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172A -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172A
KR20200033172A KR1020190107606A KR20190107606A KR20200033172A KR 20200033172 A KR20200033172 A KR 20200033172A KR 1020190107606 A KR1020190107606 A KR 1020190107606A KR 20190107606 A KR20190107606 A KR 20190107606A KR 20200033172 A KR20200033172 A KR 20200033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asing
dryer
discharge tub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성경
김주겸
전재흥
김명선
은유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197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26106B1/en
Priority to EP22163515.4A priority patent/EP4039126A1/en
Priority to CN201910886963.9A priority patent/CN110916325B/zh
Priority to US16/576,291 priority patent/US11213174B2/en
Publication of KR2020003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는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측에 상기 팬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팬은, 각각이, 상호 공유하는 가상 축(imaginary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함으로써,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토출튜브는, 적어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어{DRYER}
본 발명은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흡입율을 증대시키면서도 토출 기류의 직진성을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건조하기 위하여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용 공기에 의하여 인체가 열상을 받지 않아야 함은 물론, 건조용 공기의 온도는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건조가 가능한 신속하게 완료되고, 공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이 작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드라이어가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드라이어는 그 전체적인 형상과 크기, 건조용 공기의 토출온도, 토출량, 토출속도 및 토출방향 뿐만 아니라, 피건조 대상의 체질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피건조 대상이 유아 또는 반려동물인 경우와 같이 건조가 실시되는 동안 고통이나 불편이 초래되더라도 이를 사용자에게 적시에 알리기 어려운 경우, 피건조 대상의 체질 특성에 가장 적합한 건조가 실시되도록 드라이어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즉, 피건조 대상의 체질 특성 또는 건조 부위의 상태(예를 들면, 온도) 변화 등을 토대로, 건조용 공기의 토출온도, 토출량, 토출속도 및 토출방향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드라이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가 실시되는 동안 유아 또는 반려동물과 같은 피건조 대상이 호기심을 느끼면서 건조 과정을 즐길 수 있도록 드라이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어는 건조용 공기의 토출이 단일의 팬(fan)에 의해 이루어져,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팬을 높은 RPM으로 회전할 시 과열되거나,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단일의 팬만으로는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피건조 대상의 특성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 공개특허 제2003/0079366A1호는 저속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을 상호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하여 건조용 공기를 단계적으로 가속하는 드라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이 별개로서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에, 상기 단일의 팬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 미국 공개특허와 달리, 미국 공개특허 제2006/0254073A1호는 동축 상에서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2 개의 블레이드를 통해 건조용 공기를 가속하는 드라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류측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기류의 원주방향의 속도 성분을 보정하기 위해 2 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별도로 베인(vane)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과, 상기 베인으로 인한 항력(drag) 내지는 마찰력에 의해 팬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어는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건조용 공기가 어느 일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건조 부위에 대해 건조를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0979호는 토출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통해 건조용 공기의 토출 범위를 확대하는 드라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날개의 동작에 따라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고, 회전날개에 의해 건조용 공기가 지나치게 넓게 확산되어 건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날개가 상시 회전됨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와 달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5327호는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노즐에 설치된 플랩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드라이어용 노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노즐 내부에 플랩구동모터 및 방향전환부가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고, 노즐 자체의 자동 회전없이 노즐 내 플랩이 어느 한 축을 중심으로 자동 회전되는 것에 불과해 건조용 공기를 확산적으로 토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팬 동작에 따른 과열, 소음 또는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공기의 흡입율을 증대시키면서도 토출 기류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필요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4 과제는, 건조용 공기의 유동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는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측에 상기 팬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팬은, 각각이, 상호 공유하는 가상 축(imaginary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함으로써,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팬 각각은, 축류팬(axial-flow fan)이고, 상기 가상 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팬모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허브; 및 일측이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에 팁(tip)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2 팬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팬의 블레이드(이하,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1 팬의 허브(이하, 제1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블레이드 루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팬의 블레이드(이하,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팬의 허브(이하, 제2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2 블레이드 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루트 각각은, 상기 가상 축에 대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팬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레이드는, 개수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 팬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팬의 외둘레에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후방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의 흡입율을 증대시키면서도 토출 기류의 직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토출튜브는, 적어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그루브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튜브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딩 무빙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가이더의 내주면에서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더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원형을 형성하거나, 파형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회전모터; 및 일측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토출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토출튜브로 전달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출튜브는, 상기 회전모터가 구동될 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건조용 공기의 유동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드라이어에 단일의 팬이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팬 동작에 따른 과열, 소음 또는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어의 팬은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팬은 각각이 상호 공유하는 가상 축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둘째, 제1 및 제2 팬 각각의 블레이드가 회전 중심축인 가상 축에 대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팬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각각이 상호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셋째, 제1 팬을 통과하며 원주 속도 성분(circumferential component velocity)이 증가된 기류가 제1 팬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팬을 통과하며 원주 속도 성분이 감소되므로, 제2 팬을 통과하는 기류의 직진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기류의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베인(vane)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구조가 간소화되고, 베인의 설치에 따른 항력이나 마찰력의 작용에 의한 팬 성능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넷째, 블레이드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1 팬이 제2 팬보다 상류측에 위치함으로써, 흡입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블레이드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제2 팬이 제1 팬보다 하류측에 위치함으로써, 부드러운 바람이 토출될 수 있다.
