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938B1 -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938B1
KR102007938B1 KR1020170046648A KR20170046648A KR102007938B1 KR 102007938 B1 KR102007938 B1 KR 102007938B1 KR 1020170046648 A KR1020170046648 A KR 1020170046648A KR 20170046648 A KR20170046648 A KR 20170046648A KR 102007938 B1 KR102007938 B1 KR 10200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all
horizontal
seismic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678A (ko
Inventor
최원옥
Original Assignee
최원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옥 filed Critical 최원옥
Priority to KR102017004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9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H-빔과 내진블럭간의 조립에 의해 시공 처리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벽체와, 벽체간을 격자 형태로 구획하며 층고를 이루는 수평H-빔 상면으로 시설되는 슬래브 하단면을 지지하며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럭 일측면과 상기 수평H-빔 양단부 하면을 각각 탄성 연결 지지하는 벽체완충수단이 구비되고, 내진블럭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와 벽체간을 구획하며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H-빔에서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어 수평H-빔 상면에 시설되는 슬래브를 탄성 연결 지지하게 되는 슬래브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조립식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을 확보하여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지진에 의한 진동력 및 스윙력이 슬래브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 상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축물에서 슬래브와 벽체간 벽체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슬래브의 하단측에도 슬래브완충수단을 이용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하여 지진 발생시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력을 상기 완충수단에서 상쇄, 지진에 의한 스윙력이 벽체를 통하여 슬래브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지진 발생에 따른 건축물 전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earth-quake-resistant construction between the slabs and Wall in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한 후 그 조립식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벽체간을 횡단하며 설치되는 슬래브를 시공 처리할 때, 내진성이 우수한 구조를 얻기 위한 건축물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진 설계는 지진이나 강풍 등의 재해나, 여타 외부로부터 건축물로 전달되는 외력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통상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 내진 설계에 의해 시공 처리되는 건축물은 기둥구조물과 보구조물 및 기둥과 보의 결합부위를 구조적으로 보강처리하고, 건축물의 공간 바닥 또는 천정을 형성하게 되는 슬래브는 보구조물 상부에 지지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구조물과 슬래브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체로 시공처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시공 구조에서는 내진 성능이 취약하고 특히 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내진 안전성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이와는 달리, 내진 건축물의 시공법 중 다른 하나로 슬래브가 보구조물 상부에 시공되면서, 보구조물과 슬래브 사이에 진동을 완충할 수 있는 면진 장치(내진 장치)를 개재하는 형태의 구조를 갖는 슬래브 시공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내진 슬래브 시공방법은 슬래브가 보구조물 상부에 시공되기 때문에, 완충 기능을 갖는 내진 장치를 보구조물과 슬래브 사이에 개재하여도 건축물의 진동 및 충격 발생시 기둥구조물과 보구조물 및 내진 장치를 통해 슬래브에도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어 슬래브의 요동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슬래브가 보구조물 상부에 시공되기 때문에 보구조물과 슬래브 사이에 완충 기능을 갖는 내진 장치를 구비하였을 경우 건축물의 층고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 10-1404814 호 (2014. 06. 12 공고)에 의해, '면진 스윙 슬래브 시공방법'이 개시되고 있는데 상기 특허는 슬래브를 상기 보구조물의 하부에 상대적 평면 유동 가능하게 현수 지지하는 현수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현수부재를 상기 슬래브와 상기 보구조물에 대해 상대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유동결합수단을 설치하는 지지장치 설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부재는 상기 슬래브와 상기 보구조물을 유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봉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 양측단부 영역에 상기 유동결합수단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결합수단은 상기 현수부재의 양측 단부 영역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통과공을 갖는 한 쌍의 유동지지체와, 상기 양 유동지지체를 통과한 상기 현수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지지체에 대해 상대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동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스윙 슬래브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상기한 특허의 경우, 건축물의 층고가 낮아지는 것을 최소화 하며 슬래브가 상대적으로 평면 유동 가능하게 현수 지지 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상하 진동에 따른 내진성은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한국특허공개 제 10-2008-005717 호인 '슬래브 내진구조'가 개시되고 있는데, 이 기술은 기둥부재와 보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조에서 상기 보에 설치되는 슬래브의 일측면과 상기 기둥부재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플라스틱, 목재 및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서 되며, 상기 기둥 부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과, 슬래브와 보 사이에 개재되는 등의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의 경우에서 상기 탄성부재로 특정하고 있는 고무, 플라스틱, 목재,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서 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슬래브의 진동에 의한 내충격성 및 내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 이외에 PC 슬래브를 이용하게 되는 건축물의 경우,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프슬래브(Half PC Slab)를 이용한 PRC(Precast Reinforced Layer Construction Method)화하는 복합화 공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의 PRC 복합화 공법은 철근 콘크리트 라멘(Rahmen) 구조의 건물을 PC(Precast Concrete)화하는 공법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PC 기둥, PC보, 하프슬래브 등 PC 부재를 현장으로 운송, 양중하여 조립 한 다음 부재간 접합부와 하프슬래브의 상부에 덧침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구조체를 일체화하는 공법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건축물의 시공에서, 현장 타설에 의한 공법 또는 공장에서 PC 부재를 타설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공사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현장에서 직접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 처리하는 공법에 의하여 건축 되는 경우가 많다.
