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735A -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735A
KR20220105735A KR1020210008430A KR20210008430A KR20220105735A KR 20220105735 A KR20220105735 A KR 20220105735A KR 1020210008430 A KR1020210008430 A KR 1020210008430A KR 20210008430 A KR20210008430 A KR 20210008430A KR 20220105735 A KR20220105735 A KR 2022010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at
unit
forms
pur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943B1 (ko
Inventor
이은서
Original Assignee
이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서 filed Critical 이은서
Priority to KR102021000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9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모래가 수용되는 제1바스켓; 상기 제1바스켓 내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제2바스켓; 상기 제2바스켓의 바닥에 형성되어 모래를 건조시키는 발열수단; 상기 제2바스켓의 상부 내측 테두리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바스켓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집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2바스켓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배기덕트에서 포집된 악취를 정화시키는 장치부; 및 상기 제1바스켓 및 제2바스켓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고양이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고양이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toilet for cat}
본 발명은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수단을 이용해 모래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마철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세척후의 모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기능을 갖는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을 항상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며 고양이의 활발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용변을 보고 난 후에 냄새 나는 오물을 감추기 위해서 모래 등으로 용변을 감추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들은 상자에 모래 등의 충전재를 채워서 고양이 화장실을 만들어주고, 고양이가 용변을 본 후에는 망이 형성된 작은 삽으로 용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고양이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하였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327717호(2013. 11. 11. 공고, 특허문헌 1)에는 모래수용체에 용변처리체를 설치하며, 수거통으로 고양이의 용변을 제거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61110호(2012. 6. 22. 공고, 특허문헌 2)에는 배변통체 및 소변함을 설치하고, 소수성 충전재를 채워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도록 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83466호(2017. 5. 18. 공고, 특허문헌 3)에는 배변박스 상단에 모래 속에 파묻힌 배설물을 수거하는 다수의 갈퀴를 구비한 수거부재를 이용하여 배변물을 처리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고양이 배설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소수성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고양이가 용변을 하고, 배설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고양이의 특성에 맞지 않는 것으로 불편함을 느끼며, 용변처리체 또는 갈퀴 등 수거부재를 필수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고양이 화장실 자체가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277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6111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834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열수단을 이용해 모래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마철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세척후의 모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기능을 갖는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을 항상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며 고양이의 활발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덕트 및 정화장치부의 작동에 의해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포집하여 정화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발생 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래가 수용되는 제1바스켓; 상기 제1바스켓 내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제2바스켓; 상기 제2바스켓의 바닥에 형성되어 모래를 건조시키는 발열수단; 상기 제2바스켓의 상부 내측 테두리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바스켓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집하는 배기덕트; 상기 제2바스켓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배기덕트에서 포집된 악취를 정화시키는 장치부; 및 상기 제1바스켓 및 제2바스켓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고양이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고양이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바스켓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양쪽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손잡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홀에는 고무재질의 손잡이 패드가 끼움되며, 상기 손잡이 패드는 중앙이 십자형태로 절개되어 평상시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연질막을 형성하여 손잡이를 사용할 때만 벌어지고,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양이의 시선을 외부와 차단하여 심리적 안정을 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스켓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정면 상단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모듈거치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바스켓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바닥에 발열망 설치부를 형성하되, 상기 발열망 설치부는 중앙이 개구된 테두리형태로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부터 몸체 상부 내측 테두리에 하부방향으로 확장되는 배기덕트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 정면에는 정화장치, 전원장치, 제어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덕트 하부에는 살균장치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수단은, 제2바스켓의 바닥부를 형성하되, 씨줄과 날줄의 격자형태로 배치되어 모래 속의 고양이 배설물을 걸러내도록 하고 전원 인가 시에 발열이 이루어져 모래 속의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된 탄소섬유발열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덕트는 하부로 펼쳐진 형태의 치마부를 형성하고, 상기 치마부 상측에는 포집된 공기가 펌프 배압이 걸린 상태로 배기될 수 있도록 공간이 좁은 루프형포집로를 형성하며, 상기 루프형포집로와 치마부 사이에 먼지망을 설치하여 고양이 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부는 케이스 내부에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포집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정화장치부 및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부를 형성하며, 상기 정화장치부 및 전원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부를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제어장치부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장치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하여 배기덕트에서 포집된 공기를 끌어들여 필터부로 이송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에서 공급된 공기중 악취의 원인이 되는 각종 가스 물질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이송하는 배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통로 상에는 향기발생부를 더 형성하되, 상기 향기발생부는 전기가열방식으로 향기가 발생되는 키트를 사용하되, 장치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키트를 삽탈할 수 있도록 키트 삽입부를 더 형성하고, 배기통로와 연결되는 향기방출구를 케이스 일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양이 발판부는 바스켓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에는 띠 형태의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발열수단을 이용해 모래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마철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세척후의 모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기능을 갖는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을 항상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며 고양이의 활발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덕트 및 정화장치부의 작동에 의해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포집하여 정화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발생 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장치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정화장치부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조립상태의 단면도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장치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정화장치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제1바스켓(110), 제2바스켓(120), 발열수단(130), 배기덕트(140), 장치부(150), 고양이 발판부(190)를 포함한다.
