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859A - 무선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무선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859A
KR20190117859A KR1020180040161A KR20180040161A KR20190117859A KR 20190117859 A KR20190117859 A KR 20190117859A KR 1020180040161 A KR1020180040161 A KR 1020180040161A KR 20180040161 A KR20180040161 A KR 20180040161A KR 20190117859 A KR20190117859 A KR 2019011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ody case
power supply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섭
오세림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오원섭
김성훈
오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섭, 김성훈, 오세림 filed Critical 오원섭
Priority to KR102018004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859A/ko
Publication of KR2019011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케이스(210)와,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전방 개구부에 구비되는 히팅부(240)와, 상기 히팅부(24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본체케이스(210)에 구비되는 송풍부와, 본체케이스(210)에 구비되어 히팅부(240)와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70)는 전후방으로 상기 히팅부(240)와 송풍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되며, 전원공급부(270)와 본체케이스(210)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어 송풍부 작동시 공기는 공간을 지나고 히팅부(240)를 지나 전방으로 배출되는 무선 헤어드라이기(2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헤어드라이기{A Wireless Hair Dryer}
본 발명은 무선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공급부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히팅부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여 전원공급부의 설치 위치 선택이 자유로워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기는 머리카락을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용기기로서, 업소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탠드형과, 가정에서 사용되는 블로어형이 있다. 스탠드형은 사람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이며, 블로어형은 일명 핸드 헤어드라이기라고도 하여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핸드형 헤어드라이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팬을 회전시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니크롬선이 감겨진 내열부를 통과하도록 하면서 공기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게 하여 반대 측으로 강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헤어드라이기는 몸체(10), 흡입팬(20), 모터(30), 가열부재(40), 노즐(50), 손잡이부(60), 전원공급수단(70), 고정수단(80), 전원스위치(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원통 형태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전·후방측이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후방측 내부에 몸체(10)의 후방측으로부터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팬(20)을 회전시키기 위해 몸체(10)의 후방측 내부에 흡입팬(20)과 연결되는 모터(30)가 설치되고, 모터(3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흡입팬(20)에 의해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몸체(10)의 전방측 내부에 가열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전방측 단부에 몸체(10)의 내부로부터 전방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집중적으로 모발에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노즐(5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팬(20), 모터(30), 가열부재(40), 노즐(50)이 설치된 몸체(10)를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후방측 하부에 손잡이부(60)가 사각봉 형태로 전방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60)가 몸체(10)의 후방측 하부에 힌지 결합됨으로 인해 사용시에는“ㄱ”자 형태로 사용하며 사용후 “ㄷ”자 형태로 접혀지게 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0)의 일측부에 장착홈부(61)가 형성되고, 장착홈부(61)의 하부측에 모터(30)와 가열부재(4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1접속단자(6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60)의 장착홈부(61)에 모터(30)와 가열부재(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70)이 탈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70)은 손잡이부(60)의 장착홈부(61)에 삽입되도록 사각 형태로 케이스부(71)가 형성되며, 케이스부(71)의 내부에 모터(30)와 가열부재(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2)가 설치되고, 케이스부(71)의 하부 외측에 배터리(72)와 연결되어 제1접속단자(62)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2접속단자(7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60)의 장착홈부(61) 테두리부에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부재(100)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욕실에서 사용시 전원공급수단(70)이 부착된 장착홈부(61)에 물기가 유입되지 않아 물기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0)의 장착홈부(61)에 부착설치되는 전원공급수단(7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이 장착홈부(61) 상·하측 테두리부에 각각 구성되며, 고정수단(80)에 대응하여 케이스부(71)의 상·하단부 각각에 제1,2 고정홈(74,7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80)은 장착홈부(61) 상측 테두리부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장착홈부(61) 상으로 출몰하는 락킹돌기부(81)가 구비되어 전원공급수단(70) 케이스부(71)의 상단부 제1고정홈(74)에 삽입결합되어 전원공급수단(7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장착홈부(61) 하측 테두리부로부터 상부 수직방향으로 고정돌기부(82)가 연장형성되어 전원공급수단(70) 케이스부(71)의 하단부 제2고정홈(75)과 결합되어 전원공급수단(7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헤어드라이기는 손잡이부의 부피가 커지므로 파지가 어렵고 따라서 사용이 불편하며, 가열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13909호 등록특허공보 문헌 2)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2155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원공급수단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히팅부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전원공급수단의 설치 위치가 자유로워며 따라서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부의 구조가 가능하며,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무선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적어도 전방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방 개구부에 구비되는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본체케이스에 구비되는 송풍부와, 본체케이스에 구비되어 