본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특허 등록 제 10-1365486 호인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록유닛 생산방법' 이나, 한국특허 등록 제 10-1365487 호의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및, 한국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인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등을 개시하므로서, 기존의 PC 부재만으로 건축되거나 또는 현장 타설되는 공법과는 달리, 건축 시공 공기의 현격한 단축 및 시공 완성도와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개시되는 건축 시공방법등이 점차 개발되어 현실적인 시공방법으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립식 내진 블럭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더라도 슬래브에 대한 내진성을 확보하기는 힘들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보구조물과 슬래브를 면진장치를 적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전술한 문제점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층고가 낮아지는 문제점은 피할 수 없다.
한편 전술한 각 선행자료 및 선행기술들의 경우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성을 확보하는 구조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벽체 및 슬래브간의 연동성을 얻기 위한 내진 설계 보다는 벽체와 슬래브를 각각 별도의 내진 설계에 의한 내진 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어 시공이 까다롭고, 시공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 10-1404814 호 한국 특허공개 제 10-2008-005717 호 한국 특허등록 제 10-1365486 호 한국 특허등록 제 10-1365487 호 한국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축물에서 슬래브와 벽체간을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벽체완충수단을 이용하여 접하도록 하고, 슬래브의 하단측으로도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슬래브완충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토록 하고, 지진 발생시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력을 완충수단에서 상쇄하여 지진에 의한 스윙력이 벽체를 통하여 슬래브측으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슬래브의 하단측으로도 상기 탄상스프링이 구비되는 완충수단을 채택하므로서, 슬래브에 전달될 수 있는 상하 유동 현상 및 좌우 스위 운동력을 상쇄하여 슬래브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로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서의 내진설계에 따른 실시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한 시설·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H-빔(120)과 내진블럭(110)간의 조립에 의해 시공 처리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벽체(100)와, 상기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격자 형태로 구획하며 층고를 이루는 수평H-빔(200) 상면으로 시설되는 슬래브(400) 하단면을 지지하며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진블럭 일측면과 상기 수평H-빔 양단부 하면을 각각 탄성 연결 지지하는 벽체완충수단이 구비되고,
내진블럭(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구획하며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H-빔에서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어 수평H-빔 상면에 시설되는 슬래브를 탄성 연결 지지하게 되는 슬래브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조립식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을 확보하여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지진에 의한 진동력 및 스윙력이 슬래브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 상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에서 슬래브와 벽체간 벽체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슬래브의 하단측에도 슬래브완충수단을 이용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하여 지진 발생시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력을 상기 완충수단에서 상쇄, 지진에 의한 스윙력이 벽체를 통하여 슬래브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지진 발생에 따른 건축물 전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서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진 설계에 따른 시공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건축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설치 시공된 건축 구조물의 일예에 의한 개괄적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벽체의 하단부와 그 벽체 하단부로부터 시설되는 H-빔간을 완충 지지하는 벽체완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벽체완충수단을 분리 도시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에 의한 분리된 상태의 벽체완충수단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한 벽체완충수단을 벽체와 슬래브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상태 사시도면
도 6은 도5에 의한 벽체완충수단을 이용하여 벽체와 슬래브간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수단 중, 슬래브완충수단들이 슬래브를 지지하는 H-빔의 교차 영역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슬래브를 지지하는 H-빔간의 교차 영역에 설치 시공되는 슬래브완충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면
도 9는 도 8에 의한 슬래브완충수단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의한 슬래브완충수단을 결합하여서 된 한 조의 슬래브완충수단의 결합 사시도면
도 11은 도 10에 의한 슬래브완충수단을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설치 시공되는 H-빔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결합 설치 사시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수직선상으로 설치되는 H-빔은 수직H-빔이라 칭하고,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H-빔은 수평H-빔이라 칭하여 상호 구별하도록 하며, 수직H-빔을 에워싸며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을 내진블럭이라 하고, 내진블럭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와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H-빔간 결합에 의해 상기 수평H-빔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바닥재를 슬래브라 명명한다.
