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303A -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303A
KR20190006303A KR1020170087101A KR20170087101A KR20190006303A KR 20190006303 A KR20190006303 A KR 20190006303A KR 1020170087101 A KR1020170087101 A KR 1020170087101A KR 20170087101 A KR20170087101 A KR 20170087101A KR 20190006303 A KR20190006303 A KR 2019000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660B1 (ko
Inventor
정문석
김창호
이정훈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정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석 filed Critical 정문석
Priority to KR102017008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6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생약추출물을 얻고,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누룩배양액으로 발효시켜서 얻어진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와송추출물 50~150 중량부와 줄풀추출물 50~150 중량부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의 0.2~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containing mixed herbal extracts fermented with Nuruk}
본 발명은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생약추출물을 얻고,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누룩배양액으로 발효시켜서 얻어진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사회생활 속에서 다양한 인간관계가 설정되고, 특히 첫인상이 그 사람과의 인계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좀더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기 위해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기능을 개선시켜 주는 각종 기능성 화장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피부는 인체에서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환경적, 신체적, 사회적 스트레스나 불안감 등에 의해서 여러 가지 피부이상(skin disorder)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여드름이다. 여드름의 병인은 남성호르몬에 의한 피지 분비의 증가, 과각화된 모낭벽의 증가, 여드름 유발균(P. acnes)의 증식에 의한 염증유발, 피부장벽 이상, 유전, 환경적 요인, 모낭의 반응성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의 발생기전을 살펴보면, 남성 호르몬이 피지 분비를 촉진하고 그 배출구인 모공이 두꺼운 각질로 채워지면, 모공 속의 여드름 박테리아가 피지의 주성분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으로 변화 시킨다. 이때 인체는 이런 반응에 대처하기 위한 면역 반응을 시작하면서 백혈구가 모이고 이로 인하여 염증이 발생하며 모공이 막혀 피지와 각질이 섞여서 배출되지 못하고 여드름이 발생하는 것이다.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부터 시작되고, 남자는 15~19세, 여자는 14~16세 사이에 흔하게 발생하며, 여드름 환자 중 약 80% 정도는 20세 중반부터 서서히 여드름 병변이 없어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성인 여드름은 청소년기부터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지속형 여드름(persistent acne)과, 25세 이후 처음 발생하는 후발형 여드름(late-onset acne)이 나타나기도 하며, 특히 여성의 경우 40대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을 치료 및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박탈된 각질 형성세포의 응집을 막는 방법, 여드름 유발균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방법, 면포 용해제를 이용하여 모공을 막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항염증제를 사용하여 염증성 반응을 치료하는 방법, 피지선 활동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막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약물요법으로서 국부성 레티노이드류 치료제, 호르몬 치료제, 국부성 항균제, 구강투여 항생제 등과 같은 화학적 치료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여드름 치료방법들은 부작용을 수분하는 경우가 많아서 소비자의 불안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다 안전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안전한 천연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여드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0-0712249호(2007년 04월 20일)에는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081913호(2011년 11월 03일)에는, 길경, 감초, 두릅, 연교, 치자, 황백, 황금, 황련, 지황, 작약, 천궁, 당귀, 시호, 박하, 우방자 및 천화분으로 이루어진 생약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에 잎새버섯(KCTC 10337BP) 균사체 또는 잎새버섯(KCTC 10337BP) 균사체의 전 배양액을 혼합한 후, 본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본 배양 후, 본 배양액으로부터 잎새버섯(KCTC 10337BP) 균사체를 제거하는 단계; 로부터 수득된 여과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10-1609340호(2016년 03월 30일)에는 흑송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흑송껍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사매열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포도껍질 8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한편, 황금과 와송 및 줄풀의 항염증 작용에 대해서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즉, 국내 특허등록 제10-1485104호(2015년 01월 15일)에는 황금 및 목단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고, 특허공개 제10-2013-0072661호(2013년 07월 02일)에는 와송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공개 제10-2016-0080513호(2016년 07월 08일)에는 줄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0712249호(2007년 04월 20일) 특허등록 제10-1081913호(2011년 11월 03일) 특허등록 제10-1609340호(2016년 03월 30일) 특허등록 제10-1485104호(2015년 01월 15일) 특허공개 제10-2013-0072661호(2013년 07월 02일) 특허공개 제10-2016-0080513호(2016년 07월 08일)