히팅부와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후방으로 상기 히팅부와 송풍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되며, 상기 송풍부에는 전원공급부를 지나 공기를 히팅부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무선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안내수단은 후방 단부가 송풍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전원공급부와 본체케이스 사이를 지나 전방 단부가 히팅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헤어드라이기(200)에 의하면, 전원공급부(270)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송풍부(220)로부터 히팅부(240)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손잡이부(260)를 부피가 작고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해지고, 발열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헤어드라이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헤어드리이기의 손잡이부와 배터리의 분해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어드라이기의 개략적인 측방 일부 구성 제거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어드라이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방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무선 헤어드라이기에 구비되는 히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헤어드라이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도 3 및 도 4에서 좌측을 전방으로 우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어드라이기의 개략적인 측방 일부 구성 제거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헤어드라이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방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무선 헤어드라이기에 구비되는 히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헤어드라이기(200)는 적어도 전방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케이스(210)와,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전방 개구부에 구비되는 히팅부(240)와, 상기 히팅부(240)의 후방으로 본체케이스(210)에 구비되는 송풍부(220)와, 본체케이스(210)에 구비되어 히팅부(240)와 송풍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210)에는 하부로 연장된 중공체인 손잡이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260)는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본체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210)는 히팅부(240)가 설치되는 부분과 전원공급부(270)가 설치되는 부분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210)는 오목한 형태의 본체케이스 결합체 2개가 서로 마주하여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는 내부 구성의 설명을 위하여 일측의 본체케이스 결합체의 도시를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케이스(210)를 후방이 개구된 형태의 중공체로 하고, 후방 개구된 단부에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본체케이스(210)를 향하여 개구된 컵 형태로, 개구된 단부의 가장자리가 본체케이스(210)의 후방 개구된 단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버의 개구된 단부의 가장자리에 암나사(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본체케이스(210)의 후방 개구된 단부의 가장자리에 수나사(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250은 본체케이스(21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축관부를 도시한 것이며, 축관부(250)가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고속 집중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축관부(250)는 본체케이스(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원공급부(270)는 하나 이상의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며, 케이스가 더 구비되어 충전 배터리가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충전배터리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본체케이스(210)의 전원공급부(270)가 설치되는 부분에 내측을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돌기부가 구비되도록 하고, 돌기부 사이에 전원공급부(270)가 위치되도록 하여 본체케이스(210)에 전원공급부(27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원공급부(270)에 폭 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형성하고, 본체케이스(210)의 외측에서 나사로 홀에 체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 전원공급부(2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220)는 송풍케이싱(224)과, 상기 송풍케이싱(2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팬(221)과, 상기 송풍팬(221)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케이싱(22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일측으로 중심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통공이 형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224b)가 형성된다. 송풍팬(221)이 회전하면 흡입통공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되어(도 3 및 도 4의 화살표 "A" 방향) 배출구(224b)를 통하여 배출된다. 모터는 송풍케이싱(224)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되어 송풍팬(221)을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폭면에는 흡입통공이 형성된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송풍팬(221)이 작동하면 공기흡입구 및 흡입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송풍케이싱(224) 내로 흡입되고 배출구(224b)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240)와, 송풍부(220)와, 전원공급부(270)는 본체케이스(210)에 직렬로 정렬되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220)는 히팅부(24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70)는 히팅부(240)와 송풍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헤어드라이기(200)는 송풍부(2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히팅부(240)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상기 배출구(224b)에 연결되고 전원공급부(270)와 본체케이스(210) 사이를 지나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 단부가 히팅부(240)의 후방에 위치하는 송풍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수단은 일단이 상기 배출구(224b)에 연결되고 본체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본체케이스(210)의 외측을 지나 다시 본체케이스(210) 내로 연장되어 전방 단부가 히팅부(240)의 후방에 위치하는 송풍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케이스(2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송풍관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24b)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송풍관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케이스(210)에 전원공급부(270)가 위치한 부분에 전후방으로 연장되며 본체케이스 내측으로 양단이 개구된 케이스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배출구(224b)에 연결되고 전방 단부는 케이스관통공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제1송풍관을 포함하여, 상기 안내수단은 송풍부로부터 히팅부(240)의 후방까지 유로를 형성하는 제1송풍관과 케이스관통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수단은 케이스관통공이 전방 개구된 단부에 연결되며 히팅부(240)의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송풍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히팅부(240)와, 송풍부(220)와, 전원공급부(270)는 본체케이스(210)에 직렬로 정렬되어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전원공급부(270)로부터 히팅부(240)나 송풍부(2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되어야 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의 배열도 단순해진다. 