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66A -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 Google Patents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66A
KR20210074666A KR1020190165620A KR20190165620A KR20210074666A KR 20210074666 A KR20210074666 A KR 20210074666A KR 1020190165620 A KR1020190165620 A KR 1020190165620A KR 20190165620 A KR20190165620 A KR 20190165620A KR 20210074666 A KR20210074666 A KR 2021007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sensor
coupled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045B1 (ko
Inventor
김정곤
Original Assignee
김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곤 filed Critical 김정곤
Priority to KR102019016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일측에는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부면에는 개구되어 형성되는 본체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는 전원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내부에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와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팬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와 상기 센서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Pet bowel cage equipped with air purifier and dust collector operated by sensor detection}
개시된 내용은,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고양이를 위한 화장실은 고양이가 자신의 용변을 모래로 덮는 습성을 고려하여 내부에 모래가 수납된다.
이러한 고양이 화장실은 용변에 의한 악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고양이가 화장실을 나서면, 용변을 보는 동안 고양이의 발 또는 털에 묻은 모래가 화장실 주변에 떨어져 어지럽히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사막화라 한다.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098호에는, 바닥면에 모래통이 구비되는 케이지; 케이지를 상하로 구획하고, 통행구가 형성되는 모래털이판; 케이지의 하층에 형성되는 입구; 입구에 설치되어 고양이가 입구를 통해 케이지의 외부로부터 케이지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하도록 하는 단방향 진입부; 및 케이지의 상층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한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138084호에는 반려동물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 내에는 모래를 수용하는 사용용기와 이 사용용기에서 출구를 향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통로는 상측으로 경사진 슬로프부분을 가지며, 당해 통로에 있어서의, 적어도 슬로프부분에는 브러시형 기모가 마련되어 배설 후 고양이의 손발톱 사이로 들어간 모래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케이지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39766호에는 본체와 일체화한 경사면 통로와 측벽을 설치하고 고양이가 화장실을 출입시에 이 경사면을 통과하는 구조로 하고, 용변 후 화장실에서 나올 때, 경사면 통로를 지나며 고양이 모래를 탈락시키고, 탈락한 모래를 경사면을 따라 낙하시켜 고양이가 용변 후에 화장실 외부에 모래를 산란시키지 않으므로 청소가 용이한 일체형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한다.
종래의 고양이용 화장실은 출구가 상부에 구비되어, 고양이가 화장실을 경사로를 오르거나 위로 점프해야한다.
이때 위로 오르는 고양이는 발바닥을 오므리게 되어 발바닥 사이에 묻은 모래가 제거되지 않았고, 고양이의 몸통 부분인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없어 고양이가 화장실 외부에서 몸을 털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이 사막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양이뿐만 아니라 애완용 동물을 사육함으로써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반려동물 사육장에는 주로 톱밥 등을 깔아주고 바닥과 바닥을 둘러싸는 네 측벽과 상부면을 덮는 커버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몸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출입문이 구비되고 몸체 내부에 쳇바퀴, 장난감, 사료 그릇, 급수기 등의 생활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케이지는 반려동물을 관리자가 관리하기 위하여 행하는 청소, 냄새 발생 및 반려동물 돌보기가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0434호는 반려동물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게 하부체와 상부체 그리고 측벽체가 상호 조립 결합되어짐으로써 반려동물이 사육되어 질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부스본체; 상기 부스본체의 상층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는 놀이용 회전통; 상기 부스본체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반려동물을 상층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회전통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향 구성되어져 있는 제1안내관; 상기 회전통의 분리 및 내부청소가 용이하도록 부스본체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부뚜껑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사육용 부스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 외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2085호에는 일측이 개방된 내공간부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내공간부에 설치되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수용하는 사육통과, 상기 사육통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 동물로부터 발생 된 오물을 받아내는 오물받이와, 상기 오물받이의 플랜지와 함체의 바닥 사이에 형성되어 함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구와, 상기 환기구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빨아내는 환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 케이지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려동물 사육장에 설치되는 쳇바퀴는 사육장 본체에 탈부착이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회전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육장 본체 출입문이 반려동물이 열고는 쉽게 도망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들은 케이지 내에서 반려동물을 사육할 때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지 못하므로 반려동물 케이지 위치하는 공간에 악취가 발생해 관리자가 반려동물의 관리를 꺼리게 되어 반려동물이 죽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려동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므로 관리자가 반려동물을 버려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098호 2.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138084호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39766호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0434호 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2085호
