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271A -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 - Google Patents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271A
KR20220111271A KR1020227018803A KR20227018803A KR20220111271A KR 20220111271 A KR20220111271 A KR 20220111271A KR 1020227018803 A KR1020227018803 A KR 1020227018803A KR 20227018803 A KR20227018803 A KR 20227018803A KR 20220111271 A KR20220111271 A KR 2022011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air
filter
air
working chamber
circula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마르틴 레만
이브 숄러
마티아스 좀머할더
Original Assignee
스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칸 아게 filed Critical 스칸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1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7Ergonomic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2215/003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with the assistance of blowing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Nozzl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주제는 무균 작업 챔버 (14) 및 관련 오염제거 장치 (6) 가 있는 격납 수단 (1) 의 조립체이다. 작업 챔버 (14) 는 바닥에서 베이스 (12) 에 의해 한정되며, 작업 챔버 (14) 위에는 순환 공기 팬 (3) 을 갖는 순환 공기 필터 (2,2') 가 배치되는 순환 공기 영역 (15) 이 있다. 순환 공기 구역 (15) 과 작업 챔버 (14) 는 하우징 (10) 에 의해 외부를 향해 한정된다.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은 작업 챔버 (14) 로부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이어진다. 복귀 공기 필터 (5,5') 는 복귀 공기 채널 (16) 에 유체 연결되며, 특히 순환 공기 구역 (15) 을 향하여 배치된다. 복귀 공기 필터 (5,5') 는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복귀 공기 채널 (16) 의 개구에 배치되거나, 개구로부터 물러나 있는 순환 공기 채널 (16) 에 배치될 수 있다. 복귀 공기 필터 (5,5') 및 순환 공기 필터 (2,2') 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5',2')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이다. 단일 복귀 공기 필터 (5,5')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복귀 공기 필터 (5,5') 및 단일 순환 공기 필터 (2,2')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순환 공기 필터 (2,2') 가 설치될 수 있다.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처리되어야 하는 격납 수단 (1) 은 또한, 복귀 공기 필터 (5,5') 가 또한 설치되는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을 갖는다.

Description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
본 발명은 무균 작업 챔버 및 관련 오염제거 장치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작업 챔버는 바닥에서 베이스에 의해 한정되고, 작업 챔버 위에는 순환 공기 팬이 있는 순환 공기 필터가 설치되는 순환 공기 영역이 있다. 순환 공기 영역 및 작업 챔버는 하우징에 의해 외부를 향하여 한정된다.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이 작업 챔버로부터 순환 공기 영역으로 이어진다. 복귀 공기 필터는 복귀 공기 채널에 유체 연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외부로부터의 오염 입자가 처리될 제품에 도달하지 않아야 하는 살균 제품의 처리에 사용된다. 격납 수단은 특히 예를 들어 제약-화학 산업용의 격리기이다. 이 용어는 모든 유형의 RABS (Restricted Access Barrier System)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된 EP 3 170 545 A1 에는 격납 수단의 구조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전방 측에서, 작업자가 작업 챔버 내부를 볼 수 있고 장갑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도록, 투명 창에 장갑 포트가 삽입된다. 작업 챔버 내로 도입된 층 공기 흐름은, 필터 유닛들에 의해 정제된 복귀 공기 채널을 통해, 작업 챔버 위에 위치한 순환 공기 구역으로 안내된다. 예를 들면, 필터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 유닛들은 넓어진 입구에서 복귀 공기 채널로 삽입되며, 따라서 필터의 교환시에 취급이 유리하다. 그러나, 넓어진 입구가 더 크면, 격납 수단 앞에서의 작업 위치에 있는 작업자의 인체 공학은 완전히 최적으로 구성될 수 없다.
EP 2 666 532 B1 는 격납 수단의 약간 상이한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작업 챔버 내로 도입되는 층류 공기 흐름을 작업 챔버 위에 위치한 순환 공기 구역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이 제공되고, 각 복귀 공기 채널의 유입 개구에는 작업 챔버의 베이스에 놓이는 필터 유닛이 설치된다. 그러나, 작업 챔버 내에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장비에 대해 이용가능한 공간이 제한되고, 작업자는 예를 들어 처리 기계와 같은 의도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작업 장갑을 갖고서 필터 유닛 위에 도달해야 하고, 유효하게는 더 전방으로 뻗어야 한다.
