면 결제 취소부(458)는 1000만원으로 0.5BTC를 구매한 후 전자지갑에 있는 0.5BTC를 합해 구매자에게 송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구매자 단말부 101: 구매 단말기
102: 결제 단말기 200: 상품 판매부
210: 판매 저장부 220: 판매 통신부
230: 판매 디스플레이부 240: 판매 입력부
250: 판매 제어부 251: 상품 판매 처리부
252: 전자화폐 결제수단 제공부 253: 전자화폐 결제 처리부
260: 판매결제 처리부 270: 결제 취소 처리부
300: 거래소 서버 400: 전자화폐결제서버
410: 서버 저장부 420: 서버 통신부
430: 서버 디스플레이부 440: 서버 입력부
450: 서버 제어부 451: 결제요청 이벤트모니터링부
452: 국가 식별부 453: 거래소 시세 수집부
454: 전자화폐 환전부 455: 전자화폐 송금 요청부
456: 거래 처리부 457: 전자화폐 송금부
458: 결제 취소부

Claims (16)

  1. 임의의 판매자의 상품의 구매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구매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수신받아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정보 및 지불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에 있어서,
    전자화폐 거래소의 거래소 서버로부터 전자화폐의 시세정보를 수집하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결제 취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환전 여부가 환전인 경우,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구매취소 시점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용시세를 결정하고, 결정된 구매취소 시점의 적용시세에 따라 환전된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현금 또는 타 전자화폐로 환전되지 않은 미환전인 경우, 상기 판매대금으로 수신된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여 환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대금 정산이 통화화폐인 현금으로 환전되어 이루어진 경우, 구매취소 시점에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전자화폐 시세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시세로 선택한 후, 환전된 상기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6. 임의의 판매자의 상품의 구매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구매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수신받아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정보 및 지불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화폐 거래소에 설치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전자화폐에 대한 시세정보를 관리하며, 시세정보 요청 발생 시 시세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래소 서버;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는,
    전자화폐 거래소의 거래소 서버로부터 전자화폐의 시세정보를 수집하는 거래소 시세 수집부;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결제 취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환전 여부가 환전인 경우,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구매취소 시점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로부터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용시세를 결정하고, 결정된 구매취소 시점의 적용시세에 따라 환전된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현금 또는 타 전자화폐로 환전되지 않은 미환전인 경우, 상기 판매대금으로 수신된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여 환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부는,
    판매대금 정산이 통화화폐인 현금으로 환전되어 이루어진 경우, 구매취소 시점에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전자화폐 시세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시세로 선택한 후, 환전된 상기 판매대금으로 전자화폐를 구매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
  12. 임의의 판매자의 상품의 구매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구매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수신받아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정보 및 지불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전자화폐결제시스템의 전자화폐결제벙법에 있어서,
    전자화폐결제서버가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 금액을 송금한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구매취소 모니터링 과정; 및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수신된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전자화폐 금액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라 환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환전 여부에 따라 구매취소 시점에서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 금액을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결제 취소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 과정은,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구매취소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대금 정산 판단 단계;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상기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환전이면, 거래소 서버들로부터 구매취소 시점에서의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수집하여 적용시세를 결정하는 적용시세 결정 단계;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구매취소 시점의 적용시세를 적용하여 판매대금으로 상기 거래소 시세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시세정보를 반영한 전자화폐를 구매하는 환불 전자화폐 금액 구매 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결제서버가 상기 전자화폐 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를 상기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환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 과정은,
    상기 판매대금 정산 판단 단계에서 판매자가 설정한 정산방식에 따른 환전 여부가 미환전이고 전자화폐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수신된 판매대금인 전자화폐 금액의 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송금하는 정산 전자화폐 환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용시세 결정 단계는
    구매취소 시점에서 수집된 전자화폐 시세정보의 전자화폐 시세들 중 시세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전자화폐 시세를 적용시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세 선택 조건은 최저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방법.
KR1020180079464A 2017-09-20 2018-07-09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974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00 2017-09-20
KR20170121300 2017-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95A true KR20190032995A (ko) 2019-03-28
KR101974878B1 KR101974878B1 (ko) 2019-05-07

Family

ID=6590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464A KR101974878B1 (ko) 2017-09-20 2018-07-09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8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696A (ko) * 2019-04-08 2020-10-16 나준기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0757A (ko) * 2021-05-28 2022-12-06 노영우 환불 절차를 내포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2449A (ko)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푸른컵 텀블러 대여 반납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319A (ko) * 2003-03-21 2004-10-01 (주)지티엠에스 에스크로 전자지불 결제 중계 시스템
KR20100130712A (ko) * 2009-06-04 2010-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화폐 송금 시스템 및 전자화폐 송금 방법
KR20110022553A (ko) 2009-08-27 2011-03-07 유진열 가상 화살을 이용한 스크린 체험장치
KR20160009301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코빗 개인키 기반 전자 화폐의 결제 대행 서비스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694455B1 (ko) * 2016-03-14 2017-01-17 주식회사 스트리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환전 또는 송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65380A (ko) * 2015-12-03 2017-06-13 손성호 비트코인을 중계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319A (ko) * 2003-03-21 2004-10-01 (주)지티엠에스 에스크로 전자지불 결제 중계 시스템
KR20100130712A (ko) * 2009-06-04 2010-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화폐 송금 시스템 및 전자화폐 송금 방법
KR20110022553A (ko) 2009-08-27 2011-03-07 유진열 가상 화살을 이용한 스크린 체험장치
KR20160009301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코빗 개인키 기반 전자 화폐의 결제 대행 서비스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70065380A (ko) * 2015-12-03 2017-06-13 손성호 비트코인을 중계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KR101694455B1 (ko) * 2016-03-14 2017-01-17 주식회사 스트리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환전 또는 송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696A (ko) * 2019-04-08 2020-10-16 나준기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보조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0757A (ko) * 2021-05-28 2022-12-06 노영우 환불 절차를 내포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2449A (ko)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푸른컵 텀블러 대여 반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878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55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ing a payment after initiating the payment using a proxy card
JP6523272B2 (ja) 還元ポイントを用いるモバイル支払システム
US20120284130A1 (en) Barcode checkout at point of sale
KR102094101B1 (ko) 연동형 디지털화폐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용 디지털화폐와 연동되는 전자지갑 간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546001A (ja) 暗号通貨を活かした電子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決済方法
CN102209972A (zh) 支付应用架构
JP2011095944A (ja) 電子商取引管理及び電子決済一体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60071139A1 (en) Preauthorize buyers to commit to a group purchase
KR101974878B1 (ko)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취소 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420B1 (ko) 시세정보를 통해 전자화폐를 환전하여 거래를 진행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2017117387A (ja) 決済システム
US201500519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ce matching
JP6615980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処理方法
KR20110041457A (ko) 일원화된 모바일 쿠폰 중개 및 관리시스템
KR20190087939A (ko) 국가별 전자화폐 시세차를 이용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9126A (ko) 구매자에 의한 신용 카드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5394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한 물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령하는 방법
KR20190027311A (ko) 국가별 전자화폐 시세정보를 반영한 구매금액 송금기능을 가지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669540B1 (ko)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5822A (ko) 국가별 전자화폐 시세차를 이용하는 전자화폐송금서버, 시스템 및 방법
JP2002133342A (ja) 電子商取引のセンタ処理装置
JP2020087170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4860A (ko) 사업자 번호 및 각종 번호 인식 방식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캐쉬페이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4473A (ko) 전자지갑과 통합된 전자 지불 보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7452946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