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414A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414A
KR20220107414A KR1020210010023A KR20210010023A KR20220107414A KR 20220107414 A KR20220107414 A KR 20220107414A KR 1020210010023 A KR1020210010023 A KR 1020210010023A KR 20210010023 A KR20210010023 A KR 20210010023A KR 20220107414 A KR20220107414 A KR 2022010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al
unit
gas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196B1 (ko
Inventor
반행진
안광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 드라이어는 커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본체부의 내주면과 커버부의 외주면 사이를 통해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 및 회전다이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다이얼과 상기 커버부 사이를 통해 상기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기체가 제공되는 기체토출부가 아닌 다른 부분을 통해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 {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기체유입부로 유입된 기체가 기체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발이 젖은 상황에서 헤어 드라이어를 통해 모발을 건조시키는 경우,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체의 특성, 예컨대 기체 온도, 기체 속도, 기체의 유동면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체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는 버튼식(가압식), 슬라이딩식, 회전식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가 회전식으로 마련된다면 헤어 드라이어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공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조작부가 회전식으로 마련됨에 따라, 조작부와 본체부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가 누설될 수 있다. 기체가 누설된다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체의 집중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누설된 기체는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기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등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와 본체부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조작부가 구비됨에 따라 조작부를 헤어 드라이어에 결합시키고 배치시키는 것은 헤어 드라이어의 제조, 경량화 및 부피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조작부를 헤어 드라이어에 효율적으로 배치시키고 결합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작부를 통해 외부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작부 및 조작부를 지지하는 구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결합시키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작부 및 조작부를 지지하는 구성 사이를 통해 외부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사이에 상기 회전다이얼의 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회전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회전다이얼보다 상기 기체토출부에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 사이를 통해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회전다이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다이얼과 상기 커버부 사이를 통해 상기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고정시키는 제2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를 마주하는 일면의 형상이 상기 제1커버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부의 내부를 차폐시키도록 상기 제1커버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누설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제1커버본체부 및 상기 제1커버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본체부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1커버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제1커버삽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다이얼삽입부 및 상기 다이얼삽입부에서 상기 제1커버삽입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커버부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다이얼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다이얼본체부와 상기 제1커버삽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삽입부와 상기 다이얼본체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다이얼누설방지부 및 상기 제1다이얼누설방지부와 이격되고 상기 다이얼본체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커버부와 상기 다이얼본체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다이얼누설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본체부는 상기 다이얼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커버부를 지지하는 다이얼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다이얼누설방지부는 상기 다이얼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마주하는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수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커버부와 결합되는 제1커버결합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1커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커버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결합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결합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결합부는 상기 제2커버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출부는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결합함몰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결합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커버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결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삽입부는 상기 결합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제2커버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결합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커버부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제1체결홀이 마련되는 제1커버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결합부는 상기 제2커버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커버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제2체결홀이 마련되는 제2커버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을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커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주면은 상기 누설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마련되는 누설방지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누설방지수용부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작부를 통해 외부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작부를 용이하게 본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작부 및 조작부를 본체부에 지지하는 구성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작부 및 조작부를 지지하는 구성 사이를 통해 외부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레이터가 분리된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손잡이부(800) 및 기체토출부(1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400)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전방에서 바라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 후, 좌, 우, 상 및 하의 정의는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고하면 기체토출부(110)는 본체부(10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부(800)는 본체부(10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830)를 통해 유입되며, 기체유입부(830)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800)에 구비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830)가 손잡이부(800)에 구비된 경우에는 기체유로(400)가 손잡이부(800)로부터 본체부(1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체유로(400)는 기체유입부(830)로부터 기체토출부(1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800)에 마련되는 기체유입부(830)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기체유로(400)를 따라 유동되어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11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8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80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80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800)가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800)는 본체부(100)에 대한 길이방향이 고정되거나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80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800)의 길이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본체부(10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8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800)의 연장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에서 손잡이부(800)가 연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할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토출부(11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810)을 포함한다. 팬유닛(810)은 기체유로(40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8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830)가 손잡이부(800)에 배치된 경우, 기체유로(400)는 손잡이부(800)의 기체유입부(830)로부터 본체부(100)의 기체토출부(110)까지 연장될 수 있고, 팬유닛(810)은 손잡이부(800)에 위치되는 기체유로(4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유닛(1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조절유닛(12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온도조절유닛(12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온도조절유닛(12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를 가열하거나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80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한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팬유닛(810)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830)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유입부(83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810)에 의해 기체유로(400)를 따라 유동되어 기체토출부(110)를 향하고, 기체토출부(11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함에 있어, 입체적인 기체유동을 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기체가 토출되는 센터홀 및 사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내부에 기체유로(400)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다. 개방된 일측은 상기 기체유로(400)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기체토출부(110)는 본체부(100)에서 상기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측은 기체유로(400)의 단부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기체유로(400)를 통해 이동되는 기체는 상기 센터홀(115) 및 상기 사이드홀(113)에 동시에 전달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1 및 2에는 단면이 원형이고 길이를 가지는 본체부(100)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대략 원형이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체부(100)에서 개방된 일측은 다양한 위치일 수 있다. 즉, 본체부(100)에서 개방된 일측은 본체부(100)의 일단부일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일단부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기체토출부(110)는 본체부(100)의 일단부에서 본체부(100)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기체토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00)의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홀(115)과 사이드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홀(115) 및 사이드홀(113)은 기체토출부(110)에서 기체가 토출되는 토출구에 해당된다.
