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776A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1776A KR20220111776A KR1020210014355A KR20210014355A KR20220111776A KR 20220111776 A KR20220111776 A KR 20220111776A KR 1020210014355 A KR1020210014355 A KR 1020210014355A KR 20210014355 A KR20210014355 A KR 20210014355A KR 20220111776 A KR20220111776 A KR 202201117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harging
- current
- output
-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4—Wheel ch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7—Volt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9—Cur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의 전단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 컨버터(101)의 후단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며;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를 차단시킴을 통하여 출력전력을 차단(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자동차, 전동킥보드, 전동휠체어,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및 호보버드 등에서 배터리의 충전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구간을 갖는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충전은 매우 중요하다. 배터리 충전과 관련하여 다양한 발명 및 선행문헌이 제시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2059호, 공고일 2014. 07. 29.(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에서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은 액체 상태 물질 반응을 통한 전원을 생성하는 스택을 포함하는 전지; 과전류 발생을 감지하고 전지의 고립 여부를 제어하는 보호부; 고립 지원을 위해 전지에 연결된 릴레이 장치; 스택의 출력을 부하와 연결된 인버터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부; 전지의 상태 및 전지의 출력에 따른 정보를 타 단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전지의 상태 및 전지의 출력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장치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5208호, 공고일 2021. 01. 19.(이하 [특허문헌2]라 함)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 충전 및 교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는 배터리 상태 확인 단계; 주행가능거리 예측 단계; 주행 정보 확인 단계; 주행거리 예측 단계; 거리비교 단계; 운전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추천되는 추천 단계; 예상 주행경로를 기반으로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 시점 또는 교체식 배터리의 교체 시점이 추천되며, 예상 주행경로는 과거 주행 이력을 기초로 학습된 머신런닝 모델을 통해 예측되는 전기자동차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 충전 및 교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3295호, 공고일 2020. 05. 20.(이하 [특허문헌3]이라 함)에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AC-DC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은 입력부; 동기정류 및 액티브 클램프를 수행한 후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DC-DC 변환하여 출력하며 스너버 회로를 구비하는 출력부; 바이어스 공급부; 인버터부; EMC 필터부; 돌입전류 제한부; 입력정류부; 입력전압전류검출부; 역률 보상 2상 부스트 컨버터부; 직류전압 전압 검출 및 필터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AC-DC 컨버터를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3]의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공개하였다. 하지만, 첫째,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를 제어하고, 둘째, 배터리의 저항의 판단하고, 셋째,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 저항을 판단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하게 배터리의 충전시 과전류를 방지하는 것을 넘어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후 전류가 상승하고, 그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제1 구간(12)을 갖고, 그 이후에 다시 전류가 상승하는 제2 구간(13)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하는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 값이 증가하는 경우는 1)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2)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의 접촉이 불량한 경우이며, 상기 저항(R)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우는 3)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4)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하는 제1 구간(12)의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를 통하여 충전기의 출력 저항(R)이 급격하게 상승 또는 급격한 감소하는 경우에 충전기의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충전기 및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는,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 컨버터(10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며;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一定)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를 차단시킴을 통하여 출력전력을 차단(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배터리(60); 상기 배터리에 직류(DC)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기(100);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R)이 0.2 [Ω]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릴레이(40)를 차단(off) 시킴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00) 충전전력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R)이 100 [Ω]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릴레이(40)를 차단(off) 시킴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00) 충전전력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는, 제1,2 컨버터(101,102);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13-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13-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13-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에서 제1 전류의 변동() 및 제1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1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에서 제2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2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저항()은 다음의 식(1)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에서 제1 전류의 변동() 및 제1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1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에서 제2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2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12-3)에서 제3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3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저항()은 다음의 식(2)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는,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컨버터(102);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출력단 케이블(58)과 배터리(60)를 접촉시키는 배터리 접촉단자(56);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 컨버터(10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출력단 케이블(58)과 배터리(60)를 접촉시키는 배터리 접촉단자(56);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방법은,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을 가지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다음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가지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 다음에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계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다음에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一定)한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단계 다음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을 가지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은, 첫째, 배터리의 충전시 일정(一定)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증가하므로 과전류를 방지하며, 둘째, 상기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을 계산하며, 셋째, 상기 저항(R)에서 급격하게 저항 값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의 접촉이 불량한 경우로 판단하며, 넷째, 상기 저항(R)에서 급격하게 저항 값이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된 경우로 판단하며, 다섯째, 충전기의 출력 저항(R)이 급격하게 상승 또는 급격한 감소하는 경우에 충전기의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충전기 및 배터리를 보호하는 특별히 상승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시 시간에 따른 정전류 모드 및 정전압 모드 개념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는 정전압 제어 기반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3은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4는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1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5는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2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6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3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7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장치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는 정전압 제어 기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이다.