여섯째, 제1 팬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후방캡의 제1 팬의 외둘레에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제1 팬으로의 공기의 유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일곱째, 제1 팬의 허브의 반경과 제2 팬의 허브의 반경이 서로 동일하고, 제1 팬의 블레이드의 팁의 제1 팬의 허브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제2 팬의 블레이드의 팁의 제2 팬의 허브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동일함으로써, 제1 및 제2 팬을 통과하는 기류에 불필요한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튜브가 적어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아홉째, 토출튜브의 돌기가 가이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를 따라 슬라이딩 무빙됨으로써, 토출튜브가 그루브의 형상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루브의 형상은 원형이거나 파형일 수 있고, 그루브의 형상이 파형인 경우 토출튜브는 적어도 2 개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열째, 토출튜브는 회전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모터의 동력을 토출튜브로 전달하는 커넥터의 일측이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토출튜브에 연결될 수 있다.
열한째, 커넥터가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커넥터의 양 단부가 토출튜브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토출튜브가 회전모터의 회전축 및 커넥터의 길이 방향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열두째, 회전모터가 설치되는 이너 슬리브에 고정로드를 통해 팬이 설치됨으로써, 이너 슬리브를 통해 회전모터와 팬의 진동 관리 및 저감을 일원화할 수 있다.
열셋째, 이너 슬리브에 고정되는 팬의 고정로드가 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로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종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거치대의 상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내부구성이 표현된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팬을 포함해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팬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팬의 블레이트 루트가 표현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토출튜브를 포함해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 및 회전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 및 회전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가이더의 내면이 표현된 전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의 회전단계가 표현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가이더의 내면이 표현된 전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 및 회전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케이싱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라이어(100)는 토출구(174)를 통해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반려동물 등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어(100)에는 배터리(80)가 내장되어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휴대하며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80)를 대체하는 외부 전원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드라이어(100)에 인가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파지한 채로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드라이어(100)는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는 것 외에도, 피건조 대상을 케어(care)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드라이어(100)에 구비되는 구성과 함께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종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라이어(100)는 중공의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150)과, 팬(150)에 의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H)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은 토출튜브(17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드라이어(100)는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0)와, 이온을 토출하는 이온발생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조명장치(10)에 구비되는 발광패널(11)로부터 발산된 광이 광 확산모듈(12) 및 광 가이드(13)를 거쳐 드라이어(100)의 전방을 향해 조사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서 건조가 실시되는 경우에도 피건조 대상의 피부 또는 모발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온발생기(20)에서 생성된 이온이 이온 분사노즐(21)을 거쳐 드라이어(100)의 전방을 향해 토출됨으로써, 피건조 대상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건조 대상의 피부 및 모질을 촉촉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케이싱(110)의 하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120, 13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립(120, 130)은 그립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그립 본체(120)와, 그립 본체(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립의 하면을 형성하는 그립 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그립 본체(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립 단부(13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립(120, 130)의 외둘레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후술하는 그립(120, 130)이 탑재되는 수납용기(220)의 내둘레도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립(120, 130)의 내부에는 상기한 팬(150), 히터(H), 조명장치(10), 이온발생기(20)와, 후술할 회전모터(160) 및 디스플레이부(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의 배터리(8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드라이어(100)는 거치대(200)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어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로써,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파지하여야 하는 행동의 제약 없이도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거치대(200)는 드라이어(100)의 탑재 외에도, 피건조 대상을 케어(care)하거나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거치대(200)에 구비되는 구성과 함께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거치대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대(200)는 상하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템(230)과, 스템(2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와, 스템(230)의 상측에 배치되고 드라이어의 그립(120, 130)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수납용기(220)와, 거치대(2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240)를 포함한다.
