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062A -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062A
KR20220108062A KR1020227018341A KR20227018341A KR20220108062A KR 20220108062 A KR20220108062 A KR 20220108062A KR 1020227018341 A KR1020227018341 A KR 1020227018341A KR 20227018341 A KR20227018341 A KR 20227018341A KR 20220108062 A KR20220108062 A KR 2022010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electric
bracket
skirt
brackets
electric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리드 사싸네
라파엘 산토스
마티유 보니치
장-뤼크 타라고
알랭 디페브빈
모하메드 크리케브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ublication of KR2022010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X)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7), 및 플레이트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38)를 포함하며, 스커트는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숄더부(39)를 구비하고, 숄더부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본체(27)를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의도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에 관련된다. 숄더부는 스커트의 둘레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본 발명은 특히,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및 특히, 자동차와 같은 차량을 위해 이러한 브래킷을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교류 발전기, 시동기-교류 발전기, 또는 심지어 가역 기계 또는 전기 모터와 같은 회전 전기 기계 분야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가역 기계는 교류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발전기로서, 그리고 자동차의 연소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로서, 가역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회전 전기 기계라는 것을 상기한다.
회전 전기 기계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로터와 고정된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교류 발전기 모드에서, 로터가 회전할 때 스테이터에서 자기장을 유도하여 차량의 전기 소비체(consumer)에게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해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한다. 모터 모드에서, 스테이터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며 예를 들면, 연소 기관을 시동하기 위해 로터가 회전하게 하는 자기장을 유도한다.
스테이터는 전기 권선이 통과하는 일련의 슬롯을 형성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이 전기 권선은 가시적인 부분이라고 불리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의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테이터 본체는 회전 전기 기계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2개의 브래킷에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브래킷은 스테이터 본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유지 부분을 구비한다.
전기 기계의 크기가 제한적일 경우, 가시적인 부분이 브래킷에 반경방향으로 매우 가까우며, 이로 인해 회전 전기 기계의 작동 동안에 합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작은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 회전 전기 기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가시적인 부분은 브래킷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합선을 생성하지 않는 동시에, 브래킷에 의해 스테이터의 효과적인 유지를 보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따라서, 축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를 구비하며, 스커트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본체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숄더부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숄더부는 스커트의 둘레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그러므로, 숄더부는 축방향 정지부라고도 할 수도 있는 별개의 축방향 정지 요소를 형성하고, 스테이터의 유지를 특정 구역에만 집중함으로써 브래킷에 대한 스테이터의 고정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숄더부가 스테이터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으며, 조립 공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계의 반경방향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동시에, 스테이터의 임의의 이동뿐만 아니라 합선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게다가, 스테이터 본체를 브래킷에 유지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숄더부가 스커트의 둘레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스테이터 본체를 유지하는데 기여하지 않는 모든 구역에서, 종래기술의 종래의 스커트에 비해 스커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스테이터 본체의 효과적인 유지를 보장하는 동시에, 브래킷의 중량 및 이에 따른 회전 전기 기계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숄더부의 치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조립 공차를 더욱 감소시켜서 기계의 치수의 감소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합선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은 스커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숄더부를 갖는다. 그러므로, 브래킷의 스커트에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숄더부를 구비한다. 이는 스테이터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힘을 스커트의 둘레를 따라 분포시킬 수 있게 하여, 스커트의 파손 위험 또는 스테이터의 본체의 불충분한 유지의 위험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숄더부는 스커트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는 기계의 균형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커트는 회전 전기 기계의 다른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사이의 조립에 기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체결 수단과 브래킷의 축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숄더부의 일부는 축을 포함하고 체결 수단을 통과하는 평면에 포함된다. 