도 10은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이다.
도 11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이다.
도 2는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는 정전압 제어 기반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3은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4는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1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5는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2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6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3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다.
도 7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장치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는 정전압 제어 기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이다.
도 10은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이다.
도 11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시 시간에 따른 정전류 모드 및 정전압 모드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 또는 니켈전지 등에 관게없이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모드는 정전류 모드와 정전압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초창기의 정전류 모드에서는 최대 충전전류로 충전되며 천천히 충전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일정(一定) 시간 이후에 정전압 모드는 충전전압이 천천히 상승하며, 충전전류가 점차 감소하는 배터리의 충전 특성을 가진다.
도 2는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는 정전압 제어 기반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를 나타낸다. 기존에 일정(一定)한 전압으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정전압 제어를 하는 충전기의 경우, 배터리 충전시 시작시간()에서 급작스럽게 초기 과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전압 제어를 하는 충전기의 경우 소용량의 배터리 충전에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대용량 배터리 충전에서는 초기 기동시 과전류로 인하여 상기 배터리 내부의 분리막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및 충전기 수명의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의 상기 정전압 제어를 하는 충전기의 경우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문제가 되므로 초기 기동시 일정(一定)한 기울기를 가지며 전류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배터리 내부의 분리막을 손상방지 및 배터리 및 충전기 수명의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배터리의 저항의 판단하고,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 저항을 판단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도 4는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1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에서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는 배터리(60); 상기 배터리에 직류(DC)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기(100);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와 상기 배터리(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을 갖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 실질적으로 여러 실험을 통하여 상기 저항(R)이 100 [Ω]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 내부 저항이 증가하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저항(R)이 0.2 [Ω] 이하인 경우,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한다.
이의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릴레이(40)를 차단(off) 시킴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00) 충전전력 발생을 중단시킴을 통하여 첫째,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를 제어하고, 둘째, 배터리의 저항의 판단하고, 셋째,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 저항을 판단하고, 넷째, 충전기의 출력 저항(R)이 급격하게 상승 또는 급격한 감소하는 경우에 충전기의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충전기 및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은 본 발명의 특별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2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이며, 도 6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제3 실시예의 충전 전압 및 전류 파형 개념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5 및 도 6에서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는 배터리(60); 상기 배터리에 직류(DC)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기(100);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상기 배터리(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13-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13-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13-2)을 갖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에서 제1 전류의 변동() 및 제1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1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에서 제2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2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저항()은 다음의 식(1)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에서 제1 전류의 변동() 및 제1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1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에서 제2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2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12-3)에서 제3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3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저항()은 다음의 식(2)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제1-2 구간(12-2), 제1-3 구간(12-3), 제1-4 구간(12-4) 등을 통하여 각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 , ...) 및 각 구간에서 전압의 변동(, , , ...) 비율을 각 구간에서 저항(, , , ...) 을 계산하고, 평균을 취하여 저항()을 계산함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출력단 저항()을 선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 실질적으로 여러 실험을 통하여 상기 저항(R)이 100 [Ω]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 내부 저항이 증가하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저항(R)이 0.2 [Ω] 이하인 경우,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한다.
이의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릴레이(40)를 차단(off) 시킴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00) 충전전력 발생을 중단시킴을 통하여 충전기 및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은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8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장치 제2 실시예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컨버터(102);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출력단 케이블(58)과 배터리(60)를 접촉시키는 배터리 접촉단자(56);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를 제안한다.
