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730A - 고양이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고양이용 화장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730A
KR20190115730A KR1020180038786A KR20180038786A KR20190115730A KR 20190115730 A KR20190115730 A KR 20190115730A KR 1020180038786 A KR1020180038786 A KR 1020180038786A KR 20180038786 A KR20180038786 A KR 20180038786A KR 20190115730 A KR20190115730 A KR 2019011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at
main body
sand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861B1 (ko
Inventor
이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로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로펫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로펫
Priority to KR102018003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2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adapted to fit on conventional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가 용변하도록 내부에 모래가 수납된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고양이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고양이가 출입하는 본체 입구와 본체 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내부에 고양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본체 출구와 연결된 통로 입구와 외부로 노출된 통로 출구가 형성된 통로부; 본체 입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 및 통로 출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도어부;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고, 이동통로가 하향 경사짐으로써, 고양이가 발바닥을 펼치며 내리막을 지나므로 고양이 발바닥 사이의 모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양이용 화장실{TOILET FOR CATS}
본 발명은 고양이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가 용변하도록 내부에 모래가 수납된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고양이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양이를 위한 화장실은 고양이가 자신의 용변을 모래로 덮는 습성을 고려하여 내부에 모래가 수납된다. 이러한 고양이 화장실은 용변에 의한 악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고양이가 화장실을 나서면, 용변을 보는 동안 고양이의 발 또는 털에 묻은 모래가 화장실 주변에 떨어져 어지럽히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사막화라 한다.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098호에는, 바닥면에 모래통이 구비되는 케이지; 케이지를 상하로 구획하고, 통행구가 형성되는 모래털이판; 케이지의 하층에 형성되는 입구; 입구에 설치되어 고양이가 입구를 통해 케이지의 외부로부터 케이지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하도록 하는 단방향 진입부; 및 케이지의 상층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한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138084호에는 애완동물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 내에는 모래를 수용하는 사용용기와 이 사용용기에서 출구를 향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통로는 상측으로 경사진 슬로프부분을 가지며, 당해 통로에 있어서의, 적어도 슬로프부분에는 브러시형 기모가 마련되어 배설 후 고양이의 손발톱 사이로 들어간 모래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케이지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39766호에는 본체와 일체화한 경사면 통로와 측벽을 설치하고 고양이가 화장실을 출입시에 이 경사면을 통과하는 구조로 하고, 용변 후 화장실에서 나올 때, 경사면 통로를 지나며 고양이 모래를 탈락시키고, 탈락한 모래를 경사면을 따라 낙하시켜 고양이가 용변 후에 화장실 외부에 모래를 산란시키지 않으므로 청소가 용이한 일체형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한다.
종래의 고양이용 화장실은 출구가 상부에 구비되어, 고양이가 화장실을 경사로를 오르거나 위로 점프해야한다. 이때 위로 오르는 고양이는 발바닥을 오므리게 되어 발바닥 사이에 묻은 모래가 제거되지 않았고, 고양이의 몸통 부분인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없어 고양이가 화장실 외부에서 몸을 털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이 사막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양이의 몸통과 발톱 사이에 끼인 모래를 제거하여 고양이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하는 고양이용 화장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양이용 화장실은,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고양이가 출입하는 본체 입구와 본체 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내부에 고양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출구와 연결된 통로 입구와 외부로 노출된 통로 출구가 형성된 통로부; 상기 본체 입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 및 상기 통로 출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도어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통로 입구로부터 상기 통로 출구까지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부는, 상기 이동통로 하부에 모래 낙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모래통과 홀이 형성된 디딤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딤판은, 상면에 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부는, 상기 통로 출구 측 하부에 모래를 포집하는 모래받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도어부는, 상기 본체 입구 상부에 힌지 결합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상기 통로 출구 상부에 힌지 결합된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통로부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와 상기 통로부를 탈부착시키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부는,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하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되는 상체부와 하체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체부는,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브러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2 이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부는,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재와 상기 통로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2 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걸이부재를 상기 제1 걸이부재에 걸어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고양이용 화장실에 의하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도어부를 구비하여, 고양이가 통로부를 통해 화장실에서 나오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로가 하향 경사짐으로써, 고양이가 발바닥을 펼치며 내리막을 지나므로 고양이 발바닥 사이의 모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딤판을 구비함으로써, 모래통과 홀을 통해 디딤판 하부로 모래가 낙하되어 고양이로부터 제거된 모래가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딤판 상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고양이 발바닥 사이의 모래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래받이를 구비함으로써, 포집된 모래를 청소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제1, 제2 도어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본체부와 통로부를 탈부착시켜 청소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로부가 상, 하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통로부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체부 내측에 브러쉬를 구비함으로써, 고양이가 자연스럽게 통로부를 지나가며, 브러쉬에 그루밍하여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로부가 이동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통로부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걸이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본체부와 통로부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용 화장실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양이용 화장실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양이용 화장실의 분해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부의 분할 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로부의 분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로부의 수평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모래받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양이용 화장실은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양이용 화장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부(100), 통로부(200), 제1 도어부(300), 제2 도어부(400) 및 결합부(50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0)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며, 고양이가 출입하는 본체 입구(120), 본체 출구(130)가 형성된다.