거치대(200)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는 팬(283, 284)에 의해 거치대(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정화장치(280)를 통과함으로써 정화될 수 있다. 일 예로써, 공기정화장치(280)는 스템(230)의 후방면에 배치되고, 광화학 반응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원리에 의해 반려동물냄새 또는 노인취를 제거할 수 있는 광촉매 필터(281) 및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발광모듈(28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200)는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케어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광케어장치(270)는 스템(230)의 전방면에 배치되고, OLED(Organic Light Emiiting Diode) 패널로부터 자연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외출 부족으로 인한 사용자 및 반려동물의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거치대(200)에서 수납용기(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드라이어(100)의 건조용 공기 토출 방향을 상하, 좌우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도 4 참조). 일 예로써, 수납용기(220)는, 수납용기(220)와 결합되는 서포터(250) 및 서포터(250)에 연결되는 수직로드(239)를 통해 승강모터(26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220)는, 서포터(250)를 통해 회동모터(26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로드(239)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된 돌기(251b)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220)는 일측에 형성된 틸팅 기어치(223a)를 통해 틸팅모터(26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회동(즉, 틸팅)될 수 있다.
스템(230)에는 상기한 팬(283, 284), 공기정화장치(280), 광케어장치(270), 승강모터(262), 회동모터(263), 틸팅모터(261)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의 배터리(29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291)는 베이스(210)에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294)을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한편, 그립(120, 130)에 한 쌍의 전극단자(E11, E12)가 배치되고(도 3b 참조), 이에 대응해 수납용기(220)에 한 쌍의 전극단자(E21, E22)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상기한 전극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이 드라이어의 배터리(80)로 인가되어 배터리(8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그립(120, 130)에 형성된 돌출리브(121) 및 자석(M11, M12) 각각은 수납용기(220)에 형성된 삽입홈(p0) 또는 자석(M21, M22) 각각과 결합됨으로써(도 3b 참조),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 상의 기설정된 위치로 안내 및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팬(150) 동작에 따른 과열, 소음 또는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용 공기를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드라이어(100)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되었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드라이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내부구성이 표현된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팬을 포함해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드라이어(100)는 중공의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팬(150)과, 히터(H)와, 토출튜브(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싱(110)은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이 일체로 결합되어 원통 형상의 튜브를 형성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후방캡(140)과, 후방캡(14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커버(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캡(140)에 형성된 통공(140a)과 후방커버(141)에 형성된 통공(141a)을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후방캡(140)과 후방커버(141)의 사이에 링부재(142)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링부재(142)에 형성된 통공(142a)을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전방부는 그립(120, 130)과의 사이에서 예각을 이루고, 케이싱(110)의 후방부는 그립(120, 130)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드라이어(100)는 건조용 공기를 하방으로 토출하기에 유리하여 유아 또는 반려동물과 같이 통상적으로 드라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피건조 대상에 대해 용이하게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그립(120, 130)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묻어 있는 이물질 또는 물이 상기한 통공(140a, 141a)을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150)은 제1 팬(151)과 제2 팬(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후방캡(140)은 제1 팬(151)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통공(140a)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제1 팬(151)의 외둘레에 대응하는 후방캡(14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통공(140a)을 통한 제1 팬(151)으로의 공기의 유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히터(H)는 팬(150)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팬(15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H)의 하류측에는 온도센서(S2)가 위치하고, 온도센서(S2)는 히터(H)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드라이어(100)는 온도센서(S2)에서 감지된 공기의 온도가 기준온도을 초과하지 않도록 히터(H)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후방커버(141)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41b)에 디스플레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40)는 개구부(141b)에 삽입되는 베이스(41)와, 베이스(41)의 후방에 결합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42)과, 베이스(41)와 디스플레이 패널(42) 간의 결합을 매개하는 데코링(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42)에 표시되는 정보로는 건조용 공기의 온도, 토출량, 토출속도, 건조시간, 피건조 대상의 건조 부위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팬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팬의 블레이트 루트가 표현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팬(151, 152)은 상호 공유하는 가상 축(Ia: Imaginary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11 참조).
