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871A -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871A
KR20120079871A KR1020110001196A KR20110001196A KR20120079871A KR 20120079871 A KR20120079871 A KR 20120079871A KR 1020110001196 A KR1020110001196 A KR 1020110001196A KR 20110001196 A KR20110001196 A KR 20110001196A KR 20120079871 A KR20120079871 A KR 2012007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hair
connector
air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영
Original Assignee
이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영 filed Critical 이보영
Priority to KR102011000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871A/ko
Publication of KR2012007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가 개시된다. 상기 헤어드라이어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양단에 구비된 공기유로가 형성된 헤어드라이어 케이스; 상기 헤어드라이어 케이스에 설치된 정역 회전 모터; 상기 정역 회전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송풍 팬;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환 하도록 상기 헤어드라이어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절환스위치;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거름 망;을 포함한다. 따라서 헤어드라이어를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나서 발생하는 머리카락 쓰레기를 간편하게 거름망을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으며, 절환스위치를 사용하여 풍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집진부에 흡입된 머리카락을 쓰레기통에 쉽게 버릴 수 있다.

Description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The hair dryer which is filtering system}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한 후에 동일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청소할 수 있는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어는 머리를 말리거나 성형을 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기구다. 헤어드라이어는 팬이 작동하면 후방에 형성된 흡기 공을 통해 적정량의 공기가 흡입된 후 이 흡입된 공기가 전열히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열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온풍기능과, 전열히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팬의 작동에 의해 흡기 공으로 흡입된 공기를 그대로 토출시키는 냉풍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온풍과 냉풍기능은 제품에 따라 다시 강, 약으로 구분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 가정과 헤어숍에서 머리를 감고 머리를 말리기 위하여 또는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변형을 가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헤어드라이어인데, 이러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항상 머리카락이 빠져 떨어지게 되며, 사용 후 머리카락을 청소 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말리고 난 후에 일일이 손으로 머리카락을 줍거나 빗자루나 걸레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였는데, 머리카락은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여 쓰레받기에 잘 담기지도 않고, 미세한 머리카락의 경우 발견하기 힘들어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왔다. 이렇게 손으로 청소를 하거나 빗자루나 걸레를 사용할 때 청소가 어려워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주위에 흩어져 있는 머리카락을 청소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일이 진공청소기를 꺼내 전기 코드를 꼽고 머리카락의 청소를 하는 것은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은 머리카락을 청소하기 위하여 전력 소모량이 많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것은 전력 낭비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팬과 히터가 설치된 헤어드라이기의 후방에 흡입 통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흡입 막과 필터를 설치하는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기는 민 상기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3-0031473호에 개시
