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05B1 -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05B1
KR101746705B1 KR1020160081773A KR20160081773A KR101746705B1 KR 101746705 B1 KR101746705 B1 KR 101746705B1 KR 1020160081773 A KR1020160081773 A KR 1020160081773A KR 20160081773 A KR20160081773 A KR 20160081773A KR 101746705 B1 KR101746705 B1 KR 10174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information
rent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미
Original Assignee
박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미 filed Critical 박효미
Priority to KR102016008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완전 충전된 보조 배터리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대여 또는 반납 절차를 거친 후에 자동 판매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손쉽게 대여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판매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내부에 수용되어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삽입된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대여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반납받고, 상기 보조 배터리에 대한 대여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단말이 구비되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내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SMART RENTAL SYSTEM FOR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완전 충전된 보조 배터리를 자동 판매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쉽게 대여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미 우리 일상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 폰 등장 이후에는 휴대폰의 기본 기능은 물론 이 메일, 인터넷, 스케쥴 관리, SNS, 게임, 사진촬영, 지도 찾기 등 수없이 많은 응용 기능들이 구현되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있다.
사실 일반 휴대폰은 한정된 기능으로 인해 배터리 부족으로 큰 문제는 아니었다. 그러나, 스마트 폰은 Wi-Fi, GPS, 각종 센서,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 수행으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심각하다. 이는 사용자들로부터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나 배터리에 대한 획기적인 기술 개발은 요원하다.
누구나 스마트 폰의 배터리가 완전 소모되어 급하게 통화하거나 전화를 받지 못하거나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는 경험은 있을 것이다. 편의점 등과 같은 장소에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여도 충전을 맡겨둔 사이에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든 스마트 폰의 공통적인 문제인 배터리부족으로 인한 불편은 날로 증가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584호 '보조 배터리의 렌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8199호 '스마트 대여 시스템 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완전 충전된 보조 배터리를 자동 판매기의 신용카드인식 수단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대여 또는 반납 절차를 거친 후에 자동 판매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손쉽게 대여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배터리 내에 부착된 식별용 코드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보조 배터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판매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자동 판매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자동 판매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내부에 수용되어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삽입된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대여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반납받고, 상기 보조 배터리에 대한 대여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단말이 구비되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내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결제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NFC 결제 또는 비접촉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자동 판매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대여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 판매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상기 광고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코드정보를 통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이동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을 통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대여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여 관리 서버로부터 광고 정보 및 난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코드 정보와,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와, 대여된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와 대여 비용 및 결제 정보와, 광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난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상기 대여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을 수행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자동 판매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자동 판매 단말로부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제3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대여 중인 보조 배터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배터리 분실이나 미반납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를 분리시키지 않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어 충전된 보조 배터리로 갈아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대여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판매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대여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 판매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완전 충전된 보조 배터리를 자동 판매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쉽게 대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대여 관리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자동 판매 단말(3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4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보조 배터리(40)를 대여하기 위하여, 보조 배터리(40)의 외표면에 대여용 보조 배터리(40)의 기기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와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정보가 