또한 상기 벽체와 수평H-빔 단부간에 설치되며 지진 발생시의 스윙력을 완충하는 수단을 벽체완충수단이라 칭하고, 수평H-빔 하단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슬래브완충수단이라 칭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특히 조립식 건축물의 구성을 이루는 벽체와 슬래브간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지진 발생시 진동력, 충격력등이 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건축구조물의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횡단하는 수평H-빔(200)과, 상기 수평H-빔(200)과 벽체(100)간 구비되는 벽체완충수단(300)을 구성하고, 상기 수평H-빔(200)들간의 교차 영역에 슬래브완충수단(400)을 구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벽체(100)는 내진블럭(110)의 결합에 의해 시공 처리되며 그 내진블럭(110)의 중공 부위에 수직H-빔(120)이 길게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내진블럭(110)에는 탄성구 유닛(도면상 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구 유닛은 본 출원인 및 발명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의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에 채택되는 '탄성구'의 구조 또는 본원인의 국내특허등록출원 제 10-2015-0121463 호인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의 '탄성구', 본원인의 국내 디자인등록 제 30-0856237 호 및 제 30-0856254 호인 '내진 건축물의 조립식 블럭용 탄성구'등을 채택 차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구 유닛과 내진블럭(110)간의 결합 구조등은 본 특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내진블럭(110)에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선택되는 관통공으로 수직H-빔(120)이 내입되며 내진블럭(110)이 수직H-빔(120)을 따라 수직상으로 적층 설치되어 벽체(100)를 이루게 된다.
상기 벽체(100)의 외측으로는 외장재가 설치 시공되며, 상기 외장재 설치 시공 구조 또한 본원인의 국내 특허등록출원 제10-2015-0161039호에 게시되어 있는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단열재 시공구조'를 채택 차용하여 설치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원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되며 개시되고 있는 조립식 건축물에서의 설치 시공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속선상에 있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개시되는 본 발명에서 내진블럭(110)의 구조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구 유닛 및 외장재등에 의해 설치 시공되는 과정에서 슬래브(400)와의 지진 충격력을 더욱 완충,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완충수단(300,500)을 제안하게 되었다.
상기 완충수단(300,500)은 벽체완충수단(300)과 슬래브완충수단(500)으로 구별되며 설치 시공되는데, 벽체완충수단(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체(100) 내측면과 슬래브(400)를 지지하는 수평H-빔(200)간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먼저 벽체완충수단(30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갖게 되는데, 중앙에 통공(311)이 천공된 벽면지지체(310)와, 상기 벽면지지체(310)로부터 이격되는 고정앵글(320)과, 상기 고정앵글(320)의 수직편(321) 중앙의 통공(322)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340) 및 상기 볼트(34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지지체(310)의 외면과 접하며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330), 상기 스프링(330)에 압축력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벽면지지체(310)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340)와 체결되어지는 너트(341), 상기 고정앵글(320)의 수평편(323)에 천공되는 장공(324)을 통하여 수평H-빔(200)에 천공된 가이드공(210)을 통하여 상기 고정앵글(3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350) 및 고정너트(351)로 구성된다.