먼저, 모래가 수용되는 제1바스켓(1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바스켓(110)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 양쪽 측면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손잡이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홀(111)은 사용자가 고양이 화장실을 들어서 이동할 때, 파기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홀(111)에는 고무재질의 손잡이 패드(113)가 끼움되는데, 상기 손잡이 패드(113)는 중앙이 연질막(113a)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제공된다. 예컨대, 연질막(113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십자형태로 절개시켜 연질막(113a)이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사용할 때에 연질막(113a)을 벌려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고양이가 사람 눈에 띄지 않고 은밀하게 배설행위를 하는 습관을 고려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양이의 시선을 외부와 차단하여 심리적 안정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바스켓(110)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정면 상단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모듈거치홈(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거치홈(115)은 상부가 개구된 "ㄷ"자 홈일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1바스켓(110) 내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제2바스켓(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바스켓(120)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 바닥에는 발열망 설치부(121)를 형성하는데, 상기 발열망 설치부(121)는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테두리형태로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부터 몸체 상부 내측 테두리에 하부방향으로 확장되는 배기덕트(140)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 정면에는 정화장치, 전원장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부(15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140) 하부에는 살균장치(171)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일예로 자외선 살균기 등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171)는 전원장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2바스켓(120) 둘레에 복수 개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바스켓(120)의 바닥에 형성되어 모래를 건조시키는 발열수단(130)이 개시된다.
이때, 상기 발열수단(130)은, 제2바스켓(120)의 바닥부를 형성하되, 씨줄과 날줄의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탄소섬유발열망(131)일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발열망(131)은 모래 속에서 고양이 배설물을 걸러내는 뜰채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원 인가 시에는 탄소섬유의 특성에 따른 발열이 이루어져 모래 속의 수분을 건조시키게 된다.
다음은, 상기 제2바스켓(120)의 상부 내측 테두리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바스켓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집하는 배기덕트(1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배기덕트(140)는 하부로 펼쳐진 형태의 치마부(141)를 형성한다. 상기 치마부(141)는 하부로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서, 공기의 포집되는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치마부(141) 상측에는 포집된 공기가 펌프 배압이 걸린 상태로 배기될 수 있도록 공간이 점차 좁아지는 루프형포집로(143)를 형성한다.
상기 루프형포집로(143)는 제2바스켓(120)의 내부둘레를 감싸는 환형의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루프형포집로(143)와 치마부(141) 사이에는 먼지망(145)을 설치하여 고양이 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먼지망(145)은 대체로 고양이 털과 같이 큰입자의 오??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바스켓(120)의 내부둘레 형상과 동일한 환형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루프형포집로(143)에 앞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장치부(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장치부(150)는 제2바스켓(12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배기덕트(140)에서 포집된 악취를 정화시키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부(150)는 케이스(151) 내부에 배기덕트(140)와 연결되어 포집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부(160)를 형성하고, 상기 정화장치부(160) 및 발열수단(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부(170)를 형성하며, 상기 정화장치부(160) 및 전원장치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부(180)를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151)에는 제어장치부(180)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패널(1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화장치부(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정화장치부(160)는 모터(161),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하여 배기덕트(140)에서 포집된 공기를 끌어들여 필터부(165)로 이송하는 블로워(163), 상기 블로워(163)에서 공급된 공기중 악취의 원인이 되는 각종 가스 물질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65), 상기 필터부(165)를 거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이송하는 배기통로(16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165)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과 화학물질, 악취를 필터링하는 역할에 따라서 다단형 복합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통로(167) 상에는 향기발생부(168)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향기발생부(168)는 전기가열방식으로 향기가 발생되는 키트(169)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정화된 공기를 방출함과 아울러 고양이는 물론 사람의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는 향을 방출함으로써,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치부(150) 케이스(151)의 외측에는 향기 방출용 키트(169)를 삽탈할 수 있도록 키트 삽입부(157)를 더 형성하고, 배기통로(167)와 연결되는 향기방출구(155)를 케이스(151)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향기방출구(155)는 케이스(151)의 상,하,좌,우,전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고양이 발판부(19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양이 발판부(190)는 제1바스켓(110) 및 제2바스켓(12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용변을 보러온 고양이가 용변 후에 앉아서 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고양이 발판부(190)는 바스켓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191)을 형성한다. 