센터홀(115)은 기체토출부(110)의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센터홀(115)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일 수 있으며, 직경의 크기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사이드홀(113)은 센터홀(115)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센터홀(115)은 기체토출부(110)의 중앙에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홀(113)은 센터홀(115)이 중앙에 배치되는 링 형상(환형 형상)의 개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링 형상(환형 형상)이란 연장된 형태가 폐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링 형상(환형 형상)은 상기 폐곡선에 의해 감싸지는 폐단면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는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는 사이드홀(113)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링 형상은 원형의 폐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링 형상은 반드시 원형이 아닐 수 있고, 예컨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각형의 링 형상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홀(113)은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도 1에는 대략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사이드홀(113)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센터홀(115) 및 사이드홀(113)은 동일한 기체유로(400)에 함께 연통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손잡이부(800)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기체유로(400)가 존재하며, 기체토출부(110)의 센터홀(115) 및 사이드홀(113)은 상기 기체유로(400)에 함께 연통되어 동시에 기체를 토출할 수 있다.
사이드홀(113)에서 토출되는 토출기체는 기체토출부(11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 전체에 대한 부피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토출기체 전체의 단면적은 사이드홀(113)이 이루는 폐단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는 유동이 진행되면서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홀(113)에 의해 기체가 토출되지 않는 단면상 중앙측을 향해 기체 유동 일부가 분산되면서 단면적이 초기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이드홀(113)의 중앙측에 센터홀(115)을 배치하고, 센터홀(115)의 토출기체의 영향으로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가 단면상 중앙측으로 분산되는 현상을 억제한다.
즉, 센터홀(115)의 토출기체는 기체토출부(110)의 전체 토출기체에 대한 단면상 중앙측에서 유동되며,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가 유동과정에서 중앙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전체 토출기체가 초기의 단면적을 유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넓은 단면적의 토출기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부피감있는 기체를 이용하여 드라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센터홀(115) 및 사이드홀(113)을 통해 부피감이 형성된 전체 토출기체는 사용자에게 있어 더 넓은 면적의 드라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터홀(115)과 사이드홀(113)이 하나의 기체유로(400)에 연통되므로, 각각의 기체유로(400)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설계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며,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토출기체를 제공하는 데에 효율적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2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토출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17)는 중앙측에 상기 센터홀(115)이 형성되며, 외주면과 상기 본체부(100)의 외벽 사이에 상기 사이드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17)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17)는 본체부(100)에서 상기 일측의 개방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이나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재(117)는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측 형상과 일부 상이하게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홀(113)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고, 본체부(100)의 외벽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7)는 본체부(100)의 일면,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00)의 전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며, 중앙에 센터홀(115)이 형성되고 외주면과 본체부(100)의 외벽 사이에 사이드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7)는 본체부(100)의 개구에 대해 복수의 결합리브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재(117)는 사이드홀(113)로부터 센터홀(115)을 향할수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를 향해 만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재(117)는 전면의 중앙이 본체부(100) 내부를 향해 만입되어 전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토출부(110)로 배출된 토출기체의 유동경로상 센터홀(115)의 토출기체가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보다 상류측에서 토출될 수 있다.