제안된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주제어부(30)를 통하여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제어부(30)를 통하여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에서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주제부(30)는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를 차단시킴을 통하여 출력전력을 차단(off)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첫째,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를 제어하고, 둘째, 배터리의 저항의 판단하고, 셋째,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 저항을 판단하고, 넷째, 충전기의 출력 저항(R)이 급격하게 상승 또는 급격한 감소하는 경우에 충전기의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충전기 및 배터리를 보호하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9는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는 정전압 제어 기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기존의 정전압 제어 기반의 배터리 충전기의 경우, 배터리 충전전류가 24[A]이지만, 초기 과전류가 40[A] 이상 순간적으로 초기 기동시 과전류가 발생하므로 상기 배터리 내부의 분리막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및 충전기 수명의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0은 기존의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 배터리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초기 기동시 과전류를 억제하며 천천히 상승하는 전류 제어기반의 충전기의 경우, 초기 기동시 일정(一定)한 기울기를 가지며 전류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배터리 내부의 분리막을 손상방지 및 배터리 및 충전기 수명의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배터리의 저항의 판단하고,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 저항을 판단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도 11은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 충전 전압 및 전류 실험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제안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기의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하여 첫째,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를 제어하고, 둘째, 배터리의 저항의 판단하고, 셋째, 배터리와 연결된 케이블 저항을 판단하고, 넷째, 충전기의 출력 저항(R)이 급격하게 상승 또는 급격한 감소하는 경우에 충전기의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충전기 및 배터리를 보호하는 특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다.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 컨버터(10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며;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一定)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를 차단시킴을 통하여 출력전력을 차단(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을 가지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다음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가지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 다음에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계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다음에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一定)한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 배터리 충전 이전의 구간
11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
12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
12-1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
12-2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
12-3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
12-4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4 구간
13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
13-1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
13-2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
13-3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3 구간
14 : 배터리 충전시 전류 최고점
15 : 배터리 충전시 전류 최고점 이후 전류의 완만한 감소 구간
20 : 입력단 필터부
30 : 주제어부
40 : 출력단 릴레이부
41 :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
51 : 입력단 단자
52 : 디스플레이
53 : 교류전원 접속부
54 : 출력단 (-)단자
55 : 출력단 (+)단자
56 : 배터리 접촉단자
57 : 입력단 케이블
58 : 출력단 케이블
60 : 배터리
100 : 배터리 충전장치
101 : 제1 컨버터
102 : 제2 컨버터
201 : 입력단 가스켓(input gasket)
202 : 출력단 가스켓(output gasket)
203 : 측면 가스켓(side gasket)
Ich : 배터리 충전 전류
: 시간
: 제1 시간
: 제2 시간
: 제3 시간
: 배터리 충전시 시작시간
: 배터리 충전시 전류 최고점의 시간
Vch : 배터리 충전 전압
11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
12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
12-1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
12-2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
12-3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
12-4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4 구간
13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
13-1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
13-2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
13-3 :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3 구간
14 : 배터리 충전시 전류 최고점
15 : 배터리 충전시 전류 최고점 이후 전류의 완만한 감소 구간
20 : 입력단 필터부
30 : 주제어부
40 : 출력단 릴레이부
41 :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
51 : 입력단 단자
52 : 디스플레이
53 : 교류전원 접속부
54 : 출력단 (-)단자
55 : 출력단 (+)단자
56 : 배터리 접촉단자
57 : 입력단 케이블
58 : 출력단 케이블
60 : 배터리
100 : 배터리 충전장치
101 : 제1 컨버터
102 : 제2 컨버터
201 : 입력단 가스켓(input gasket)
202 : 출력단 가스켓(output gasket)
203 : 측면 가스켓(side gasket)
Ich : 배터리 충전 전류
: 시간
: 제1 시간
: 제2 시간
: 제3 시간
: 배터리 충전시 시작시간
: 배터리 충전시 전류 최고점의 시간
Vch : 배터리 충전 전압
Claims (14)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 컨버터(10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며;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一定)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를 차단시킴을 통하여 출력전력을 차단(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배터리(60);