그리고 손잡이부(260)에 전원공급부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손잡이부(260)의 굵기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굵기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260)에는 제어부(230, PCB)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230)에 연결되어 송풍부(220) 및 히팅부(2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290)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도면부호 290으로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스위치(290)는 히팅부(240)를 온,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및 송풍부(220)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전원공급부(270)와 송풍부(220)를 연결하는 전선, 및 전원공급부(270)와 히팅부(240)를 연결하는 전선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211은 본체케이스(210) 내에 구비되는 설치돌기를 도시한 것이고, 213은 설치돌기에 체결되는 나사를 도시한 것이며, 224a는 송풍케이싱(224)에 구비된 링형태의 결합돌기를 도시한 것이다. 나사(213)로 결합돌기(224a)를 설치돌기(211)에 체결하여 송풍케이싱(224)이 본체케이스(210) 내에 고정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240)는 중공체이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동로(245)가 관통 형성된 히팅본체(241)와, 상기 히팅본체(241)의 유동로(245)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히팅수단(2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팅수단(243)은 튜브 형태의 나선 코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로(24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병렬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각 유동로(245)에 하나의 히팅수단(24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복수의 유동로(245) 중 일부 유동로(245)에는 히팅수단(243)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히팅수단(243)에는 스위치의 작동으로 전원공급부(2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차단된다. 각 히팅수단(243)으로 연결된 전선은 병렬로 결선되고 각 병렬로 결선된 전선에 차단스위치가 구비되어 차단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히팅수단(243)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복수의 히팅수단(243)이 개별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므로 사용자는 필요한 발열량을 출력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히팅수단(243)은 몇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온오프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240)를 이루는 히팅본체(241)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의 히팅제1본체(241-1)와, 상기 히팅제1본체(241-1) 내에 위치하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의 히팅제2본체(241-2)와, 양단이 상기 히팅제1본체(241-1)와 히팅제2본체(241-2)에 각각 연결되며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히팅수단고정패널(247)로 이루어진다. 히팅제1본체(241-1)의 내경은 히팅제2본체(24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히팅제1본체(241-1)의 내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슬릿(241-1a)이 형성되고, 히팅제2본체(241-2)의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슬릿(241-2a)이 형성되어, 히팅수단고정패널(247)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제2 슬릿(241-2a)에 삽입되고,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제1 슬릿(241-1a)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히팅제2본체(241-2) 내에 전후방으로 관통된 유동로(245)가 형성된다. 히팅제1본체(241-1)와 히팅제2본체(241-2) 사이에 히팅수단고정패널(247)로 분할되며 전후방으로 관통된 복수의 유동로(245)가 형성된다. 상기 히팅수단고정패널(247)에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히팅수단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수단(243)은 히팅수단설치공에 코일 형태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히팅제1본체(241-1)와 히팅제2본체(241-2) 사이에 히팅수단고정패널(247)로 분할되어 형성된 유동로(245)에는 양측의 히팅수단(243)이 노출되어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240)를 이루는 히팅본체(241)는 전후 방향의 관통된 복수의 유동로(245)가 형성되며, 상기 히팅수단(243)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서, 각 유동로(245)에 삽입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유동로(245)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240)를 이루는 히팅본체(241)는 길이 방향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히팅부본체(241a)와, 상기 히팅부본체(241a) 내에 단면이 격자 형태를 이루어 구비되는 히팅부패널(242)로 이루어진다. 유동로(245)는 히팅부본체(241a)와 히팅부패널(242)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패널(242) 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히팅수단(243)은 각 유동로(245)에 삽입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유동로(245) 중 하나 이상에는 히팅수단(243)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240)의 히팅본체(241)는 관체로 형성되고, 히팅수단(243)은 관체인 히팅본체(241)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안내수단인 송풍관의 전방 단부는 해팅본체(241)의 후방에 인접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200: 무선 헤어드라이기 210: 본체케이스
220: 구동모터 240: 히팅부
250: 축관부 260: 손잡이부
270: 전원공급부

Claims (2)

  1. 적어도 전방으로 개구된 중공체인 본체케이스(210)와, 상기 본체케이스(210)의 전방 개구부에 구비되는 히팅부(240)와, 상기 히팅부(24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본체케이스(210)에 구비되는 송풍부(220)와, 본체케이스(210)에 구비되어 히팅부(240)와 송풍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70)는 전후방으로 상기 히팅부(240)와 송풍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되며, 상기 송풍부(220)에는 전원공급부(270)를 지나 공기를 히팅부(240)로 안내하는 안내수단(228)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어드라이기(2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228)은 후방 단부가 송풍부(220)의 배출구(224b)에 연결되며 전원공급부(270)와 본체케이스(210) 사이를 지나 전방 단부가 히팅부(240)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어드라이기(200).



