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428A -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428A
KR20220114428A KR1020210017912A KR20210017912A KR20220114428A KR 20220114428 A KR20220114428 A KR 20220114428A KR 1020210017912 A KR1020210017912 A KR 1020210017912A KR 20210017912 A KR20210017912 A KR 20210017912A KR 20220114428 A KR20220114428 A KR 2022011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hair loss
extract
composition
seo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갑
박종국
황달연
Original Assignee
김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갑 filed Critical 김재갑
Priority to KR102021001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428A/ko
Publication of KR2022011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6Violaceae (Viole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울제비꽃 (Persicaria senticosa(Meisn.) H.Gross ex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사람 피부각질세포주인 HaCaT세포에 대조군인 UVB를 처리한 경우, 콜라게네이즈 활성이 정상군의 활성에 비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으나, UVB와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여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로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Viola seoulensis extract}
본 발명은 서울제비꽃 추출물(Viola seoulensis Nakai)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환경 개선 및 모낭 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환경을 개선하여 극대화된 탈모방지 효과와 발모 효능을 가진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머리카락은 성장과 정체, 쇠퇴를 거듭하며 순화의 주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3 phase을 거치는데, 첫 번째 growth phase(Anagen)는 머리카락이 성장하는 단계로, 이 단계를 거치고 나면 두 번째 involution phase(catagen)의 퇴화 단계로 접어들고, 결국엔 세 번째 resting phage(Telogen)의 휴지기 또는 정체기 상태로 돌입 했다가 다시 성장, 퇴화, 휴식기를 순환하며 머리카락이 자라고 탈락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탈모가 된다는 것은 Telogen phase가 증가하여 머리카락이 탈락되는 것을 의미한다.
탈모로 인해 생기는 외형적 변화는 많은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 외형적 컴플렉스를 안겨주어, 현대인에게 있어서 심각한 고민거리로 자리 잡았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게 된다. 이처럼 탈모는 모발이 있어야 할 부위에 없거나 빈약한 상태를 말하는데, 모발 생성에 필요한 영양공급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진행성 질환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크게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등으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남성에게는 M자형 탈모가 많고 여성에게는 원형 탈모가 많이 발생한다. 탈모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남성 호르몬??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 혈액 순환 장애??과도한 스트레스??부족한 영양 상태 등이 탈모의 원인으로 작동한다.
탈모의 치료를 위해서는 Anagen의 모낭세포를 증가시키고, Catagen과 Telogen의 세포를 감소시켜야만 탈모 치료가 가능하다고 한다. Testosterone 호르몬은 5α-reductase에 의하여 DHT 변화하고, DHT가 모낭세포에 작동하여 세포분열을 억제하고 모낭세포를 telogen phase로 이동하게끔 작동한다. 5α-reductase을 불활성화 시키거나 억제(inhibition)시켜주면 탈모 증상이 완화되고, 연모화 현상 또한 호전 시킬 수 있다. 탈모에 있어서 작용하는 다양한 cytokine이 존재하는데, 그 중 염증과 관련한 cytokine이 탈모를 촉진시키고 모낭 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작으로 작용한다. 즉, 자가 면역세포(macrophage 등) 작용으로 자가 모낭을 공격하여 모낭을 축소하여 연모화 현상과 탈모 현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탈모 방지용 샴푸 등 여러 가지 헤어케어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지만, 자극적인 화학 성분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보다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제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은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관속식물로 볕이 잘 드는 들판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고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끝이 여러 개로 갈라진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처음에는 안으로 말리며, 장타원형, 난상 장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밑은 수평 또는 심형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3.5mm로 윗부분에 날개가 있으며 턱잎은 잎자루 밑에 붙어 있고 끝이 떨어지며 선형으로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홍자색이고 잎 사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1개씩 달리며 위쪽에 꽃싸개잎이 있다. 꽃은 좌우상칭이고 5수성이며 꽃받침은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꽃잎은 보라색 맥이 있으며 곁꽃잎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 5~7월에 익는다.
