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59B1 -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59B1
KR101422059B1 KR1020120143277A KR20120143277A KR101422059B1 KR 101422059 B1 KR101422059 B1 KR 101422059B1 KR 1020120143277 A KR1020120143277 A KR 1020120143277A KR 20120143277 A KR20120143277 A KR 20120143277A KR 101422059 B1 KR101422059 B1 KR 10142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ack
pump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567A (ko
Inventor
오승열
송성근
신덕식
이상택
조주희
최정식
차대석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65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other components of a fuel cell or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체 상태 전지를 기반으로 전력 저장 및 출력을 적절하게 수행하되, 이 과정에서 최적의 출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펌프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체 상태 물질로 구성되고 액체 상태 물질의 반응을 통한 전원을 생성하는 스택을 포함하는 전지, 전지의 스택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액체 상태 물질의 유량 제어를 위한 펌프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Battery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운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 기능 지원을 위하여 펌프 구성을 포함하는 전지 시스템의 효율적인 펌프 운용 및 전지 관리를 지원하도록 지원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의 급등이나 환경에 관련된 규제 등으로 인하여 기존 발전기에 대한 제약이 많으므로 화석연료에 의존한 발전에서 과다한 초기 투자비에 의해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CO2 저감에 의한 환경보존을 위한 자구적인 노력으로 태양광 및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 확대 보급을 위한 세계적인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신재생 에너지의 종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태양광이나 열을 이용한 발전원, 풍력을 이용한 발전원, 수력을 이용한 발전원 등 자연 에너지를 발전원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은 설치에 소요되는 설비비가 높은 반면에 환경오염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은 주변 환경 영향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력을 한번 생산된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전력이 강하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생산된 전력을 적절하게 저장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된 전력을 온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형태로 해당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고효율의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326007호 (1993. 12. 1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상태 전지를 기반으로 전력 저장 및 출력을 적절하게 수행하되, 이 과정에서 최적의 출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펌프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펌프 동작 제어를 액체 상태 전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면 설치가 운반 등이 용이한 전지를 제공하며, 이러한 전지의 최적 출력 지원을 위한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전지를 구성하는 액체 물질의 온도 제어를 최적화하여 적절한 출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또한 셀 및 스택 전압을 측정하는데 있어 저항 분압을 통해 계측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셀 전압, 전류, 유량, 전해질 온도 및 충전상태(State Of Charge) 등을 표시장치와 SOC 및 충·방전 제어 및 특수 제어를 담당하는 MCU를 포함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한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흐름전지 특성에 맞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운용방법을 최적화하여 흐름전지의 출력을 최대로 하고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 상태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상태 물질의 반응을 통한 전원을 생성하는 스택을 포함하는 전지, 상기 전지의 스택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 상태 물질의 유량 제어를 위한 펌프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펌프와 상기 스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 전원 공급을 지원하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택의 전압 및 전류 검출, 상기 액체 상태 물질의 온도 검측을 수행하는 센싱부, 상기 스택의 전압 및 전류 검출에 따라 상기 펌프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전지의 충전 여부, 충전 상태 변화, 전력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펌프의 모터 전압을 유량 증가 또는 유량 감소를 위한 전압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스택의 전압 센서부는 저항 분압을 통하여 전압을 센싱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택의 과전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지의 고립 여부를 제어하는 보호부와 고립 지원을 위해 상기 전지에 연결된 릴레이 장치, 상기 스택의 출력을 부하와 연결된 인버터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지의 상태 및 상기 전지의 출력에 따른 정보를 타 단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전지의 상태 및 상기 전지의 출력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스택 출력,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전 상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해질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스택의 출력으로 동작하는 펌프의 모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현재 시점의 상기 충전 상태, 상기 스택 출력의 전력 변화량, 상기 모터 전압을 기반으로 다음 시점의 상기 모터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의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해질의 온도를 검측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의 온도와 사전 정의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해질 온도 조정을 위한 냉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은 액체 상태 전지의 유량제어에 