되었다. 그러나 민 상기의 발명은 헤어드라이의 공기 흡입이 흡입 막과 필터를 통하여 흡입되기 때문에 공기 유입이 원활하지 않고, 청소기와 같은 개념으로 만들어진 흡입 통은 헤어드라이어를 한번 사용하고 바로 머리카락을 제거하여야 하는 청소기 겸용 헤어드라이어로서는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헤어드라이의 공기 흡입에 방해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말리고 난 후 떨어진 머리카락을 흡입한 후에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는 구조의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입구와 토출구가 양단에 구비된 공기유로가 형성된 헤어드라이어 케이스; 상기 헤어드라이어 케이스에 설치된 정역 회전 모터; 상기 정역 회전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송풍 팬;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도록 상기 헤어드라이어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절환스위치;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거름 망;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따라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말리고, 떨어진 머리카락을 흡인한 후 절환스위치를 사용하여 바로 쓰레기통에 머리카락을 버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름망과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한 상기 유로와, 상기 헤어드라이어 케이스 외부를, 관통하는 과열 방지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거름망을 폐쇄하여도, 과열 방지 구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모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의 상기 과열 방지 구 내측에 위치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팬을 향하는 끝단을 상기 헤어드라이어 케이스의 내 주면에 밀폐하는 밀폐 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를 거름망을 통해서 배출할 때, 공기가 과열 방지 구를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기는 헤어드라이어를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나서 발생하는 머리카락 쓰레기를 간편하게 헤어드라이어 후방에 고정되는 집진 부, 즉 연결구 및 거름망을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통과 같은 쓰레기 수집용기의 상부에 집진 부를 위치한 후, 절환스위치를 사용하여 풍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집진부에 흡입된 머리카락을 쓰레기통에 쉽게 버릴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중에 집진된 머리카락의 양이 많아 거름 흡기 구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을 때 과열 방지 구를 통해서 공기가 흡입되어 모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향을 반대로 변환하였을 때, 공기가 과열 방지 구를 통해서 새어나가는 것을 가이드 부재가 방지함으로써, 대부분의 공기의 흐름이 거름 망 측에 집중되도록 하여, 정전기 등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헤어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진부가 분리된 상태의 헤어드라이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거름 흡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헤어드라이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헤어드라이어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는 헤어드라이어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거름흡기구의 단면도
도 9는 흡기 상태의 도 7의 절단선 IX-IX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배기 상태의 도 7의 절단선 IX-IX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헤어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진부가 분리된 상태의 헤어드라이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거름 흡기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는 헤어드라이어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집진 부(20)로 구성된다. 헤어드라이어기 본체(10)는 본체(10)의 외곽을 형성하는 헤어드라이어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연결된 송풍 팬(미도시)과, 열풍을 만들기 위한 전열히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도록 헤어드라이어 케이스 외부에 설치된 절환 스위치를 구비한다. 헤어드라이어 케이스는 중앙에 공기유로(미도시)가 형성되며, 공기유로(미도시)의 양단은 흡입구(11)와 토출구에 연통된다. 송풍 팬과 전열히터는 공기유로 상에 위치한다. 모터는 정역회전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와 송풍 팬과 전열히터와 공기유로의 설치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조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다. 본체(10)의 흡입구(11)외주면 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된다. 집진 부(20)는 본체(10)의 흡입구(11) 측에 결합되는 연결구(30)와, 연결구(30)에 결합되는 거름 흡기 구(40)로 구성된다. 연결구(30)는 원통형 몸체의 내측 일단에 본체(10)의 나사산(12)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31)이 형성된다. 타단의 일 측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삽입슬릿(3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32)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고정 이동 홀(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의 일부가 돌출되어 받침 턱(34)을 형성한다. 또한, 연결구(30)의 몸체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 흡입 홀(35)이 형성되고, 공기 흡입 홀(35)은 받침 턱(34)이 위치되는 곳의 후방에 형성된다. 받침 턱(34)은 거름 흡기 구(40)의 하면을 지지하여 더 이상의 연결구(3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스톱퍼 역할을 한다. 거름 흡기 구(40)는 머리카락을 걸러서 저장하는 것으로써, 연결구(30)의 내부로 삽입되어 흡입되는 머리카락을 걸러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거름 흡기 구(40)는 원통형 그릇형태로 제조되며 하면은 테두리를 제외하고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에 거름망(43)이 고정되고, 측벽에 다수개의 공기 흡입 홀(41)이 형성된다. 상기 거름 흡기 구(40)의 측벽 일 측에 상기 삽입슬릿(32)으로 삽입되어 고정 이동 홀(33)을 따라 이동하도록 고정손잡이(42)가 형성된다. 