이는 고양이의 특성상 경사진 비탈면을 선호함에 따른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면(191)는 미끌리지 않도록 요철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데, 환형의 띠 형태로 요철패턴(19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열수단을 이용해 모래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마철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세척후의 모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기능을 갖는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을 항상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며 고양이의 활발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덕트 및 정화장치부의 작동에 의해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포집하여 정화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발생 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제1바스켓 111: 손잡이홀
113: 손잡이패드 113a: 절개홈
115: 모듈거치홈 120: 제2바스켓
121: 발열망설치부 130: 발열수단
131: 탄소섬유발열망 140: 배기덕트
141: 치마부 143: 루프형포집로
145: 먼지망 150: 장치부
151: 케이스 153: 제어패널
155: 향기방출구 157: 키트삽입부
160: 정화장치부 161: 모터
163: 블로워 165: 필터부
167: 배기통로 168: 향기발생부
169: 키트 170: 전원장치부
171: 살균장치
180: 제어장치부 190: 고양이 발판부
191: 경사면 193: 요철패턴

Claims (10)

  1. 모래가 수용되는 제1바스켓(110);
    상기 제1바스켓(110) 내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제2바스켓(120);
    상기 제2바스켓(120)의 바닥에 형성되어 모래를 건조시키는 발열수단(130);
    상기 제2바스켓(120)의 상부 내측 테두리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바스켓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집하는 배기덕트(140);
    상기 제2바스켓(12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배기덕트(140)에서 포집된 악취를 정화시키는 장치부(150); 및
    상기 제1바스켓(110) 및 제2바스켓(12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고양이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고양이 발판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스켓(110)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양쪽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손잡이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홀(111)에는 고무재질의 손잡이 패드(113)가 끼움되며, 상기 손잡이 패드(113)는 중앙이 십자형태로 절개되어 평상시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연질막(113a)을 형성하여 손잡이를 사용할 때만 벌어지고,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양이의 시선을 외부와 차단하여 심리적 안정을 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스켓(110)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정면 상단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모듈거치홈(1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스켓(120)은 사각함체 형태의 몸체 바닥에 발열망 설치부(121)를 형성하되, 상기 발열망 설치부(121)는 중앙이 개구된 테두리형태로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부터 몸체 상부 내측 테두리에 하부방향으로 확장되는 배기덕트(140)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 정면에는 정화장치, 전원장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부(150)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덕트(140) 하부에는 살균장치(171)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130)은, 제2바스켓(120)의 바닥부를 형성하되, 씨줄과 날줄의 격자형태로 배치되어 모래 속의 고양이 배설물을 걸러내도록 하고 전원 인가 시에 발열이 이루어져 모래 속의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된 탄소섬유발열망(1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140)는 하부로 펼쳐진 형태의 치마부(141)를 형성하고, 상기 치마부(141) 상측에는 포집된 공기가 펌프 배압이 걸린 상태로 배기될 수 있도록 공간이 좁은 루프형포집로(143)를 형성하며, 상기 루프형포집로(143)와 치마부(141) 사이에 먼지망(145)을 설치하여 고양이 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150)는 케이스(151) 내부에 배기덕트(140)와 연결되어 포집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부(160)를 형성하고, 상기 정화장치부(160) 및 발열수단(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부(170)를 형성하며, 상기 정화장치부(160) 및 전원장치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부(180)를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151)에는 제어장치부(180)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패널(1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부(160)는 모터(161),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하여 배기덕트(140)에서 포집된 공기를 끌어들여 필터부(165)로 이송하는 블로워(163), 상기 블로워(163)에서 공급된 공기중 악취의 원인이 되는 각종 가스 물질 및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65), 상기 필터부(165)를 거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이송하는 배기통로(1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167) 상에는 향기발생부(168)를 더 형성하되, 상기 향기발생부(168)는 전기가열방식으로 향기가 발생되는 키트(169)를 사용하되, 장치부(150) 케이스(151)의 외측에는 키트(169)를 삽탈할 수 있도록 키트 삽입부(157)를 더 형성하고, 배기통로(167)와 연결되는 향기방출구(155)를 케이스(151) 일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양이 발판부(190)는 바스켓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191)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191)에는 띠 형태의 요철패턴(19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KR1020210008430A 2021-01-21 2021-01-21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KR10251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30A KR102516943B1 (ko) 2021-01-21 2021-01-21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30A KR102516943B1 (ko) 2021-01-21 2021-01-21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35A true KR20220105735A (ko) 2022-07-28