본 발명에서는 우리나라의 천연 식물자원을 활용할 목적으로 천연원료인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955003호에는 해초, 야생화, 해풍의 삼합이 잘 어울려지고, 각종 야생화 및 해초의 복합 생약추출물의 숙성 또는 발효방법과 매연재 연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보습 기능을 가지며, 기미, 검버섯, 아토피, 여드름, 환경 오염에 대한 피부개선뿐만 아니라,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의 기능을 갖춘 기능성 천연비누를 제조할 수 있는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0-0139970호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 성분과 자생식물을 포함하여 발모를 촉진함과 아울러 자연에 가까우면서 생분해도가 높은 친환경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환경적 요인에 의한 모근파괴를 최소화시킨 저자극성 천연 샴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267198호에는 한약재 성분과 자생식물을 포함하여 발모를 촉진함과 아울러 자연에 가까우면서 생분해도가 높은 친환경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환경적 요인에 의한 모근파괴를 최소화시킨 저자극성 천연 샴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8-0104516호에는 피부 및 두피 질환(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15가지 식물에서 추출한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제 1 약제 용액과,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유한 제 2 약제 용액을 별도로 제조한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 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천연원료인 서울제비꽃 추출물(Viola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울제비꽃 추출물(Viola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서울제비꽃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 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서울제비꽃 조추출물에 비극성용매로서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분획용매로 사용하여 분획한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0.1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제형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사람 피부각질세포주인 HaCaT세포에 대조군인 UVB를 처리한 경우, 콜라게네이즈 활성이 정상군의 활성에 비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으나, UVB와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여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1은 서울제비꽃 열수 추출물의 제조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서울제비꽃 열수 추출물의 분석을 HPLC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서울제비꽃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서울제비꽃 (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열수 추출 제조
서울제비꽃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하여 제조한다. 건조된 서울제비꽃 500g에 7.5L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서울제비꽃 열수 동결건조물 86.7g 얻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서울제비꽃 열수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서울제비꽃의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가용 분획물의 제조는 서울제비꽃 열수 추출물을 증류수 1L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분획 여두 깔대기에 넣고 헥산(Hexane) 1L를 첨가하여 water층과 hexane 층을 분리하였고 이와 같은 공정을 3번 반복하였다.
동일한 과정을 통해 클로로포름 (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각 분획물을 얻었고,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을 감압여과 장치로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뒤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2.1. 헥산 가용성 분획 분리
서울제비꽃 열수 추출물을 lL의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에 분획 여두 깔대기에 넣고 헥산 1L를 첨가하여 헥산 불용성층(수층)과 헥산가용성층을 분리하였다. 다시 헥산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헥산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2.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분리
헥산불용성 분획(수층)에 클로로포름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클로로포름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클로로포름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3.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분리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를 수집하였다.
2.4. 부탄올 가용성 분획분리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선 분획(수층)에 부탄올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부탄올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부탄올 불용성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부탄올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2.5 서울제비꽃 열수추출물 및 분획물 수득
서울제비꽃 열수추출물에서 헥산 가용성 분획,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부탄올 가용성 분획을 감압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헥산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 예 2.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실험결과.
도 2는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서울제비꽃 열수 추출물에 대한 사람피부각질세포(HaCaT)의 세포생존률을 측정하기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우선, 세포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MTT를 1 ㎎/㎖로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웰 당 1 ㎖씩 처리하고, 37℃ 습윤한 CO₂배양기에서 4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후, tetrazolium bromide salt를 제거하고, DMSO 200 ㎕를 분주하여 각 웰에 생성된 포르마잔 크리스탈을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에서 570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10, 50, 100, 200 그리고 400μg/ml)별로 처리하고 24시간을 처리한 결과 각각 99.66ㅁ1.21%, 98.38ㅁ0.39%, 98.96ㅁ0.51%, 99.13ㅁ0.67, 그리고 96.66ㅁ0.42% 의 세포증식능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과 비교한 결과, 모두 세포독성에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 예 3.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실험
도 3는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이 DPPH 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함으로써 라디칼을 소거하는 효과를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즉,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DPPH용액과 혼합하여 각각 10, 50, 100 그리고 200ug/ml의 농도가 되도록 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정치시킨 다음 증류수로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물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감소치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하여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인 DPPH용액의 흡광도 값을 100% 기준으로 했을 때, 실험군인 서울제비꽃 추출물 200ug/ml의 농도에서의 DPPH 흡광도 값을 구한 결과 각각 82.2%, 62.3% 그리고 52.7% 값을 얻었다. 따라서, 서울제비꽃 추출물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임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소거효과(%)=100 - [(실험군 흡광도-Blank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ㅧ100
실시 예 4. 서울제비꽃 추출물의 임상효과 확인실험
1.1. 시험목적
본 시험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 의뢰하여 실시한 인체적용 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품의 탈모 증상 완화를 평가하였다.
