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726A - 양갈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갈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726A
KR20220109726A KR1020210013074A KR20210013074A KR20220109726A KR 20220109726 A KR20220109726 A KR 20220109726A KR 1020210013074 A KR1020210013074 A KR 1020210013074A KR 20210013074 A KR20210013074 A KR 20210013074A KR 20220109726 A KR20220109726 A KR 2022010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eat
aging
weight
marinade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어진
이승진
김윤아
강지현
윤혜진
양은총
백수현
박성제
이상진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726A/ko
Publication of KR2022010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3Addition of vegetable fats or oils; Addition of non-meat animal fats or oils; Addition of 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육에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료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며,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육의 육질의 부드럽게 되도록 연화시키는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시켜 제조함으로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 쫄깃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갈비 제조방법{How to make lamb ribs}
본 발명은 양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고 육질이 부드럽게 되도록 연화시키는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함으로서 제조되는 양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갈비는 불고기, 삼겹살 및 쇠고기등과 함께 국내에서 많이 소비되는 요리 중 하나로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보통 갈비는 소, 돼지 및 닭 따위의 가슴통을 이루는 좌우 열두 개의 굽은 뼈와 살을 구워 식용으로 섭취하는 고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소갈비, 쇠갈비 및 돼지갈비등으로 불린다.
상술한 갈비는 보통 원료육에 여러종류의 마늘, 양파, 생강, 설탕 및 소금 등의 갖은 양념을 바른 후, 이를 숙성하여 제조된 원료육을 프라이팬이나 석쇠에 구워서 제조하며, 부드럽고 영양이 풍부하여 남녀노소나 다양한 연령층에게 인기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원료육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첨가물들과 함께 버무린 후에 소정시간 숙성한 후 포장하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현재는 갈비종류에서도 소갈비, 쇠갈비 및 돼지갈비 이외에 양갈비를 소비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양갈비(Lamb Chop)는 양의 갈비로 만든 것으로 뼈와 육질이 종래의 국내에서 소비되는 소갈비나 쇠갈비 및 돼지갈비와 차이가 있다. 특히 육질이 질기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료육의 연화작용을 위한 첨가성분으로는 육질을 부드럽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양갈비 소비자들이 쫄깃한 식감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양갈비의 육질 특유의 잡내로 인해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양갈비를 오랫동안 구울경우 맛은 있으나 잡내로 인해 역하다는 소비자 평가가 제시된 바 있다. 따라서, 양갈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비자의 기호도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양갈비 원료육의 연화작용을 위한 첨가물이나 잡내를 떨어뜨리기 위한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5513호: 사과발효 효소를 함유시킨 양념 갈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고 육질이 부드럽게 되도록 연화시키는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시켜 제조하는 양갈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은 원료육에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료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숙성단계는 상기 마리네이드첨가물이 원료육의 육질 내부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료육을 소정깊이 다수번 절개하는 원료육절개단계와, 상기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제거하고 상기 마리네이드첨가물의 맛을 내기 위해 상기 원료육에 간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육 절개단계에서 절개된 원료육에 제1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제1 숙성단계와, 상기 원료육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육질을 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료육에 제2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제2 숙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마리네이드첨가물은 올리브오일 20 내지 25 중량%, 매실액 2.5 내지 5.5 중량%, 로즈마리(건) 0.4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5 중량%, 통후추 0.4 내지 1.5중량%, 월계수잎 0.4 내지 1.5 중량%, 오레가노 0.4 내지 1.5 중량%, 타임 0.4 내지 1.5 중량%, 바질 0.4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숙성단계에서는 1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제2 마리네이드첨가물은 올리브오일 20 내지 25 중량%, 마늘 9 내지 18 중량% 및 키위 24 내지 31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숙성단계에서는 1시간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포장단계는 포장된 원료육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포장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숙성단계에서는 5시간동안 숙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양갈비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2) 양갈비 원료육의 육질이 부드럽게 되도록 연화시키는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시켜 제조함으로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 쫄깃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제품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길비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10)은 원료육에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S100)와, 상기 숙성단계(S100)에서 숙성된 원료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료육은 양의 갈비부분의 살, 일반적으로 양갈비(Lamb Chop)로 불리는 것을 사용하며, 원료육의 중량이 300kg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숙성단계(S100)는 원료육에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시키는 것으로서, 원료육절개단계(S110), 제1 숙성단계(S120) 및 제2 숙성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육절개단계(S110)에서는 상기 마리네이드첨가물이 원료육의 육질 내부에 스며들 수 있도록 상기 원료육을 소정깊이 다수번 절개한다. 상기 원료육절개단계(S110)에서는 미적인 형태를 형성하거나 마리네이드첨가물이 원료육 육질 내부에 스며드는 것에 용이하게 작업자(50)가 원하는 형태로 절개할 수 있다.