포함된 RF(Radio Frequency) 칩, 바코드(Barcode),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중 어느 하나의 식별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RF 칩은 RFID 태그, RFID 카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칩, 바코드, QR 코드 또는 NFC 태그는 보조 배터리(40)의 제조 업체, 제휴 업체 또는 별도의 광고 업체를 식별하는 광고주 식별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 배터리(40)의 외표면에는 식별코드 이외에도 보조 배터리(40)의 제조 업체, 제휴 업체 또는 별도의 광고 업체에서 제공하는 광고 스티커가 부착되거나, 해당 광고 정보를 LCD, LED, 전자 종이 형태의 표시 수단으로 구현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대여 관리 서버(10)는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주체 또는 업체의 서버 장치로서, 대여용 보조 배터리(40)의 식별 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와, 암호화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즉,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의 번호 및 승인번호, 코드 및 시간 정보와, 대여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와 대여 비용 및 결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광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대여를 원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난수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대여 관리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듈(101), 난수 생성 모듈(102), 정보 전송 모듈(103), 저장 모듈(104), 비용 정산 모듈(105), 반납 여부 판단 모듈(106), 레벨 산출 모듈(107), 포인트 제공 모듈(108), 광고 제공 모듈(110), 위치 추적 모듈(120), 제어 모듈(19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듈(101)은 사용자 단말(2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2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ME(Mobile Explorer))을 이용하여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wifi)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3G, 4G, 5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신 모듈(101)은 사용자 단말(2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대여용 보조 배터리(40)의 식별 정보와 위치정보,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 암호화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의 번호 및 승인번호, 코드 및 시간 정보, 대여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 및 비용 정보, 난수 정보, 광고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난수 생성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난수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난수 생성 모듈(102)은 별도의 난수 생성 프로그램을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는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난수 정보를 생성한 후 정보 전송 모듈(103)에 제공한다. 상기 난수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 또는 보조 배터리(40)의 고유 식별 번호, 암호화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의 번호 및 승인번호, 코드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전송 모듈(103)은 난수 생성 모듈(102)에 의하여 생성된 난수 정보와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에 대한 결제 정보, 광고 제공 모듈(190)에 등록되어 있는 광고 영상 파일을 사용자 단말(2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 모듈(104)은 대여용 보조 배터리(40)의 식별 정보와,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와, 암호화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의 번호 및 승인번호, 코드 및 시간 정보와, 대여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 및 비용 정보와, 난수 정보,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용 정산 모듈(105)은 사용자 단말(2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로부터 전송된 결제 정보와, 암호화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의 번호 및 승인번호, 코드 및 시간 정보와, 대여 또는 반납 정보를 기초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을 결제하거나 대여 기간 대비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을 정산한다. 즉, 상기 비용 정산 모듈(105)은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40)의 대여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대여 기일에 대응되는 대여 비용을 외부 결제 서버와 연동되어 결제한다. 이때, 사용자가 대여 비용을 자동 판매 단말(30)의 결제 수단(즉,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NFC 결제 또는 비접촉 결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결제하는 경우, 자동 판매 단말(30)로부터 해당 결제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비용 정산 모듈(105)은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40)의 반납을 원하는 경우, 반납일이 대여 기일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초과한 경우에는 대여 비용을 결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추가 비용을 정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납 여부 판단 모듈(106)은 비용 정산 모듈(105)에 의하여 정산된 대여 비용에 따라 보조 배터리(40)의 반납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반납 여부 판단 모듈(106)은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40)를 반납시 반납일까지의 대여 비용을 정산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정산되었으면 보조 배터리(40)의 반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레벨 산출 모듈(107)은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관리 서비스의 사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레벨을 산출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 산출 모듈(107)은 사용자 단말(20)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이용 횟수,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평가 횟수, 결제 또는 정산 비용 총액, 대여 기일 준수 정도, 광고 정보를 통한 해당 업체 이용 횟수, 회원 또는 어플리케이션 추천 횟수 등의 항목을 기초로 수학식 1에 의하여 사용자 레벨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레벨을 통하여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우수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여 포인트를 부여하거나 별도의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목은 관리 주체에 의하여 단계별로 수치화된 레벨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산출 모듈(107)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사용자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63060905-pat00001
여기서, i는 항목 번호이고, n은 항목 전체 수이며, ai는 항목별 자동 가중치값이고, wi는 항목별 임의 가중치값이며, tj는 타임별 가중치값이고, xij는 타임값별 변수값이며, 는 해당 사용자의 항목별 변수값들의 평균값이고, σi는 해당 사용자의 항목별 변수값들의 표준편차이다.