개시된 내용은 하우징에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의 외부하우징, 내부하우징, 구동부로 이루어져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종류의 센서부와 제어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환경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시키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일측에는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부면에는 개구되어 형성되는 본체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는 전원부와 상부면에는 관통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본체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외부하우징과 상부면에는 관통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필터부재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결합되며, 일면에는 타공형성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팬부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구동부와 상기 센서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상면에 매트가 안착 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 출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발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판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판부본체와, 상기 발판부본체의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조발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에는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무게감지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공기오염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공기오염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는 무선통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 되는 지점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 사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결합부의 내측면이 상기 끼움홈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이 관통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제2결합부의 상면에 안착 되어 결합 되는 구동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결합을 고정하는 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는 각 구성요소들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센서부와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징(케이지) 내부의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단면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배변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청정기가 구비되어 배변케이지 내부의 악취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0)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내부에 수납된 모래의 교체용이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300)으로 형성되되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00)은 내부에 모레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하우징(300)의 형상과 재질은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00)의 하부에는 발판부(330)가 하부하우징(300)의 하면에 출납가능하게 결합 된다.
발판부(330)의 상면에는 고양이 등이 배변케이지을 나올 때 발이나 털에 묻은 모래를 털어내는 꿀벌매트 등이 안착되는 것이다.
발판부(330)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꿀벌매트 등이 상면에 안착되는 점과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300)의 형상을 고려할때, 옆면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판부(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00)의 하부에 출납이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를 위해 하부하우징(30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출납홈(310)이 포함된다.
발판부(330)가 출납홈(310)에 출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지만, 원가절감을 위해 출납홈(310)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300)이 사출이나 압출 방식으로 일체로 제조되고,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슬라이딩방식(서랍식)으로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라이딩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부재 등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330)는 발판부본체(331)와 보조발판부(333)로 이루어진다.
발판부본체(3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발판부본체(33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하부하우징(300)의 출납홈(310)에 삽입결합되는 점과,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배변케이지의 외부로 나올때 접하게 되는 면적을 고려할 때,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발판부(333)는 발판부본체(331)의 개구된 양측면에 각각 발판부본체(331) 내부로 출납이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러한 발판부본체(33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발판부본체(3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보조발판부(333)는 발판부본체(331)와 마찬가지로 상부면에 매트가 안착되는 것으로 보조발판부(333)의 상부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발판부(333)가 발판부본체(331)의 내부에 출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방식(서랍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조발판부(333)가 발판부본체(331) 내부에 출납이 가능함으로써 배변케이지을 옮기거나,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판부(330)를 하부하우징(300)의 출납홈(310)에 삽입시킴으로써 공간을 확보하거나 이동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3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하우징(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반려동물이 들어갔을때 반려동물이 머물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부하우징(200)의 하부는 하부하우징(3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바,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직육면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하우징(200)이 하부하우징(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과 구조 등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결합부(210)는 상부하우징(200)의 상부면에 개구 되어 형성된다.
본체결합부(21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결합부(210)에는 후술할 외부하우징(700)의 하부가 결합 되는 것인바, 외부하우징(700)의 하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결합부(210)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끼움편(213)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편(213)은 후술할 외부하우징(700)의 끼움홈(740)에 끼움 결합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223)는 출입구(220)의 일측에 전후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부(223)가 출입구(220)에 전후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은 힌지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출입구(220)의 상부내측면에 끼움돌기가 양 내측에 형성되고, 도어부(223)의 상부 양 외측면에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400)는 하부하우징(300)이나 상부하우징(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하고자 하는 센서의 용도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센서부(400)는 무게감지센서(w) 또는 동작감지센서(400(a))가 사용될 수 있는데, 먼저 무게감지센서(w)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의 입출에 따른 무게를 잘 감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400)는 하부하우징(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00)의 하부에는 출납가능한 발판부(330)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300)의 하부에는 지지판(320)이 형성되어 출납홈(310)이 형성되는 하부와, 무게감지센서(w)가 형성되는 상부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320)의 상부에는 무게감지센서(w)가 형성되고, 그 위에는 상부하우징(200)의 하부면이 접하게 되어 반려동물의 입출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게 된다.