상기 벽체완충수단(300)에서의 벽면지지체(310)는 도 3에서 보듯이 양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며 벽체(10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활개편(312)을 구성하고 상기 활개편(312)으로부터 중앙 외측방향으로 "∩"자형 돌출되는 돌출편(313)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돌출편(313)의 중앙에 통공(311)이 천공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활개편(312)과 고정되는 플레이트(360)를 도 5에서와 같이 구비하여, 벽체(100) 내면과 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벽체완충수단(300)은 도 4에서와 같은 결합 된 상태를 형성하게 되어, 스프링(330)의 탄발력에 의해 벽면지지체(310)가 벽체(100)측으로 강한 반발력을 제공하게 되고, 지진에 의해 발생 된 스윙력이 벽체(100)에 제공되더라도 상기 스프링(330)에 의한 탄발력과 상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스윙력은 후술하게 되는 슬래브완충수단(500)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지진에 의한 스윙력을 상쇄하게 된다.
한편, 활개편(312)의 일면은 벽체(100)와 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활개편(312)과 벽체(100)간 결합 수단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즉, 지진에 의한 스윙력이 발생되었을 때 벽체(100)와 벽체완충수단(300)이 상호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스윙력에 의해 벽체(100) 및 벽체완충수단(300)과 슬래브(400)의 연동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내진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벽체(100)와 벽체완충수단(300)간의 결합 구조를 배제한다.
한편 상기 슬래브완충수단(500)은 내진블럭(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구획하며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H-빔(200)에서 격자 형태로 교차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어 수평H-빔(200) 상면에 시설되는 슬래브(400)를 탄성 연결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슬래브완충수단(500)은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가 이격 구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 사이에 스프링(550)이 탄지 되도록 하여, 상기 H-빔고정부(510)는 수평H-빔(200)과 일측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슬래브지지부(520)는 상방향으로 슬래브(400)와 접하며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H-빔고정부(51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앙에 통공(512)이 천공되는 스프링탄지고정편(511)과 그 스프링탄지고정편(511) 일측으로 절곡된 후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H-빔파지고정편(513)을 형성하고 상기 H-빔파지고정편(513) 중앙에 고정공(514)이 천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H-빔고정부(510)는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평H-빔(200)의 측면에 H-빔파지고저편(513)에 의해 고정볼트(540) 및 고정너트(541)에 의해 고정공(514)을 통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슬래브지지부(520)는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앙에 통공(523)이 천공되는 돌출편(52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522)의 절곡 단부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편(521)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연장편(521)의 단부에서 수직선상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편(521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래브지지부(520)는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직절곡편(521a)에 의해 파지되는 플레이트(560)를 슬래브(400)의 하면측에 구비하여 상기 수직절곡편(521a)에 의해 파지 지지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데, 상기 플레이트(560)와 슬래브지지부(520)간에는 고정 수단들이 구비되지 않으며, 슬래브(400)의 하단면에서 접하며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한편 슬래브완충수단(500)의 스프링(550)은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를 관통하는 볼트(530) 외주면에 개재(介在)되며 탄지되는 것으로, 벽체완충수단(300)의 스프링(330)과 같이 압축되며 탄지된 상태에서 강한 반발력을 슬래브(400) 방향으로 제공하게 되며, 지진 발생시 상하로의 스윙력이 발생되었을 때 슬래브(400)의 상하 진동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슬래브완충수단(500)은 벽체(100)와 벽체(100) 사이를 구획하는 수평H-빔(200)에 설치되는데, 상기 수평H-빔(200)은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고, 그 수평H-빔(200)이 교차 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 구조물에 설치 시공되어 건축물의 내진성을 확보하게 되는데 예컨데, 지진 발생에 따라 전달되는 진동력 및 스윙력이 벽체(100)에 전달되면 벽체완충수단(300)의 압축된 스프링(330)의 반발력에 의해 벽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스윙력을 상쇄하게 된다.