이처럼 종래에도 여드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효능이 있는 생약 화장료 조성물들이 다수 개발되어 있지만, 여드름은 개인적 체질이나 그 발생기전에 따라 치료 효과가 상이하고, 또한 화장품은 의약품과 달리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어서 새로운 생약성분을 이용한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계속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 작용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는 황금과 와송 및 줄풀을 이용하여 피지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여드름 유발균(P. acnes)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특히 피부의 여드름 증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생약추출물을 얻고,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누룩배양액으로 발효하여 얻어진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과 와송 및 줄풀의 건조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3,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이를 50~80 C의 온도에서 20~30시간 동안 추출하여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와송추출물 50~150 중량부와 줄풀추출물 50~150 중량부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의 0.2~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룩배양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1~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4~30 C의 온도에서 2~6시간 동안 배양하여서 얻어진 것이고,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상기 복합생약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누룩배양액 5~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24~30 C의 온도에서 5~8시간 동안 발효시켜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누룩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효소들의 대사작용에 의해서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이 갖고 있는 항산화 기능과 항염증 기능은 증진되고, 반대로 상기 생약 성분의 세포독성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 및 노화방지 효과와 함께 특히 여드름 증상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복합생약추출물’이라 함은 황금과 와송 및 줄풀의 건조분쇄물을 정제수로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한 여과액을 의미하고, ‘누룩배양액’은 누룩을 정제수 내에서 배양시킨 후 여과한 여과액을 의미하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상기 누룩배양액으로 발효시킨 후 여과한 여과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생약추출물을 누룩배양액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과 와송 및 줄풀의 건조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3,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이를 50~80 C의 온도에서 20~30시간 동안 추출하여서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의 추출온도가 50 C 미만이면, 상기 생약들의 건조분쇄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을 충분히 추출해 내지 못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상기 추출온도가 80 C를 초과하면 상기 유효성분들 중 일부가 휘발되거나 분해될 가능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와송추출물 50~150 중량부와 줄풀추출물 50~150 중량부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의 0.2~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구성하는 생약 원료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황금(黃芩, Skullcap)은 우리나라·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에 주로 서식하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높이 20∼6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에는 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지며, 7∼8월에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친 자주빛 꽃을 피운다. 황금은 중추신경의 흥분을 완화하는 진정작용이 있고, 주요 구성성분인 바이칼린(baicalin)과 바이칼레인(baicalein)이 혈소판 응고를 억제하며, 항염증 작용이 우수하여 죽상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금추출물은 항원의 자극에 의한 화학전달 물질의 유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알러지 체질을 개선하는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와송(瓦松)은 바위솔(Orostachys)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바위솔이란 바위에 붙어 자라는 소나무라는 뜻이다. 꽃봉오리의 모양이 소나무의 수꽃에 해당하는 부분의 모양을 닮았다. 오래된 고가의 기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라서 일명 ‘기와버섯’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와송은 여러가지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와송에 존재하는 다양한 올리고당 및 아플라톡신 B1(Aflatoxin B1)은 아토피 같은 심한 피부 질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줄풀(Manchurian wild rice)은 강이나 하천, 물웅덩이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풀의 잎과 뿌리는 당뇨병, 고혈압, 중풍, 심장병, 변비, 비만, 동맥경화 등에 약용으로 쓰이며, 몸 안에 있는 독을 풀어주고 대장과 위를 보호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꾸준히 복용을 하면 몸속에 노폐물을 배출시키면서 독소 제거가 되어 각종 염증 치료에 유용하며 피부질환 개선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누룩은 우리나라의 전통 술을 만드는 효소를 갖는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시킨 것으로서, 자연 상태에서 다양한 세균과 효모, 곰팡이 등이 부착되어 있고, 특히 아밀라제, 글루코시다제, 프로테아제 등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누룩의 복합효소들을 이용하면, 상기 생약 추출물, 즉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독 성분을 완화 내지 분해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생약 추출물 속에 다량 존재하는 폴리페놀 배당체를 비배당체 형태로 생물 전환하여 폴리페놀의 항산화 효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누룩 곰팡이의 대사산물 중에는 코지산(kojic acid)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코지산은 지난 1980년대부터 화장품의 미백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누룩배양액으로 발효시키면, 상기 코지산의 미백 효능과, 상기 폴리페놀의 항산화 효능, 그리고 상기 생약성분 고유의 항염증 작용 등이 서로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항산화 