1.2. 시험기간 및 시험시료
2020년 05월 28일 ~ 2020년 12월 01일 실시하였고 시험시료와 관련된 정보는 아래 표 1과 같다.
시험시료 정보
시료 본원발명의 추출물 증류수
시료성상 투명한 적갈색 액체 투명한 액체
시료번호 TEK-2020-161-A-01 TEK-2020-161-A-02
2. 시험내용
본 시험은 '탈모 증상 완화 인체적용시험'으로,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 및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였다.
2.1. 시험대상자 선정
본 시험은 만 20세 이상에서 만 54세 이하의 신체 건강한 성인 남녀 중에서 2.1.1. 선정기준에 만족하며, 2.1.2. 제외기준에 해당 사항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였다. 시험담당자는 시험의 모든 정보를 시험대상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시험대상자는 자발적으로'탈모 증상 완화 인체적용시험 동의서와 시험대상자 선정을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시험에 참가하였다.
2.1.1. 시험대상자 선정기준
① 만 20세 ~ 만 54세의 안드로겐성 탈모증으로 진단된 남녀 환자
(1) Basic and Specific(BASP) 분류에 의해 진단된 남녀 환자
- basic type은 M1 이상 또는 C1 이상 또는 U1 이상으로 진단된 남녀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
- specific type은 V1 이상 또는 F1 이상으로 진단된 남녀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
(2) Norwood-Hamilton 분류에 의해 2 또는 2A 이상으로 진단된 남성 환자
(3) Ludwig 분류에 의해 1 이상으로 진단된 여성 환자
② 연구기간 동안 특별한 모발용품이나 모발관리 및 조작을 하지 않을 환자
③ 연구기간 동안 동일한 머리모양을 유지할 환자
④ 본 시험의 목적을 이해하고 피험자로서 동의서에 서면 동의한 자
⑤ 본 시험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사람
⑥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
⑦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사람
2.1.2. 시험대상자 제외기준
① 최근 6개월 전부터 시험결과에 영향을 줄만한 심각한 급성 신장 또는 심장 질환 또는 기타 만성 질환(고혈압, 당뇨 등)을 앓고 있는 자
② 임신 중 혹은 수유 중이거나 6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자
③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자
④ 모발 이식술, 두피 축소술 등의 탈모에 대한 외과적 처치를 받은 적이 잇는 자
⑤ 최근 6개월 내 경구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또는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복용한 적이 있는 자
⑥ 최근 1개월 간 국소 발모제 및 양모, 육모제를 도포하고 있는 자
⑦ 최근 1개월 간 다음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자: 스테로이드, 세포사멸제, 혈관확장제, 항고협압제, 항전간제, 베타수용체 차단제, 기관지 확장제, 이뇨제, spironolactone, cimetidine, diazoxide, cyclosporine, ketoconazole
⑧ 최근 6개월 내에 동일 시험에 참여한 자
⑨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자
2.1.3. 시험대상자 중도탈락 기준
아래와 같은 사항이 발생하면, 시험담당자는 시험대상자의 시험 참여를 중지시키고 이를 시험결과 산정에서 제외하였다.