이는 축방향 유지력이 최대일 수 있는 구역에 숄더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스커트의 파손 위험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스테이터 본체의 유지력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총 70% 미만의 부분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브래킷과 스테이터 사이의 전체 베어링면은 스커트 둘레의 70%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총 20% 초과의 부분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브래킷과 스테이터 사이의 전체 베어링면은 스커트 둘레의 20% 초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전체적으로,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25% 내지 40%, 특히, 대략 30% 내지 32%, 예를 들면, 31%의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숄더부는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5% 내지 10%, 특히,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대략 7% 내지 8%의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이러한 치수는 스테이터 본체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과 감소된 크기의 기계, 기계의 질량 및 기계를 냉각할 수 있게 하는 공기 유입구/유출구의 개수의 감소 사이에서 양호한 절충안을 찾도록 유지 구역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스커트의 내부면에 걸쳐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스커트와 일체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는 축을 향해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면과, 유지면으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지면 및 상기 둘레방향면은 기계가공된다. 이러한 기계가공된 면은 매우 정밀한 치수, 특히, 직경을 가질 수 있어서, 조립 공차를 줄이고 합선을 발생시킬 위험 없이 권선의 가시 부분에 면을 더 근접하게 만들 수 있는 동시에, 기계 직경의 감소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둘레방향면은 유지면으로부터 플레이트까지 연장된다. 그러므로, 숄더부와 플레이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개구부가 없다. 이는 브래킷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둘레방향면은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기계가공된 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면을 형성한다. 이는 스커트와 가시 부분 사이의 간격을 최적화하여, 합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커트는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반경방향 개구부를 구비하고, 숄더부는 2개의 반경방향 개구부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스테이터 본체가 스커트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유지되는 종래의 브래킷에 비해 개구부를 확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계의 냉각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숄더부의 유지면과 동일한 반경방향 평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개구부는 가시 부분 베이스, 즉, 스테이터 본체에 인접한 가시 부분의 일부의 반대측이다. 이는 특히 가장 뜨거운 지점에서 스테이터의 가시 부분의 냉각을 향상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슬롯을 형성하는 스테이터 본체 및 상기 슬롯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전기 권선을 구비하는 스테이터, 및 상술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스테이터 본체에 대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는 제 2 브래킷을 구비하고, 스테이터 본체는 상기 제 2 브래킷과의 수축 끼워맞춤 구역을 갖는다. 숄더부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과 조합된 수축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은 스테이터 본체의 유지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냉각을 향상하고 기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억지 끼워맞춤 구역이라고도 하는 수축 구역은 제 2 브래킷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특히, 상기 제 2 브래킷의 스커트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장된다.
회전 전기 기계는 유리하게는 교류 발전기, 시동기-교류 발전기, 가역 기계 또는 전기 모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구현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연구하면 더 잘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회전 전기 기계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 1 브래킷의 내측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숄더부 중 하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브래킷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 내에 장착된 스테이터의 일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비슷한 요소는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유지한다. 또한, 다양한 도면이 반드시 동일한 척도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결코 제한적이지 않으며, 특히, 다른 설명된 특징과 별개로, 이하에 설명된 특징의 선택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상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설명된 모든 변형예 및 모든 실시예는 이러한 결합을 방지하는 기술적 이유가 없는 경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특히 자동차용의 콤팩트한 다상 회전 전기 기계(1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기계(10)는 교류 발전기 모드에서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모터 모드에서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전기 기계(10)는 예를 들면, 교류 발전기, 시동기-교류 발전기, 가역 기계 또는 전기 모터이다.
본 예에서, 기계(10)는 케이싱(11)을 구비한다. 이러한 케이싱(11) 내측에, 기계는 또한 샤프트(13)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12)와, 로터(12)를 둘러싸는 스테이터(15)를 구비한다. 로터(12)의 회전 운동은 축(X)을 중심으로 발생한다. 나머지 설명에서, 축방향은 샤프트(13)의 중심에서 샤프트(13)를 통과하는 축(X)에 대응하는 반면, 반경방향은 축(X)과 교차하고 특히 축(X)에 수직인 평면에 대응한다. 반경방향의 경우, 용어 "내부"는 축을 향해 배향되거나 제 2 요소에 대해 축에 더 근접한 요소에 대응하고, 용어 "외부"는 축으로부터 먼 곳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 케이싱(11)은 함께 결합되는 전방 브래킷(16) 및 후방 브래킷(17)을 구비한다. 이러한 브래킷(16, 17)은 중공 형상을 갖고, 샤프트(13)의 회전 장착을 위해 각각의 볼 베어링(18, 19)에 결합된 베어링을 중앙에서 각각 지지한다. 게다가, 케이싱(11)은 회전 전기 기계(10)가 자동차에 장착되게 하는 고정 수단(14)을 구비한다.