종래기술로부터 계속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적인 구성을 격납 수단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인체공학적으로 더 최적화하여 작업실 내의 이용가능한 공간을 장비의 동작과 셋업을 위해 가능한한 최상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클린룸 컨셉은 효율적인 운영 및 시스템 비용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무균 작업 챔버 및 관련 오염제거 장치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작업 챔버는 바닥에서 베이스에 의해 한정되고, 작업 챔버 위에는 순환 공기 팬이 있는 순환 공기 필터가 설치되는 순환 공기 영역이 있다. 순환 공기 영역 및 작업 챔버는 하우징에 의해 외부를 향하여 한정된다.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이 작업 챔버로부터 순환 공기 영역으로 이어진다. 복귀 공기 필터는 복귀 공기 채널에 유체 연결되고, 특히 순환 공기 구역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하기에 정의되어 있다: 복귀 공기 필터는 순환 공기 영역으로의 복귀 공기 채널의 개구에 또는 개구로부터 물러난 복귀 공기 채널에 배치될 수 있다. 복귀 공기 필터를 보유하는 복귀 공기 채널의 개구는, 순환 공기 구역을 넓히거나 순환 공기 구역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돌출부없이 사실상 선형 단면을 갖고서 순환 공기 구역에 합쳐진다.
복귀 공기 필터와 순환 공기 필터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이다. 단일 복귀 공기 필터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복귀 공기 필터가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순환 공기 필터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순환 공기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은 투명 전방 창 및 그로부터 이격 배치된 투명 채널 창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베이스에 위에 그리고 베이스에 가깝게 위치하는 유입 개구를 갖는다.
순환 공기 영역과 작업 챔버 사이에는, 작업 챔버 내에서 아래로 흐르는 평행 변위 흐름 (층류 흐름) 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기 안내 요소가 연장된다.
오염제거 장치는 순환 공기 영역에 배치된 기화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을 갖는다. 오염제거제는 펌프에 의하여 재료 라인을 통하여 기화기 또는 분무 노즐에 공급되며, 분무 노즐은 압축된 공기를 갖는 에어로졸 형태의 오염제거제를 분무한다.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은 다음으로 향한다:
- 작업 챔버; 및/또는
- 순환 공기 구역과 공기 안내 요소 사이에 있는 중간 공간; 및/또는
-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오염제거 장치의 일부로서의 증발기에 의해 오염제거 모드로 격납 수단이 작동하는 중에, 순환 공기 팬은 감소된 전력, 예를 들어 50% 의 전력으로 제어된다.
작업 챔버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서, 작업 챔버로 향하는 일련의 분무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오염제거 장치에서 분무 노즐에 의해 오염제거 모드로 격납 수단이 작동하는 중에, 순환 공기 팬은 적어도 체적 흐름이 전달되지 않는 정도로 하향-조정된다. 유리하게는, 분무 노즐들은 오염제거제로서 도입된 에어로졸이 작업 챔버 내에서 순환하도록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구조체는 다음으로 향하는 세척 노즐에 의해 추가로 완료된다:
- 작업 챔버; 및/또는
- 순환 공기 구역과 공기 안내 요소 사이에 있는 중간 공간; 및/또는
- 특히 흐름의 방향과 반대인 복귀 공기 필터의 상류인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복귀 공기 채널 및/또는 중간 공간으로 향하는 세척 노즐들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설치되는 한편, 작업 챔버로 향하는 세척 노즐은 수동 분사 건상에 교대로 안착될 수도 있다.
특히, 특정한 목적을 가지거나 또는 더 큰 공기량을 추가로 처리해야 하는 격납 수단은 제 2 복귀 공기 채널을 갖고, 이는 하우징의 벽 부분 및 그로부터 이격된 채널 벽을 포함하고, 다시 베이스 위에 그리고 그 가까이에 위치하는 유입 개구를 갖는다. 제 2 복귀 공기 채널에 속하는 복귀 공기 필터는 또한 순환 공기 영역에 대향하여, 구체적으로 순환 공기 영역으로의 제 2 복귀 공기 채널의 개구에 또는 직접적으로 제 2 복귀 공기 채널에 배치된다. 복귀 공기 필터를 보유하는 제 2 복귀 공기 채널의 개구는 마찬가지로, 순환 공기 구역을 넓히거나 순환 공기 구역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돌출부없이 사실상 선형 단면을 갖고서 순환 공기 구역에 합쳐진다. 제 1 복귀 공기 채널에 대해, 제 2 복귀 공기 채널을 위한 복귀 공기 필터는 또한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이다.