KR102516943B1 KR102516943B1 (ko) 2023-03-31

Family

ID=8260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30A KR102516943B1 (ko) 2021-01-21 2021-01-21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943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151U (ja) * 1993-02-09 1994-10-25 株式会社ゼオライトジャパン ペット用トイレ
JPH11239425A (ja) * 1998-02-27 1999-09-07 Tominaga Jushi Kogyosho:Kk 小動物飼育容器用換気装置
JP2003116396A (ja) * 2001-10-12 2003-04-22 Hitachi Hometec Ltd ペット用ボックス
JP2003143991A (ja) * 2001-11-16 2003-05-20 Hitachi Hometec Ltd ペット用ボックス
KR100461110B1 (ko) 2001-08-10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KR100483466B1 (ko) 2000-07-07 2005-04-15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두방향밸브
JP2006296288A (ja) * 2005-04-20 2006-11-02 Kazuo Imai ペット用トイレ
JP2008220343A (ja) * 2007-03-08 2008-09-25 Fumio Nunokawa 空気清浄装置、猫砂貯蔵投入装置付き猫トイレ
JP2009531016A (ja) * 2005-12-05 2009-09-03 ペット ノベイションズ エル・ティー・ディー 猫の滲出物装置および方法
KR101327717B1 (ko) 2013-04-05 2013-11-11 박성식 고양이 화장실
KR101643879B1 (ko) * 2015-12-17 2016-07-29 박명은 고양이용 용변기구
US9565830B1 (en) * 2014-06-26 2017-02-14 James Caico Ventilated litter box
KR20180000317U (ko) * 2016-07-22 2018-01-31 편시진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180001670U (ko) * 2016-11-28 2018-06-07 김태현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
KR101863193B1 (ko) * 2018-02-08 2018-06-29 이성용 더블형 에어샤워모듈을 통한 탈취·제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IoT형 고양이 화장실 장치
KR20190115730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용 화장실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151U (ja) * 1993-02-09 1994-10-25 株式会社ゼオライトジャパン ペット用トイレ
JPH11239425A (ja) * 1998-02-27 1999-09-07 Tominaga Jushi Kogyosho:Kk 小動物飼育容器用換気装置
KR100483466B1 (ko) 2000-07-07 2005-04-15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두방향밸브
KR100461110B1 (ko) 2001-08-10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JP2003116396A (ja) * 2001-10-12 2003-04-22 Hitachi Hometec Ltd ペット用ボックス
JP2003143991A (ja) * 2001-11-16 2003-05-20 Hitachi Hometec Ltd ペット用ボックス
JP2006296288A (ja) * 2005-04-20 2006-11-02 Kazuo Imai ペット用トイレ
JP2009531016A (ja) * 2005-12-05 2009-09-03 ペット ノベイションズ エル・ティー・ディー 猫の滲出物装置および方法
JP2008220343A (ja) * 2007-03-08 2008-09-25 Fumio Nunokawa 空気清浄装置、猫砂貯蔵投入装置付き猫トイレ
KR101327717B1 (ko) 2013-04-05 2013-11-11 박성식 고양이 화장실
US9565830B1 (en) * 2014-06-26 2017-02-14 James Caico Ventilated litter box
KR101643879B1 (ko) * 2015-12-17 2016-07-29 박명은 고양이용 용변기구
KR20180000317U (ko) * 2016-07-22 2018-01-31 편시진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180001670U (ko) * 2016-11-28 2018-06-07 김태현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
KR101863193B1 (ko) * 2018-02-08 2018-06-29 이성용 더블형 에어샤워모듈을 통한 탈취·제균기능을 갖는 스마트 IoT형 고양이 화장실 장치
KR20190115730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용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943B1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488A (en) Cat waste elimination system
KR101605820B1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04062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US20100180830A1 (en) Animal litter air treatment device containing activated carbon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200493055Y1 (ko)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20220105735A (ko)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KR101057641B1 (ko) 차량을 이용한 살균 탈취장치
KR20220035903A (ko) 고양이 화장실의 공기정화장치
KR20210127288A (ko) 애완동물용 공기청정기
JP2016188507A (ja) 排泄物処理室の空気浄化装置
KR20050083155A (ko) 살균장치가 내장된 화장지걸이 하우징
JP2021536331A (ja) トイレからの空気およびエアロゾル化した排泄物の悪臭を削減する濾過アセンブリ
JP2011143048A (ja) 電気掃除機
JP3119096U (ja) 病院などにおけるおむつ取替用移動車の空気清浄装置
CN202036453U (zh) 护理用消臭便盆
KR20180067036A (ko)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CN219952151U (zh) 一种厕所除臭杀菌消毒器
JP4771609B2 (ja) 空気清浄機付きプランター
KR101365748B1 (ko) 핸드 드라이어 및 통합필터
KR102594289B1 (ko) 미세먼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US20230038314A1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102381075B1 (ko)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JP4518311B2 (ja) 簡易トイレ
JP2003205000A (ja) 排便介護用臭気吸引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