제1 및 제2 팬(151, 152)은 축류팬(axial-flow fan)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팬(151, 152)은 단일의 팬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일의 팬모터의 회전축은 중공축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 및 중공축은 서로 기어열(gear train)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에 제1 팬(151)이 연결되고, 상기 중공축에 제2 팬(152)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단일의 팬모터가 구동될 시 제1 및 제2 팬(151, 152)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팬(151, 152)은 이들 각각에 구비되는 별개의 팬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드라이어(100)는 제1 및 제2 팬(151, 152) 각각의 회전 동작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팬(151, 152) 각각에 구비되는 팬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일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90)는 제1 및 제2 팬(151, 152) 각각의 회전 동작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건조용 공기의 토출량 또는 토출속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팬(151, 152) 각각은 팬모터와, 허브와,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1)의 팬모터(154, 이하 제1 팬모터)는 가상 축(Ia)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54a, 이하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제2 팬(152)의 팬모터(155, 이하 제2 팬모터)도 가상 축(Ia)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55a, 이하 제2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1)의 허브(151a, 이하 제1 허브)에는 제1 회전축(154a)이 연결되고, 제2 팬(152)의 허브(152a, 이하 제2 허브)에도 제2 회전축(155a)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팬(151)의 블레이드(151b, 이하 제1 블레이드)는 일측이 제1 허브(151a)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에 팁(tip)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팬(152)의 블레이드(152b, 이하 제2 블레이드)도 일측이 제2 허브(152a)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에 팁이 형성될 수 있다.
팬(150)은 내부에 제1 및 제2 팬모터(154, 155)을 수용하는 팬마운트(156, 157)를 포함할 수 있다. 팬마운트(156, 157)는 마운트 본체(156)와, 마운트 본체(156)에 결합되는 마운트 커버(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마운트 본체(156)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팬모터(154)가 마운트 본체(156)의 내부로 삽입되고, 마운트 커버(157)의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2 팬모터(155)가 마운트 커버(157)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축(154a)이 마운트 본체(156)의 후방에 형성된 축 통과공(156h)을 관통해 제1 허브(151a)에 연결되고, 제2 회전축(155a)이 마운트 커버(157)의 전방에 형성된 축 통과공(157h)을 관통해 제2 허브(152a)에 연결될 수 있다.
팬(150)에 의한 상류에서 하류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 관점에서, 상기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 즉, 제1 허브(151a)는 내부에 제1 팬모터(154)가 수용되고, 상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154a)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허브(152a)는 내부에 제2 팬모터(155)가 수용되고, 하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155a)이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팬(151)은 제2 팬(152)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팬(151, 152)은 가상 축(Ia)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나, 모두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150)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제1 팬(151)이 반시계 방향(즉, +Ia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팬(152)이 시계방향(즉, -Ia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11 참조)에서, 제1 및 제2 팬(151, 152) 각각은 후방에서 전방(즉, +Ia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팬(151)의 블레이드 루트(BR1, 이하 제1 블레이드 루트) 및 제2 팬(152)의 블레이드 루트(BR2, 이하 제2 블레이드 루트) 각각은 가상 축(Ia)에 대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 루트(blade root)는 허브와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익근이라고도 한다. 즉, 제1 블레이드 루트(BR1)는 제1 블레이드(151b)가 제1 허브(151a)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제2 블레이드 루트(BR2)는 제2 블레이드(152b)가 제2 허브(152a)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 루트(BR1)는 가상 축(Ia)에 대해 -ρ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제2 블레이드 루트(BR2)는 가상 축(Ia)에 대해 +ρ 방향으로 기울어져, 제1 및 제2 팬(151, 152)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모두 +Ia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팬(150)에 의한 상류에서 하류로 이어지는 공기의 유동 관점에서, 상기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 즉, 제1 블레이드 루트(BR1)는 제1 팬(151)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측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측 단부보다 상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 루트(BR2)는 제2 팬(152)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측 단부가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측 단부보다 상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제1 팬(151)을 통과하며 제1 팬(151)의 회전 방향으로의 원주 속도 성분(circumferential component velocity)을 갖게 되나, 상기 원주 속도 성분은 송출 기류의 직진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와류(vortex)를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을 교란시키므로, 팬의 효율 내지는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1 팬(151)을 통과한 공기는 제1 팬(15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팬(152)을 통과하며 상기 원주 속도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2 