상기 배터리에 직류(DC)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기(100);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1,2 컨버터(101,102);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2 컨버터(101,102)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13-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1 구간(13-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이거나, 배터리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 연결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감소하거나, 충전기의 출력단 단자가 단락(Short)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장치의 출력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이 0.2 [Ω]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릴레이(40)를 차단(off) 시킴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00) 충전전력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이 100 [Ω]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릴레이(40)를 차단(off) 시킴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00) 충전전력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2 구간(13-2)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1 구간(12-1)에서 제1 전류의 변동() 및 제1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1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2 구간(12-2)에서 제2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2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3 구간(12-3)에서 제3 전류의 변동() 및 제2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제3 저항으로 규정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의 출력단 저항()은 다음의 식(2)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식(2)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1 컨버터(101);
상기 제1 컨버터(101)의 전단(前段)에 배치되며, 입력단 전원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단 필터부(20);
상기 제1 컨버터(10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단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
상기 출력단 전압 및 전류 검출부(41)의 후단(後段)에 배치되며, 출력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단 릴레이부(40);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와 연결된 출력단 케이블(58);
상기 출력단 케이블(58)과 배터리(60)를 접촉시키는 배터리 접촉단자(56);
상기 배터리 충전기(100)는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구간(11) 이후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
상기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의 급격한 감소 제1 구간(12)을 통하여 제1 구간에서 전류의 변동() 및 전압의 변동() 비율을 저항으로 규정하며;
상기 저항()의 값이 설정된 일정(一定)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출력단 릴레이부(40)를 차단시킴을 통하여 출력전력을 차단(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다음에 배터리 충전 시작 후 전류상승 제2 구간(13)을 가지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355A KR20220111776A (ko) | 2021-02-01 | 2021-02-01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4355A KR20220111776A (ko) | 2021-02-01 | 2021-02-01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1776A true KR20220111776A (ko) | 2022-08-10 |
Family
ID=8284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4355A KR20220111776A (ko) | 2021-02-01 | 2021-02-01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1776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059B1 (ko) | 2012-12-11 | 2014-07-29 | 전자부품연구원 |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
KR102113295B1 (ko) | 2018-09-14 | 2020-05-20 | 세기전자산업(주) |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ac-dc 컨버터 |
KR102205208B1 (ko) | 2019-05-29 | 2021-01-19 |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의 충전 및 교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2021
- 2021-02-01 KR KR1020210014355A patent/KR2022011177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059B1 (ko) | 2012-12-11 | 2014-07-29 | 전자부품연구원 |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
KR102113295B1 (ko) | 2018-09-14 | 2020-05-20 | 세기전자산업(주) |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용 ac-dc 컨버터 |
KR102205208B1 (ko) | 2019-05-29 | 2021-01-19 |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의 충전 및 교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44285B2 (en) | Charge controller for vehicle | |
US9680303B2 (en) |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ource system | |
TWI463763B (zh) | 充電控制裝置、方法及其電池管理系統 | |
KR0173961B1 (ko) | 모드변환형 배터리 충전장치 | |
JP5593849B2 (ja) | 組電池の監視装置 | |
EP2481624B1 (en) | Vehicle charging system and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 |
CN105308825B (zh) | 用于dc-ac逆变器的预充电和电压供应系统 | |
JP5488877B2 (ja) | 電動工具 | |
CN110843530B (zh) | 大中功率电动车多模块智能驱动系统及其大中功率电动车 | |
CN1179640A (zh) | 电池充电装置 | |
CN103765724B (zh) | 充电式电设备 | |
WO2013129231A1 (ja) | 電源装置 | |
CN110816302A (zh) | 一种大中功率电动车多模块智能驱动系统的充电控制方法 | |
US20130285476A1 (en) | Power supply device, inverter device, power tool | |
JP4179204B2 (ja) |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 |
JP2004166404A (ja) | 太陽電池電源装置 | |
JP2011229275A (ja) |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 |
KR102561515B1 (ko)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
KR20220111776A (ko) |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 |
KR100520568B1 (ko) | 환경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과충전 방지 제어방법 | |
JP4139290B2 (ja) | 電気車輌用電源装置 | |
JP3737150B2 (ja) |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 | |
CN216489840U (zh) | 电池模组的充放电电路 | |
EP4447257A2 (en) | Battery system | |
CN110696752B (zh) | 一种纯电动汽车低压电气系统能效提升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