상기 제1 숙성단계(S120)에서는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제거하고 상기 마리네이드첨가물의 맛을 내기 위해 상기 원료육에 간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육절개단계(S110)에서 절개된 원료육에 제1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소정시간 숙성시킨다.
상기 제1 숙성단계(S120)에서는 일반적으로 1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50)가 필요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마리네이드첨가물은 올리브오일 20 내지 25 중량%, 매실액 2.5 내지 5.5 중량%, 로즈마리(건) 0.4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5 중량%, 통후추 0.4 내지 1.5중량%, 월계수잎 0.4 내지 1.5 중량%, 오레가노 0.4 내지 1.5 중량%, 타임 0.4 내지 1.5 중량%, 바질 0.4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마리에이드첨가물에서 상기 올리브오일과 매실액은 다른 첨가물들과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올리브오일의 20중량% 이하이면, 다른 첨가물들과 혼합이 용이하게 않는 문제점이 있고, 25 중량%이상이면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다른 첨가제의 기능과 함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제1 마리에이드첨가물에서 상기 월계수잎과 로즈마리는 향신료로서, 상기 원료육의 잡내를 제거하고, 월계수향과 로즈마리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마리에이드첨가물에서 상기 오가레노와 타임은 상기 원료육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부제로서의 기능을 하며, 상기 바질은 조미료로서 감칠맛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숙성단계(S120)에서는 올리브오일과 매실액을 상기 원료육에 바른 후, 상기 로즈마리(건), 소금, 통후추, 월계수잎, 오레가노, 타임 및 바질을 상기 원료육에 뿌리거나 마리네이드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숙성단계(S130)에서는 상기 원료육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육질을 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숙성단계(S120)에서 숙성된 원료육에 제2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소정시간 숙성시킨다.
상기 제2 숙성단계(S130)에서는 일반적으로 1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50)가 필요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마리네이드첨가물은 올리브오일 20 내지 25 중량%, 마늘 9 내지 18 중량% 및 키위 24 내지 31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마리에이드첨가물에서 상기 올리브오일은 다른 첨가물들과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올리브오일의 20중량% 이하이면, 다른 첨가물들과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5 중량%이상이면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다른 첨가제의 기능과 함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제2 마리에이드첨가물에서 상기 마늘은 상기 원료육의 잡내를 제거하고 풍미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키위는 상기 원료육을 연화시키는 연화작용을 한다.
상기 포장단계(S200)에서는 상기 숙성단계(S100)에서 숙성된 원료육을 포장한다. 상기 포장단계(S200)에서는 포장시 미감을 줄 수 있도록 원료육의 표면에 로즈마리가 데코레이션되어 포장될 수 있다.