또한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들이 존재하는 경우, 순환 공기 필터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복귀 공기 필터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복귀 공기 필터, 또는 단일 순환 공기 필터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순환 공기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복귀 공기 채널에 대해, 분무 노즐 및 세척 노즐이 또한 제 2 복귀 공기 채널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상이한 실시예들에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경우,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의 형태이다:
도 1 은 순환 공기 구역 내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복귀 공기 채널, 내부에 설치된 복귀 공기 필터, 순환 공기 필터, 및 오염제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의 기화기를 갖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을 갖는 도 1 에 따른 구조체를 갖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 은 순환 공기 구역을 넓히는 돌출부를 갖는 복귀 공기 채널, 내부에 설치된 복귀 공기 필터, 순환 공기 필터, 및 오염제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의 분무 노즐을 갖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 는 순환 공기 구역 내로 돌출된 돌출부를 각각 갖는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 내부에 설치된 복귀 공기 필터, 순환 공기 필터, 및 오염제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의 분무 노즐을 갖는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 는 순환 공기 구역을 넓히는 돌출부를 각각 갖는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 내부에 설치된 복귀 공기 필터, 및 오염제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의 분무 노즐을 갖는 도 4 에 따른 구조체를 갖는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 은 각각의 경우에 복귀 공기 필터로서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도 5 에 따른 구조체를 갖는 제 6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 은 복귀 공기 필터로서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순환 공기 필터로서 일련적으로 배치된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및 오염제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분무 노즐을 각각 갖는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을 갖는 제 7 실시예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무균 작업 챔버를 구비한 격납 수단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은 이어지는 설명 전체에 적용된다.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도면에 참조 숫자가 포함되어 있고 도면으로부터 쉽게 식별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가 "반복" 구성요소라는 것을 바로 연관된 설명 텍스트에서 언급하지 않는 경우, 간결성을 위해, 앞선 도면 설명에 있는 해당 구성요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 - 제 1 실시예
수직으로 그리고 바닥에서 상향으로 볼 때, 격납 수단 (1) 은 하부 구조물 (13),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한 작업 챔버 (14), 작업 챔버 위에 위치한 중간 공간 (11), 및 최상단에 배치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구성된다. 작업 챔버 (14), 중간 공간 (11) 및 순환 공기 구역 (15) 은 하우징 (10) 에 의해 외측으로 한정된다. 작업 챔버 (14) 는 바닥에서 베이스 (12) 에 의해 그리고 상부에서 여기서는 그물망 형태의 멸균 공기 분배기 형태의 소위 CG 분배기인 라미나라이저 (laminarizer) 형태의 공기 안내 요소 (9) 에 의해 종결된다. 순환 공기 구역 (15) 에는 공기 공급 유닛 (18) 및 공기 출구 유닛 (19) 이 연결되며, 이들 각각은 팬 및 필터로 이루어진다. 공기 공급 유닛 (18) 을 통해, 공기조화된 신선한 공기의 일부는 작동 모드에서 격납 수단 (1) 에서 순환하는 공기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공급되고,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부터 공기 출구 유닛 (19) 을 통해 배출된다. 순환 공기 팬 (3) 및 순환 공기 필터 (2) - 여기서는 플레이트 필터 형태임 - 는 순환 공기 구역 (15) 내에 배열된다. 작동 모드에서, 순환 공기 팬 (3) 은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서 순환 공기 필터 (2) 를 통해 중간 공간 (11) 으로 운반하고, 그 다음 간략화를 위해 층류 유동 (LF) 으로 불리우는, 베이스 (12) 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업 챔버 (14) 에서 하향 유동하는 평행 변위 흐름의 형태로, 중간 공간 아래에서 스트레칭된 공기 안내 요소 (9) 를 통해 운반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처리 기계 (8), 예를 들어, 충전 기계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12) 상에 세워져 있는 작업 챔버 (14) 내에 설치된다.