동작감지센서(400(a))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부하우징(200) 또는 하부하우징(3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려동물이 출입구(220)를 통해 입출을 함으로 출입구(220)가 형성되는 방향, 즉 정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형성되는 동작감지센서(400(a))와 더불어 하우징(100) 내부의 일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구동부(1000)가 반려동물이 출입구(2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올때와 하우징(100) 내부에 머무르는 동안에는 작동이 멈쳤다가 내부에 움직임이 없을때 구동부(1000)가 작동을 하게 하여, 소리에 민감한 반려동물들을 보호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공기오염측정센서(400(p))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센서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부(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500)는 상부하우징(200) 또는 하부하우징(300)의 일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 된다.
전원부(5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배터리가 수납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이 전력선(전기선)을 통해 전원부(500)에 공급될 수 있는 전원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는 일회용 건전지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지만, 외부전력원에 의해 충전이 되는 리튬 건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500)는 외부전력원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외부전력원은 전기 콘센트, 휴대용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휴대용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부의 일측에 USB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단이 휴대용배터리에 연결된 USB 터미널을 전원부(500)의 USB 포트에 결합함으로써 전원부(500)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는 전원부(500) 내부에 무선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무선충전패드와 같은 전력공급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유선으로 충전되는 경우에는 전원부의 일측에 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부(500)는 센서부(400)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어 센서부(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선 또는 전원코드를 직접 콘센트에 끼워 전력을 공급받는 방법이나 건전지 등을 이용하는 방법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설치용이성 및 운반용이성을 고려하여 충전용 건전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건전지를 수납하는 케이스가 필요하며, 이러한 케이스는 하우징(100)의 외측 또는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운반용이성 및 외관상 마감을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6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어부(600)는 전원부(500) 및 센서부(4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후술 할 구동부(1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600)는 회로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로판은 전원부(500), 센서부(400) 및 구동부(1000)와 전기적으로 결합 된다.
회로판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한 프로그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부(600)를 통해 구동부(1000)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수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00)에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와 센서부(400)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현재 하우징(100) 내부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동부(1000)의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NFC 등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용전자기기(스마트폰 등)와 전기적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620)와 스위치부(6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6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의 상태, 특히 공기오염정도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으며, 스위치부(630)를 통해 전원을 온/오프함으로써 이동시 구동부(10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조립체(10)는 본체결합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
하우징조립체(10)의 내부에는 필터부재(81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조립체(1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되는 방법과 필터부재(810)의 기능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조립체(10)는 외부하우징(700)과 내부하우징(800)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700)은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외부하우징(700)의 형상은 원통형, 모서리가 라운드되게 형성된 다각형의 형상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부하우징(700)의 하부가 본체결합부(210)에 끼움결합되는 것인바, 본체결합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700)의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710)가 관통형성된다.
제1결합부(710)에는 내부하우징(800)이 삽입되어 외부하우징(700)의 제1공간에 결합 되는 것인바, 그 형상과 크기는 내부하우징(80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턱(720)은 외부하우징(700)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턱(720)은 외부하우징(70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턱(720)의 형상과 돌출된 정도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외부하우징(700)이 본체결합부(210)에 결합될 때, 제1걸림턱(720)의 하부면이 본체결합부(210)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리는 것인바, 외부하우징(7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720)의 외측단에서 에서 외부하우징(7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720)의 외측단까지의 길이가 본체결합부(210)의 지름 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제1걸림턱(720)은 외부하우징(70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거리로 분할되어 형성 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턱(730)은 제1걸림턱(720)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 되는 지점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제2걸림턱(730) 또한 외부하우징(700)의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거나 다수개가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걸림턱(720)은 다르게 제2걸림턱(730)의 돌출된 정도 즉, 외부하우징(7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730)의 외측단에서 외부하우징(7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730)의 외측단까지의 길이가 본체결합부(210)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걸림턱(730)은 본체결합부(21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1걸림턱(720)과 제2걸림턱(730)의 구조에 의해 그 사이에는 끼움홈(740)이 형성되고, 본체결합부(21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턱(730)이 분할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제2걸림턱(730)이 전술한 다수의 끼움편(213)들 사이에 위치하게 놓인 후 외부하우징(700)의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을 시켜 본체결합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800)의 내부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며, 제2공간에는 필터부재(810)가 삽입결합된다.