① 시험대상자가 시험참여 동의를 철회한 경우
② 시험대상자가 시험 진행 과정 중 개인사정에 의해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
③ 시험대상자가 시험 진행 과정 중 시험 부위에 시험시료 외 탈모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 또는 물리적 시술을 사용한 경우
④ 시험부위에 소양감이나 홍반 등의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⑤ 피험자가 시험 진행 중 육안으로 식별되는 머리모양 및 색 변화(퍼머넌트웨이브 또는 염색 등)를 일으킨 경우
⑥ 시험대상자가 사용방법이나 일정을 어기는 등 시험담당자의 지시를 따르지 않아 평가가 어려운 경우
2.1.4. 시험대상자 안전대책
본 시험계획서에 규정된 대로 인체적용시험이 적절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설비와 전문 인력을 갖추고 시험대상자의 안전 보호에 만전을 기한다. 시험담당자는 본 시험계획서에 명시된 부작용 및 주의사항 등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히 숙지하고 시험도중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해당 시험대상자의 시험을 중지하고 병원진료 및 치료 등의 적절한 의학적 조치를 취한 후, 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 통보해야한다. 또한 사전에 의뢰사와 피해자 보상에 관한 규약을 체결하여, 시험대상자에게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2.1.5. 시험대상자 개인정보보호대책
시험의 일부로 시험대상자의 성명, 나이, 검사결과 등을 수집한다. 하지만 시험대상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비밀로 보장되며, 인체적용시험의 결과가 출판될 경우에도 시험대상자의 신원은 영문이니셜 및 개인식별코드로 기입되어 비밀이 유지된다. 개인식별코드란 시험대상자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험담당자가 각각의 시험대상자에게 부여한 고유 식별기호이다.
시험대상자의 정보가 담긴 자료는 연구 종료 후 5년 동안 보관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지시하거나 의뢰기관에서 보관기간을 연장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연장할 수 있다. 시험대상자는 자료 보유 및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수 있으나,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에 서명하는 것은 자료의 사용을 허락하는 것이다.
2.2. 시험대상자 수 및 산출근거
시험대상자 수는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의 Ⅱ. 인체적용시험법 1. 일반사항. 통계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시험군과 대조군 각 20명 이상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는 1항의 내용에 따라 모집하였다.
2.3. 시험방법 및 평가방법
2.3.1. 시험 준비
1) 본 시험은 선정된 시험대상자에게 시험개요 및 시험물질의 사용방법, 시험기간 동안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충분히 설명한 후 자발적으로 시험동의서(Informed Consent)를 작성하였다.
2) 시험대상자는 탈모 부위에 삭모 및 직경 1 mm의 작은 점 문신 시술을 하였다.
2.3.2. 시험물질 사용 및 적용방법
평가를 위해 시험대상자에게 본원발명의 조성물을 1일 1회 온수로 모발 및 두피를 충분히 적신 후, 적당향(3~5ml)을 모발과 두피에 골고루 도포하여 마사지 한 다음 깨끗이 헹궈내었다.
2.3.3. 측정 일정
1) 제 1 평가 : 시험물질 사용 전 (1차 36명: 2020-05-28 ~ 2020-05-29, 2차 11명: 2020-06-17)
2) 제 2 평가 : 시험물질 사용 8주 후 (1차 36명: 2020-07-22 ~ 2020-07-24, 2차 11명: 2020-08-11)
3) 제 3 평가 : 시험물질 사용 16주 후 (1차 36명: 2020-09-16 ~ 2020-09-18, 2차 11명: 2020-10-07)
4) 제 4 평가 : 시험물질 사용 24주 후 (1차 36명: 2020-11-11 ~ 2020-11-13, 2차 11명: 2020-12-01)
2.3.4. 측정 항목
1) 포토트리코그램(Phototrichogram)
- 장 비 명 : 모발확대경 (Folliscope 3.0, LeadM)
- 시험부위 : 탈모 부위에 모발은 자른 부위, 매번 문신한 점을 중심으로 함
- 평가방법 : 장비를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측정하여 1 cm2 원내에 있는 모발 수를 측정하였다.