전체 토출기체의 유동경로상 센터홀(115)의 토출기체는 사이드홀(113)보다 먼저 확산이 시작되면 센터홀(115)의 토출기체 단면적이 확산을 통해 증가될 수 있고, 단면적이 증가된 센터홀(115)의 토출기체가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가 중앙측으로 유동 또는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센터홀(115)의 토출기체가 확대되는 공간의 일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117)의 전면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난류의 형성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전면이 이루는 곡면의 곡률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터홀(115)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홀(115)을 통해 토출되는 기체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콘(11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터홀(115)은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콘(111) 사이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다.
도 1에는 센터홀(115)의 중앙에 배치되는 가이드콘(111)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콘(111)이 배치됨에 따라, 센터홀(115)의 토출기체는 센터홀(115)의 내측면과 가이드콘(111)의 외측면 사이 공간으로 토출된다.
가이드콘(111)이 센터홀(115)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센터홀(115)은 링 형상의 토출구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센터홀(115)의 토출기체는 링 형상을 단면을 가지며 상기 센터홀(115)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터홀(115)의 토출기체는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가 유동과정에서 중앙측으로 만입되어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터홀(115)의 중앙에 가이드콘(111)을 배치하여 센터홀(115)의 토출기체가 단면상 외측으로 확산되는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이드콘(111)에 배치되어 센터홀(115)의 토출기체가 가지는 단면적이 증가되면, 사이드홀(113)의 토출기체가 단면상 내측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콘(111)은 상기 기체유로(400)를 향해 돌출된 일단부가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뿔 형상이란, 단면이 원형을 가지며 길이가 증가할수록 원의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원뿔 형상에서 상기 원형은 타원 등과 같이 정형적인 원의 형태 외의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직경의 감소는 반드시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예컨대 직경 감소율이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할 수도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사용자는 선호하는 기체의 특성이 다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원하는 기체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유로(400)상의 기체는 팬유닛(810)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12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팬유닛(810) 및 온도조절유닛(120)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기체의 특성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는 필수 구성요소이다. 조작부의 형태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는 버튼식(가압식) 및 슬라이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와 미관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조작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어 드라이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800)를 파지하여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스타일링 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일단부에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0)는 본체부(10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조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0)는 조작부(300)를 본체부(100)에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부(5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00)는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본체부(10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10)와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통해 조작하는 경우에 가열된 기체가 토출될 수 있는 기체토출부(110)와 접촉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00)는 가열된 기체 또는 기체토출부(110)로부터 열전달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다이얼(3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다이얼(310)은 환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300)의 부피 및 무게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3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은 본체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커버부(2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다이얼(310)을 회전시켜 헤어 드라이어(1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회전다이얼(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기체의 온도, 기체의 풍량 및 헤어 드라이어(10)의 상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10)의 동작 상태 및 기체의 특성에 대해서 인식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에 결합되더라도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메인제어기판(150)을 수용하여 메인제어기판(150)을 지지할 수 있다. 메인제어기판(150)은 온도조절유닛(120) 및 팬유닛(810) 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회전다이얼(310)을 마주하는 단부의 외주면과 본체부(100)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공간은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커버부(200)의 단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소정공간은 환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다이얼(310)은 커버부(200)를 마주하는 단부가 소정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다이얼(310)은 커버부(200)에 의해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은 커버부(2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830)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 중 일부는 기체토출부(110)가 마련되는 본체부(100)의 일단부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다만, 기체유입부(830)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 중 다른 일부는 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향하여 유동하는 기체는 본체부(100)와 커버부(2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향하여 유동하는 기체는 커버부(200)와 회전다이얼(31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누설차단부 및 누설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헤어 드라이어(10)는 본체부(100)와 커버부(20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차단부(140)는 커버부(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누설차단부(140)는 커버부(200)의 외주면 및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누설차단부(140)는 회전다이얼(310)보다 기체토출부(11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누설차단부(140)는 커버부(200)의 외주면과 본체부(100)의 내주면 사이를 유동하는 기체가 회전다이얼(310)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회전다이얼(310)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사이에 기체가 누설될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커버부(200)의 외주면과 사이를 통해 기체가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차단부(140)는 커버부(200)의 외주면과 본체부(100)의 내주면 사이를 유동하는 기체가 회전다이얼(31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210)는 누설차단부(1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커버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마련되는 누설차단수용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차단부(140)는 누설차단수용부(2111)에 삽입되어 제1커버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부(210)는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되어 결합되는 제1커버본체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차단수용부(2111)는 제1커버본체부(211)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차단부(140)는 제1커버부(2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누설차단부(140)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차단부(140)는 누설차단수용부(2111)에 결합된 후에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효율적으로 