팬(152)을 통과하는 기류의 직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팬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블레이드(152b)의 개수는 제1 블레이드(151b)의 개수보다 많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2 블레이드(152b)의 개수는 6 개이고, 제1 블레이드(151b)의 개수는 5 개일 수 있으나, 블레이드의 개수 또는 개수 차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블레이드가 상대적으로 많은 수로 구비되는 경우, 공기가 블레이드에 의해 미세하게 갈라지며 송풍되어 부드러운 바람을 토출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반대로, 블레이드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바람을 토출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1 팬(151)이 제2 팬(152)보다 상류측에 위치함으로써, 공기의 흡입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제2 팬(152)이 제1 팬(151)보다 하류측에 위치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바람을 토출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제1 팬(151)에 의해 송풍되는 강한 바람이 제2 팬(152)을 통과하면서 강하면서도 부드러운 성질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제1 팬(151)은 공기의 흡입에 초점을 맞춘 팬이고, 제2 팬(152)은 공기의 토출에 초점을 맞춘 팬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허브(151a, 152a) 각각의 허브 반경(Rh, hub radius)은 서로 동일하고, 제1 및 제2 블레이드(151b, 152b) 각각의 팁 반경(Rt, tip radius)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 반경(Rh)은 허브의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이고, 팁 반경(Rt)은 허브의 중심으로부터 블레이드의 팁(tip)까지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팬(151, 152) 각각의 허브 반경(Rh) 및 팁 반경(Rt)이 서로 동일함으로써, 제1 및 제2 팬(151, 152)을 통과하는 기류에 불필요한 와류(vortex)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토출튜브를 포함해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토출튜브(170)는 일측(즉, 상류측)에 팬(150) 및 히터(H)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73)가 형성되고, 타측(즉, 하류측)에 유입구(173)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7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튜브(170)는 후방부가 원통부(171)로 형성되고, 전방부가 관체부(172)로 형성되고,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의 중간부는 전방을 향해 점차 종단면적이 축소되는 나팔관부(179)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통부(171)의 상류측에 원형의 유입구(173)가 형성되고, 관체부(172)의 하류측에 장방형의 토출구(17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구(174)의 크기는 유입구(17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74)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토출구(174)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장방형은 단순히 직사각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직교되는 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트랙형, 타원형 등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구(173)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74)를 통해 피건조 대상의 건조 부위를 향해 집중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토출튜브(30)의 내부에 구획판(178)이 설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구획판(178)은 토출튜브(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구획하여, 유입구(173)로 유입된 공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배분된 채로 토출구(17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획판(178)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 뿐만 아니라, "V" 자 형상과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에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자연스럽게 회동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드라이어(100)는 토출커버(187) 및 실링부재(188)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커버(187)는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의 전방부와 토출튜브(170)의 사이에 배치되어, 토출튜브(17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커버(187)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가이더(180)에 결합됨으로써 그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실링부재(188)는 토출커버(187)의 후단부와 토출튜브(170)의 사이에 배치되어, 팬(1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튜브(170)와 토출커버(187)의 사이로 누설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링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토출튜브(17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토출튜브(170)가 미회전할 시에는 토출구(174)를 통해 건조용 공기가 소정의 건조 영역에 집중적으로 토출되는 집중풍이 구현되고, 회전할 시에는 회전하는 토출구(174)를 통해 건조용 공기가 보다 넓은 건조 영역에 확산적으로 토출되는 확산풍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어(100)는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그루브(184)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가이더(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더(180)는 제1 내지 제3 가이더(181, 182, 183)가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일체로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더(180)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이너 슬리브(112)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토출튜브(170)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그루브(184)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딩 무빙되는 돌기(17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돌기(175)가 그루브(184)를 따라 무빙됨으로써 토출튜브(17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돌기(175)는 원통부(171)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각도 180° 이격된 한 쌍의 돌기(175a, 17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통부(171)의 원주 방향은 가이더(180)의 원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다. 