풀리(pulley)(20)와 같은 구동 부재는 샤프트(13)의 전방 단부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재는 회전 운동이 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게 하거나, 샤프트가 벨트로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나머지 설명에서, 명칭 "전방/후방"이 이러한 부재를 지칭한다. 따라서, 전방면은 부재의 방향으로 배향된 면이고, 후방면은 상기 부재로부터 먼 방향으로 배향된 면이다.
샤프트(13)의 후방 단부는 본 경우에, 도시되지 않은 정류자에 속하는 슬립 링을 지지한다. 도시되지 않은 브러쉬 홀더에 속하는 브러쉬는 슬립 링에 문지르도록 배치된다. 브러쉬 홀더는 전압 조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전방 브래킷(16) 및 후방 브래킷(17)은 로터(12)의 전방 축방향면에 배열된 전방 팬(25) 및 상기 로터의 후방 축방향면에 배열된 후방 팬(26)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 순환을 통해 기계(10)의 냉각을 허용하기 위해 기류의 통과를 위한 실질적으로 측방향 개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로터(12)는 2개의 클로 폴(31)을 구비하는 클로 폴 로터이다. 각각의 클로 폴(31)은 횡방향으로 배향된 플레이트(32), 자극을 형성하는 복수의 클로(33) 및 원통형 코어(34)로 형성된다. 로터는 코어 주위에 감겨진 코일(35)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정류자에 속하는 슬립 링은 와이어 연결에 의해 상기 코일(35)에 연결된다. 로터(12)는 또한 2개의 인접한 클로(33) 사이에 개재된, 영구 자석과 같은 자기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로터는 자극을 형성하는 영구 자석을 수용하는 적층 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테이터(15)는 전기 권선(28)을 장착하기 위한 슬롯 절연체가 구비된 슬롯이 제공된 적층 팩으로 형성된 본체(27)를 구비한다. 권선은 본체(27) 내의 슬롯을 통과하고, 스테이터의 본체의 양측에 전방 가시 부분(29) 및 후방 가시 부분(30)을 형성한다. 또한, 권선(28)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를 구비하고 전자 조립체(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위상으로 형성된다.
본 경우에 케이싱(11) 상에 장착되는 전자 조립체(36)는 권선(28)의 적어도 하나의 위상이 구동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력 모듈을 구비한다. 전력 모듈은 생성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기 위한 브리지 전압 정류기(bridge voltage rectifier)를 형성한다.
도 2는 회전 전기 기계(11)의 제 1 브래킷을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며, 이 브래킷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에서는, 후방 브래킷(17)이다. 후방 브래킷은 본 경우에, 전자 조립체(36)가 장착되는 브래킷이다.
브래킷(17)은 본 경우에, 기계의 회전축(X)에 대응하는 브래킷의 축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7)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플레이트는 볼 베어링(19)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형성하는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다.
브래킷은 또한 플레이트(37)의 일단부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38)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는 베어링을 형성하는 단부의 반대측에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스커트(38)는 축방향으로 스테이터 본체(27)를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는 표면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숄더부(39)를 구비한다. 각각의 숄더부(39)는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일부에 걸쳐서, 그리고 스커트의 내부면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따라서, 스테이터는 스커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구별되는 복수의 지점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스커트는 4개의 숄더부(39)를 갖는다. 상기 숄더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일 수도 있다.
숄더부(39)는 스커트(38)의 둘레를 따라 각지게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인접한 숄더부는 스커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
각각의 숄더부는 특히 본 경우에, 축(X)과 브래킷(17)의 체결 수단(40)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고정 수단은 특히, 후방 브래킷(17)을 전방 브래킷(16)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단(40)은 나사 또는 타이 로드와 같은 체결 요소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구멍일 수도 있다. 스커트(38)는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커트는 숄더부(39) 및 관련 체결 수단(40)을 각각 구비하는 4개의 조립체를 갖는다. 상기 조립체는 축(X)에 대해 쌍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그리고 특히 스커트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숄더부(39)는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대략 8%의 일부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여전히, 본 예에서, 숄더부(39)의 둘레방향의 폭의 합은 스커트의 전체 둘레의 대략 32%이다.