효능에 의한 피부미백 및 노화방지 효과와 함께 항염증성 효능에 의한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원료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누룩배양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1~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4~30 C의 온도에서 2~6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누룩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누룩 속에 포함되어 있는 복합효소들의 양이 너무 적어서 이를 충분히 배양하기가 곤란하고, 반대로 3 중량부를 초과하면, 누룩배양액이 너무 혼탁하여져서 효과적인 누룩배양액의 제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누룩배양액의 배양온도가 24 C 미만이거나 30 C를 초과하면, 배양 속도가 지연되거나, 누룩의 효소 또는 일부 미생물의 활성이 저해를 받아 발효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상기 복합생약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누룩배양액 5~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24~30 C의 온도에서 2~24시간 동안, 바람직하기로는 5~8시간 동안 발효시켜서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누룩배양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누룩의 발효능이 부족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에 필요한 유효성분의 생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누룩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들이 과다하게 성장하거나 비정상적인 발효가 진행되어 역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에 필요한 유효성분의 생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실시한 푸리에변환 이온사이클로트론 공명질량분석기(FT-ICR Mass)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누룩에 포함되어 있는 효소들의 대사작용에 의해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새로운 유효성분들이 생성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한다. 그래서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발효시간에 따라 항염증 효능과 항산화 효능에 큰 차이를 보였으나, 세포독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유용한 발효시간은 2~24 시간이지만, 바람직한 발효시간은 5~8시간인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크림, 유연화장수, 밀크로션, 세안제 또는 미용비누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고, 각 제형에 따라 적절한 안정화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소포제 등과 같은 보조제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의 제조
건조한 황금 뿌리와 와송 전초, 그리고 줄풀 잎을 각각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로 잘게 분쇄한 복합생약분쇄물 100g을 5L 용기에 넣고, 여기에 정제수 2,900g을 투입하였다. 상기 복합생약분쇄물과 정제수를 충분히 혼합하고, 70 C 에서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6㎛ 와트만 여과지(whatman #3)로 여과하여 복합생약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별도로 발효통에 누룩 40g과 정제수 1960g을 투입하고, 26 C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한 다음, 6㎛ 와트만 여과지(whatman #3)로 여과하여 누룩배양액을 제조 하였다.
상기 복합생약추출물 100 중량부와 상기 누룩배양액 10 중량부를 발효통에 넣고, 26 C 배양기에서 발효시키면서 발효시간이 2시간, 4시간, 6시간 및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각각 배양액을 시료로 채취하였다. 상기 시료를 각각 10㎛ 여과지로 1차 감압 여과하고, 이어서 다시 0.45㎛ 여과지로 2차 여과하여 발효시간대 별로 4종의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시료로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 항산화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에 대한 항산화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시료 4종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시험에 사용된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는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의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시험방법은 0.2mM DPPH 용액과 상기 시료를 각각 1;1(v/v)의 비율로 혼합하고, 37℃ 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항산화력은 “[1-(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무첨가구의 흡광도)]×100”의 계산식에 의해 전자공여능(%)을 산출하였으며, 대조구는 시료 대신 메탄올을 첨가하였고, 양성 대조구로는 비타민 C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다음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6시간 동안 발효 했을 때 항산화 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시간이 24시간이 경과하면 항산화 능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시간 DPPH 소거능 활성도(%)
2 시간 43.0
4 시간 53.1
6 시간 63.3
24 시간 52.6
[ 시험예 2 ] 항염증성 시험
본 발명의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에 대한 항염증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Hyaluronidase(HAase) 활성저해 측정법을 실시하였다. 즉, Sodium-hyaluronic acid(HA)로부터 형성된 N-acetylglucosamine을 Glucoxazoline 유도체로 변형시킨 후 p-dimethyl aminobenzaldehyde(DMAB)로 발색시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0.1 M Sodium acetate buffer(pH 3.5)에 녹인 HAase(8,000 U/ml) 0.05 ml와 상기 누룩발효액을 각각 0.1 ml씩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여기에 12.5 mM CaCl2 0.1ml를 혼합하여 다시 20분간 반응하였다. 기질로서 0.1 M sodium acetate buffer(pH 3.5)에 녹인 Hyaluronic acid(12 mg/ml)를 첨가하고 다시 40분간 반응하여 0.4 N Potassium tetraborate 0.1 ml 및 0.4 N NaOH 용액을 0.1 ml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후 3분 동안 수욕 상에서 가열하고 냉각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반응물에 발색제로 DMAB 시약 3 ml을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한 다음,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활성을 산출 하였다. 항염증 능력인 HAase 저해율(%)은 “HAase 저해율(%) = ( 1 시료첨가군의 흡광도 )×100/ 무첨가군의 흡광도”의 계산식으로 계산 하였다.