그루브(184)를 따라 무빙되는 돌기(175)의 개수가 2 개 이상인 경우가, 1 개인 경우에 비해, 토출튜브(170)의 회전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돌기(175)를 대체하여 볼(ball) 혹은 롤러(roller)가 그루브(184)를 따라 무빙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루브(184)는 가이더(180)의 내주면에서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그루브(184)는 돌기(175)의 슬라이딩 무빙을 지속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그루브(184)는 가이더(180)의 내주면에서 다양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보다 상세히는 후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 및 회전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 및 회전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가이더의 내면이 표현된 전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의 회전단계가 표현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토출튜브(170)의 회전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토출튜브(17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어(100)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회전모터(160)와, 커넥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164)는 일측이 회전모터(160)의 회전축(161)에 연결되고, 타측이 토출튜브(170)에 연결되어, 회전모터(16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토출튜브(170)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164)는 회전모터(160)의 회전축(161)과 링크블록(163)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축(161)이 링크블록(163)에 고정되고, 링크블록(163)에 원기둥 형상의 커넥터(164)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회전모터(160)가 구동될 시 커넥터(164)가 회전축(16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164)가 회전축(161)에 직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넥터(164)의 양 단부(164a)는 토출튜브(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튜브(170)는 회전축(16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서로 각도 180° 이격된 한 쌍의 요홈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홈부(177)는 원통부(17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161)의 회전 방향은 원통부(171)의 원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 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요홈부(177)는 원통부(171)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내향블록(176)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64)의 양 단부(164a)가 한 쌍의 요홈부(177) 각각에 삽입된 후, 한 쌍의 스톱퍼(167)가 내향블록(176)에 결합되어 커넥터(164)가 요홈부(17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스톱퍼(167) 및 내향블록(17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서 복수 개의 결합공(167a, 176a)이 형성되고, 결합공(167a, 176a)에 나사(168)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요홈부(177)는 원통부(171)의 내주면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64)의 양 단부(164a)가 한 쌍의 요홈부(177) 각각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별도로 스톱퍼(167)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 없이도 커넥터(164)가 요홈부(17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커넥터(164)는 회전축(16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커넥터(164)의 양 단부(164a)는 요홈부(17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토출튜브(170)는 회전모터(160)가 구동될 시 회전축(161) 및 커넥터(164)의 길이 방향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튜브(170)의 돌기(175)가 그루브(184)에 삽입된 채로 무빙되어 토출튜브(170)의 회전 궤적이 결정되고, 토출튜브(170)의 요홈부(177)에 회전모터(160)의 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터(164)가 삽입되어 토출튜브(170)의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요홈부(17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커넥터(164)가 회전축(161)의 회전 방향으로 요홈부(177)에 힘을 가함으로써, 토출튜브(170)의 돌기(175)가 소정의 파형을 형성하는 그루브(184)를 따라 자동으로 슬라이딩 무빙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그루브(184)는 가이더(180)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파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파형은 제1 가이더(181)로부터 제3 가이더(183)로 이어지고, 각도 0°를 기준점으로 360° 의 위상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형의 주기는 각도 120° 로써, 위상각이 각도 180° 의 차이로 이격된 부위에서 중앙의 기준선(L)을 기준으로 정, 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파형일 수 있다. 즉, 상기 파형은 정현파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한 쌍의 돌기(175a, 175b)가 그루브(184)의 각도 0° 및 180° 위치에 있을 때, 돌기(175)의 위치는 동일한 높이의 기준선(L)에 위치되므로, 토출구(174)는 수직 방향의 중심에 위치된다(도 16의 각도 0° 참조).
회전모터(160)가 구동될 시 한 쌍의 돌기(175a, 175b)는 도 15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되어, 돌기(175)의 위치는 기준선(L)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치우쳐질 수 있다. 즉, 각도 30° 만큼 회전될 시 한 쌍의 돌기(175a, 175b)는 기준선(L)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어, 토출구(174)는 우하측 지점에 위치된다(도 16의 각도 30° 참조).
이후, 각도 60° 만큼 회전될 시 한 쌍의 돌기(175a, 175b)는 다시 기준선(L)에 위치되므로, 토출구(174)는 수평 방향의 중심에 위치된다(도 16의 각도 60° 참조). 이후, 각도 90° 만큼 회전될 시 한 쌍의 돌기(175a, 175b)는 다시 기준선(L)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어, 토출구(174)는 좌하측 지점에 위치된다(도 16의 각도 90° 참조). 이후, 각도 120° 만큼 회전될 시 한 쌍의 돌기(175a, 175b)는 다시 기준선(L)에 위치되므로, 토출구(174)는 수직 방향의 중심에 위치되고(도 16의 각도 120° 참조), 이후에도 상기의 움직임이 반복된다.