격납 수단 (1) 은, 한편으로는 투명 전방 창 (4) 및 하우징 (10) 의 일부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투명 채널 창 (40) 에 의해 전방 측면 (100) 상에 둘러싸인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을 갖는다; 전방 창 (4) 및 채널 창 (40) 은 산업분야에서 종종 함께 이중 창으로 언급된다. 한 쌍의 작업 장갑 (7) 은 보통 전방 측면 (100) 에 장착되며, 이는 작업자가 작업 챔버 (14) 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복귀 공기 채널 (16) 은 유입 개구 (160) 를 갖는 베이스 (12) 부근으로부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연장된다. 현재 HEPA-플레이트-필터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형태의 복귀 공기 필터 (5) 는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복귀 공기 채널 (16) 의 개구에, 특히 본 예에서는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61) 에 설치된다. 순환 공기 팬 (3) 의 전달 효과로 인해, 공기는 격납 수단 (1) 에서 작동 모드에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부터 작업 챔버 (14) 를 통해 그리고 공기 출구 유닛 (19) 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공기 공급 유닛 (18) 에 의해 도입된 공기조화된 신선한 공기로 부분 대체된 상태에서 복귀 공기 채널 (16) 을 통해 다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순환한다. 이에 따라, 복귀 공기 필터 (5) 는 2중 기능을 갖는다. 첫번째로, 복귀 공기 흐름과 함께 작업 챔버 (14) 로부터 반출되는 임의의 불순물 입자가 복귀 공기 필터 (5) 에서 분리된다. 두 번째로, 어떠한 불순물 입자도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부터 - 특히 순환 공기 흐름과 반대로 - 복귀 공기 필터 (5) 를 통해 통과할 수 없으며, 이는 또한 복귀 공기 채널 (16) 을 통한 작업 챔버 (14) 로의 역류 방지기로서 작용한다.
오염제거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격납 수단 (1) 은 오염제거 장치 (6) 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순환 공기 영역 (15) 에 위치한 기화기 (60) 가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H2O2 용액인 오염제거제는 펌프 (64) 에 의해 재료 라인 (62) 을 통해 저장 컨테이너 (6) 로부터 기화기에 제공된다. 오염제거 모드에서, 순환 공기 팬 (3) 은 감소된 전력, 예를 들어 50% 로 제어된다.
도 2 - 제 2 실시예
도 1 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비교한 유일한 차이점은, 이제 하우징 (10) 의 벽 부분 및 그로부터 이격된 채널 벽 (4') 을 포함하고 다시 베이스 (12) 의 상방에 그리고 그 근방에 위치하는 유입 개구 (170) 를 갖는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이 추가로 제공된다는 것이다. 또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의 개구에, 구체적으로는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71) 에 복귀 공기 필터 (5) 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은 더 큰 공기량이 처리되는 격납 수단 (1) 을 위해 구상될 것이다.
도 3 - 제 3 실시예
도 1 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비교한 차이는, 특히 복귀 공기 필터 (5) 가 설치되고 순환 공기 구역 (15) 을 넓히는 돌출부 (161) 로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복귀 공기 채널 (16) 을 개구를 형성하고, 그럼으로써 이제 순환 공기 필터 (2) 가 작업 챔버 (14) 의 전체 폭에 걸쳐 유체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오염제거 장치 (6) 는 이제 분무 노즐 (61) 에 기초하며, 이에 의해 재료 라인 (62) 및 펌프 (64) 를 통해 공급된 오염제거제와 압축 공기 (+P) 의 공급이 에어로졸의 형태로 분무된다. 격납 수단 (1) 의 설계에 따라, 작업 챔버 (14) 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61) 이 가장 중요할 수 있다. 더 큰 작업 챔버들 (14) 의 경우에, 작업 챔버 (14) 내로 개방되는 복수의 분무 노즐들 (61) 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은 오염제거제로서 도입된 에어로졸이 작업 챔버 (14) 내에서 순환하도록 유리하게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분무 노즐 (61) 을 사용한 오염제거 모드에서 격납 수단 (1) 이 작동하는 동안, 순환 공기 팬 (3) 은 완전히 꺼지거나 체적 흐름이 전달되지 않는 정도까지 다운-조절된다. 격납 수단 (1) 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압축 공기 (+P) 및 공급 재료 라인 (62) 을 갖는 추가 분무 노즐 (61) 이 중간 공간 (11) 내에 그리고/또는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 제 4 실시예
여기에는 격납 수단 (1) 의 구조의 혼합된 형태가 도시된다.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복귀 공기 필터 (5) 를 각각 갖는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돌출하는 2 개의 돌출부 (161,171) 및 각각의 유입 개구 (160, 170) 를 갖는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 (16, 17) 이 도 2 에 따른 제 2 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취해진다. 압축 공기 (+P) 의 공급, 재료 라인 (62) 및 분무 노즐 (61) 을 갖는 오염제거 장치 (6) 가 도 3 에 따른 제 3 실시예로부터 취해진다.