상기 포장단계(S200)에서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진공포장부를 통해 진공포장할 수 있다. 상기 진공포장부는 종래의 진공포장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재질이 진공포장에 용이한 NY 또는 PET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포장단계(S200)는 포장된 원료육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포장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숙성단계에서는 5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원료육을 숙성 및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량이 물이 충진된 수용부(200)에 포장된 원료육을 숙성시키는 수중숙성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중숙성단계(S300)에서는 수중의 온도가 -2 ~ 3℃의 온도에서 수중숙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10)은 원료육에서 마리네이드 첨가물을 원료육의 표면에 바른 후 숙성시키기 때문에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원료육의 육질의 부드럽게 되도록 연화시키는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 후 숙성시켜 제조함으로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 쫄깃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종래의 일반냉장고와 같은 경우 문을 여닫을 때 온도가 일시적으로 15 ~ 20℃로 올라가서 부패하는 경우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제조방법은 상기 수중숙성단계(S300)를 통해 온도를 -2 ~ 3℃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원료육을 보관 또는 숙성시키기 때문에 원료육의 부패를 방지하며, 지속적으로 숙성시켜 잡내를 제거하고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단계(S4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포장단계(S400)는 제1 보관단계(S410), 제2 보관단계(S420) 및 진공포장단계(S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관단계(S410)에서는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료육에서 효소와 미생물이 활성화되도록 멤브레인 포장지 포장한 후 소정의 온도로 일정기간 보관한다. 상기 제1 보관단계(S410)에서는 0℃ 내지 30℃의 온도로, 1일 내지 2일 동안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 포장지는 곰팡이나 대장균 같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기타의 오염된 물질에 의한 원료육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방오성(anti-fouling)과, 투습도가 최소 1,000g/m2/24hr(ASTM E-96 BW)에서 최대 20,0000 g/m2/24hr(ASTM E-96 BW)이고, 내수압성이 최소 2,000mm H2O(ISO 811)에서 최대 25,000mmH2O(ISO 811)인, 친수성 무공형의 에테르 베이스 폴리우레탄(Hydrophilic non-poros Ether based polyurethane) 또는 친수성 무공형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Hydrophilic non-poros polyether-ester block co-polymer) 재질로 만든 멤브레인 포장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보관단계(S420)에서는 상기 원료육의 과숙성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보관단계(S410)에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기간 보관한다. 상기 제2 보관단계(S420)에서는 5℃ 내지 8℃온도로, 1일 내지 5일 동안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포장단계(S430)에서는 상기 제2 보관단계(S420)에서 멤브레인 포장지로 포장상태에 있는 원료육에 다른 포장지로 진공포장한다.
따라서, 상기 포장단계(S400)에서는 외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기타의 오염물질에 의한 원료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오성을 가진 멤브레인 포장지로 포장하여 숙성하므로 오염되지 않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숙성된 원료육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활동을 증가시켜 원료육의 소편화지수를 높임으로서 매우 연한 육질의 원료육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포장부(100)는 작업자(50)에게 상기 수용부(200)에서 소정영역의 물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온도알림유닛(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알림유닛(110)은 온도측정부(111), 알림부(112), 정보제공부(113) 및 발광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측정부(111)는 상기 진공포장부(1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200)에서 소정영역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측정부(111)는 종래에 사용되는 온도계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알림부(112)는 상기 수용부(200)의 외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측정부(111)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일 경우 경고알림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가 1 ~ 2℃ 이상일 경우 경고알림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113)는 상기 온도측정부(111)에서 제공받은 온도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발광부(114)는 상기 온도측정부(111)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온도가 기 설정된 이상일 경우 소정의 엘이디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상기 진공포장부(100)는 상기 수중숙성단계(S300)에서 원료육을 숙성시킬 때 상기 수용부(200)의 소정영역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가 이상이 측정되면 경고알림을 발생시켜 작업자(50)가 상기 수용부(200)에 충진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숙성단계(S300)에서 진공포장된 원료육을 다수개 숙성시킬 때 상기 온도측정부(111)에서 기설정된 온도가 이상일 경우 상기 발광부(114)가 발광하여 작업자(50)가 원료육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00)는 작업자(50)의 장갑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00)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유닛(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유닛(210)은 초음파진동부(211)와 제어모듈(212)을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진동부(211)는 상기 수용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부(2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초음파진동부(211)는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모듈(212)은 상기 온도측정부(111)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이상의 온도가 측정될 경우 상기 초음파진동부(211)를 진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수중숙성단계(S300)에서 숙성되는 원료육을 작업자(50)가 골라낼 때 작업자(50)의 장갑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원료육을 요리하기 위해 작업할 시 깨끗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험예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갈비 만족도 조사
양갈비 만족도 조사는 어린이(30명) 청소년(30명) 육가공 관련분야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및 직원(40명)을 100명을 조사대상으로 실시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대조군 1 내지 4에 의해 제조한 양갈비의 맛, 색깔, 조직감 및 향을 9점 평점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냈다.