즉, 그루브(184)가 소정의 파형을 형성하는 경우, 돌기(175) 또는 토출튜브(170)는 회전축(16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도 회전축(161)에 직교하는 커넥터(164)의 길이 방향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느 한 축만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회전 모션이 다양해지고 보다 넓은 건조 영역에 건조용 공기를 확산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90)는 외부온도센서(S1, 도 2 및 도 3a 참조)를 통해 감지한 피건조 대상의 건조 부위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을 시 회전모터(16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중풍 및 확산풍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것과 별개로, 건조 부위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 방식을 자동적으로 집중풍에서 확산풍으로 변환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90)는 회전모터(16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토출튜브(170)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회전 세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회전모터(160)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가이더의 내면이 표현된 전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토출튜브 및 회전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그루브(184')는 가이더(180')의 내주면에서 가이더(180')의 원주 방향으로 원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돌기(175a', 175b')가 그루브(184')를 따라 어느 일 방향(혹은,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만 무빙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토출튜브(170')의 돌기(175')의 회전 궤적은 그루브(184')가 형성하는 원형에 대응하므로, 토출튜브(170')는 회전축(16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3 또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토출튜브(170) 및 커넥터(164)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튜브(170')의 회전 방향이 회전축(161')의 회전 방향으로 한정되므로, 회전축(161') 이외에 토출튜브(17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을 더 고민할 것 없이 회전축(161')이 토출튜브(170')에 연결되는 것만을 고려하면 족하다. 즉, 회전축(161')은 원통부(171')의 내측에 결합된 판상 부재(178')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178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모터(160')의 동력이 판상 부재(178')를 통해 토출튜브(170')로 전달되어, 토출튜브(170')가 원을 그리며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판상 부재(178')는 상기한 구획판(178)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에 구비되는 케이싱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의 내부에 이너 슬리브(1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112)의 외주면은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112)는 좌, 우측 이너 슬리브(112a, 112b)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우측 이너 슬리브(112b)에 형성된 나사홈(114)을 통해 삽입된 나사(113)가 좌측 이너 슬리브(112a)에 형성된 나사홀(119)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좌, 우측 이너 슬리브(112a, 112b)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슬리브(112)에는 회전모터(160)와 팬(150)이 설치될 수 있다. 먼저, 회전모터(160)는 모터 마운트(162)에 삽입될 수 있고, 모터 마운트(162)는 이너 슬리브(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모터 마운트(162)에 형성된 나사홀(162a)을 통해 삽입된 나사(162b)가 좌측 이너 슬리브(112a)의 지지블록(116)에 형성된 나사홀(117)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모터 마운트(162) 및 회전모터(160)가 이너 슬리브(11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팬(150)은 팬마운트(156, 157)를 포함하고, 팬마운트(156, 157)는 이너 슬리브(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팬마운트(156, 157)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너 슬리브(112)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로드(158)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너 슬리브(112)의 후방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로드(158)의 개수만큼의 복수 개의 요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로드(158)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복수 개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구비됨으로써, 팬(150)이 이너 슬리브(112)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로드(158) 각각이 복수 개의 요홈(115)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팬마운트(156, 157) 또는 팬(150)이 이너 슬리브(11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로드(158)는 일단부(158a)가 전방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부(158a)가 요홈(11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로드(158)는 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횡단면이 "ㄷ"자 또는 "C"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고정로드(158)의 강성이 향상되고,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개구된 홈에 각종 전선이 매립되어 전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너 슬리브(112)의 상부에 형성된 케이블홀(118)과 가이더(180)의 상부에 형성된 케이블홈(185)을 통해 드라이어(1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이 통과할 수 있다.
드라이어(100)의 진동을 유발하는 주된 구성으로서 팬(150) 또는 팬모터(154, 155)와, 회전모터(160)가 이너 슬리브(112)에 고정됨으로써, 이너 슬리브(112)를 통해 팬모터(154, 155)와 회전모터(160)의 진동 관리 및 저감을 일원화할 수 있다. 즉, 이너 슬리브(112)의 외주면과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의 내주면의 사이에 진동 흡수재 또는 면진재(VIM: Vibration Isolation Materials)를 배치하여, 팬모터(154, 155)와 회전모터(16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이너 슬리브(112)가 재질 중 하나로서 상기 면진재를 포함하고, 이너 슬리브(112)의 외주면이 상, 하측 케이싱(110a, 110b)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이너 슬리브(112)는 하류측에 토출튜브(170)가 위치하고, 벤츄리 튜브(venturi tub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슬리브(112)는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로 알려진 바와 같이, 이너 슬리브(1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이 하강(또한, 유속 증가)함에 따라 주변 공기의 이너 슬리브(112)로의 유입(entrainment)이 용이해져 팬(150)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범위내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드라이어 110: 케이싱
112: 이너 슬리브 140: 후방캡
151, 152: 제1, 제2 팬 154, 155: 제1, 제2 팬모터
156, 157: 팬마운트 157: 고정로드
160: 회전모터 164: 커넥터
170: 토출튜브 173: 유입구
174: 토출구 175: 돌기
177: 요홈부 180: 가이더
184: 그루브

Claims (20)

  1.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측에 상기 팬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각각이, 상호 공유하는 가상 축(imaginary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팬 각각은,
    축류팬(axial-flow fan)이고,
    상기 가상 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팬모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허브; 및
    일측이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에 팁(tip)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2 팬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팬의 블레이드(이하,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1 팬의 허브(이하, 제1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블레이드 루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팬의 블레이드(이하,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팬의 허브(이하, 제2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2 블레이드 루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루트 각각은,
    상기 가상 축에 대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루트는,
    상기 제1 팬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측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측 단부보다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레이드 루트는,
    상기 제2 팬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측 단부가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측 단부보다 상류측에 형성되는 드라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개수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개수보다 많은 드라이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 팬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팬의 외둘레에 대응하는 측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후방캡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브는,
    내부에 상기 제1 팬의 팬모터(이하, 제1 팬모터)가 수용되고, 상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1 팬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허브는,
    내부에 상기 제2 팬의 팬모터(이하, 제2 팬모터)가 수용되고, 하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2 팬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드라이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브는,
    반경이, 상기 제2 허브의 반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팁은,
    상기 제1 허브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팁의 상기 제2 허브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동일한 드라이어.