도 5 - 제 5 실시예
도 4 에 따른 앞선 구성과 비교하여, 이제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 (16,17) 의 각각의 개구는, 원칙적으로 도 3 의 개념에 따라, 순환 공기 구역 (15) 을 넓히고 각각의 안에 복귀 공기 필터 (5) 가 설치되는 돌출부 (161,171) 의 형태이다. 따라서, 순환 공기 필터 (2) 는 작업 챔버 (14) 의 전체 폭에 걸쳐 유동적으로 최적의 방식으로 다시 배치될 수 있다.
도 6 - 제 6 실시예
이 구성은 도 5 에 따른 구성을 수정한 것이다; 각 확장 돌출부 (161,171) 에 미리 설치된 플레이트 필터 형태의 복귀 공기 필터 (5) 대신에, 교환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5') 가 이제 사용된다. 또한, 세척 노즐 (69) 은 각각의 경우에 필터 카트리지 (5') 아래에서 각 돌출부 (161,171) 내로 개방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노즐 (69) 은 작업 챔버 (14) 로 향한다.
도 7 - 제 7 실시예
이 설계에서, 2 개의 복귀 공기 채널 (16,17) 이 다시 존재하지만, 이들은 사실상 선형 단면을 갖고서 돌출부없이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합쳐진다. 복귀 공기 필터 (5') 로서 교환가능한 필터 카트리지는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전이부에 대해 물러나서각각의 복귀 공기 채널 (16,17) 에 배치된다. 순환 공기 필터 (2') 는 이제 일련적으로 배열된 교환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들로 구성된다. 세척 노즐 (69) 은 각각의 경우 다시 필터 카트리지 (5') 아래에서, 즉 흐름의 방향과 반대로 해당 복귀 공기 채널 (16,17) 로 향한다. 도 6 에 따른 실시예에 부가하여, 중간 공간 (11) 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노즐 (69) 이 또한 설치된다. 이 경우, 세척 액체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여, 지금까지 사용된 Cg-분배기 형태의 공기 안내 요소 대신에 이제는 다공 플레이트 형태의 공기 안내 요소 (9') 가 사용된다. 복귀 공기 채널 (16,17) 로 그리고 중간 공간 (11) 으로 향하는 세척 노즐 (69) 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취급에 유리한 한편, 작업 챔버 (14) 로 향하는 세척 노즐 (69) 은 바람직하게는 수동 스프레이 건상에 안착된다. 전체 오염제거 장치 (6) 는 도 3 내지 도 6 에 따른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Claims (15)

  1. 무균 작업 챔버 (14) 및 관련 오염제거 장치 (6) 를 구비한 격납 수단 (1) 의 구조체로서,
    a) 상기 작업 챔버 (14) 는 바닥에 베이스 (12) 를 갖고,
    b) 상기 작업 챔버 (14) 위에는, 순환 공기 팬 (3) 을 구비한 순환 공기 필터 (2,2') 가 배치되는 순환 공기 구역 (15) 이 존재하고,
    c)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과 상기 작업 챔버 (14) 는 하우징 (10) 에 의해 외부를 향해 한정되고,
    d)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이 상기 작업 챔버 (14) 로부터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이어지고;
    e) 복귀 공기 필터 (5,5') 가 상기 복귀 공기 채널 (16) 에 유체 연결되고,
    f)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가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성기 복귀 공기 필터 (5,5') 는 상기 복귀 공기 채널 (16) 내에 또는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상기 복귀 공기 채널 (16) 의 개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를 유지하는 상기 복귀 공기 채널 (16) 의 상기개구는
    a)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을 넓히거나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61) 의 형태이거나, 또는
    b) 돌출부 없이, 사실상 선형 단면을 갖고서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5')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이고,
    b) 상기 순환 공기 필터 (2,2') 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2')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a) 단일 복귀 공기 필터 (5,5')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복귀 공기 필터 (5,5') 가 제공되고,
    b) 단일 순환 공기 필터 (2,2')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순환 공기 필터 (2,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은
    a) 투명 전면 창 (4) 및 이로부터 이격된 투명 채널 창 (40) 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b) 상기 베이스 (12) 위에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가까이에 위치한 유입 개구 (16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 요소 (9,9') 가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과 상기 작업 챔버 (14)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작업 챔버 (14) 내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는 평행 변위 흐름 (LF) 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제거 장치 (6) 는