실험 결과, 다음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발효시간이 6시간 일 때 가장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효시간이 24시간이 경과하면, 항산화 성능과 유사하게 항염증 성능도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시간 HAase 저해율(%)
2 시간 13.5
4 시간 28.7
6 시간 46.9
24 시간 44.1
[ 시험예 3 ] 세포독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고, 적정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MTT 분석법에 따라 세포독성을 시험하였다. 24 well plate에 HS68 Fibroblast cell을 3x10⁴cell로 시딩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세포가 잘 부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농도별로 시약을 처리하였다. 2일간 배양 하고, 5 mg/ml MTT 시약을 200ul 처리한 다음, 37℃ CO2 배양기에서 3.5 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DMSO 1 ml을 넣은 후 진탕 배양기에서 15분 동안 세포 가용화(cell solubilization)를 실시하고, 59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다음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시간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다소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유의할 만한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4시간 배양 후에는 세포 독성이 조금씩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발효시간 세포 생존율(%)
2 시간 92.4
4 시간 93.8
6 시간 88.2
24 시간 90.5
[ 시험예 4 ]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효성분의 변화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에 대하여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의 푸리에변환 이온사이클로트론 공명질량분석기(FT-ICR Mass)와 천연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효성분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고로 FT-ICR-Mass 분석기는 질량분석 비교를 통하여 생약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비로서, 특히 생약추출물의 발효 이전과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효성분들의 변화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다. 다만, FT-ICR-Mass의 분석결과를 효과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천연물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운용해야 한다.
상기 FT-ICR-Mass 분석기는 먼저 주요 구성성분에 대한 Mass/Charge 피크들을 확보하고, 각 피크에 해당되는 분자식(Molecular-Formula)과 이온화 정보( Ionization-Adducts)를 계산한 다음, 천연물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이온화 정보를 제외하고 나머지 분자식에 해당하는 화학분자 구조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한다.
이렇게 탐색된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대상 생약추출물의 생물 분류체계(Taxonomy)와 기존에 알려진 주요 구성성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성질량체 (Isotopic-Mass)에 대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필터링한 데이터 중에서 분자설계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35만여종의 천연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발효 이전의 유효성분과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유효성분에 대한 정보를 찾아낸다.