  9.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일측에 상기 팬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튜브는,
    적어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라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그루브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튜브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딩 무빙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가이더의 내주면에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가이더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원형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가이더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파형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더의 원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서로 각도 180° 이격된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은,
    위상각이 각도 180° 의 차이로 이격된 부위에서 중앙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정, 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파형인 드라이어.
  15. 제13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회전모터; 및
    일측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토출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토출튜브로 전달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출튜브는,
    상기 회전모터가 구동될 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드라이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튜브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서로 각도 180° 이격된 한 쌍의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요홈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드라이어.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드라이어.
  18. 중공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일측에 상기 팬 및 히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튜브;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토출튜브를 적어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가 설치되는 이너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너 슬리브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로드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슬리브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로드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요홈 각각에 삽입되고, 플레이트를 횡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드라이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슬리브는,
    하류측에 상기 토출튜브가 위치하고, 벤츄리 튜브(venturi tube)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드라이어.
KR1020190107606A 2018-09-19 2019-08-30 드라이어 KR20200033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7940.0A EP3626106B1 (en) 2018-09-19 2019-09-18 Dryer
EP22163515.4A EP4039126A1 (en) 2018-09-19 2019-09-18 Dryer
CN201910886963.9A CN110916325B (zh) 2018-09-19 2019-09-19 干燥器
US16/576,291 US11213174B2 (en) 2018-09-19 2019-09-19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3478P 2018-09-19 2018-09-19
US62/733,478 2018-09-19
KR20180151298 2018-11-29
KR1020180151298 2018-11-29
KR20180159897 2018-12-12
KR1020180159897 2018-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72A true KR20200033172A (ko) 2020-03-27

Family

ID=6995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606A KR20200033172A (ko) 2018-09-19 2019-08-30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31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3606A (zh) * 2021-06-18 2022-03-11 深圳汝原科技有限公司 干燥装置
KR20220107414A (ko) * 2021-01-25 202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414A (ko) * 2021-01-25 202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CN114173606A (zh) * 2021-06-18 2022-03-11 深圳汝原科技有限公司 干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6106B1 (en) Dryer
KR20200033100A (ko) 드라이어
ES2266411T3 (es) Impulsor de flujo radial.
RU2576735C2 (ru) Вентилятор в сборе
ES2419155T3 (es) Tobera para un conjunto de ventilador
KR20200033172A (ko) 드라이어
BRPI0604554A (pt) secador de cabelos compreendendo um dispositivo que permite modificar a geometria do fluxo de ar
US20080216339A1 (en) Wireless Blow Dryer
CN106284152A (zh) 吹风机
NO137577B (no) H}ndh}rt¦rrer.
CN104374066B (zh) 空调器及该空调器的送风方法
US9746202B2 (en) Dryer
KR20170081414A (ko) 선풍기 겸용 에어워셔
KR101932061B1 (ko) 헤어 드라이어
CN104185737A (zh) 送风机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190117859A (ko) 무선 헤어드라이기
CN106284148A (zh) 吹风机
JP2024020257A (ja) 送風機
ES2565097T3 (es) Secador de pelo con aletas concéntricas
CN106284153B (zh) 吹风机
CN106284150B (zh) 电动工具
CN214967641U (zh) 一种耳道烘干清洁器
CN202656823U (zh) 车辆用送风装置
JP2019025040A (ja) 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