2) 사진 촬영에 의한 전문가 평가(육안평가)
- 장 비 명 : 카메라 (DSLR Camera, EOS 100D, Canon, Japan)
- 촬영부위 : 45도(앞머리선), 90도(정수리)
- 촬영방법 : 평가 시점마다 동일한 조건, 구도 및 위치에서 동일한 부위를 촬영
- 평가방법 : 7점 척도(매우 나빠짐 -3, 나빠짐 -2, 조금 나빠짐 ??, 변화없음 0,
조금 좋아짐 +1, 매우 좋아짐 +3, 좋아짐 +2, 매우 좋아짐 +3)로 평가
2.3.5. 설문 평가
본 시험에서의 설문평가는 시험물질 사용 8주 후, 사용 16주 후, 사용 24주 후에 이루어졌다. 평가항목은 시험대상자의 주관적 개선정도와 제품의 사용감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탈모 증상 완화에 대한 주관적 개선 정도를 7점 척도(매우 나빠짐 -3, 나빠짐 -2, 조금 나빠짐 -1, 변화없음 0, 조금 좋아짐 +1, 좋아짐 +2, 매우 좋아짐 +3)로, 시험제품의 사용감에 관한 문항을 5점 척도(매우 불만족 -2, 불만족 -1, 보통 0, 만족 +1, 좋아짐 +2)로 실시하였다.
2.3.6. 이상반응 평가
각 평가 시점에서 시험자가 시험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관찰하고 시험대상자를 통해 시험물질에 의한 피부자극 및 신체 이상유무를 확인하였다.
2.3.7. 안전성 평가
시험물질의 안전성은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시험대상자에게 보고되는 이상반응 증상의 유무로 평가하였다.
2.3.8. 순응도 평가
시험대상자는 정해진 사용법 및 사용 횟수에 따라 시험제품의 사용 여부를 시험제품과 함께 배포된 순응일지에 작성하도록 안내하였다. 100 %의 순응도 중 80 % 미만으로 사용한 시험대상자는 측정 데이터 분석 값에서 제외하도록 하였다.
순응도=(실제사용횟수 / 총횟수) x 100
2.3.9. 유해사례
유해사례 평가는 개인별 증례기록서(Case Report Form)에서 시험대상자에게 문진과 육안으로 유해사례(가려움, 화끈거림, 따끔거림, 작열감, 뻣뻣함, 자통)나 다른 이상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발생한 경우에는 자극의 정도가 약한 정도인지, 중간 정도인지, 심한 정도인지를 구분하여 기록하고 시험 중지 또는 탈락사항이 발생하는지 점검하여 증례기록지에 기입하였다.
2.4. 통계
시험제품의 탈모 증상 개선 유효성 평가를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6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의 통계적 유의성은 정규성 검정 후 p < 0.05 수준에서 모수적 검정 중 시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성은 Paired-Samples t-test에 의해, 각 군별 사용 전과 후의 유의성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통해 검정하고, 비모수적 검정은 Wilcoxon signed ranks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3. 시험결과
3.1. 시험대상자 기본정보(붙임 4, 5)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는 시험군 22 명, 대조군 25 명으로, 시험군의 연령은 47.6±9.2세, 대조군의 연령은 43.8±7.5세 이었으며, 시험군은 여성 17명, 남성 5명, 대조군은 여성 20명, 남성 5명이었다.(표 2, 3)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3.2. 시험물질 사용 전, 후 주차별 모발 수 및 증가율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시험군 22 명, 대조군 25 명의 시험물질 사용 전, 후 주차별 모발확대경을 통해 시험부위를 측정하여 1 cm2 원내에 있는 모발 수를 정리 하였다(표 4, 5).
Figure pat00003
3.3. 전문가의 육안 평가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시험군 22 명, 대조군 25 명의 시험물질 사용 후 사진 촬영에 의한 전문가 평가(육안평가) 결과를 정리하였다. 10 % 절사 평균법 이용(표 6, 7)
Figure pat00004
3.5. 시험물질 사용 후 제품 만족도 설문 평가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시험군 22 명, 대조군 25 명의 시험물질 사용 후 제품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정리하였다(표 10, 11).