상기 FT-ICR-Mass 분석기를 이용한 시험 결과, 본 발명의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다음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개시 전에는 신규 유효성분이 23개로 확인 되었으나, 발효시간 4시간 경과 후에 42개, 6시간 경과 후에 60개, 그리고 24시간 경과 후에 86개의 유효성분이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효 전 유효성분 개수 신규로 생성되는 유효성분의 개수
2시간 발효 4시간 발효 6시간 발효 24시간 발효
23 35 42 60 86
상기 FT-ICR-Mass 분석을 통하여 확인되는 사실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새로운 유효성분이 생성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유효성분들이 다시 분해되어 소멸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효능실험에서 발효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는 사실과도 일치한다. 그리고, 6시간 발효에 비해 24시간 발효 했을 때 유효성분의 개수는 증가했으나, 상기 실험예 1 및 2의 효능실험은 24시간 발효가 더 저조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6시간 발효 했을 때 나타나는 유효성분들이 24시간 발효시의 유효성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누룩발효액의 주성분이 되는 누룩발효액의 발효시간은 2~24시간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발효시간이 5~8시간, 특히 6시간 일 때 전체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 실시예 비교예 ]
하기 표 의 구성성분 및 함량비율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과, 상기 누룩발효액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비교예)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Transcutol CG 16.49 16.49
1,3-Propanediol 5.00 5.00
Rhedol TW-O120(TWEEN 80) 1.20 1.20
Triethyl Citrate 11.00 11.00
Lauric Acid 0.40 0.40
Activonol-M 1.00 1.00
Which Hazel Ext(Hamamelis Ext) 4.70 4.70
Potassium Iodide 0.30 0.30
유기황 0.10 0.10
DeAc Complexs 0.30 0.30
MultiEx BSASM Plus 1.00 1.00
Ethanol (95%) 15.50 15.50
DL-Mandelic Acid 2.00 2.00
Salicylic Acid 0.10 0.10
KF 6011 1.00 1.00
Ethyl Linoleate 0.30 0.30
Vitamin A Acetate 0.01 0.01
복합생약 누룩발효액 0.20~2.00 -
정제수 잔량 잔량
합 계 100 중량% 100 중량%
[ 시험예 5 ] 피지량 개선효과 시험
안면 부위에 여드름이 있는 20~35세 사이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시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을 선정하고, 상기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시험군)과 상기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대조군)을 각각 8주 동안 매일 바르게 하였다. 모든 시험과정은 시험 담당자 및 피시험자가 어떤 제품을 사용하는지 모르도록 이중 맹검법(double blind)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공정한 시험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화장품·의약품에 자극이나 알러지가 있는 사람, 심한 여드름, 심한 염증, 습진, 건선, 피부암 등 심한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 시험 부위에 여드름 이외의 피부질환을 가진 사람, 시험시작 전 1개월 내에 여드름 치료목적으로 스킨 스케일링이나 레이저, 광역동 치료, 피부관리 등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은 모두 평가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피시험자는 시험기간인 8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시험물질인 상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을 여드름 부위와 왼쪽 콧방울 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시켰다. 시험기간 중에는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여드름 개선 화장품의 사용을 일절 금하였으며, 팩이나 마사지 등의 시술도 금하였다.
여드름성 피부의 피지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Sebumeter(SKIN-O-MAT, Cosmomed GmbH, Germany)를 이용하였다. Sebumeter는 특수한 반투명 지질흡수 테이프를 피부에 부착한 후 분리했을 때 묻어나오는 유분량을 광학적 반사원리(photometric reflection)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장비로서, 측정단위는 ㎍/㎠이고 최대값은 350 ㎍/㎠이다.
피지량 측정방법은 동일한 시험 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콧방울 부위에 유분흡착 테이프가 부착된 탐침용 카세트를 동일한 압력으로 30초간 접촉하여 유분을 흡착한 후, 이를 Sebumeter 본체에 삽입하여 측정값을 도출하였다. 상기 측정값을 시험물질을 사용하기 전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피지량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측정시기는 시험물질 사용 전과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각각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실시예 평균 피지량 (ug/cm2) 113.50 78.45 59.40
피지량 개선율(%) 0 30.9 47.7
비교예 평균 피지량 (ug/cm2) 117.35 94.23 82.48
피지량 개선율(%) 0 19.7 29.7
상기 표 6의 시험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평균 비지량이 4주 사용 후에 30.9%, 8주 사용 후 47.7% 각각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대조군에 비해 훨씬 우수한 피지량 개선 효과를 보여 주었다.
[ 시험예 6 ]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사용 적합성 시험
또한,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lobal acne grading system(출처 : Ramli R et al., Acne analysis, grading and computational assessment methods: an overview. Skin Res Technol, 18: 1-14, 2012.)에 따라 시험 책임자가 육안평가를 실시하였다. Global acne grading system(GAGS)은 얼굴과 흉부와 등을 6구역(이마, 양 볼, 코, 턱, 흉부와 등 상부)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 대하여 여드름 병변의 심각성에 따라 0~4점(0; Nil, 1; Comedone, 2; Papule, 3; Pustule, 4; Nodule)으로 평가한다.