있어 펌프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 하여 전지 출력을 최대로 하여 최적의 유량 제어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전해질 용액의 온도 상승에 따른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온도를 센싱하여 냉각시스템을 구동하는 제어를 포함함으로서 레독스 흐름전지의 출력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용량에서 출력을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기 시스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운용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운용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운용 시스템(10)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운용 시스템(10)은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 및 부하(3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10)의 전지 형태를 레독스 흐름 전지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운용 시스템(10)이 적용될 수 있는 전지는 레독스 흐름 전지뿐만 아니라 전해질과 같은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이용하여 전원을 저장하거나 출력하도록 마련되며, 이 과정에서 액체 물질의 펌핑이 요구되는 전지라면 어떠한 전지라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배터리 운용 시스템(10)은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출력을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을 통하여 부하(300)에 전달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부하(300)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이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전해질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생산된 전원을 전해질 흐름을 제어하는 펌프에 제공하도록 지원하되,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출력이 부하(300)에 맞는 최적의 전원이 될 수 있도록 펌프 동작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전원과 부하(300) 공급 전원을 고려한 적절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부하(30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와 연결된 인버터(120)에 연결되며, 인버터(120)에서 공급된 전원을 소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하(300)는 균일한 전원을 소모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그리고 시간에 따라 소모하는 전원의 크기를 다르게 요구할 수 있다. 부하(300)가 필요로 하는 전원의 양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 제어에 따라 해당 전원의 양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부하(300)는 인버터(12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적 기계적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모터 장치, 조명 장치, 온도 조절 장치 등 다양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는 탱크(160)에 저장된 전해질을 펌프(150)를 통해 스택(110)에 공급한다.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는 스택(110)에 전달된 전해질은 일정 반응을 일으켜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인버터(120)를 통해 부하(300)에 공급한다. 이러한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는 스택(110), DC-DC 컨버터(140), 펌프(150), 탱크(160), 냉각기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택(110)은 복수개의 탱크(160)로부터 극성이 다른 전해질들이 유입되어 화학 반응을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전원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스택(110)에서 생성된 전원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을 통하여 인버터(120)에 전달된다. DC-DC 컨버터(140)는 스택(110)에서 생산된 전원을 이용하여 펌프(150)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DC-DC 컨버터(140)는 스택(110)에서 생산된 전원을 펌프(150)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전원을 펌프(15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DC-DC 컨버터(140)는 스택(110)에서 제공된 전원을 펌프(150) 구동을 위해 사전 정의된 일정 크기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펌프(150)에 제공할 수 있다.
펌프(150)는 DC-DC 컨버터(14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펌프(150)는 펌핑 동작 수행을 통하여 탱크(160)에 저장된 전해질을 스택(110)으로 이동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펌프(150)의 펌핑 동작에 따라 스택(110)에 공급되는 전해질의 양이 달라지며, 결과적으로 스택(110)에서의 전해질들의 반응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원의 양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펌프(150)의 펌핑 동작 제어는 부하(3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부하(300)가 요구하는 전원과 DC-DC 컨버터(140)가 요구하는 전원의 양에 해당하는 전원이 생성되도록 펌프(150)의 펌핑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펌프(150)의 펌핑 동작 제어 및 스택(110)의 전원 생산 등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탱크(160)는 전해질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탱크(160)는 일정 극성의 전해질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서브 탱크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160)는 스택(110)과 연결되는 관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관로에는 상술한 펌프(150)가 배치될 수 있다. 탱크(160)에 저장된 서로 다른 극성의 전해질은 펌프(150)의 제어에 따라 탱크(160)에서 스택(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의 탱크(160)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펌프(150) 또한 각 탱크(160) 별로 할당될 수 있다. 펌프(150)의 펌핑 동작 지원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140) 역시 각 펌프(150)에 독립적으로 배당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펌프(150)를 동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나의 DC-DC 컨버터(1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스택(110)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원 중 일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50) 구동을 위해 마련된 복수개의 DC-DC 컨버터(140)들에 제공된다.
