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113A -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113A
KR20220111113A KR1020210014333A KR20210014333A KR20220111113A KR 20220111113 A KR20220111113 A KR 20220111113A KR 1020210014333 A KR1020210014333 A KR 1020210014333A KR 20210014333 A KR20210014333 A KR 20210014333A KR 20220111113 A KR20220111113 A KR 2022011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arthquake
slab
seismic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경
Original Assignee
구자경
이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경, 이승구 filed Critical 구자경
Priority to KR102021001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113A/ko
Publication of KR2022011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측면에 접하며 내진블럭체; 상기 내진블럭체 내측면에 접하는 내벽체; 상기 외벽체와 상기 내벽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벽체로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 로 이루어져,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내진성을 갖도록 시공 가능한 내진블럭 구조를 제공하되, 내진블럭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의 용이성이 우수하고, 조립 후 견고한 결합력에 의하여 지진 등의 발생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건축 구조물의 보호가 가능할 수 있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Building Exterior Wall Seismic Block}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발생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의 붕괴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진 설계는 지진이나 강풍 등의 재해나, 여타 외부로부터 건축물로 전달되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통상적으로 기둥구조물과 보구조물 및 기둥과 보의 결합 부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게 되고, 건축물의 공간 바닥 또는 천정을 형성하게 되는 슬래브는 보주조물 상부에 지지되는 형태를 갖게 되고, 건축물의 시공시 벽체 시공의 경우에도 중요한 시공과정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상기 보구조물과 슬래브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체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시공 구조에서는 내진 성능이 취약하며 특히 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내진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한 슬래브의 내진 안정성과 더불어 내진 설계가 적용된 건축물의 벽체 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건축물의 벽체 시공에서, 기존 벽체의 경우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거나, 블럭 또는 벽돌을 이용하여 몰탈 처리에 의한 시공법인 습식공법에 의한 벽체 시공 방법이 주류를 이루며 시공되고 있다.
상기 습식공법은 현장에서의 자재 낭비가 심하여 코스트 증가 문제점이 있고,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양생 시간이 요구되어 공기(工期)가 늘어나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 신뢰도 및 완성도에서의 차이가 심하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콘크리트 타설 또는 몰탈 등의 양생 과정을 거쳐 얻게 되는 건축구조물의 벽체는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강한 내충격성이 약하고, 횡압력에도 취약하여 빈번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내진 설계를 요구하는 근래의 설계, 시공에 적합한 내진성을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내진성이 확보된 벽체 시공방법이나 시공구조에 의한 건추구조물이 개시되고 있는바, 에컨데 기성품으로 규격화하여 제작되는 블럭을 이용한 건식 시공에 의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 및 시공 정확성, 신뢰성에 대한 차이가 발생되지 않고,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어느 건축물에나 적용 가능한 내진용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데 국내 특허등록 제 10-1365486 호인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럭유닛 생산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한 블럭의 생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특허등록 제 10-1365487 호인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닛'과, 국내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인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에 의해 블럭유닛 구조의 내부에 횡압력 등의 충격에 대응되도록 하는 탄성체 등을 구비하여 내진 성능이 우수한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닛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선행 특허의 경우, 코어블럭의 네 귀에 형성된 탄성구삽입홈과, 이와 대응되는 불록중공부 또는 반중공부의 귀 사이의 공간에 의해 탄성구삽입홈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구삽입홈측으로 일측의 절개에 의해 탄성력을 갖게 되는 탄성구를 강제 삽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강제 삽입된 탄성구를 다시 빼내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가능에 가깝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구삽입홈에 강제로 끼워진 탄성구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코어블럭과 외장블럭간의 내충격성을 확보하여 내진 가능할 수 있게 되지만, 설치하는 과정에서 해당 블럭들의 설치가 잘못되엇을 때 이를 해체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구를 탄성구삽입홈에서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강제로 빼내는 과정에서 코어블럭 또는 외장블럭을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 (2014. 02. 21 공고) 국내 특허등록 제 10-1365486 호 (2014. 02. 21 공고) 국내 특허등록 제 10-1365487 호 (2014. 02. 1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의 벽체를 이루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일명 내진블럭)을 제공하되, 상기 내진블럭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조립 후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며, 내진성이 확보되어 지진 등의 발생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건축구조물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측면에 접하며 내진블럭체;
상기 내진블럭체 내측면에 접하는 내벽체;