필터부재(810)는 2겹으로 이루어지며, 카본이 함유된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부직포에는 반려동물의 털이 걸리게 되고 카본은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내부하우징(800)의 상부면에는 제2결합부(820)가 관통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820)에는 후술할 팬부(1004)를 포함하는 구동부(1000)가 결합된 구동고정부(1100)가 결합 되어 구동부(1000) 및 팬부(1004)를 내부하우징(800)의 상면에 고정 시키는 것으로, 제2결합부(820)의 형상은 다각형이나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부하우징(70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내부하우징(800)과의 결합력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필터부재(8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800)은 하부가 개구되게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내부하우징(800)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전술한 필터부재(810)가 삽입되는 것으로 필터부재(810)(원통형)의 지름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800)은 외부하우징(700)의 내부에 결합 되는 것인 바 외부하우징(700)의 지름 또는 가장 긴 변의 길이보다는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하우징(800)의 세로길이 즉 높이는 다양한 값을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700)의 높이보다는 작고, 필터부재(810)의 높이보다는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내부하우징(80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유입홀이 타공되어 형성된다.
외부하우징(700) 내부의 공기는 유입홀을 통해 내부하우징(8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공기는 내부하우징(800)의 내부에 결합 되는 필터부재(810)를 거쳐 정화된 후 배출홀(843)을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800)의 하부에는 캡부(900)가 결합 된다.
캡부(9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910)를 포함하는 마개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8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돌출결합부(910)와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900)는 필터부재(810)가 내부하우징(800)의 내부에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이 됨으로써 필터부재(810)의 결합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810) 교체시 캡부(900)만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교체용이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캡부(900)의 일면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800)의 하부에 결합 되는 캡부(900)의 중앙부가 관통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내부공기가 내부하우징(800)으로 원활하게 유입 될 수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800)의 상부에는 제2결합부(820)를 포함하는 상부고정부(840)와 상부고정부(840)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되 내부하우징(80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고정부(850)가 형성된다.
하부고정부(850)는 내부하우징(800)이 외부하우징(700)의 내부에 삽입결합시, 하부면이 제1결합부(710)가 형성되는 지점의 외부하우징(700)의 상부면에 접하게 되어 내부하우징(800)이 외부하우징(700)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하부고정부(850)는 상부고정부(840)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내부하우징(80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850)는 제2결합부(820)의 상면에 안착 되어 결합 되고, 이에 의해 하부고정부(850)와 상부고정부(840)의 내부에는 팬부(1004)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후술할 구동부(1000)의 팬부(1004)가 위치하게 되어 내부공기를 흡기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부(840)의 상면에 제2결합부(820)가 형성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다수개의 배출홀(843)이 대칭되게 관통형성된다.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는 배출홀(843)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고정부(840)와 하부고정부(850)의 이격 거리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700), 필터부재(810), 내부하우징(800) 및 구동부(1000)가 일체로 결합된 경우, 팬부(1004)가 필터부재(810)의 상부에 위치하여야 함으로, 이점을 고려하여 외부하우징(700) 등의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700)의 내부면에는 흡음제(860)가 형성될 수 있다.
흡음제(860)를 통해 구동부(1000)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 소리에 민감한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0)는 모터부(1001)와 팬부(1004)로 형성된다.
모터부(1001)는 전원부(500) 및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것과 동시에 제어부(600)를 통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모터부(1001)는 직류모터, 교류모터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부(1001) 회전축의 일단에는 팬부(1004)가 결합 된다.