또한, 상하로의 진동에 따른 힘이 슬래브(400)에 전달될 때 슬래브완충수단(500)의 압축된 스프링(55)의 반발력에 의해 슬래브(400)측으로 전달되는 상하 스윙력을 상쇄하게 되어, 지진에 의한 진동력 및 스윙력이 슬래브(40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 상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진에 의한 내진성을 확보하여 건축물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더라도 건축물 내부 낙하 가능한 물건등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건 낙하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등 지진 발생 및 여진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벽체 110; 내진블럭
120; 수직H-빔 200; 수평H-빔
210; 가이드공 300; 벽체완충수단
310; 벽면지지체 311; 통공
312; 활개편 313; 돌출편
320; 고정앵글 321; 수직편
322; 통공 323; 수평편
324; 장공 330; 스프링
340; 볼트 341; 너트
350; 고정볼트 351; 고정너트
360; 플레이트
400; 슬래브 500; 슬래브완충수단
510; H-빔고정부 511; 스프링탄지고정편
512; 통공 513; H-빔파지고정편
514; 고정공 520; 슬래브지지부
521; 수평연장편 521a; 수직절곡편
522; 돌출편 523; 통공
530; 볼트 531; 너트
540; 고정볼트 541; 고정너트
550; 스프링 560; 플레이트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수직H-빔(120)과 내진블럭(110)간의 조립에 의해 시공 처리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벽체(100)와, 상기 벽체(100)간을 격자 형태로 구획하며 층고를 이루는 수평H-빔(200) 상면으로 시설되는 슬래브(400)에서,
    상기 벽체(100) 내측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H-빔(200) 양단부 하면을 각각 탄성 연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 통공(311)이 천공된 벽면지지체(310)로부터 이격되는 고정앵글(320)의 수직편(321) 중앙 통공(322)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340) 및 상기 볼트(34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지지체(310)의 외면과 접하며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330)과, 상기 스프링(330)의 압축력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벽면지지체(310)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340)와 체결되는 너트(341), 상기 고정앵글(320)의 수평면에 천공되는 장공(324)을 통하여 수평H-빔(200)에 천공된 가이드공(210)을 통하여 상기 고정앵글(3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350) 및 고정너트(351)로 이루어지는 벽체완충수단(300)이 구비되고,
    상기 내진블럭(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구획하며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H-빔(200)에서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어 수평H-빔(200) 상면에 시설되는 슬래브(400)를 탄성 연결 지지하게 되는 슬래브완충수단(5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래브(400) 하단면을 지지하며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완충수단(300)에서의 벽면지지체(310)는 양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며 벽체(10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활개편(312)을 구성하고 상기 활개편(312)으로부터 중앙 외측방향으로 "∩"자형 돌출편(313)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313) 중앙에 통공(311)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개편(312)과 고정되는 플레이트(360)를 구비하여, 벽체(100) 내면과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5. 삭제
  6. 수직H-빔(120)과 내진블럭(110)간의 조립에 의해 시공 처리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벽체(100)와, 상기 벽체(100)간을 격자 형태로 구획하며 층고를 이루는 수평H-빔(200) 상면으로 시설되는 슬래브(400)에서,
    상기 벽체(100) 내측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H-빔(200) 양단부 하면을 각각 탄성 연결 지지하는 벽체완충수단(300)이 구비되고,
    상기 내진블럭(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구획하며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H-빔(200)에서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어 수평H-빔(200) 상면에 시설되는 슬래브(400)를 탄성 연결 지지하게 되는 슬래브완충수단(500)을 이루되, 상기 슬래브완충수단(500)은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가 이격 구성되어지되 상기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 사이에 체결되는 볼트(530) 및 너트(531)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530) 외주면으로 스프링(550)이 탄지되고, 상기 H-빔고정부(510)는 수평H-빔(200)과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지지부(520)는 상방향으로 슬래브(400)와 접하며 지지되도록 하여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H-빔고정부(510)는 중앙에 통공(512)이 천공되는 스프링탄지고정편(511)과 그 스프링탄지고정편(511) 일측으로 절곡된 후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H-빔파지고정편(513)을 형성하고 상기 H-빔파지고정편(513) 중앙에 고정공(514)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7. 수직H-빔(120)과 내진블럭(110)간의 조립에 의해 시공 처리되는 조립식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벽체(100)와, 상기 벽체(100)간을 격자 형태로 구획하며 층고를 이루는 수평H-빔(200) 상면으로 시설되는 슬래브(400)에서,
    상기 벽체(100) 내측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H-빔(200) 양단부 하면을 각각 탄성 연결 지지하는 벽체완충수단(300)이 구비되고,