시험예 식감 조직감 색깔
실시예 8.20±0.12 7.85±0.16 6.81±0.24 7.01±0.40
대조군1 7.54±0.24 6.58±0.20 6.41±0.12 6.89±0.29
대조군2 7.26±0.40 6.99±0.50 6.52±0.11 6.77±0.11
대조군3 6.99±0.62 6.72±0.41 6.51±0.29 6.54±0.20
대조군4 7.06±0.28 6.92±0.65 6.57±0.18 6.51±0.32
상기 표 1의 만족도 조사결과는 식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다른 대조군 1 내지 4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사결과는 어린이 및 청소년을 조사대상으로 포함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성을 가지며, 따라서 본 발명의 양갈비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따라 적합하고, 매우 우수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양갈비 제조방법
S100: 숙성단계
S110: 원료육절개단계
S120: 제1 숙성단계
S130: 제2 숙성단계
S200: 포장단계
S300: 수중숙성단계
S400: 포장단계
S410: 제1 보관단계
S420: 제2 보관단계
S430: 진공포장단계
50: 작업자
100: 진공포장부
110: 온도알림유닛
111: 온도측정부
112: 알림부
113: 정보제공부
114: 발광부
200: 수용부
210: 진동유닛
211: 초음파진동부
212: 제어모듈

Claims (7)

  1. 원료육에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료육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상기 마리네이드첨가물이 원료육의 육질 내부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료육을 소정깊이 다수번 절개하는 원료육절개단계와;
    상기 원료육에서 발생하는 잡내를 제거하고 상기 마리네이드첨가물의 맛을 내기 위해 상기 원료육에 간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육 절개단계에서 절개된 원료육에 제1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제1 숙성단계와;
    상기 원료육의 풍미를 향상시키며 육질을 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숙성단계에서 숙성된 원료육에 제2 마리네이드첨가물을 바른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제2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리네이드첨가물은 올리브오일 20 내지 25 중량%, 매실액 2.5 내지 5.5 중량%, 로즈마리(건) 0.4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5 중량%, 통후추 0.4 내지 1.5중량%, 월계수잎 0.4 내지 1.5 중량%, 오레가노 0.4 내지 1.5 중량%, 타임 0.4 내지 1.5 중량%, 바질 0.4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성단계에서는 1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리네이드첨가물은 올리브오일 20 내지 25 중량%, 마늘 9 내지 18 중량% 및 키위 24 내지 3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숙성단계에서는 1시간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계는 포장된 원료육을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포장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숙성단계에서는 5시간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갈비 제조방법.
KR1020210013074A 2021-01-29 2021-01-29 양갈비 제조방법 KR20220109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074A KR20220109726A (ko) 2021-01-29 2021-01-29 양갈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074A KR20220109726A (ko) 2021-01-29 2021-01-29 양갈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726A true KR20220109726A (ko) 2022-08-05

Family

ID=8282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074A KR20220109726A (ko) 2021-01-29 2021-01-29 양갈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7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513B1 (ko) 2017-05-12 2017-12-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트홈 사과발효 효소를 함유시킨 양념 갈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513B1 (ko) 2017-05-12 2017-12-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트홈 사과발효 효소를 함유시킨 양념 갈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630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уп грибной с курицей"
RU238098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уп гороховый с копченостями"
KR20180092045A (ko) 수비드 조리법에 의한 편의식 생선 조림 제조방법
KR101420387B1 (ko)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6394A (ko) 돼지머리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72266B1 (ko) 다시마 및 대파를 이용한 고기 숙성방법
RU2366307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олянка мясная сборная"
McGee Keys to good cooking: A guide to making the best of foods and recipes
TWI424816B (zh) Processing solid foo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109726A (ko) 양갈비 제조방법
Predika The Sausage-Making Cookbook: Complete instructions and recipes for making 230 kinds of sausage easily in your own kitchen
JP5116173B2 (ja) ケトルカレーの製造方法
KR101586138B1 (ko) 뽕편육 제조방법
KR20220109725A (ko) 돈갈비 제조방법
KR100846129B1 (ko)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수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7211A (ko) 사슴육포와 그 제조방법
KR102630176B1 (ko) 레토르트 유아용 반찬의 제조방법
KR100506147B1 (ko) 라이스 커틀릿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91616A (ko) 젤라틴으로 코팅시킨 습식숙성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스테이크
JP6981712B2 (ja) 柿果実処理方法
KR101419650B1 (ko) 구이용 갈매기살의 가공방법
KR101954908B1 (ko) 흑우 요리용 모체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우 요리용 모체 소스
KR20210043827A (ko) 한우의 저지방 부위육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제조방법
KR20230046471A (ko) 육류를 주재로 한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8718A (ko) 불지 않는 당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토르트 식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