기체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10)는 커버부(200) 및 회전다이얼(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누설방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방지부(700)는 회전다이얼(310)과 커버부(200)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설방지부(700)는 커버부(200) 및 회전다이얼(3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누설방지부(700)에 대해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b)는 제2커버부 및 커버누설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에 회전다이얼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6(b)는 커버부 및 회전다이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는 커버부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본체부의 타단부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누설방지부는 커버부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본체부의 타단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누설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회전다이얼(3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커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제1커버부(210)와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320)를 고정시키는 제2커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부(210)를 마주하는 일면의 형상이 제1커버부(210)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부(210)와 결합되어 제1커버부(210)의 내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즉, 제2커버부(230)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커버부(210)와 결합되는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200)는 제2커버부(230)에 의해 내부가 차폐되어 본체부(1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누설차단부(140)에 의해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커버부(200)의 외주면 사이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2커버부(230)에 의해 커버부(200)의 내부 자체가 폐쇄되어 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커버부(230)는 누설방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을 최소화 하면서 효율적으로 본체부(100)의 타단부를 통해 누설되는 기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제1커버부(210)는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제1커버본체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210)는 제1커버본체부(211)에서 연장되며 제1커버본체부(211)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1커버삽입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제1커버삽입부(213)의 외주면 사이에 회전다이얼(310)의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삽입부(2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커버부(230) 및 제1커버삽입부(213)는 마주하는 일면이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삽입부(213)에 결합되어 제1커버부(210)내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200)는 제2커버부(230)를 통해 커버부(2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부()는 내부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1커버삽입부(213)에서 연장되며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1커버돌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돌출부(215)에 결합되어 제1커버부(210)내부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는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 사이로 커버부(2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방지부(700)는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 사이로 커버부(2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누설방지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1커버부(21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 사이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버부(230)는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커버누설방지부(7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마련되는 커버수용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수용부(610)는 제2커버부(230)의 제1커버부(210)를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커버수용부(610)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1커버부(2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안정적으로 제2커버부(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커버결합돌기(7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수용부(610)는 내주면 관통하며 커버결합돌기(711)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커버수용관통홀(61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결합돌기(711)는 커버수용관통홀(6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커버수용관통홀(611)을 통해 제2커버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2커버부(230)와 인서트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이란 서로 다른 재료를 함께 금형에 삽입하여 사출하는 공법이다. 커버누설방지부(710)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커버부(230)는 커버누설방지부(710)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커버부(2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따라 팽창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부(230) 및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제작되면 조립과정과 부자재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230) 및 커버누설방지부(710)는 부품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230) 및 커버누설방지부(710)는 강성 및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커버부(230) 및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접착불량 및 조립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제2커버부(230) 및 커버누설방지부(710)는 제작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및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제1커버부와 회전다이얼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9(b)는 제1커버부와 회전다이얼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부와 회전다이얼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10(b)는 제1커버부 및 회전다이얼의 분해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11(a)는 커버부와 조작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b)는 커버부와 조작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내용 중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이를 제외하고 해석하거나 제한해석 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커버부(210)는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제1커버본체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210)는 제1커버본체부(211)에서 연장되며 제1커버본체부(211)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1커버삽입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다이얼(310)은 제1커버삽입부(213)와 본체부(10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다이얼삽입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삽입부(311)는 제1커버삽입부(213)의 외주면과 본체부(100)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은 다이얼삽입부(311)에서 연장되는 다이얼본체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본체부(313)는 제1커버삽입부(213)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다이얼본체부(313)는 제1커버삽입부(213)의 제1커버본체부(211)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면과 접촉되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본체부(313)는 제2커버부(230)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다이얼본체부(313)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이얼본체부(313)를 회전시켜 헤어 드라이어(10)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230)는 다이얼본체부(313)의 내부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부(3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다이얼(310)과 디스플레이부(320)만을 인식 가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미관상 심미감을 줄 수 있다.