냉각기 시스템(170)은 탱크(160)의 온도를 검출하고, 탱크(160)가 사전 정의된 온도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탱크(160)에 저장된 전해질을 스택(110)에 이동시켜 전원을 생성하도록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은 탱크(160)의 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전해질 특성 상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반응 특성이 열화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냉각기 시스템(170)은 탱크(160)의 온도를 검측하고 탱크(160)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냉각기 시스템(170)은 탱크(160)의 온도를 검측하는 센서가 수집한 센서 신호에 따른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상태 관리 및 전원 관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부하(300)에서 요구하는 전원량을 확인하고 해당 전원량이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에서 생성되어 부하(300)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이 과정에서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가 적절한 반응을 가지며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센싱부(210), 보호부(220), 표시 장치부(230), 외부 인터페이스부(240), 통신부(250), 인버터(120), 중앙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셀 및 스택(110)의 전압과 전류, 전해질의 온도, 유량을 계측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센싱부(210)는 상술한 각 정보들을 수집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싱부(210)는 셀 및 스택(110)의 전압과 전류 센싱을 위하여 스택(110)의 출력단에 배치되는 전압 및 전류 검출 센서(181, 183)를 포함한다. 이때 전압 검출 센서는 저항 분압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신뢰도 높고 정확도가 높은 전압 검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센싱부(210)는 전해질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검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전해질의 온도 센싱을 위한 센서는 탱크(160)의 일측에 부착되거나 탱크(160)의 일정 부위에 인접된 부분에 배치되어 탱크(16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싱을 위한 센서는 탱크(16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탱크(160)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중앙 제어부(260)에 제공하여 냉각기 시스템(170) 구동 제어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장단점 예컨대 제작의 용이성과 곤란성, 온도 측정의 정확성 확보 또는 개략적인 온도 측정 특성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설계자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10)는 유량 계측을 위하여 탱크(160)와 스택(110) 사이에 배치된 관로 상에 배치된 유량 계측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센싱부(210)가 수집한 센서 신호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중앙 제어부(26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10)는 탱크(160)와 스택(110) 사이에 배치된 관로의 유량 검측을 위한 유량 계측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220)는 스택(110)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출력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호부(220)는 센싱부(210)가 센싱한 스택(110)의 출력 전류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를 보호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릴레이 장치의 턴-오프를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인버터(120)에 연결된 스위치 장치 또는 릴레이 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부(220)는 센싱부(210)의 전류 센싱 결과가 사전 정의된 일정 전류 이상인 경우 과전류 fault로 인식하고 상기 릴레이 장치(190)를 턴-오프하도록 지원한다.
표시 장치부(230)는 셀과 스택(110)의 전지 충전 상태에 대한 예측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센싱부(210)는 셀과 스택(110)의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한 결과를 중앙 제어부(2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부(260)는 다음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재된 SOC(State of charge) 예측 알고리즘을 통하여 현재 전지의 충전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수학식 1]
SOCt+1 = SOCt + ΔSOC
[수학식 2]
ΔSOC=ΔE/Ecapacity=PstackㅧTimestep/Ecapacity
=IstackㅧVstackㅧTimestep/PratingㅧTimerating
수학식 1에서 SOCt 는 시간 "t"에서의 충전 상태이며, "SOCt+1 은 시간 "t+1"에서의 충전 상태, ΔSOC는 충전 변화량이다. 충전 변화량 ΔSOC은 에너지 변화량 ΔE을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에너지 용량 Ecapacity으로 나눈 값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변화량 ΔSOC는 스택(110)의 센싱부(210)에서 검출된 스택의 전류량 Istack 및 전압량 vstack에 특정 시간 스탭 Timestep을 곱한 값을 정격 전력 Prating 및 정격 시간 Timerating의 곱으로 나눔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60)는 상술한 수학식을 이용하여 전지 충전 상태에 대한 예측 결과가 도출되면,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 장치부(2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부(23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전지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중앙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특정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25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상태를 관리해야 하는 관리자가 보유한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되고, 중앙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구동 상태나,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50)는 보호부(220) 동작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과전류 보호를 위한 릴레이 장치(190) 차단되면 그에 따른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센싱부(210)가 센싱한 데이터들 예컨대 스택(110)의 전류 및 전압 데이터, 관로를 통해 흐르는 전해질의 유량 정보, 탱크(160)의 또는 전해질의 온도 정보 등을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인버터(120)는 스택(110)에서 전달된 전원을 부하(300)에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인버터(120)는 부하(300)가 모터 등의 기계 동작을 지원하는 구성인 경우 스택(110)에서 제공된 전원을 모터 구동을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인버터(120)는 전달된 전원을 승압하거나 감압하는 등의 작업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원의 상을 분류하여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버터(120) 구동은 중앙 제어부(260)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을 연결하는 다양한 구성들의 인터페이스이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는 센싱부(210)와 중앙 제어부(26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DC-DC 컨버터(140) 제어 및 펌프(150)의 모터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릴레이 장치(190)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인버터(120) 구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냉각기 시스템(170)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60)는 상술한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 구동 제어를 위한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하고,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상태 제어를 위한 신호 전달을 수행한다.