    상기 내진블럭(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체(100)와 벽체(100)간을 구획하며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H-빔(200)에서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 지지되어 수평H-빔(200) 상면에 시설되는 슬래브(400)를 탄성 연결 지지하게 되는 슬래브완충수단(500)을 이루되, 상기 슬래브완충수단(500)은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가 이격 구성되어지되 상기 H-빔고정부(510)와 슬래브지지부(520) 사이에 체결되는 볼트(530) 및 너트(531)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530) 외주면으로 스프링(550)이 탄지되고, 상기 H-빔고정부(510)는 수평H-빔(200)과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지지부(520)는 상방향으로 슬래브(400)와 접하며 지지되도록 하여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지지부(520)는 중앙에 통공(523)이 천공되는 돌출편(52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522)의 절곡 단부에서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편(521)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연장편(521)의 단부에서 수직선상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절곡편(521a)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지지부(520)의 수직절곡편(521a)에 의해 파지되는 플레이트(560)를 슬래브(400)의 하면측에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KR1020170046648A 2017-04-11 2017-04-11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KR10200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8A KR102007938B1 (ko) 2017-04-11 2017-04-11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8A KR102007938B1 (ko) 2017-04-11 2017-04-11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78A KR20180114678A (ko) 2018-10-19
KR102007938B1 true KR102007938B1 (ko) 2019-10-21

Family

ID=6410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48A KR102007938B1 (ko) 2017-04-11 2017-04-11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7941A (zh) * 2019-10-10 2020-02-11 融兴建设集团有限公司 减震减风型钢结构装配式安置房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6815B (zh) * 2018-12-30 2023-10-10 河南工业大学 装配式墙体水平抗震性能试验装置
KR102342288B1 (ko) 2019-07-05 2021-12-22 최원옥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구조체
KR102342271B1 (ko) 2019-07-05 2021-12-22 최원옥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방법
KR102649999B1 (ko) 2021-01-20 2024-03-25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CN113202186B (zh) * 2021-04-30 2023-02-14 江苏华木空间结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抗震框架结构及钢结构装配式抗震建筑
CN114607168B (zh) * 2022-03-16 2023-11-14 安徽中擎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多层砌体的抗震加固结构
KR102561055B1 (ko) * 2022-05-13 2023-07-27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버팀구조의 건축물
CN117605182B (zh) * 2024-01-18 2024-03-26 山东惠晟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减震装配式墙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0324A (ja)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ニチベイ 防振装置および移動間仕切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717A (ko) 2006-07-10 2008-01-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정렬 키
KR101365486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록유닛 생산방법
KR101365487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KR101365485B1 (ko) 2012-04-24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KR101404814B1 (ko) 2012-12-06 2014-06-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면진 스윙 슬래브 시공방법
KR101727817B1 (ko) * 2015-08-28 2017-05-02 최원옥 건축물 슬래브의 내진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0324A (ja)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ニチベイ 防振装置および移動間仕切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7941A (zh) * 2019-10-10 2020-02-11 融兴建设集团有限公司 减震减风型钢结构装配式安置房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78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938B1 (ko) 건축물에서의 슬래브와 벽체간 내진구조
KR101727817B1 (ko) 건축물 슬래브의 내진 공법
JP2007239306A (ja) 免震ダンパーの取付方法
KR101277752B1 (ko) 건물 보-기둥 골조 내부구간에 외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끼움형으로 설치하는 리모델링 시공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US20180347221A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with reinforced foundation and wall structure
JP4038472B2 (ja) 既存建物用制震補強架構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物
JP6550319B2 (ja) ブレース付き柱架構
KR20190098589A (ko) 건축물 기둥용 면진 시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7081745B2 (ja) 免震構造
JP3412042B2 (ja) 免震壁構造
CN102808420A (zh) 承台及承台与基桩连接的施工方法
JP2007056552A (ja) 耐震建築物
KR20080057517A (ko) 슬래브 내진구조
JP4837145B1 (ja) 制震補強架構付き構造物
JP2003155838A (ja) 建築物の免震構造
JP5946165B2 (ja) 耐震補強構造
JP3138457U (ja) 小型建築物の減震装置
CN206737531U (zh) 一种用于低层砌体结构建筑的弹簧隔振结构
US20160017565A1 (en) Earthquake proof building system
JPS62273374A (ja) 建物本体の重量を利用した動的制振方法および装置
JP2015143463A (ja) 建物と補強構造と支持構造とを有する建造物
KR102543447B1 (ko) 비내력 콘크리트 벽의 내진슬릿 시공구조
KR102649999B1 (ko)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20220111109A (ko) 내진성을 갖는 슬래브 시공 구조체
RU2788545C1 (ru) Трубобетонная сейсмоизолирующая оп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