스커트(38)는 축방향으로 상기 스커트의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환형 부분(41), 복수의 아암(42) 및 스테이터 본체(27)를 유지하기 위한 숄더부(39)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분(43)을 구비한다. 상기 아암 및 상기 유지 부분은 상기 환형 부분(41)과 플레이트(37) 사이에서 대체로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각각의 유지 부분(43)은 아암(42)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큰 둘레방향 폭을 갖는다.
반경방향 개구부(44)는 2개의 연속적인 아암(42) 사이에, 그리고 아암(42)과 유지 부분(43)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개구부는 회전 전기 기계를 냉각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개구부(44)는 스테이터의 권선(28)의 후방 가시 부분(30)의 일부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반경방향 개구부(44)는 스테이터 본체(27)의 축방향 정지면을 형성하는 2개의 숄더부(39)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개구부(44)는 상기 가시 부분의 베이스 부분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가시 부분의 베이스 부분은 스테이터 본체에 인접한 부분이다. 이는 플레이트(37)에 형성된 축방향 개구부(45)를 통해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기류가 개구부(44)를 통해 기계의 챔버 밖으로 정체된 공기를 가압하게 함으로써 가시 부분의 내부 반경방향 부분에 정체된 뜨거운 공기를 배출하도록 허용함으로써 기계의 냉각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숄더부(39)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숄더부는 유지 부분(43)과 일체이고 축(X)을 향한 반경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한다.
스테이터 본체(27)는 상기 숄더부가 축방향 정지면 또는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여 스테이터 본체가 축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숄더부(39)와 접촉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도 5의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본체(27)의 반경방향 외주부(48)의 일부는 스커트(38)의 유지 부분(43)의 제 1 둘레방향면(47)과 접촉하여 있고, 스테이터 본체(27)의 축방향 단부면(46)의 외부 부분은 숄더부(39)를 형성하기 위해 둘레방향면(47)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면(49)과 접촉하여 있다. 바람직하게, 숄더부(39)는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면(47) 및 상기 반경방향 연장면(49)은 기계가공된다.
유지면(49)의 자유 단부는 제 2 둘레방향면(50)에 의해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숄더부는 유지면(49) 및 제 2 둘레방향면(5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면(50)은 바람직하게 기계가공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둘레방향면(50)은 유지면과 플레이트(37)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레이트는 상기 면을 기계가공하는 작업을 단순화하도록 상기 둘레방향면까지 연장되는 축방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숄더부(5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둘레방향면(50)은 후방 가시 부분(30)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면은 X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회전 전기 기계(10)의 전방 브래킷(16)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숄더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브래킷(16)은 후방 브래킷(17)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스테이터 본체(27)는 숄더부(39)를 형성하는 유지면(49) 상의 2개의 브래킷(16, 17) 사이에 단단히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스테이터 본체(27)는 전방 브래킷(16)에 억지 끼워맞춤되고, 후방 브래킷(17)은 상기 본체가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은 특히 교류 발전기 또는 전기 모터 분야에 적용할 수 있지만, 임의의 유형의 회전 기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었으며, 본 발명의 분야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분야는 다양한 요소를 임의의 다른 동등물로 대체함으로써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Claims (10)

  1.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으로서,
    - 축(X)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7), 및
    -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38)로서, 상기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본체(27)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숄더부(39)를 구비하는, 상기 스커트(38)를 구비하는, 상기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7)은 상기 숄더부가 상기 스커트의 둘레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커트(38)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숄더부(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38)는 상기 회전 전기 기계의 다른 브래킷(16)과 상기 브래킷(17) 사이의 조립에 기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숄더부(39)는 상기 체결 수단(40)과 상기 브래킷의 축(X)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39)는 상기 스커트(38)의 전체 둘레의 총 70% 미만의 부분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39)는 상기 축(X)을 향해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면(49)과,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면(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지면 및 상기 둘레방향면은 기계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방향면(50)은 상기 유지면(49)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37)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방향면(50)은 상기 축(X)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38)는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반경방향 개구부(44)를 구비하고, 상기 숄더부(39)는 2개의 반경방향 개구부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9. 회전 전기 기계에 있어서,
    - 슬롯을 형성하는 스테이터 본체(27) 및 상기 슬롯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전기 권선(28)을 구비하는 스테이터(15), 및
    - 상기 스테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에 대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16, 17)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기 기계는 제 2 브래킷(16)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 본체(27)는 상기 제 2 브래킷과의 수축 끼워맞춤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계.