수납공간(110)은 고양이가 용변을 보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고양이는 용변을 모래로 덮는 습성이 있으므로, 고양이의 습성을 고려하여 수납공간(110)에 모래가 수납된다. 이로써, 고양이 용변에 의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고, 고양이는 용변 시, 본체부(100)에 둘러싸여 있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본체 입구(12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양이가 본체부(100)로 들어가는 개구부이다. 본체 입구(120)는 제1 도어부(300)에 의해 들어가는 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다. 이는 고양이가 본체 출구(130)를 통해 나가도록 유도한다.
본체 출구(130)는 본체부(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양이가 본체부(100)로부터 나가는 개구부이다. 본체 출구(130)는 별도의 도어 없이 통로부(200)와 연결된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상, 하로 분리된 상부본체(111)와 하부본체(112)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부(10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본체부(100)의 청소, 모래 교체, 용변 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 하부본체(111, 112) 중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홈부가 돌출부에 억지 끼움되며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통로부(200)는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로(210), 통로 입구(220), 통로 출구(230), 디딤판(240), 모래 낙하 공간(250), 모래 받이(260) 및 브러쉬(270)를 포함한다.
이동통로(210)는 고양이가 지나가는 통로이다. 고양이는 이동통로(210)를 지나며, 발바닥 또는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있어 고양이용 화장실 주변의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동통로(210)는 통로 입구(220)로부터 통로 출구(230)까지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통로 입구(220)가 통로 출구(2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고양이는 내리막길에서 발바닥을 펼치며 걸어가게 된다. 이로써, 고양이 발바닥 사이에 묻은 모래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통로 입구(220)는 이동통로(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양이가 들어가는 개구부이다. 통로 입구(220)는 본체 출구(130)와 연결되며, 통로 출구(230)보다 높게 배치된다.
통로 출구(230)는 이동통로(220)의 타측에 형성되어 고양이가 나오는 개구부이다. 통로 출구(230)는 외부로 노출되며, 통로 입구(220)보다 낮게 배치된다. 통로 출구(230)는 제2 도어부(400)에 의해 나오는 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다. 이는 고양이가 본체 입구(120)를 통해 들어가고, 통로 출구(230)를 통해 나오도록 유도한다.
통로 출구(230)는 본체 입구(120)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 입구(120) 또는 통로 출구(230)가 돌출되지 않아 보행에 장애물이 없어 안전하고, 수납 및 공간 효율을 향상시킨다.
디딤판(240)은 이동통로(210) 하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디딤판(240)에는 상, 하부를 관통하는 모래통과 홀(241)이 복수개 형성되어 디딤판(240) 상부를 지나는 고양이로부터 제거된 모래가 모래 통과홀(241)을 통해 모래 낙하 공간(250)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디딤판(240) 상부에 모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양이가 항상 깨끗한 상태의 디딤판(240)을 밟으며 지나갈 수 있다.
디딤판(240)은 상면에 돌기(24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양이가 돌기(242)가 형성된 디딤판(240)을 밟으면, 발바닥을 펼쳐지게 될 뿐만 아니라, 발바닥 틈새에 끼어있는 모래까지 제거된다.
모래 낙하 공간(250)은 이동통로(210)의 바닥면과 디딤판(240) 사이의 공간으로, 디딤판(240)으로부터 배출된 모래가 낙하된다. 이때, 낙하된 모래는 이동통로(210)의 바닥면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미끄러져 포집될 수 있다.