중앙 제어부(26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SOC 예측과, 인버터(120) 제어, DC-DC 컨버터(140)를 통하여 펌프(150) 제어, 냉각기 시스템(170)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중앙 제어부(260)는 센싱부(210)가 수집한 다양한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가 부하(300)가 필요로 하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가 적절한 정상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 제어부(260)는 센싱부(210)에서 센싱한 스택(110)과 탱크(160)를 연결하는 관로의 유량 계측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60)는 수신된 계측 데이터와 사전 저장된 모터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펌프(150)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DC-DC 컨버터(140) 및 펌프(150)에 전달하여 해당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150)의 가동률을 높여 전해질의 유량을 증가시킬 경우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출력은 증가하게 되지만 이에 사용되는 DC 모터의 전력소모 또한 증가하게 되어 인버터(120)에 입력되는 전지 출력은 결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앙 제어부(26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출력과 펌프(150)의 모터의 소모 전력을 도면 3과 같은 알고리즘의 모터 제어를 통해 최적의 유량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150)의 모터 제어를 통한 최적 유량 도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최적 유량 도출 방법은 S101 단계에서 센싱부(210)가 스택(110)의 전압 Vst(k), 스택(110)의 전류 Ist(k), SOC, 펌프(150)의 모터 전압 Vm(k)을 센싱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k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특정 시간 시점을 나타내는 변수 값이 될 수 있다. 센싱부(210)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는 중앙 제어부(260)에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60)는 S103 단계에서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택(110)의 전력 Pst(k)를 산출한다. Pst(k)는 스택(110)의 전압 및 스택(110)의 전류 값의 곱으로 연산된다. 또한 중앙 제어부(260)는 S105 단계에서 k 시점의 전력 변화량 ΔPst(k)를 산출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 제어부(260)는 k-1 시점의 전력 Pst(k-1)을 이전 시점에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k 시점의 전력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전력 변화량이 산출되면 중앙 제어부(260)는 산출된 전력 변화량을 확인하여 S107 단계에서 충전(charge)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중앙 제어부(260)는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S109 단계로 분기하여 SOC 변화(variation)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SOC 변화가 있는 경우 중앙 제어부(260)는 S111 단계로 분기하여 전력 변화량 ΔPst(k)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력 변화량이 "0"보다 큰 경우 중앙 제어부(260)는 S113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시점의 모터 전압 변화량 ΔVm(k+1)을 현재 모터 전압 Vm(k)에서 사전 정의된 일정 전압 값 α만큼 감산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펌프(150)의 모터 전압 또는 DC-DC 컨버터(140)에 공급되는 전압을 사전 정의된 "α"만큼 줄여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α"값은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크기, 부하(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는 값으로 실험치에 의해 결정되거나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출력 용량 등에 따라 특정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S111 단계에서 전력 변화량 ΔPst(k)가 "0"보다 작은 경우 중앙 제어부(260)는 S115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모터 전압 변화량 ΔVm(k+1)를 현재 모터 전압에 사전 정의된 α값만큼 증가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펌프(150) 모터의 모터 전압을 증가시켜 탱크(160)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질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260)는 감속된 전력 변화량을 보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S109 단계에서 SOC 변화가 없는 경우 중앙 제어부(260)는 S117 단계로 분기하여 모터 전압 또는 DC-DC 컨버터(140)에 공급되는 다음 전압 변화량 ΔVm(k+1)를 현재 모터 전압이 되도록 유지한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별도의 모터 전압 변화를 주지 않고 현재 단계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S107 단계에서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중앙 제어부(260)는 S119 단계로 분기하여 SOC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SOC 변화가 있는 경우 S121 단계에서 전력 변화량 ΔPst(k)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60)는 전력 변화량이 "0"보다 큰 경우 S123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시점의 모터 전압 변화량 ΔVm(k+1)을 현재 시점의 모터 전압 ΔVm(k)에 사전 정의된 α값만큼 증가된 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60)는 S121 단계에서 전력 변화량 ΔPst(k)가 "0"보다 작은 경우 S125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운전 시점의 모터 전압 변화량 ΔVm(k+1)을 현재 시점의 모터 전압 ΔVm(k)에서 사전 정의된 α값만큼 감산된 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미충전 상태에서 SOC 변화가 있는 경우 전력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 충전 상태와 상반된 제어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S1109 단계에서 SOC 변화가 없는 경우, 중앙 제어부(260)는 S127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모터 전압 변화량 ΔVm(k+1)을 현재 모터 전압 값 ΔVm(k)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충전 여부에 관계없이 SOC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모터 