KR1020227018341A 2019-12-09 2020-12-07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KR20220108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3986A FR3104338B1 (fr) 2019-12-09 2019-12-09 Flasque pour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FRFR1913986 2019-12-09
PCT/EP2020/084934 WO2021116040A1 (fr) 2019-12-09 2020-12-07 Flasque pour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062A true KR20220108062A (ko) 2022-08-02

Family

ID=6974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341A KR20220108062A (ko) 2019-12-09 2020-12-07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6949A1 (ko)
EP (1) EP4073909A1 (ko)
KR (1) KR20220108062A (ko)
CN (1) CN114747120A (ko)
FR (1) FR3104338B1 (ko)
WO (1) WO2021116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1258A1 (zh) * 2022-06-30 2024-01-04 淮安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电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6446A (en) * 1978-10-20 1980-04-25 Hitachi Ltd Colle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DE10361864A1 (de) * 2003-12-30 2005-07-2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JP5240495B2 (ja) * 2007-10-31 2013-07-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モータ
US11349370B2 (en) * 2017-04-28 2022-05-31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Rotary electric machine with shrink-fitted bearing
FR3066659B1 (fr) * 2017-05-18 2020-10-23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palier ayant une face interne configuree pour ameliorer le refroidis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47120A (zh) 2022-07-12
FR3104338A1 (fr) 2021-06-11
FR3104338B1 (fr) 2023-12-08
EP4073909A1 (fr) 2022-10-19
US20230036949A1 (en) 2023-02-02
WO2021116040A1 (fr)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934B2 (en) Alternating-current dynamo-electric machine
US6784586B2 (en) Hybrid alternator with an axial end retainer for permanent magnets
US8810101B2 (en) Electric rotary machine having claw magnetic poles with flanges having centrifugal force resistance
US10069355B2 (en) Rotor for rotary electrical machine
JP2009508464A (ja) 爪ロータを備える回転電気機械のための多相ステータ、およびこのような多相ステータを備えるオルタネータまたはオルタネータスタータ
US6903485B2 (en) Claw-pole alternator with non-uniform air gap
JP3117019B2 (ja) 車両用回転電機の回転子
US9960651B2 (en) Claw rotor provided with an excitation winding insulator, and rotary electrical machine equipped with the claw rotor
US7608973B2 (en) Dynamoelectric rotor
US20050006978A1 (en) Twin coil claw pole rotor with stator phase shifting for electrical machine
JP2010514406A (ja) 多相回転電気機械のステータ、このステータを有する多相回転電気機械、およびこ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CN107848429B (zh) 用于机动车辆的旋转电机
KR20220108062A (ko) 회전 전기 기계용 브래킷
KR101503062B1 (ko) 정지축을 구비한 브러시리스 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336723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JP4450134B2 (ja) ブラシレス交流発電機
JP7101672B2 (ja) 回転電気機械用のロータ
JP3656347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
CN107148722B (zh) 用于交流发电机或电机的定子
US20230155447A1 (en) Cover for a rotating electric machine
EP3742591B1 (en) Ro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292870B (zh) 具有增强磁性能的旋转电机爪形转子
US20220407380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provided with an end shield having an inner face configured for cooling
CN111264020A (zh) 用于旋转电机的滚动轴承小板
JP2003324917A (ja) 車両用交流回転電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