고정손잡이(42)는 상기 삽입슬릿(3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공기 흡입 홀 (41)은 연결구(30)의 공기 흡입 홀(35)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손잡이(42)가 고정 이동 홀(3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거름 흡기 구(40)가 연결구(3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한 상태에서 공기 흡입 홀(41)과 연결구의 공기 흡입 홀(35)은 일치하게 된다. 고정수단은 전술한 본체(10)에 형성된 나사산(12)과, 연결구(30)의 내 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으로 구현된다. 즉, 연결구(30)의 나사산(31)을 본체(10)의 나사산(12)에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헤어드라이어 본체(10)에 연결구(3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고정수단은 헤어드라이어(10)의 후방 단부 외 측 면에 홈을 형성하여 패킹(50)을 고정하고, 패킹(50)이 맞물리도록 연결구(30)의 단부 내측에 고정 홈(51)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연결구(30)를 헤어드라이어(10)의 후방 단부에 끼우면 연결구(30)의 내측으로 헤어드라이어(10)의 후방 단부가 들어가면서 패킹(50)이 고정 홈(51)에 들어가 끼워져 고정된다. 도 5는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고정수단은 헤어드라이어(10)의 후방 단부에 2개 이상의 홈(60)을 형성하고, 홈(6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돌기(61)를 연결구(30)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돌기(61)는 홈(6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 턱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와, 연결구 및 거름흡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연결구(70)는 일단에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헤어드라이어(10)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고, 측벽 둘레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 홀(71)이 형성된다. 연결구(70)의 내 측 벽에 거름 흡기 구(72)가 고정된다. 거름 흡기 구(72)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원반 형태인 고정원판(73)과 고정원판(73)의 상면에 고정되는 거름망(74)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원판(73)은 연결구(70)의 내측 벽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성형되며,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착탈 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예보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집진 부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는 헤어드라이어를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나서 발생하는 머리카락 쓰레기를 간편하게 헤어드라이어 후방에 고정되는 집진 부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통과 같은 쓰레기 수집용기의 상부에 집진 부를 위치한 후, 절환스위치를 사용하여 풍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집진부에 흡입된 머리카락을 쓰레기통에 쉽게 버릴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헤어드라이어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거름흡기구의 단면도, 도 9는 흡기상태의 도 7의 절단선 IX-IX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배기 상태의 도 7의 절단선 IX-IX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헤어드라이어는 흡입구(111b)와 토출 구(111a)가 양단에 구비된 공기유로(111)가 형성 된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10, 130)와, 드라이어 케이스(110, 130)에 설치된 정역 회전 모터(113)와, 정역 회전 모터(113)에 결합되며 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송풍 팬(115)과, 회전 모터(113)의 회전 방향을 변환 하도록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된 절환스위치(112)와, 흡입구(111b)에 설치된 거름 흡기 구(133)와, 거름 흡기 구(133)가 머리카락 등에 의해 밀폐되었을 때 모터(113)의 과열을 방지하여 주는 과열 방지 장치(131, 120)로 구성된다.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10, 130)는 헤어드라이어 본체 케이스(110)와, 본체 케이스(110)의 흡입구(111b)측에 결합되는 연결구(130)를 통칭하는 명칭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체 케이스(110)와 연결구(130)가 분리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케이스(110)와 연결구(13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헤어드라이어 본체 케이스(110)와, 정역 회전 모터(113)와, 절환스위치(112) 및 거름 흡기 구(133)의 구성은 제 1 실시 예 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연결구(130) 및 과열 방지 장치(131, 120)에 대해서만 상술한다. 연결구(130) 일단에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헤어드라이어 본체 케이스(110)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고, 측벽 둘레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 홀(132)과, 과열 방지 구(131)가 형성된다. 연결구(130)의 내측 벽에 거름 흡기 구(133)가 고정된다. 