전압 변화량을 현재 모터 전압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SOC 변화량이 없는 상태는 모터 전압에 의하여 스택(110)의 출력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임으로 중앙 제어부(260)는 현재 모터 전압 상태를 다음 모터 전압에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 제어는 충전 상태에서 SOC 변화가 "0"보다 큰 전력 변화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모터 전압을 낮추도록 제어하며, "0"보다 작은 전력 변화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터 전압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또한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 제어는 미충전 상태에서 SOC 변화가 "0"보다 큰 전력 변화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유량을 증가시켜 필요한 전력량을 충당하도록 지원하며, SOC 변화가 "0"보다 작은 전력 변화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유량을 감소시켜 감속된 전력량에 대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경우 전해질의 온도 상승에 따라 셀 및 스택(110)의 출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센싱부(210)에서는 전해질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중앙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그러면 중앙 제어부(260)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해질 탱크(160) 주위의 냉각기 시스템(170)의 On/Off 제어 또는 온도 제어를 도 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온도 제어 방법은 먼저 S201 단계에서 센싱부(210)가 전해질 온도 Tsen을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전해질 온도 센싱을 위한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측정된 전해질 온도 Tsen을 중앙 제어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60)는 S203 단계에서 센싱부(210)가 제공한 전해질 온도 Tsen을 사전 정의된 기준 전해질 온도 Tref와 비교한다. 이 단계에서 측정된 전해질 온도가 기준 전해질 온도보다 작은 경우 S205 단계로 분기하여 정상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냉각기 시스템(17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제어부(260)는 냉각기 시스템(170)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부(260)는 S203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측정된 전해질 온도가 기준 전해질 온도보다 큰 경우 S207 단계로 분기하여 냉각기 시스템(Cooling system)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부(260)는 냉각기 시스템(170)을 구동하여 전해질 온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260)는 상술한 전해질 온도 측정과 기준 전해질 온도와의 비교 및 그에 따른 냉각기 시스템(170) 구동 제어를 일정 주기로 수행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제어부(260)는 인버터(120)에 전원 소비를 위한 부하(300)가 접속되는 시점에 상술한 루틴을 구동하여 냉각기 시스템(170)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부하(300) 접속 이전에는 상술한 루틴 구동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 제어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은 먼저 S301 단계에서 센싱부(210)가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다양한 센서 데이터 수집을 지원한다. 예컨대 센싱부(210)는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스택(110)의 전압 센서 데이터, 전류 센서 데이터, 유량 계측 데이터, 전해질 온도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 제어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60)는 센싱부(210)가 상술한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면 S303 단계에서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SOC 상태 평가, 펌프(150)의 모터 제어, 냉각기 시스템(170)의 온도 제어, 과전류 발생 여부에 따른 릴레이 장치(190) 제어 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60)는 S305 단계에서 상술한 제어 신호를 외부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100)의 각 구성들 예컨대 펌프(150)의 모터 제어를 위한 DC-DC 컨버터(140), 냉각기 시스템(170), 릴레이 장치(19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중앙 제어부(260)는 센서 데이터에 따른 제어 신호를 통신부(250) 및 표시 장치부(230)에 각각 제공하여 그에 따른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배터리 운용 시스템 100 : 레독스 흐름 전지 장치
110 : 스택 120 : 인버터
140 : DC-DC 컨버터 150 : 펌프
160 : 탱크 170 : 냉각기 시스템
200 : 배터리 관리 시스템 210 : 센싱부
220 : 보호부 230 : 표시 장치부
240 : 외부 인터페이스부 250 : 통신부
260 : 중앙 제어부 300 : 부하

Claims (8)

  1. 액체 상태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상태 물질의 반응을 통한 전원을 생성하는 스택을 포함하는 전지;
    상기 전지의 스택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액체 상태 물질의 유량 제어를 위한 펌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택의 과전류 발생을 감지하고 전지의 고립 여부를 제어하는 보호부와, 고립 지원을 위해 전지에 연결된 릴레이 장치와, 스택의 출력을 부하와 연결된 인버터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부와, 전지의 상태 및 전지의 출력에 따른 정보를 타 단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전지의 상태 및 전지의 출력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장치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스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 전원 공급을 지원하는 DC-DC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스택의 전압 및 전류 검출, 상기 액체 상태 물질의 온도 검측을 수행하는 센싱부;
    상기 스택의 전압 및 전류 검출에 따라 상기 펌프 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전지의 충전 여부, 충전 상태 변화, 전력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펌프의 모터 전압을 유량 증가 또는 유량 감소를 위한 전압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전압 센서부는 저항 분압을 통하여 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운용 시스템.