상기 외벽체와 상기 내벽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벽체로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내진성을 갖도록 시공 가능한 내진블럭 구조를 제공하되, 내진블럭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의 용이성이 우수하고, 조립 후 견고한 결합력에 의하여 지진 등의 발생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건축 구조물의 보호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택 시공되는 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벽체를 구성하는 요소 중 내진블럭체만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일예를 도시한 개괄적 부분 사시도면
도 4는 수직빔과 수평빔 및 내진댐퍼의 결합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수직빔과 수평빔 및 내진댐퍼의 결합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수평빔과 슬래브완충부재간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내진댐펴와 수직빔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수평빔과 슬래브간 슬래브완충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상태의 개괄적 건축물 평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와 같이, 건축구조물을 구성하는 요소 중 벽체를 이루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건축구조물의 벽체(100)를 이루기 위해 내진블럭체(110)와, 상기 내진블럭체(110) 외측에 위치되는 외벽체(120), 상기 내진블럭체(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내벽체(130), 상기 외벽체(120)와 내벽체(13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벽체(100)는 건축구조물의 외곽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벽체(100)는 도 1 에서 보듯이, 블럭 형태를 이루는 내진블럭체(11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진블럭체(11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 보듯이 상면과 측면에 각각 결합돌부(111,112)와 결합홈(114,115)을 형성하여 조립블럭과 같이 조립 시공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부(111,112)는 내진블럭체(110)의 상면측으로 돌출되는 상면결합돌부(111)와, 일측면측으로 돌출되는 측면결합돌부(112)로 각각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4,115)은 상기 내진블럭체(110)의 하면측에 상기 상면결합돌부(111)가 삽입 될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하면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으로 인접하는 내진블럭체(1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측면결합돌부(112)가 삽입될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측면결합홈(115)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진블럭체(110)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116)이 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내진블럭체(110)의 외면으로는 외벽체(120)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내진블럭체(110)의 내면으로는 내벽체(13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진블럭체(110), 외벽체(120) 및 내벽체(130)를 통틀어 벽체(100)라 명명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들인 내진블럭체(110)와 외벽체(120) 및 내벽체(130)가 결합된 상태를 지시한다.
한편, 상기 외벽체(120)와 내벽체(130) 및 그 가운데에 위치되는 내진블럭체(110)를 하나의 요소로 묶기 위한 것으로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은 결합부재(140)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한 결합부재(14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결합부재(141)와 대응되며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벽체(120)의 양단측에 각각 외벽연결결합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내벽체(130)의 양단측에도 각각 내벽연결결합홈(13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140)를 이용하여 내벽체(130)를 중심으로 그 외측으로 구비되는 외벽체(120)와 그 내측으로 구비되는 내벽체(130)를 연결하며, 상하로 적층 시공하여 벽체(100)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내진블럭체(110)와 외벽체(120) 및 내벽체(130)가 상기 결합부재(140)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벽체(10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벽체(100)를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도 3 내지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건축구조물의 골조를 이루기 위하여 수직빔(200)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빔(200)은 상기 벽체(100)의 모서리부측에 각각 시공되는 골조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수평빔(300)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4군데 모서리 부분에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조로 이루어져 시공되는 수직빔(200)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일정 층고를 형성하며 수직빔(200)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하여, 건축물의 골조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빔(200)과 수직빔(200) 사이에 상기한 본 발명을 활용하여 측면간 결합에 의한 벽체(1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빔(200)이 고정되는 방식은 기존의 건축 시공에서의 수직빔(200) 고정방식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의 내용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직빔(200)을 따라 층고를 형성하기 위한 슬래브(40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수평빔(300)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빔(300) 상면으로 전술한 슬래브(400)가 안착되며 고정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400)의 일단을 내합하며 타단으로 상기 수직빔(200)과 완충되는 역할을 하기 위한 내진댐퍼(5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진댐퍼(500)는 상기 슬래브(400)의 일단을 내합하고, 타단으로 상기 수직빔과 완충 연결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내진댐퍼(500)는 도 3 에서 보듯이, 봉(540)의 일단에 슬래브(400)의 일측단이 내합되는 슬래브파지부(510)를 구비하고 상기 봉(540)의 타단으로 수직빔(200)과 접하며 지지되기 위한 지지부(510)가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파지부(510)와 지지부(510) 사이의 봉(540) 외주면에 탄지되는 스프링(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래브파지부(510)는 상기 슬래브(400)의 일측단의 내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ㄷ'자 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부(510)는 'ㄷ'자형의 몸체를 구성한 후 양단부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521)을 형성한다.