거름 흡기 구(133)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원반 형태인 고정원판(133a)과 고정원판(133a)의 상면에 고정되는 거름망(133b)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원판(133a)은 연결구(130)의 내측 벽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착탈 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133b)은 다양한 형태의 망사가 사용될 수 있다. 거름 흡기 구(133)는 연결구(130)의 공기 흡입 홀(132)과, 과열 방지 구(131) 사이에 위치한다. 즉, 과열 방지 구(131)가 거름 흡기 구(133)와 팬(115) 사이에 위치한 유로(111)와,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10, 130) 특히 연결구(130)의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과열 방지 구(131)는 연결구(130)의 외주 면을 따라서 다수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과열 방지 장치(131, 120)는 전술한 과열 방지 구(131)와, 과열 방지 구(131)의 내측 유로 상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20)로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120)는 나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확장된 끝부분이 과열 방지 구(131)의 팬(115)을 향하는 끝단의 케이스(130)의 내주 면에 결합된다. 즉, 가이드 부재(120)는 과열 방지 구(131) 내측에 이격되어 위치한 가이드 부(122)와, 가이드 부(122)의 팬(115)을 향하는 끝단을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30)의 내주 면에 밀폐하는 밀폐 부(121)로 구성된다. 다만 밀폐 부(121)가 케이스(130)와 완전히 밀폐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 비 접촉면이 존재하여도 무관하다. 연결구(130)와 거름 흡기 구(133)의 결합방법 및 연결구(130)와 본체 케이스(110)와의 결합방법은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 예의 헤어드라이어는 헤어드라이어를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나서 발생하는 머리카락 쓰레기를 간편하게 헤어드라이어 후방에 고정되는 집진 부, 즉 연결구 및 거름 흡기 구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통과 같은 쓰레기 수집용기의 상부에 집진 부를 위치한 후, 절환스위치를 사용하여 풍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집진부에 흡입된 머리카락을
쓰레기통에 쉽게 버릴 수 있다. 더욱이, 사용 중에 집진된 머리카락의 양이 많아 거름 흡기 구(133)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을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 방지 구(131)를 통해서 공기가 흡입되어 모터(113)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환 스위치(112)를 사용하여, 도 10과 같이 풍향을 반대로 변환하였을 때, 공기가 과열 방지 구(131)를 통해서 새어나가는 것을 가이드 부재(120)가 방지하여 준다. 즉, 대부분의 공기의 흐름을 거름 흡기 구(133)측에 집중되도록 하여, 정전기 등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 4 실시예의 헤어드라이어는 공기유로(111)가 형성된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10)와, 드라이어 케이스(110)에 설치된 모터(113)와, 모터(113)에 결합된 송풍 팬(115)과, 헤어드라이어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된 절환스위치(112)와, 절환스위치(112)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송풍 팬의 회전 방향을 절환 하는 절환장치(140)와, 거름 흡기 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라이어 케이스(110)와, 송풍 팬(115), 절환스위치(112) 및 거름 흡기 구(미도시)의 구성은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 예는 모터(113)가 정역회전 모터로 사용되지 않고, 별도의 절환장치(140)를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따라서 절환장치(140)의 구성이 도 11에 도시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 가능한 예도 포함할 수 있다. 절환장치(140)는, 모터의 구동축(114) 상에 결합되며, 외주 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외접기어(142)와, 모터의 구동축(114)에 결합되며 내주 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내접기어(141)와, 송풍 팬(115)의 회전축(116)에 결합된 팬 기어(149)와, 이동함에
따라서 외접기어(142) 혹은 내접기어(141)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 1 변향 기어(144)와, 제 1 변향 기어(144)와 동일 축(145)에 형성되며 팬 기어(149)에 접하는 제 2 변향 기어(146)와, 제 1 변향 기어(144) 및 제 2 변향 기어(146)의 회전축(145)을 절환스위치(112)와 연결하는 연결링크(147, 148)를 포함한다. 연결링크(147, 148)는 회전중심(148)을 중심으로 일단은 변향 기어(144, 146)들의 회전축(145)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환스위치(112)와 결합된 연결부재(147)로 구성된다. 또한, 절환스위치(112)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스프링(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환장치는, 머리를 말리거나 머리카락의 흡입시에는 제 1 변향기어(144)가 외접기어(142)에 외접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송풍팬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흡입된 머리카락을 휴지통 등에 버릴 시에는 절환스위치(112)가 눌러지면, 제 1 변향기어(144)가 내접기어(141)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결합되어, 변향기어(144, 146)와 팬기어(419)의 회전 방향이 역전되고, 그 결과 송풍팬(115)의 회전방향도 반대가 되어 흡입구(111b)쪽으로 토출되는 바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거름흡기구(미도시)에 부착된 머리카락 등을 버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헤어드라이어 본체 11: 흡입구 12: 나사산 20: 집진 부 30: 연결구 32: 삽입슬릿 33: 고정 이동 홀 34: 받침 턱 35: 흡입 홀 40: 흡기구 41: 흡입홀 42: 고정손잡이 50: 패킹 60: 홈 61: 돌기 70: 연결구 71: 공기 흡입 홀 72: 거름 흡기구 73: 고정 원판 74: 거름망 110: 헤어드라이어 케이스 111: 공기유로 113: 모터 130: 연결구 133: 거름 흡기구