상술한 각각의 변수 중 ai, wi, tj에 대하여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i는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이용시 자동가중치 값으로 해당 항목 이용자수를 전체 이용자수로 나눈 값에 해당되고, wi는 항목별로 운영자가 강제로 임의 부여하는 가중치 값에 해당된다. 또한, tj는 최근 1개월 내의 항목 이용시 이용수에 곱해지는 5의 값이고, 1 내지 3개월 내의 항목 이용시 곱해지는 3의 값이며, 3 내지 6개월 내의 이용시 곱해지는 2의 값이고, 6 내지 12개월 이용시 곱해지는 1의 값이며, 1년 이전 활동시 곱해지는 0.5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용자수는 항목에 대하여 기준 횟수(예를 들어, 1회 또는 2회) 이상 활동한 사용자의 수일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제공 모듈(108)은 레벨 산출 모듈(107)에 의하여 산출된 사용자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포인트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온라인 포인트는 모바일 상에서 제휴 서버(미도시)가 제공하는 각종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원하는 사용자 단말(20)에 온라인 기프트 권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포인트의 종류 및 용도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고 제공 모듈(110)은 제휴 관계를 맺은 업체로부터 해당 광고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전달받아 등록하며, 사용자 단말 또는 광고 자동 판매 단말(30)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 자동 판매 단말(30)로 광고 정보가 전송될 경우에는 자동 판매 단말(30)의 광고 출력부를 통해 광고 정보가 직접 디스플레이 되게 하고, 자동 판매 단말(30)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20)이 있을 경우에는 자동 판매 단말(3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2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 추적 모듈(120)은 보조 배터리(40)의 코드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통해 GPS로부터 보조 배터리의 이동 경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이 보조 배터리(40)를 소지하고 있는 상황, 또는 반납일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조 배터리(40)가 반납되지 않은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보조 배터리(4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 모듈(190)은 대여 관리 서버(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0)과 자동 판매 단말(3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대여용 보조 배터리(40)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와, 대여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와 대여 비용 및 결제 정보, 광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대여를 원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난수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서,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대여 또는 반납을 위한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보조 배터리(40)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PC 등 휴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나, 개인용 PC,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대여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난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을 결제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은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써,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온라인 마켓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대여 관리 서버(10)와 양방향으로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이때,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자동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자동 판매 단말(30)이 탐색되어 근거리의 자동 판매 단말(30)의 중계기를 통해 와이파이와 같은 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이 자동 판매 단말(30)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자동 판매 단말(30)의 1~5m의 반경 범위에 접근할 경우, 자동 판매 단말(30)로부터의 무선 충전이 자동으로 가동되거나 무선 충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될 수 있도록 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결제 처리 과정이 수행된 후, 자동 판매 단말(30)의 전력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210), 제1 정보 입력부(220), 비용 결제부(230), 제1 디스플레이부(240), 및 제1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210)는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통신부(210)는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 대여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 및 비용 정보, 난수 정보, 광고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특히 제1 통신부(210)는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의 가동으로 탐색된 근거리에 위치하는 자동 판매 단말(30)의 중계기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정보 입력부(220)는 대여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보조 배터리(40)를 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원하는 보조 배터리(40)의 종류, 원하는 대여 기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 입력부(220)는 제1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 중 숫자, 알파벳, 한글 또는 특수문자 등이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 입력부(220)는 이외에도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기타 알림 메시지를 입력 및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비용 결제부(230)는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에 접속하여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 및 반납에 대한 정산 비용을 결제한다. 특히, 비용 결제부(230)는 사용자 단말(20)이 자동 판매 단말(30)의 결제 단말에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정산 비용에 대한 결제 처리가 될 수 있도록, NFC 태그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20)이 자동 판매 단말(30)의 결제 단말에 비접촉식으로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정산 비용에 대한 결제 처리가 될 수 있도록 칩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비접촉식 결제 방식은 모바일 월렛(애플 페이, 삼성 페이, 안드로이드 페이, 구글 월렛)과 같은 전자 페이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루프페이의 마그네틱 보안 정보 기술(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이용하여 결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칩을 마그네틱 방식의 결제 단말기에 가까이대는 것으로 결제 처리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40)의 대여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대여 기일에 대응되는 대여 비용을 대여 관리 서버(10) 또는 이와 연동된 외부 결제 서버를 통하여 결제한다. 