상기 슬래브파지부(510)와 지지부(510) 사이를 관통하며 연결하는 봉(540)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부재로 구성하고, 슬래브파지부(510)와 지지부(510) 사이 영역의 봉(540) 외주면에는 스프링(530)을 탄설하여 슬래브(400)와 수직빔(200)간의 충격에 따른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건축구조물 축조 후 지진 등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였을 때 벽체(100)측을 통하여 슬래브(400)측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상기 내진댐퍼(500)의 스프링(530)에 의한 완충 작용에 의해,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래브(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빔(300)의 상면에 안착 시공되면서 상기 수평빔(300)과 연결지지 되는 내진댐퍼(500)에 의해 완충 지지된다.
먼저 슬래브(400)와 수평빔(300)간의 안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평빔(300)의 상면으로 슬래브(400)가 안착되어지되 수평빔(300)과 슬래브(400)간 수직 충격에 의한 완충을 위하여 수평빔(300)과 슬래브(400)간 슬래브완충부재(600)를 구비하고, 상기 슬래브완충부재(600)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결되며 슬래브(400)의 외측을 감싸며 파지하기 위한 슬래브고정부재(700)가 결합된다.
상기 슬래브고정부재(700)는 환봉 형태를 이루며 절곡 형성된다.
상기 슬래브완충부재(600)는 텐션 가능하면서도 완충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파형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슬래브완충부재(600)의 하단측 절곡홈(610)으로 수평빔(300)의 외측이 끼워지며 고정되고, 절곡되며 연장되는 (620)에 의해 상기 슬래브(400)의 하면과 접하며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620)에 의해 상기 슬래브(400)는 상기 수평빔(300)과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텐션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래브완충부재(600)에 의해 수평빔(300) 상면으로 슬래브(400)가 완충 지지될 때, 슬래브(400)가 수평빔(300)과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래브고정부재(700)를 이용하여 슬래브(400)의 측면을 감싸면서 하단부가 슬래브완충부재(600)의 (620) 일단부측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한 슬래브고정부재(700)와 슬래브완충부재(600)는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슬래브완충부재(600)의 (620) 단부측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하단부 외주면이 태핑 가공된 슬래브고정부재(700)를 삽입 돌출시킨 후 그 돌출된 부위를 너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슬래브고정부재(700)의 수직 하단부 외주면을 태핑 가공하여 너트 부재를 이용하여 슬래브완충부재(600)의 (620) 단부측에 천공된 구멍으로 삽입하여 체결하는 구성을 취할 경우, 슬래브(400)의 두께 등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슬래브고정부재(70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진댐퍼(500)의 일측 슬래브파지부(510)와 슬래브(400)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하면서 타단의 지지부(510)는 수직빔(200)과 연결을 하되, 텐션적인 연결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내진댐퍼(500)의 지지부(510)와 수직빔(200)간을, 전술한 슬래브완충부재(6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부재는 상기한 슬래브완충부재(600)와 그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위해 내진댐퍼완충부재(800)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진댐퍼완충부재(8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래브완충부재(600)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텐션 가능하면서도 완충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파형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내진댐퍼완충부재(800)의 수직빔삽입절곡홈(810)으로 수직빔(200)의 외측이 끼워지며 고정되고, 절곡되며 연장되는 내진댐퍼텐션부(820)에 의해 상기 내진댐퍼(500)의 지지부(5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절곡편(521)과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내진댐퍼완충부재(800)는 슬래브완충부재(6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를 의미한다.