모래 받이(260)는 통로 출구(230) 측 하부에 구비되어 모래를 포집한다. 이러한 모래 받이(260)는 서랍 형식으로 형성됨으로써, 통로부(200)로부터 쉽게 탈착되어 포집된 모래를 쉽게 버릴 수 있다. 이로써, 통로부(200)를 분리할 필요 없이, 모래 받이(260)만 탈거하여 통로부(200) 내부로부터 포집된 모래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통로부(200)는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하로 분할 형성된 상체부(211)와 하체부(212)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된다.
상체부(211)는 이동통로(2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브러쉬(270)가 구비되며, 브러쉬(270)는 이동통로(210)의 길이 방향으로 2 이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고양이는 손, 발 또는 주변 물건을 이용하여 털을 빗어 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그루밍'하는 습성이 있다. 브러쉬(270)는 고양이가 이동통로(210)를 지나며 브러쉬(270)에 그루밍하여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고양이가 브러쉬(270)에 그루밍하지 않더라도, 고양이가 지나가는 동안 브러쉬(270)와 접촉되므로,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있다.
하체부(212)는 하부에 디딤판(240)이 구비된다.
상, 하체부(211, 212)가 분할 형성됨에 따라 상, 하체부(211, 212)를 분리하여 통로부(200)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는 상체부(211)의 내측면에 구비된 브러쉬(270), 하체부(212)의 하부에 구비된 디딤판(240) 및 바닥면을 청소하기 용이하다.
통로부(200)는 이동통로(210)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체부(211)는 전방상체부(211a)와 후방상체부(211b)로 이루어지고, 하체부(212)는 전방하체부(212a)와 후방하체부(212b)로 이루어진다. 이때, 브러쉬(270)는 전방상체부(211a)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상체부(211a)의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통로부(200)의 후방보다 전방에서의 모래 제거 비중을 높아 통로부(200)의 전방을 탈거하여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통로부(200) 후방은 청소 횟수가 적어 통로부(200)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상체부(211b)와 후방하체부(212b)는 본체 출구(130)로부터 본체부(100)의 후면과 밀착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고, 전방상체부(211a)와 전방하체부(212a)는 본체부(100)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200)가 분할 형성된 경우, 각 분할체의 결합 부위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분할체 중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다른 분할체에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홈부가 돌출부에 억지 끼움되어 쉽게 탈착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청소가 필요한 분할체만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도어부(300)는 제1 도어(310)와 제1 스토퍼(320)로 이루어져, 본체 입구(120)를 일방향으로 개폐한다.
제1 도어(310)는 본체 입구(120)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본체 입구(120)를 개폐한다.
제1 스토퍼(320)는 제1 도어(310)가 본체부(100)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1 스토퍼(320)는 본체 입구(12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제1 도어(310)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1 도어(310)는 본체 입구(120)의 상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본체부(100) 내측으로는 개방되고, 본체부(100) 외측으로는 제1 스토퍼(320)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다. 이로써, 고양이는 본체 입구(120)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나, 본체부(100) 외부로 나올 수는 없다.
제2 도어부(400)는 제2 도어(410)와 제2 스토퍼(420)로 이루어져, 통로 출구(230)를 일방향으로 개폐한다.
제2 도어(410)는 통로 출구(230)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통로 출구(230)를 개폐한다.
제2 스토퍼(420)는 제2 도어(410)가 통로부(200)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2 스토퍼(420)는 통로 출구(23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제2 도어(4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 도어(410)는 통로 출구(230)의 상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통로부(200) 외측으로는 개방되고, 통로부(200) 내측으로는 제2 스토퍼(420)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다. 이로써, 고양이는 통로 출구(230)를 통해 통로부(200)로부터 나올 수 있으나, 통로부(100) 내측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 스토퍼는 각각 제1, 제2 도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500)는 본체부(100)와 통로부(200)를 탈부착시키며, 제1 걸이부재(510)와 제2 걸이부재(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걸이부재(510)는 본체부(100) 외측에 구비되고, 제2 걸이부재(520)는 통로부(200) 외측에 구비되며, 제2 걸이부재(520)를 제1 걸이부재(510)에 걸어 결합시킨다.