Claims (3)

  1. 헤어드라이어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정역회전 모터;
    상기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후방에 고정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며, 먼지 및 머리카락을 거를 수 있도록 형성된 거름흡기구; 및 상기 연결구를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후방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나팔 형상으로 형성되며, 확장된 끝부분이, 상기 과열 방지구의 상기 팬을 향하는 끝단의 상기 연결구의 내주면에 결합되
    는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망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KR1020110001196A 2011-01-06 2011-01-06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KR20120079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196A KR20120079871A (ko) 2011-01-06 2011-01-06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196A KR20120079871A (ko) 2011-01-06 2011-01-06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871A true KR20120079871A (ko) 2012-07-16

Family

ID=4671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196A KR20120079871A (ko) 2011-01-06 2011-01-06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98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376U (ko) * 2013-06-28 2016-02-02 바비리스 파코 에스피알엘 헤어드레싱 장치
US9687058B2 (en) 2013-09-26 2017-06-27 Dyson Technology Limited Hand held appliance
KR20180071019A (ko) * 2016-12-19 2018-06-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드라이어
CN110638181A (zh) * 2019-09-16 2020-01-03 深圳市物种起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反吹清灰功能的吹风机
KR20220107414A (ko) * 2021-01-25 202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KR20220120926A (ko) * 2021-02-24 2022-08-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376U (ko) * 2013-06-28 2016-02-02 바비리스 파코 에스피알엘 헤어드레싱 장치
US9687058B2 (en) 2013-09-26 2017-06-27 Dyson Technology Limited Hand held appliance
KR20180071019A (ko) * 2016-12-19 2018-06-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드라이어
CN110638181A (zh) * 2019-09-16 2020-01-03 深圳市物种起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反吹清灰功能的吹风机
WO2021052313A1 (zh) * 2019-09-16 2021-03-25 深圳市物种起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反吹清灰功能的吹风机
CN110638181B (zh) * 2019-09-16 2022-03-25 深圳市物种起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反吹清灰功能的吹风机
KR20220107414A (ko) * 2021-01-25 202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KR20220120926A (ko) * 2021-02-24 2022-08-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871A (ko) 거름 장치가 있는 헤어드라이어
KR10136923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KR100833885B1 (ko)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KR102329672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JP2009101162A (ja) 掃除用電気器具
US20100306955A1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20020075487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108863A (en) Vacuum cleaner with dual blowing/suction function
GB2468151A (en) A surface-treating appliance
TWI661098B (zh) Filter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WO2006001657A1 (en) Hair dryer with function for cleaning hair
KR10246305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US2644189A (en) Hand-supported suction brush for clothes
JP2005013312A (ja) 電気掃除機
KR200364342Y1 (ko) 머리카락 청소기를 겸한 헤어드라이어
KR20110003531U (ko)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 드라이기
US11389039B2 (en) Vacuum cleaner
JPH0556893B2 (ko)
KR100693571B1 (ko) 진공청소기
TWI825605B (zh) 清掃機
KR100879977B1 (ko) 일회용 필터봉투와 이를 이용하는 진공청소기
KR940004848Y1 (ko) 소형 청소기 겸용 두발 건조기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JP3262656B2 (ja) 衣類乾燥機
KR20220146925A (ko) 의류용 미세 먼지 및 냄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