상기한 내진댐퍼완충부재(800)에서 파형태로 절곡되는 부분 중, 수직빔삽입절곡홈(810)을 통하여 수직빔(200)의 외측면이 끼워지게 되고, 파형태로 절곡된 타단부측은 내진댐퍼텐션부(820)를 구성하면서 상기 내진댐퍼(500)의 지지부(5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확장 연장되는 절곡편(521)과 도면에서 보듯이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체결하여 내진댐퍼(500)와 수직빔(200)간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수직빔(200)과 슬래브(400)간을 내진댐퍼(500)에 의해 연결한 상태에서,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이 벽체(100)로부터 전달되어질 때, 상기 내진댐퍼완충부재(800)의 텐션력과 내진댐퍼(500)의 스프링(530)에 의한 완충 작용에 의해 슬래브(400)측으로 외력의 전달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래브(400)의 상하 진동력 발생시에도 수평빔(300)과 슬래브(400) 사이에 탄성적으로 게재되는 슬래브완충부재(600)에 의한 완충 작용에 따라, 슬래브(400)측으로의 외력 전달을 차단 또는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벽체
110; 내진블럭체 111; 상면결합돌부
112; 측면결합돌부 114; 하면결합홈
115; 측면결합홈 116; 관통공
120; 외벽체 121; 외벽연결결합홈
130; 내벽체 131; 내벽연결결합홈
140; 결합부재 141; 연결결합부재
200; 수직빔
210; 수직연결부재
300; 수평빔
400; 슬래브
500; 내진댐퍼
510; 슬래브파지부 520; 지지부
521; 절곡편 530; 스프링
540; 봉
600; 슬래브완충부재
610; 절곡홈 620; 텐션부
700; 슬래브고정부재
800; 내진댐퍼완충부재
810; 수직빔삽입절곡홈 820; 내진댐퍼텐션부

Claims (4)

  1.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측면에 접하며 내진블럭체;
    상기 내진블럭체 내측면에 접하는 내벽체;
    상기 외벽체와 상기 내벽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벽체로 형성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럭체는 상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상면결합돌부;
    상기 상면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면으로 다수 형성되는 하면결합홈;
    상기 내진블럭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측면결합돌부;
    상기 측면결합돌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면으로 다수 형성되는 측면결합홈;
    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와 상기 내벽체의 양측면에 각각 외벽연결결합홈과 내벽연결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측으로 각각 연결합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KR1020210014333A 2021-02-01 2021-02-01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KR20220111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33A KR20220111113A (ko) 2021-02-01 2021-02-01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33A KR20220111113A (ko) 2021-02-01 2021-02-01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113A true KR20220111113A (ko) 2022-08-09

Family

ID=8284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333A KR20220111113A (ko) 2021-02-01 2021-02-01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11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86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록유닛 생산방법
KR101365487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KR101365485B1 (ko) 2012-04-24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86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록유닛 생산방법
KR101365487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KR101365485B1 (ko) 2012-04-24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485B1 (ko)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KR102007938B1 (ko)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KR101670575B1 (ko) 일체식 접합부 및 소성힌지 위치 조정이 가능한 pc 구조물
US20180245366A1 (en) Seismic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slab
EP3686365B1 (en)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KR102342288B1 (ko)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구조체
JP6122740B2 (ja) 耐震補強構造体
KR20220111113A (ko)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JP2011069148A (ja) 建物の構造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JP5570737B2 (ja) 高圧縮強度の光透過性部材を内蔵した耐震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耐震壁構築工法
JP2007113377A (ja) 建物の免震工法と装置
KR102649999B1 (ko)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20220111109A (ko) 내진성을 갖는 슬래브 시공 구조체
KR102342271B1 (ko)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방법
JP5290786B2 (ja) 制震構造
JP5312163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909096B1 (ko) 벽식 아파트 철골 프레임 시스템 보강공법
JP2004503696A (ja) 鉄骨建築構造
JP6108787B2 (ja) 建物構造
JP2019073942A (ja)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物
JP6448832B1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861484B1 (ko) 타워형 제진장치를 이용한 복도식 공동주택의 내진 보강구조
JP4707280B2 (ja) 隣接建物間の廊下用手摺りの連結構造
KR20220126391A (ko) 건축용 조립식 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