예컨대, 제1 걸이부재(510)는 아래로 볼록한 홈이 형성되고, 제2 걸이부재(520)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걸이부재(520)의 걸이 형상이 제1 걸이부재(510)의 홈에 삽입되며 걸려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걸이부재(510)는 본체부(100) 내, 외부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걸이부재(520)의 걸이 형상이 제1 걸이부재(510)의 홀에 삽입되며 걸려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걸이부재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걸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걸이부재가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걸이부재의 걸이 형상에 제2 걸이부재의 홀을 끼워 결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20, 130 : 본체 입, 출구
200 : 통로부
220, 230 : 통로 입, 출구
300, 400: 제1, 제2 도어부
500 : 결합부

Claims (12)

  1.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고양이가 출입하는 본체 입구와 본체 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내부에 고양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출구와 연결된 통로 입구와 외부로 노출된 통로 출구가 형성된 통로부;
    상기 본체 입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 및
    상기 통로 출구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도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통로 입구로부터 상기 통로 출구까지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이동통로 하부에 모래 낙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모래통과 홀이 형성된 디딤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은, 상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통로 출구 측 하부에 모래를 포집하는 모래받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부는, 상기 본체 입구 상부에 힌지 결합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상기 통로 출구 상부에 힌지 결합된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통로부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통로부를 탈부착시키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하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되는 상체부와 하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는,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브러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2 이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걸이부재와 상기 통로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2 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걸이부재를 상기 제1 걸이부재에 걸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화장실.
KR1020180038786A 2018-04-03 2018-04-03 고양이용 화장실 KR10209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86A KR102092861B1 (ko) 2018-04-03 2018-04-03 고양이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86A KR102092861B1 (ko) 2018-04-03 2018-04-03 고양이용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30A true KR20190115730A (ko) 2019-10-14
KR102092861B1 KR102092861B1 (ko) 2020-03-24

Family

ID=6817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786A KR102092861B1 (ko) 2018-04-03 2018-04-03 고양이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856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 화장실의 공기정화장치
KR20210068857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20220048558A (ko) * 2020-10-13 2022-04-20 김지영 고양이 화장실 관리 시스템
WO2022105962A1 (de) * 2020-11-19 2022-05-27 Maria Leicht Hygieneanschlusssystem für eine katzentoilette
KR20220105735A (ko) * 2021-01-21 2022-07-28 이은서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763A (ko) 2021-12-02 2023-06-09 김진범 고양이 화장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504U (ja) * 2011-05-14 2011-09-22 紀男 池山 猫等のペット用トイレからの砂粒持ち出し防止に適したシステム
JP2013116060A (ja) * 2011-12-02 2013-06-13 Kei Ran Ryo 愛玩動物用トイレ
KR20150124098A (ko) *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504B1 (ja) * 2000-05-31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504U (ja) * 2011-05-14 2011-09-22 紀男 池山 猫等のペット用トイレからの砂粒持ち出し防止に適したシステム
JP2013116060A (ja) * 2011-12-02 2013-06-13 Kei Ran Ryo 愛玩動物用トイレ
KR20150124098A (ko) *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856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 화장실의 공기정화장치
KR20210068857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20220035903A (ko) * 2019-12-02 2022-03-22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 화장실의 공기정화장치
KR20220038322A (ko) * 2019-12-02 2022-03-28 주식회사 아로펫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20220048558A (ko) * 2020-10-13 2022-04-20 김지영 고양이 화장실 관리 시스템
WO2022105962A1 (de) * 2020-11-19 2022-05-27 Maria Leicht Hygieneanschlusssystem für eine katzentoilette
KR20220105735A (ko) * 2021-01-21 2022-07-28 이은서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861B1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861B1 (ko) 고양이용 화장실
US5361725A (en) Litter containment apparatus for kittens and cats
US5713302A (en) Pet waste containment system
JP6265972B2 (ja) 動物用トイレ箱
JP5442018B2 (ja) げっ歯動物を捕獲する生け捕り罠
KR100770600B1 (ko) 원숭이용 케이지
KR101861670B1 (ko) 고양이 화장실
US11026396B2 (en) Catch drawer litter box
US20130133583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150124098A (ko) 고양이 화장실
US20070234966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210074666A (ko)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KR200468228Y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WO2011102367A1 (ja) 上部カバー付ネコトイレ
US20200245588A1 (en) Cat litter box
JP5057152B2 (ja) ネコ用トイレ
KR102312295B1 (ko) 고양이 화장실
JP5138084B1 (ja) 愛玩動物用トイレ
KR20200067467A (ko) 고양이 화장실
JP5133710B2 (ja) 簀の子
US20190014738A1 (en) Catch Drawer Litter Box
JP3739387B1 (ja) 動物用トイレ
JP3230613U (ja) ペット用トイレトレー
KR101051456B1 (ko) 원숭이 사육용 케이지
KR20230108735A (ko) 조립형 고양이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