Figure pat00005
3.6. 피부이상반응 평가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시험군 22 명, 대조군 25 명의 시험물질 사용 후 피부이 상반응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정리하였다.(표 12, 13)
- 설문 조사 후 확인한 결과 모든 피험자가 가볍고 짧았던 증상임을 밝혔다.
Figure pat00006
3.7. 순응도 평가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시험군 22 명, 대조군 25 명의 시험물질 사용에 대한 순응도를 순응일지를 통해 정리하였다(표 14).
Figure pat00007
4. 결론
본 시험은 본원발명의 조성물의 탈모 증상 완화 평가를 위한 인체적용시험 시험이다.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총 47명이 최종 평가까지 참여하였고, 시험군의 연령은 47.6±9.2세, 대조군의 연령은 43.8±7.5세 이다.
선정된 49명의 시험대상자들 중 2명의 시험대상자는 2.1.3 ②항 시험 진행과정중 개인사정에 의해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에 해당되어 중도탈락 되었다. 나머지 47명의 시험대상자들은 특별한 피부 증상이 없었고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 및 약물 복용도 없었다.
시험물질 사용 전, 후 주차별 1 cm2 원내에 있는 모발 수를 측정한 결과 시험군의 경우 시료 사용 8주 후, 사용 16주 후, 사용 24 주 후가 시료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5)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의 경우 시료 사용 24주 후가 시료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5)를 나타내었다.
또한 군간 비교결과 시료 사용 16주 후, 사용 24 주 후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5)를 나타내었다.
전문가의 육안 평가 결과, 10 % 절사 평균법으로 시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시험대상자에 의한 주관적 설문평가 결과,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개선 정도를 나타냈다. 기기에 의한 모발측정과 육안평가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은 실제 측정값의 개선이 육안으로 보일 정도가 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서울제비꽃 (Persicaria sentic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제품 생산 및 관련 산업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2)

  1. 서울제비꽃 (Persicaria senticosa(Meisn.) H.Gross ex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울제비꽃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 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210017912A 2021-02-08 2021-02-08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20114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12A KR20220114428A (ko) 2021-02-08 2021-02-08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12A KR20220114428A (ko) 2021-02-08 2021-02-08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28A true KR20220114428A (ko) 2022-08-17

Family

ID=8311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12A KR20220114428A (ko) 2021-02-08 2021-02-08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4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903A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래디안 모발 및 염색 모발의 탈색 방지용 및 피부 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03B1 (ko) 2008-06-09 2010-04-29 공수경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101267198B1 (ko) 2012-08-15 2013-05-27 김진옥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20180104516A (ko) 2017-03-13 2018-09-21 (주)하늘마음바이오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200139970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피알앤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03B1 (ko) 2008-06-09 2010-04-29 공수경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101267198B1 (ko) 2012-08-15 2013-05-27 김진옥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20180104516A (ko) 2017-03-13 2018-09-21 (주)하늘마음바이오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의 천연생약 치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200139970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피알앤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903A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래디안 모발 및 염색 모발의 탈색 방지용 및 피부 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534796B (zh) 一种含有艾叶提取物的抗过敏爽肤水及其制备方法
JP7275103B2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2443708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2245363B (zh) 一种丹参美白祛斑面膜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977233B2 (ja) 頭部用組成物
CN110960461A (zh) 一种头皮护理组合物及其应用
KR20020040669A (ko)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MXPA05003230A (es) Uso de extractos activos para mejorar la apariencia de la piel, labios, cabello y/o unas.
KR20220114428A (ko) 서울제비꽃 추출물을 포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0559231A (zh) 一种美白、祛斑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220114429A (ko) 탈모개선 및 발모촉진용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1821228A (zh) 一种祛黄抗皮肤光老化的组合物及其应用
US11717476B2 (en) Moringa peregrina seed extract rich in 2,5-diformylfuran, process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cosmetic compositions
US11648196B2 (en) Active ingredient including a black oat extract and a spiny restharrow extract and cosmetic uses, in particular anti-graying
KR20130092260A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2431820B1 (ko) 당유자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hiab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ssessing phytochemicals and natural ingredients for skin and hair care
KR20190006303A (ko)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