또한, 상기 비용 결제부(230)는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40)의 반납을 원하는 경우, 반납일이 대여 기일을 초과한 경우에는 대여 비용을 결제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추가 비용을 정산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40)는 제1 통신부(21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되, 제1 정보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비용 결제부(230)를 통하여 결제된 비용 정보 및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quid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LE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2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배터리 대여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대여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난수 정보와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을 결제 또는 정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 단말(30)은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여 관리 서버(10)의 관리 주체 또는 업체에 의하여 소정 공간(예를 들면, 편의점 또는 가판대 등)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대여 또는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40)를 내부에 수용하고,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자동 판매 단말(30)은 사용자 단말(20)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통한 결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2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고, 배터리의 훼손과 단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감시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동 판매 단말(30)의 외부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자동 판매 단말(30)은 박스 형상의 일체로 형성된 캐비닛(31)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개폐 가능한 상부 개폐문(34)과 하부 개폐문(3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개폐문(34)의 전면 좌측부에는 동전 투입구(34b)가 형성되고, 동전 투입구(34b)의 상측에는 신용 카드가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34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개폐문(34)의 전면 우측부에는 난수 정보, 매칭 결과, 대여 절차 및 반납 절차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308)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부(308)는 각기 다른 회사 및 보조 배터리(40)의 종류를 표시하고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문(32)의 전면에는 캐비닛(31)의 내부에 형성된 보조 배터리(40) 수납부(미도시)에 보조 배터리(40)를 별도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수납문(33)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개폐문(34)과 하부 개폐문(38) 사이에는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광고 출력부(307)가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을 접촉 또는 비접촉하기 용이한 위치에 결제처리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동 판매 단말(30)의 외관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부에 CC TV와 같은 촬영 수단(33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 판매 단말(30)의 외부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 단말(30)은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고 사용자 단말(20)에 의하여 대여 비용이 결제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보조 배터리(40)를 투입받은 후 대여용 보조 배터리(40)를 사용자에게 대여하고, 사용자가 대여용 보조 배터리(40)의 반납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에 의하여 대여 기간에 대비 대여 비용이 정산되면, 사용자로부터 대여용 보조 배터리(40)를 투입받은 후 사용자의 보조 배터리(4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 판매 단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301), 제2 정보 입력부(302), 코드 인식부(303), 난수 매칭부(304), 대여 처리부(305), 반납 처리부(306), 광고 출력부(307), 제2 디스플레이부(308), 결제처리부(310), 무선 충전부(320), 촬영 수단(330) 및 제2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통신부(301)는 대여 관리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대여 관리 서버(10)와 사용자 단말(20)과의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대여 관리 서버(1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특히, 제2 통신부(301)는 사용자 단말(2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중계기를 제공하는데, 사용자 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탐색된 자동 판매 단말(30)의 중계기가 사용자 단말(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통신부(301)는 대여 관리 서버(1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난수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제2 정보 입력부(302)는 사용자에 의하여 난수 정보가 입력되는 장치로서, 보조 배터리(40)를 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동 판매 단말(30)의 제2 디스플레이부(308) 또는 입력 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대여 관리 서버(10)에 의하여 생성된 난수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코드 인식부(303)는 보조 배터리(4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로서, 자동 판매 단말(30)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대여되는 보조 배터리(40)의 외표면에 형성된 RF 칩, 바코드, QR 코드 또는 NFC 태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난수 매칭부(304)는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난수 매칭부(304)는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반납 처리부(306)로 전송한다.
상기 대여 처리부(305)는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이 결제된 상태에서 난수 매칭부(304)의 매칭 결과에 따라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대여 처리부(305)는 대여 비용이 모두 결제되고 난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보조 배터리(40)를 투입 받고 완전 충전된 보조 배터리(40)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반납 처리부(306)는 반납 여부 판단 모듈(106)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보조 배터리(40)의 반납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반납 처리부(306)는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40)를 반납하고자 하는 경우 반납일까지의 대여 비용을 정산 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제공받고, 대여 비용이 정산되었으면, 사용자에게 대여된 보조 배터리(40)를 투입받고, 사용자에 의하여 기투입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4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자동 판매 단말(30) 내부에는 사용자에게 보조 배터리(40)를 대여할 때 사용자로부터 투입된 보조 배터리(40)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비용이외에도 사용자의 보조 배터리(40)의 충전 비용도 정산 비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고 출력부(307)는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평판형 LCD, LED, OLED, AMOLE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정보에는 보조 배터리(40)의 제조 업체, 제휴 업체 또는 별도의 광고 업체에 대한 광고 정보 뿐만 아니라, 뉴스 및 공익 광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08)는 제2 통신부(301)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되, 난수 정보, 매칭 결과, 대여 절차 및 반납 절차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LCD, LED, OLED, AMOLE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310)는 사용자 단말(20)의 비용 결제부(230)에서 처리하는 결제 정보를 전달받아 정산 비용에 대한 결제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결제 처리부(310)는 접촉형의 NFC 태그 인식부 또는 비접촉형의 칩 인식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의 태그 또는 칩을 결제 처리부(3140)에 접촉 또는 비접촉함으로써 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특히, 결제 처리부(310)가 비접촉식 결제 방식일 경우, 루프페이의 마그네틱 보안 정보 기술(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을 이용하여 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신용 카드 인식기와 같은 마그네틱 인식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부(320)는 자기 공명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의 코일로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며, 사용자 단말(20)이 자동 판매 단말(30)의 1~5m의 반경 범위에 접근함으로써 무선 충전을 위한 사용자 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가동되면 무선 충전을 위한 결제 처리 과정이 수행되면, 자동 판매 단말(30)의 전력을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20)에 공급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한다.