  6. 삭제
  7. 레독스 흐름 전지의 스택 출력,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전 상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해질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스택의 출력으로 동작하는 펌프의 모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SOC 상태 평가, 펌프의 모터 제어, 냉각기 시스템의 온도 제어 및 과전류 발생 여부에 따른 릴레이 장치 제어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현재 시점의 상기 충전 상태, 상기 스택 출력의 전력 변화량, 상기 모터 전압을 기반으로 다음 시점의 상기 모터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의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의 온도를 검측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의 온도와 사전 정의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해질 온도 조정을 위한 냉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
KR1020120143277A 2012-12-11 2012-12-11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142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77A KR101422059B1 (ko) 2012-12-11 2012-12-11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77A KR101422059B1 (ko) 2012-12-11 2012-12-11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67A KR20140080567A (ko) 2014-07-01
KR101422059B1 true KR101422059B1 (ko) 2014-07-29

Family

ID=5173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277A KR101422059B1 (ko) 2012-12-11 2012-12-11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126A (ko) 2021-02-01 2022-08-09 스마트론파워(주)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20220111776A (ko) 2021-02-01 2022-08-10 스마트론파워(주)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26B1 (ko) * 2014-12-16 2016-11-15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펌프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77530A (ko) * 2014-12-23 2016-07-04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8435B1 (ko) * 2015-01-14 2016-07-12 주식회사 대류 레독스 흐름 전지 성능 평가용 고정밀 스마트 충방전 방법
DE102015210920A1 (de) 2015-06-15 2016-12-15 TRUMPF Hüttinger GmbH + Co. KG Redox-Flow-Batteriesystem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Fehlers in einer Brückenschaltung eines DC/DC-Wandlers eines Redox-Flow-Batteriesystems
KR101772274B1 (ko) * 2015-08-14 2017-08-29 오씨아이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해액 유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78365B1 (ko) * 2018-03-26 2018-07-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전지 시스템
CN108630960A (zh) * 2018-07-25 2018-10-09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热虹吸液流电池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007A (ja) * 1992-05-18 1993-12-10 Ebara Corp 電解液流通型電池装置
JP2005142056A (ja) * 2003-11-07 2005-06-0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システム
JP2011119283A (ja) 2011-03-17 2011-06-1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2160410A (ja) 2011-02-02 2012-08-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解液流通型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007A (ja) * 1992-05-18 1993-12-10 Ebara Corp 電解液流通型電池装置
JP2005142056A (ja) * 2003-11-07 2005-06-0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システム
JP2012160410A (ja) 2011-02-02 2012-08-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解液流通型電池システム
JP2011119283A (ja) 2011-03-17 2011-06-1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およ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126A (ko) 2021-02-01 2022-08-09 스마트론파워(주)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KR20220111776A (ko) 2021-02-01 2022-08-10 스마트론파워(주) 배터리 충전 시작전류 제어 기반의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67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059B1 (ko) 배터리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N108288852B (zh) 独立的直流电电力系统和方法
CN102097821B (zh) 并网能量存储系统以及控制并网能量存储系统的方法
KR100993224B1 (ko)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충전 장치
CN117833190A (zh) 直流总线控制系统
KR101570809B1 (ko) 최대전력 추종 방법 및 장치
CN102812610B (zh) 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WO2012049915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
KR101294807B1 (ko)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01249A (ko)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02118049A (zh) 一种风光水互补发电系统控制装置及方法
JP2010130836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切替装置
JP2007209133A (ja) 電力変換装置
US10906428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hydrogen fuel cell
US11152788B2 (en) Power system
KR101363627B1 (ko) 연료전지와 슈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정전 전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61097A (ko) 태양광 및 풍력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및 그 배터리 충전방법
KR101464411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0610270A (zh) 一种基于油电混合联供的综合能源管理系统及方法
US9929571B1 (en) Integrated energy storage system
KR101946632B1 (ko) 소수력 발전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20160028885A (ko) 발전량에 추종되는 전기 저장장치의 운용 방법
KR101456475B1 (ko) 듀얼 인버터를 구비한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10154B1 (ko) 전력저장 장치 충전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이동형 충전 장치 및 전력저장 장치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저장 장치의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