이때, 한 구역에 다양한 병변이 나타난 경우는 가장 심각한 병변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각 구역에서 도출한 병변 점수를 기준으로 GAGS의 계산 공식을 적용하여 총 합산점수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시험자의 여드름 등급(1~18점; mild, 19~30점; moderate, 31~38점; severe, 39점 이상; very severe)을 평가한다. 평가 시기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각각 실시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 표 7에 수록하였다.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등급점수가 감소할수록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 적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 분 사용 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실시예 평균점수 15.95 14.20 14.10
개선율(%) 0 11.0 11.6
비교예 평균점수 16.32 15.98 15.68
개선율(%) 0 2.1 3.9
상기 표 7의 시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여드름 등급점수가 4주 사용 후 11.0%, 8주 사용 후 11.6%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황금추출물과 와송추출물 및 줄풀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생약추출물을 얻고,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을 누룩배양액으로 발효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과 와송 및 줄풀의 건조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3,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이를 50~80 C의 온도에서 20~30시간 동안 추출하여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황금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와송추출물 50~150 중량부와 줄풀추출물 50~150 중량부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의 0.2~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룩배양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누룩 1~3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4~30 C의 온도에서 2~6시간 동안 배양하여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 누룩발효액은, 상기 복합생약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누룩배양액 5~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24~30 C의 온도에서 5~8시간 동안 발효시켜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유연화장수, 밀크로션, 세안제 또는 미용비누 형태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87101A 2017-07-10 2017-07-10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01A KR101985660B1 (ko) 2017-07-10 2017-07-10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01A KR101985660B1 (ko) 2017-07-10 2017-07-10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03A true KR20190006303A (ko) 2019-01-18
KR101985660B1 KR101985660B1 (ko) 2019-06-04

Family

ID=6532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01A KR101985660B1 (ko) 2017-07-10 2017-07-10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8B1 (ko) 2019-07-26 2019-12-12 (주)티이엔 여드름 피부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573A (ja) * 1994-06-09 1995-12-19 Osaka Yakuhin Kenkyusho:Kk 化粧料組成物
KR100712249B1 (ko) 2005-04-21 2007-04-3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081913B1 (ko) 2009-02-02 2011-11-0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02367B1 (ko) * 2010-03-19 2012-11-16 주식회사 콧데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누룩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30072661A (ko) 2011-12-22 2013-07-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송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485104B1 (ko) 2013-12-24 2015-01-28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8959A (ko) * 2013-10-28 2015-05-11 영농조합법인 이노플랜트 와송 추출물 또는 와송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609340B1 (ko) 2014-06-13 2016-04-05 전라북도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60080513A (ko) 2014-12-29 2016-07-08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573A (ja) * 1994-06-09 1995-12-19 Osaka Yakuhin Kenkyusho:Kk 化粧料組成物
KR100712249B1 (ko) 2005-04-21 2007-04-3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081913B1 (ko) 2009-02-02 2011-11-0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02367B1 (ko) * 2010-03-19 2012-11-16 주식회사 콧데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누룩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30072661A (ko) 2011-12-22 2013-07-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송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50048959A (ko) * 2013-10-28 2015-05-11 영농조합법인 이노플랜트 와송 추출물 또는 와송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85104B1 (ko) 2013-12-24 2015-01-28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9340B1 (ko) 2014-06-13 2016-04-05 전라북도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60080513A (ko) 2014-12-29 2016-07-08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와일드라이스효능 줄풀, [Online], 2015.05.14.,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7412k/220358962394>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8B1 (ko) 2019-07-26 2019-12-12 (주)티이엔 여드름 피부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660B1 (ko)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01897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발효 및 가수분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CN112190593B (zh) 一种抑制trpv1通路的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297756B (zh) 一种具有滋润保湿、抗敏功效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1315A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KR101985660B1 (ko)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5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559231A (zh) 一种美白、祛斑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2581166B1 (ko) 황칠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5630A (ko)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30133310A1 (en) Moringa peregrina seed extract rich in 2,5-diformylfuran, process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cosmetic compositions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