한편, 제2커버부(230)는 본체부(100)와 조작부(300)의 부피 최소화 및 설치 공간 등에 따라 제1커버부(210)의 내부를 차폐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제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방지부는 회전다이얼과 커버부 사이에 마련되는 다이얼누설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다시 참조하면, 다이얼누설방지부(730)는 다이얼본체부(313)와 제1커버삽입부(213) 사이에 마련되는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제1커버삽입부(213)와 다이얼본체부(313) 사이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회전다이얼(310)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다이얼본체부(313)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본체부(313)는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면이 함몰되어 마련되는 제1다이얼수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얼수용부(630)는 다이얼본체부(313)의 제1커버삽입부(213)를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제1다이얼수용부(630)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제1커버삽입부(213)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안정적으로 다이얼본체부(31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커버부(210)와 회전다이얼(31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얼수용부(630)는 회전다이얼(310)의 내주면에서 회전다이얼(310)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다이얼수용부(630)는 구조적 강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다이얼결합돌기(7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얼수용부(630)는 내주면 관통하며 제1다이얼결합돌기(7311)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1다이얼수용관통홀(6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얼결합돌기(7311)는 제1다이얼수용관통홀(63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제1다이얼수용관통홀(631)을 통해 다이얼본체부(313)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회전다이얼(310)과 인서트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회전다이얼(310)은 커버누설방지부(710)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커버부(2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따라 팽창될 수 있다. 이로써,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커버부(200)와 회전다이얼(31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회전다이얼(310) 및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제작되면 조립과정과 부자재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 및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부품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다이얼(310) 및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강성 및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회전다이얼(310) 및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접착불량 및 조립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회전다이얼(310) 및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는 제작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다이얼누설방지부(730)는 다이얼본체부(313)와 제2커버부(230) 사이에 마련되는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2커버부(230)와 다이얼본체부(313) 사이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의 위치관계에 따라 제1다이얼누설방지부(731)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얼본체부(313)는 다이얼본체부(313)의 내주면을 따라 제2커버부(230)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다이얼지지부(31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지지부(3131)는 다이얼본체부(313)의 중앙을 향해 다이얼본체부(313)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다이얼지지연장부(313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지지부(3131)는 다이얼지지연장부(3131a)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다이얼지지돌출부(3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지지돌출부(3131b)는 제2커버부(230)의 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지지돌출부(3131b)는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커버부(230)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다이얼지지부(3131)에 삽입되는 다이얼결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결합부(233)는 기체토출부(1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다이얼결합부(23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결합부(233)는 기체토출부(110)와 멀어지도록 돌출되는 제2다이얼결합부(2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제1다이얼결합부(2331) 또는 제2다이얼결합부(2333)가 다이얼지지부(3131)에 삽입되어 회전다이얼(310)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1다이얼결합부(2331)및 제2다이얼결합부(2333) 중 다이얼지지부(3131)에 삽입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가 제1다이얼결합부(2331)에 삽입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후술한다.
제1다이얼결합부(2331)는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면이 함몰되어 마련되는 제2다이얼수용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얼수용부(650)는 제1다이얼결합부(2331)의 다이얼지지부(3131)를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2다이얼수용부(650)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다이얼지지부(3131)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안정적으로 제2커버부(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커버부(230)와 회전다이얼(31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2다이얼결합돌기(7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얼수용부(650)는 내주면을 관통하며 제2다이얼결합돌기(7331)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2다이얼수용관통홀(6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얼결합돌기(7331)는 제2다이얼수용관통홀(65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2다이얼수용관통홀(651)을 통해 다이얼결합부(233)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2커버부(230)와 인서트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커버부(230)는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커버부(20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따라 팽창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커버부(200)와 회전다이얼(31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부(230) 및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제작되면 조립과정과 부자재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230) 및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부품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230) 및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강성 및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커버부(230) 및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접착불량 및 조립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제2커버부(230) 및 제2다이얼누설방지부(733)는 제작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커버부(230)는 디스플레이부(32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3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제2커버부(230)와 디스플레이부(320)사이로 기체가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누설방지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커버부(230)는 디스플레이부(320)를 마주하는 일면이 함몰되는 디스플레이수용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231)는 디스플레이부(3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수용부(231)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수용부(231)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디스플레이수용부(231)와 디스플레이부(320) 사이에 마련되는 