상기 촬영 수단(330)은 자동 판매 단말(30)의 외관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단말(30)의 상단 또는 자동 판매 단말(30)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와 같은 영상 기록 장치이다. 상기 촬영 수단(3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자동 판매 단말(30)의 제2 통신부를 통해 대여 관리 서버(1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자동 판매 단말(30)의 파손 여부나 작동 상태에 대한 점검을 원격에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제어부(390)는 자동 판매 단말(3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대여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자동 판매 단말(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대여 또는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40)의 대여 또는 반납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40)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은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접속된 대여 관리 서버(10)에서 생성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난수 정보의 매칭 여부에 따라 자동 판매기에 사용자의 보조 배터리(40)를 투입받은 후 완전 충전된 보조 배터리(40)를 자동 판매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손쉽게 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배터리(40) 내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통하여 대여 또는 반납시 보조 배터리(40)의 대여에 대한 결제 또는 정산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대여 관리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자동 판매 단말 40: 보조 배터리
110: 광고 제공 모듈 120: 위치 추적 모듈
190: 제어 모듈 210: 제1 통신부
220: 제1 정보 입력부 230: 비용 결제부
240: 제1 디스플레이부 310: 결제 처리부
320: 무선 충전부 330: 촬영수단

Claims (9)

  1. 자동 판매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으로서,
    내부에 수용되어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삽입된 보조 배터리를 사용자에게 대여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반납받고, 상기 보조 배터리에 대한 대여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단말이 구비되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되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내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시키는 자동 판매 단말; 및
    상기 자동 판매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대여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소지하고 있는 상황 또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반납일의 경과 이후 상기 보조 배터리가 반납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코드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통해 GPS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이동 경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위치 추적 모듈;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관리 서비스 이용 횟수,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평가 횟수, 결제 또는 정산 비용 총액, 대여 기일 준수 정도, 광고 정보를 통한 해당 업체 이용 횟수, 회원 또는 어플리케이션 추천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레벨을 산출하는 레벨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NFC 결제 또는 비접촉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 판매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상기 광고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을 통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대여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여 관리 서버로부터 광고 정보 및 난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여 관리 서버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코드 정보와, 대여를 원하는 사용자 정보와, 대여된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 정보와 대여 비용 및 결제 정보와, 광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난수 정보를 생성하는 난수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상기 대여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난수 정보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난수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 단말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을 수행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자동 판매 단말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자동 판매 단말로부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제3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KR1020160081773A 2016-06-29 2016-06-29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KR10174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773A KR101746705B1 (ko) 2016-06-29 2016-06-29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773A KR101746705B1 (ko) 2016-06-29 2016-06-29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705B1 true KR101746705B1 (ko) 2017-06-13

Family

ID=5921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773A KR101746705B1 (ko) 2016-06-29 2016-06-29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70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2082A (zh) * 2017-10-09 2018-01-19 深圳造物部落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应用其的交易方法