    a)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내에 위치되고 재료 라인 (62) 을 통해 오염제거제가 공급되는 기화기 (60), 또는
    b) 재료 라인 (62) 을 통해 오염제거제가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61) 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61) 은
    c) 상기 작업 챔버 (14), 및/또는
    d)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과 공기 안내 요소 (9,9') 사이에 위치한 중간 공간 (11), 및/또는
    e)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제거 장치 (6) 에서 상기 기화기 (60) 에 의해 오염제거 모드로 상기 격납 수단 (1) 이 작동하는 동안, 상기 순환 공기 팬 (3) 이 감소된 전력, 예를 들어 50% 의 전력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a) 상기 작업 챔버 (14) 로 향하는 일련의 분무 노즐들 (61) 이 제공되고,
    b) 상기 오염제거 장치 (6) 에서 상기 분무 노즐들 (61) 에 의해 오염제거 모드로 상기 격납 수단 (1) 이 작동하는 동안, 상기 순환 공기 팬 (3) 은 적어도 체적 흐름이 전달되지 않는 정도로 하향 조절되고,
    c) 상기 분무 노즐들 (61) 은 오염제거제로서 도입된 에어로졸이 상기 작업 챔버 (14) 내에서 순환하도록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에 위치한 상기 기화기 (60) 에 상기 재료 라인 (62) 을 통해 공급되는 오염제거제는 펌프 (64) 에 의해 전달되거나, 또는
    b)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61) 에 상기 재료 라인 (62) 을 통해 공급되는 오염제거제는 펌프 (64) 에 의해 전달되고 압축 공기 (+P) 에 의해 에어로졸 형태로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세척 노즐 (69) 이
    a) 상기 작업 챔버 (14), 및/또는
    b)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과 공기 안내 요소 (9,9') 사이에 위치한 중간 공간 (11), 및/또는
    c) 특히 흐름 방향에 반대되는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의 상류의 적어도 제 1 복귀 공기 채널 (16) 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a) 상기 복귀 공기 채널 (16) 및/또는 상기 중간 공간 (11) 로 향하는 세척 노즐들 (69) 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b) 상기 작업 챔버 (14) 로 향하는 세척 노즐 (69) 이 고정 설치되거나 수동 스프레이 건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이 추가로 제공되고,
    a) 상기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은 상기 하우징 (10) 의 벽 부분 및 그로부터 이격된 채널 벽 (4')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12) 위에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가깝게 위치한 유입 개구 (170) 를 갖고,
    b)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는 특히 상기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에서 또는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의 상기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의 개구에서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을 향하여 배치되고,
    c)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를 유지하는 상기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의 상기 개구는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을 넓히거나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71) 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돌출부 없이, 사실상 선형 단면을 갖고서 상기 순환 공기 구역 (15) 으로 합쳐지고,
    d)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5')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이고,
    e) 상기 순환 공기 필터 (2,2') 는 플레이트 필터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2') 또는 교체가능한 필터 인서트의 형태이고,
    f) 단일 복귀 공기 필터 (5,5')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복귀 공기 필터 (5,5') 가 제공되고,
    g) 단일 순환 공기 필터 (2,2') 또는 일련의 상호작용 순환 공기 필터 (2,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a) 분무 노즐 (61) 이 상기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로 향하고,
    b) 세척 노즐 (69) 이 상기 제 2 복귀 공기 채널 (17) 로 향하고, 특히 흐름 방향과 반대로 상기 복귀 공기 필터 (5,5') 의 상류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KR1020227018803A 2019-12-10 2020-11-30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 KR202201112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405020.9 2019-12-10