누설방지보조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방지보조부(750)는 디스플레이수용부(231)와 디스플레이부(320) 사이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231)는 누설방지보조부(7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주면이 함몰되어 마련되는 보조수용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수용부(2311)는 디스플레이수용부(231)의 디스플레이부(320)를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방지보조부(750)는 보조수용부(2311)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누설방지보조부(750)는 디스플레이부(32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누설방지보조부(750)는 안정적으로 제2커버부(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커버부(230)와 디스플레이부(320) 사이를 통해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는 제1커버부(210)가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부(10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부(230)는 공간활용 및 경량화를 위해 제1커버부(2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커버부(230)가 제1커버부(210)에 고정되는 것은 공간활용 및 경량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커버결합부와 제2커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커버결합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결합부(217)는 제2커버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2커버결합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결합부(235)는 제1커버결합부(217)와 결합되어 제2커버부(230)를 제1커버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커버부(210) 및 제2커버부(230)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커버결합부(217)는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제2커버결합부(235)는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에 마련됨에 따라 커버부(20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제2커버부(230)를 제1커버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결합부(217)는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결합함몰부(21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결합부(235)는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에서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돌출부(235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출부(2351)는 단부가 돌출되어 결합함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커버부(210) 및 제2커버부(230)는 마주보는 단면이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버부(230)가 제1커버부(210)를 차폐시키도록 결합되면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 및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은 연속된 일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함몰부(2171) 및 결합돌출부(2351)는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로써, 결합함몰부(2171) 및 결합돌출부(2351)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제2커버부(230)를 제1커버부(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부(230)는 디스플레이부(320)를 마주하는 일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결합삽입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제2커버부(230)를 마주하는 일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결합수용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삽입부(239)는 결합수용부(325)에 수용되어 디스플레이부(320)를 제2커버부(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표시부(323) 및 디스플레이제어기판(32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23)는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결합수용부(325)는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는 부분까지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미관상 심미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320)는 제2커버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 및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은 연속된 일면을 이루지 않거나 제1커버부(210)와 제2커버부(230)의 강한 결합력이 요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결합부 및 제2커버결합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결합부(217)는 제1체결홀(2175)이 마련되는 제1커버체결부(217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커버결합부(217)는 제1커버부(210)의 내주면에서 제1커버부(210)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커버체결부(2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체결부(2173)는 단부에 제1체결홀(2175)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체결부(2173)는 제1커버부(210)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커버체결연장부(217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체결부(2173)는 제1커버체결연장부(2173a)에서 상기 제2커버부(23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는 제1체결홀(21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는 후술할 제2커버체결부(2353)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커버부(210)는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를 통해 제2커버체결부(2353)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를 통해 제2커버부(230)와 제1커버부(210)와 결합시키는 경우에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와 제2커버체결부(2353)가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결합력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로써, 제2커버부(230)는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에 의해 제1커버부(2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에 직접 고정되는 제1커버부(210)에 제1커버체결돌출부(2173b)가 구비됨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2커버결합부(235)는 제2커버부(230)의 내주면에서 제2커버부(23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커버체결부(2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체결부(2353)는 단부에 제2체결홀(2355)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홀(2355)은 제1체결홀(2175)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체결홀(2175) 및 제2체결홀(2355)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제2커버부(230)는 체결부재를 통해 제1커버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커버부(230)는 제1체결홀(2175), 제2체결홀(2355) 및 체결부재를 통해 제1커버부(210)에 결합될 때 강한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제1체결홀(2175) 및 제2체결홀(2355)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E)는 제1체결홀, 제2체결홀(2355) 및 디스플레이체결홀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E)는 디스플레이부(320), 제1커버부(210) 및 제2커버부(230)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헤어 드라이어(10)는 디스플레이부(320), 제1커버부(210) 및 제2커버부(230)를 결합시키는데 있어 구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누설방지부(700)가 커버부(200) 또는 회전다이얼(310)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개괄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누설방지부(700)는 커버부(200)의 내주면 또는 회전다이얼(310)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내주면 또는 회전다이얼(310)의 내주면은 누설방지부(7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마련되는 누설방지수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방지수용부(600)는 누설방지수용부(600)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누설방지수용부(600)는 상술한 커버수용부(610), 제1다이얼수용부(630) 및 제2다이얼수용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누설방지부(700)는 용이하게 커버부(200) 또는 회전다이얼(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강한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부 110: 기체토출부