팬부(1004)의 재질과 형태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팬부(1004)의 회전에 의해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함으로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날개 배열을 갖는 팬부(10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부(1000)는 팬부(1004)가 필터부재(810)의 상부에 위치하게 제2결합부(820)를 통해 결합 된다.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0)는 구동고정부(1100)에 결합 된 상태로 제2결합부(820)에 고정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구동고정부(1100)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101)이 형성된다.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제2결합부(820)가 형성되는 상부고정부(84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결합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01)에는 모터부(1001)의 회전축이 관통 결합 되며, 관통되어 돌출된 모터부(1001) 회전축의 일단에 팬부(1004)가 결합 된다.
구동고정부(1100)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부하우징(800) 및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8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기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제2결합부(820)의 상부면에 안착 되어 결합 되는 것인바, 제2결합부(820)(원형)의 지름보다는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700)의 제1결합부(710)가 형성되는 지점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제1나사홀(7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부(850)의 일측에는 제1나사홀(750)에 대응되는 제2나사홀(851)이 다수개 형성된다.
즉, 내부하우징(800)이 외부하우징(700)의 내부에 결합시, 제2나사홀(851)은 제1나사홀(750)이 형성되는 지점과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고, 나사(1) 등의 부재가 제2나사홀(851)과 제1나사홀(750)을 일체로 관통결합함으로써 내부하우징(800)이 외부하우징(7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고정부(1100)의 외측 즉 원형으로 형성되는 구동고정부(1100)의 경우, 구동고정부(1100)의 외각에는 관통공(1101)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제3나사홀(1105)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내부하우징(800)의 제2결합부(820)의 일측, 즉 상부고정부(84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4나사홀(841)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구동부(1000)는 구동고정부(1100)에 결합 된 상태로 제2결합부(820)에 안착 되는 것으로, 이때 제3나사홀(1105)은 제4나사홀(841)이 형성되는 지점과 동일한 위치에 오게 되고, 나사(1) 등의 부재가 제3나사홀(1105)과 제4나사홀(841)을 일체로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구동부(1000)가 제2결합부(820)에 결합 된다.
이렇게 구동부(1000), 외부하우징(700) 및 내부하우징(800)을 각각 분리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필터부재(810), 팬부(1004), 모터부(1001) 등의 교체시 각 나사홀(750,841,851,1105)을 통해 고정된 구성요소를 분리후 교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교체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내부하우징(800), 외부하우징(700) 및 필터부재(810)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조립체(10)와 그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1000)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악취 등의 냄새를 필터부재(810)를 통과하게 하여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구동부(1000) 팬부(1004)의 회전구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에 잔존하는 반려동물의 털, 먼지 등을 필터부재(810)로 모으는 집진기의 기능을 하게 된다.
개시된 내용은 특히 하우징조립체(10)의 필터부재(810)에 털, 먼지 등이 쌓이게 되면 교체를 해줘야 하는데, 이때 필터부재(810)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교체시간 및 교체의 어려움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나사
10 : 하우징조립체
100 : 하우징
200 : 상부하우징
210 : 본체결합부
213 : 끼움편
220 : 출입구
223 : 도어부
300 : 하부하우징
310 : 출납홈
320 : 지지판
330 : 발판부
331 : 발판부본체
333 : 보조발판부
400 : 센서부
W : 무게감지센서
400(a) : 동작감지센서
400(p) : 공기오염측정센서
500 : 전원부
600 : 제어부
620 : 디스플레이부
630 : 스위치부
700 : 외부하우징
710 : 제1결합부
720 : 제1걸림턱
730 : 제2걸림턱
740 : 끼움홈
750 : 제1나사홀
800 : 내부하우징
810 : 필터부재
820 : 제2결합부
830 : 유입홀
840 : 상부고정부
841 : 제4나사홀
843 : 배출홀
850 : 하부고정부
851 : 제2나사홀
860 : 흡음제
900 : 캡부
910 : 돌출결합부
1000 : 구동부
1001 : 모터부
1004 : 팬부
1100 : 구동고정부
1101 : 관통공
1105 : 제3나사홀

Claims (16)

  1.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일측에는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부면에는 개구되어 형성되는 본체결합부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서부;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는 전원부;
    상기 본체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내부에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하우징조립체;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팬부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조립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상면에 매트가 안착 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 출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발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발판부본체와, 상기 발판부본체의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보조발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는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무게감지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공기오염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공기오염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는 무선통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조립체는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본체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외부하우징과;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가 삽입결합되는 제2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타공형성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하우징의 제1공간에 삽입 결합 되는 내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 되는 지점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 사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결합부의 내측면이 상기 끼움홈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0. 