KR1020180040161A 2018-04-06 2018-04-06 무선 헤어드라이기 KR20190117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61A KR20190117859A (ko) 2018-04-06 2018-04-06 무선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61A KR20190117859A (ko) 2018-04-06 2018-04-06 무선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859A true KR20190117859A (ko) 2019-10-17

Family

ID=6842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61A KR20190117859A (ko) 2018-04-06 2018-04-06 무선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8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09B1 (ko) * 2019-12-06 2020-10-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무선 헤어드라이어
US11253039B1 (en) 2020-11-10 2022-02-22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EP3995033A1 (en) * 2020-11-10 2022-05-11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system and wireless blow dr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57Y1 (ko) 2006-05-03 2006-07-12 주식회사 맑은전자 모발건강 헤어드라이어
KR101613909B1 (ko) 2014-09-04 2016-04-25 손예슬 휴대용 무선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57Y1 (ko) 2006-05-03 2006-07-12 주식회사 맑은전자 모발건강 헤어드라이어
KR101613909B1 (ko) 2014-09-04 2016-04-25 손예슬 휴대용 무선 헤어드라이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09B1 (ko) * 2019-12-06 2020-10-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무선 헤어드라이어
WO2021112330A1 (ko) * 2019-12-06 2021-06-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무선 헤어드라이어
US11253039B1 (en) 2020-11-10 2022-02-22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EP3995032A1 (en) * 2020-11-10 2022-05-11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EP3995033A1 (en) * 2020-11-10 2022-05-11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system and wireless blow dryer
US11388973B2 (en) 2020-11-10 2022-07-19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system and wireless blow dryer
US11771196B2 (en) 2020-11-10 2023-10-03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blow dryer
US11800918B2 (en) 2020-11-10 2023-10-31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Blow d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1314A (en) Hair dryer
CN101662969B (zh) 电发刷
KR20190117859A (ko) 무선 헤어드라이기
US4323761A (en) Radiant heat hair dryer
CN109247685A (zh) 包括附件的空气移动装置
CN212129012U (zh) 吹风机
CN109640734A (zh) 吹风机的改良构造
US4039774A (en) Portable hair dryer
US3885127A (en) Hand held hair drying appliance
CN111315254B (zh) 吹风机
KR950702799A (ko) 머리손질 기구의 증기장치 및 그 방법
KR101265490B1 (ko)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WO2020143508A1 (zh) 一种使用舒适的电吹风
JPH0716113A (ja) ヘアドライヤー
CN111838936B (zh) 一种吹风机
CN113749375A (zh) 一种风道组件及电吹风
CN213808160U (zh) 背负式吹风机
CN112343847A (zh) 背负式吹风机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CN201131424Y (zh) 高效吹风机
KR20200033172A (ko) 드라이어
FI100019B (fi) Hiusten käsittelemiseksi, erityisesti hiusten kuivaamiseksi ja/tai kam pauksen muotoilemiseksi tarkoitettu laite
KR100406213B1 (ko) 브러시가 부착된 드라이어
CN112336039A (zh) 一种便携式双层风道吹风机
EP0008293A1 (en) Hand-held electric hair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