113: 사이드홀 115: 센터홀
200: 커버부 210: 제1커버부
211: 제1커버본체부 213: 제1커버삽입부
215: 제1커버돌출부 217: 제1커버결합부
230: 제2커버부 231: 디스플레이수용부
300: 조작부 310: 회전다이얼
311: 다이얼삽입부 313: 다이얼본체부
320: 디스플레이부 500: 제어부
600: 누설방지수용부 610: 커버수용부
630: 제1다이얼수용부 650: 제2다이얼수용부
700: 누설방지부 710: 커버누설방지부
730: 다이얼누설방지부 731: 제1다이얼누설방지부
733: 제2다이얼누설방지부 750: 누설방지보조부

Claims (13)

  1.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다이얼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사이에 상기 회전다이얼의 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회전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회전다이얼보다 상기 기체토출부에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 사이를 통해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회전다이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다이얼과 상기 커버부 사이를 통해 상기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고정시키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를 마주하는 일면의 형상이 상기 제1커버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부의 내부를 차폐시키도록 상기 제1커버부에 결합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누설방지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제1커버본체부; 및
    상기 제1커버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본체부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제1커버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제1커버삽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다이얼삽입부; 및
    상기 다이얼삽입부에서 상기 제1커버삽입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커버부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다이얼본체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다이얼본체부와 상기 제1커버삽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버삽입부와 상기 다이얼본체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다이얼누설방지부; 및
    상기 제1다이얼누설방지부와 이격되고 상기 다이얼본체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2커버부와 상기 다이얼본체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다이얼누설방지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본체부는,
    상기 다이얼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커버부를 지지하는 다이얼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다이얼누설방지부는 상기 다이얼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에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마주하는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수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로 상기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커버부와 결합되는 제1커버결합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제1커버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커버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결합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결합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결합부는 상기 제2커버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출부는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결합함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결합삽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커버부를 마주하는 일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결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삽입부는 상기 결합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제2커버부에 고정시키는 헤어 드라이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결합부는 상기 제1커버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커버부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제1체결홀이 마련되는 제1커버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결합부는 상기 제2커버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커버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며 단부에 제2체결홀이 마련되는 제2커버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을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커버부에 고정되는 헤어 드라이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회전다이얼의 내주면은 상기 누설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마련되는 누설방지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누설방지수용부에 삽입되어 마련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210010023A 2021-01-25 2021-01-25 헤어 드라이어 KR10253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23A KR102537196B1 (ko) 2021-01-25 2021-01-25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23A KR102537196B1 (ko) 2021-01-25 2021-01-25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14A true KR20220107414A (ko) 2022-08-02
KR102537196B1 KR102537196B1 (ko) 2023-05-26

Family

ID=8284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023A KR102537196B1 (ko) 2021-01-25 2021-01-25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04U (ja) * 1991-07-23 1993-02-09 保 牧石 エアフイルタ付きヘアドライヤ
KR20120079871A (ko) * 2011-01-06 2012-07-16 이보영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US20180000216A1 (en) * 2016-06-30 2018-01-04 Helen Of Troy Limited Multi-Function Actuator For Adjusting Two Or More Hair Appliance Variables
KR20200033172A (ko) * 2018-09-19 2020-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04U (ja) * 1991-07-23 1993-02-09 保 牧石 エアフイルタ付きヘアドライヤ
KR20120079871A (ko) * 2011-01-06 2012-07-16 이보영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US20180000216A1 (en) * 2016-06-30 2018-01-04 Helen Of Troy Limited Multi-Function Actuator For Adjusting Two Or More Hair Appliance Variables
US10542807B2 (en) * 2016-06-30 2020-01-28 Helen Of Troy Limited Multi-function actuator for adjusting two or more hair appliance variables
KR20200033172A (ko) * 2018-09-19 2020-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96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692B1 (ko) 헤어드라이어
US9808067B2 (en)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KR102364681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64689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JP5923062B2 (ja) ヘヤードライヤ
CN104047908B (zh) 风扇组件
KR102364690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2B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US20040163274A1 (en) Attachment for hair dryers
JP2016083586A (ja) ヘヤードライヤ
EP4133967A1 (en) Diffuser and hair dryer including same
US20210353032A1 (en) Hair dryer
KR102370985B1 (ko) 헤어 드라이어
KR20210126346A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950702799A (ko) 머리손질 기구의 증기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07414A (ko) 헤어 드라이어
KR102370984B1 (ko) 헤어 드라이어
KR101288074B1 (ko) 에너지 절감형 수도밸브 카트리지
KR20220107415A (ko) 헤어 드라이어
JP5495253B2 (ja)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100125586A (ko) 헤어 드라이어의 온풍 유도장치
US20240138538A1 (en) Hair dryer
JP2021526426A (ja) 手持ち式電気器具の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
US12004623B2 (en) Hair dryer
KR102366466B1 (ko) 헤어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