제 8항에 있어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이 관통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제2결합부의 상면에 안착 되어 결합 되는 구동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부에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결합을 고정하는 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팬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 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배터리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발생하는 먼지를 집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전력원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KR1020190165620A 2019-12-12 2019-12-12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KR10240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20A KR102401045B1 (ko) 2019-12-12 2019-12-12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20A KR102401045B1 (ko) 2019-12-12 2019-12-12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66A true KR20210074666A (ko) 2021-06-22
KR102401045B1 KR102401045B1 (ko) 2022-05-24

Family

ID=7660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20A KR102401045B1 (ko) 2019-12-12 2019-12-12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0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316A (zh) * 2021-12-31 2022-05-10 浙江宏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兔培养用培养箱
KR102534462B1 (ko) *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KR102586570B1 (ko) * 2023-01-11 2023-10-10 주식회사 페페 집진기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US11840408B1 (en) 2022-12-08 2023-12-12 PetSmart Home Offic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asuring dustiness of a produc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084B2 (ko) 1973-05-21 1976-10-20
KR20020012085A (ko) 2000-08-05 2002-02-15 정병현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US20090272327A1 (en) * 2008-05-01 2009-11-05 Rolf C. Hagen, Inc. Cat litter box
KR20100110434A (ko) 2009-04-03 2010-10-13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호중구를 이용한 병원균의 약독화 방법
JP2011239766A (ja) 2010-05-18 2011-12-01 Tadashi Nakamura ペット用トイレ
US20130138225A1 (en) * 2011-08-03 2013-05-30 Michael Gordon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n enviromental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US8485131B2 (en) * 2010-09-07 2013-07-16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Air circulating litter box
KR20130103214A (ko) * 2012-03-09 2013-09-23 이민성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50124098A (ko)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084B2 (ko) 1973-05-21 1976-10-20
KR20020012085A (ko) 2000-08-05 2002-02-15 정병현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US20090272327A1 (en) * 2008-05-01 2009-11-05 Rolf C. Hagen, Inc. Cat litter box
KR20100110434A (ko) 2009-04-03 2010-10-13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호중구를 이용한 병원균의 약독화 방법
JP2011239766A (ja) 2010-05-18 2011-12-01 Tadashi Nakamura ペット用トイレ
US8485131B2 (en) * 2010-09-07 2013-07-16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Air circulating litter box
US20130138225A1 (en) * 2011-08-03 2013-05-30 Michael Gordon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n enviromental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KR20130103214A (ko) * 2012-03-09 2013-09-23 이민성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150124098A (ko)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316A (zh) * 2021-12-31 2022-05-10 浙江宏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兔培养用培养箱
KR102534462B1 (ko) *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US11840408B1 (en) 2022-12-08 2023-12-12 PetSmart Home Offic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asuring dustiness of a product
KR102586570B1 (ko) * 2023-01-11 2023-10-10 주식회사 페페 집진기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045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045B1 (ko)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US6945193B1 (en) Cat litter holding assembly
KR101972224B1 (ko) 반려견 배변장치
US5806461A (en) Catwalk litter box
JP6265972B2 (ja) 動物用トイレ箱
WO2013105431A1 (ja) 集塵装置
KR102092861B1 (ko) 고양이용 화장실
US20120137980A1 (en) Air circulating litter box
US7011046B1 (en) Device for collecting pet hair
EP4118958A1 (en) Animal toilet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US20060042551A1 (en) Animal waste management system and use thereof
US20100071628A1 (en)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KR20210102821A (ko) 반려동물용 배변처리장치
JP2013144029A (ja)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7〕
US20060272590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0468228Y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CN215774797U (zh) 自动猫砂盆
US20130276715A1 (en) Litter box guard
US5388550A (en) Sanitary facility for animals
US10258019B1 (en) Quick sifting dog proof litter device
JP5057152B2 (ja) ネコ用トイレ
US5392733A (en) Box-shaped toilet for pet animals
CN108260535B (zh) 宠物厕所
JP5138084B1 (ja) 愛玩動物用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