CN107733060A (zh) * 2017-09-29 2018-02-23 苏州融硅新能源科技有限公司 棚式户外共享充电租赁装置
CN108985904A (zh) * 2018-08-13 2018-12-11 小火车车业发展(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电源的租借方法及可租借的移动电源
CN110189484A (zh) * 2019-05-27 2019-08-30 北京万家智享科技有限公司 一种玩具共享系统
KR102136315B1 (ko) 2019-07-26 2020-07-21 강상호 보조배터리 쉐어링 기능이 포함된 키오스크 시스템
KR102136308B1 (ko) * 2019-07-02 2020-07-21 강상호 충전 잔량 알림수단이 구비된 보조배터리
CN111740763A (zh) * 2020-03-19 2020-10-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售货柜、售货柜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20210112616A (ko) * 2020-03-05 2021-09-15 조현 매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3689251A (zh) * 2020-09-23 2021-11-23 潮商(海南)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开发的智能锂电池租赁运营服务系统
KR20220114884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자영업자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20230027827A (ko) * 2021-08-20 2023-02-28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시스템
KR20230032417A (ko) * 2021-08-31 2023-03-07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3060A (zh) * 2017-09-29 2018-02-23 苏州融硅新能源科技有限公司 棚式户外共享充电租赁装置
CN107612082A (zh) * 2017-10-09 2018-01-19 深圳造物部落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应用其的交易方法
CN108985904A (zh) * 2018-08-13 2018-12-11 小火车车业发展(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电源的租借方法及可租借的移动电源
CN110189484A (zh) * 2019-05-27 2019-08-30 北京万家智享科技有限公司 一种玩具共享系统
KR102136308B1 (ko) * 2019-07-02 2020-07-21 강상호 충전 잔량 알림수단이 구비된 보조배터리
KR102136315B1 (ko) 2019-07-26 2020-07-21 강상호 보조배터리 쉐어링 기능이 포함된 키오스크 시스템
KR102482558B1 (ko) * 2020-03-05 2022-12-28 조현 매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2616A (ko) * 2020-03-05 2021-09-15 조현 매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1740763B (zh) * 2020-03-19 2021-11-1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售货柜、售货柜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1740763A (zh) * 2020-03-19 2020-10-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售货柜、售货柜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3689251A (zh) * 2020-09-23 2021-11-23 潮商(海南)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开发的智能锂电池租赁运营服务系统
KR20220114884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자영업자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102477506B1 (ko) * 2021-02-09 2022-12-15 주식회사 자영업자 재방문 고객 서비스 장치
KR20230027827A (ko) * 2021-08-20 2023-02-28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시스템
KR102514381B1 (ko) * 2021-08-20 2023-03-29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시스템
KR20230032417A (ko) * 2021-08-31 2023-03-07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장치
KR102514389B1 (ko) * 2021-08-31 2023-03-29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보조배터리 대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705B1 (ko)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KR101628976B1 (ko) 보조 배터리의 스마트 대여 시스템
CN106796703B (zh) 移动终端、检查站管理系统以及检查站管理方法
CN205103924U (zh) 用于购买电子设备的由消费者操作的服务终端
JP2018120616A (ja) 双方向で交換する販売
KR102451561B1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EP3109838A1 (en) Mobile device based digital wallet for retail shopping, related system and method
JP2016504690A (ja) 決済方式の選択のための決済デバイス制御方法
KR102221623B1 (ko) 텀블러 스마트 대여시스템
KR101754852B1 (ko)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
US20180114256A1 (en) Automatic parcel storage box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1517592A (zh) 具有磁条的移动支付装置
US20190387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anning payment and loyalty cards as a service
KR20170006190A (ko) 로드셀을 이용한 자판기 관리 시스템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US117689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ly storing an object
US20130168442A1 (en) Means for confirming transactions through the use of embedded and encrypted questions displayed as patterns on a graphical display
JP516930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1997A (ko)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JP62116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66028B1 (ko) 이중 조합 식별 코드를 이용한 개인 인식 결제 서비스 방법및 장치
KR101925788B1 (ko) 결제 중계 장치 및 결제 중계 시스템
KR20130142619A (ko) 공중전화 부스를 활용하며 공중 전화기와 휴대폰 충전기가 복합된 물품 보관 및 택배 배달 시스템
JP200602395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RU103023U1 (ru) Система оплаты и контроля электронных биле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