EP19405020.9A EP3834937A1 (de) 2019-12-10 2019-12-10 Aufbau eines containments mit einer aseptischen arbeitskammer
PCT/CH2020/000018 WO2021113994A1 (de) 2019-12-10 2020-11-30 Aufbau eines containments mit einer aseptischen arbeitskam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271A true KR20220111271A (ko) 2022-08-09

Family

ID=6914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803A KR20220111271A (ko) 2019-12-10 2020-11-30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08929A1 (ko)
EP (1) EP3834937A1 (ko)
JP (1) JP2023505817A (ko)
KR (1) KR20220111271A (ko)
CN (1) CN114829011A (ko)
BR (1) BR112022009747A2 (ko)
CA (1) CA3159664A1 (ko)
WO (1) WO2021113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0696A1 (en) * 2018-06-23 2021-08-26 Chandanam Parambathu RAJESH PANTHAVOOR An enclosure for conducting hot works
WO2024033275A1 (de) * 2022-08-08 2024-02-15 Braincon Gmbh & Co Kg Verfahren zur bekämpfung bakterieller biofilme
CN116328452B (zh) * 2023-05-29 2023-08-08 通威微电子有限公司 一种净化除尘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9938A1 (en) * 2008-08-20 2013-07-03 Panasonic Healthcare Co., Ltd. Isolator with sterilant reduction unit
CN102090979B (zh) * 2010-12-28 2013-05-08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与无菌冻干制剂生产线配套的净化隔离装置
CH705249A1 (de) * 2011-07-04 2013-01-15 Skan Ag Vorrichtung zur Dekontamination für ein Containment und/oder von temporär darin einbringbarem Behandlungsgut.
DE102012208574A1 (de) 2012-05-22 2013-11-28 Robert Bosch Gmbh Filtereinheit für ein Barrieresystem
GB2502972B (en) * 2012-06-11 2014-07-16 Bioquell Uk Ltd Aseptic processing workstation
JP6250491B2 (ja) * 2014-07-18 2017-12-20 ファーマバイオ株式会社 超音波除染装置
WO2016165031A1 (de) * 2015-04-16 2016-10-20 Skan Ag Anordnung zur durchführung eines dekontaminationsprozesses mittels eines in ein containment eingebrachten dekontaminationsmittels
DK3170545T3 (da) 2015-11-23 2020-03-02 Skan Ag Filtersystem til en af en gasstrøm gennemstrømmet indeslutning
CN110662606B (zh) * 2017-07-14 2021-11-09 株式会社日立产机系统 安全柜及其灭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3994A8 (de) 2022-05-12
EP3834937A1 (de) 2021-06-16
WO2021113994A1 (de) 2021-06-17
CN114829011A (zh) 2022-07-29
US20230008929A1 (en) 2023-01-12
CA3159664A1 (en) 2021-06-17
BR112022009747A2 (pt) 2022-08-09
JP2023505817A (ja)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1271A (ko) 무균 작업 챔버를 갖는 격납 수단의 구조체
JP6837477B2 (ja) 交換フィルターシステムを持つ塗装ブース
DE102017208430A1 (de) Reinigungsgerät zur Reinigung oder Desinfektion von Gegenständen
EP3171898B1 (en) Device for sanitizing air-conditioners
US5004414A (en) Apparatus for filtering plasticized materials in extruders and like machines
KR101344147B1 (ko) Gmp 방사성 의약품 분주 시스템
KR102516998B1 (ko) 오염 제거 조립체
EP2011576B1 (en) Supply for dry particulate material
KR101020273B1 (ko) 분진제거필터 및 그를 구비한 치즈가공용 분진제거장치
JP6057885B2 (ja) 塗料ミスト捕集装置
EP3876810A1 (en) Cleaning and sanitization apparatus
JP6506148B2 (ja) 洗浄機
CN215994944U (zh) 物料消毒设备
JP6724549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DE202005017252U1 (de) Reinigungssystem für einen Ofen
KR100500428B1 (ko) 에어 샤워 장치
JP7364884B2 (ja) アイソレータ
KR102160069B1 (ko) 도포액 도포 장치
KR20200015911A (ko) 오염 제거 장치, 시스템 및 오염 제거 방법
JP6531017B2 (ja) 洗浄機の洗浄乾燥方法および洗浄機
EP3491299B1 (en) Fan assembly for cleanrooms
JP6531016B2 (ja) 洗浄機
IT202100002072A1 (it) Macchina confezionatrice di prodotti
JPH0199665A (ja) 熱風乾燥装置
JP2022015211A (ja) 換気ダク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