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295B1 - 고양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고양이 화장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2295B1 KR102312295B1 KR1020190107477A KR20190107477A KR102312295B1 KR 102312295 B1 KR102312295 B1 KR 102312295B1 KR 1020190107477 A KR1020190107477 A KR 1020190107477A KR 20190107477 A KR20190107477 A KR 20190107477A KR 102312295 B1 KR102312295 B1 KR 102312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eparation membrane
- sand
- guide
- cat toil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745 Sciu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96 par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으로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쉽게 분리함으로써 간편하고 청결하게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양이 화장실은 모래 및 배설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및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분리막은 본체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에 거치되거나, 본체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양이 화장실은 모래 및 배설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및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분리막은 본체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에 거치되거나, 본체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고양이의 용변과 모래를 쉽게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양이의 용변 처리를 위한 장치들은 플라스틱 용기에 광물계의 제올라이트, 소변 등을 흡수하면 굳어지는 벤토나이트, 또는 분쇄 펄프 등을 굳혀 입상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 입자 등으로 이루어진 고양이 모래를 담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고양이 화장실의 경우 고양이가 화장실 내부로 들어가서 화장실 내부에 구비된 모래 위에서 용변을 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변을 보고 난 후에는 고양이를 기르는 사용자가 용변 및 용변으로 더러워진 부분의 모래를 용변과 함께 삽으로 떠서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1인가구가 늘어나고 핵가족화되면서 출산대신에 반려동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특히 고양이의 경우 강아지와 달리 화장실이 있는 경우 배변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배변 처리를 위한 화장실의 경우, 내부에 모래를 주입하고, 주기적으로 모래 내부의 배변을 처리해야 하는데 모래속에서 배변을 찾아 처리하는 작업시간이 길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972호는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466호는 고양이용 배변 처리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휴대가 간편하고 간편하게 배변을 처리하는 화장실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으로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쉽게 분리함으로써 간편하고 청결하게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일 양상에 따르면, 고양이 화장실은 모래 및 배설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및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분리막은 본체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에 거치되거나, 본체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각각의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분리막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타단은 바 형태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며 삽입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가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상기 고정부들 각각 및 상기 고정부들 각각의 타단의 연장선상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 내측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상기 고정부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탈부착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커버하는 모래 넘침 방지막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된 위치의 하부 일부분들이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경사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안쪽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래 넘침 방지막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상단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양이 화장실은 좌우로 모래를 모아 한번에 쉽게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하여 청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모래를 전체적으로 걸러내 배설 잔여물이 남지 않아 청결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분리막 중앙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모래 및 배변에서 모래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모래가 분리막의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여 효과적으로 모래를 걸러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은 본체의 뚜껑으로 사용되는 상단커버부에 형성된 도어를 개방하여 고양이가 출입가능한 통로가 형성되고, 도어를 닫으면 냄새의 유출이 방지되며, 상단커버부 자체에 배변을 한 고양이가 착지하면서 모래가 털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 및 1b들은 일 실시예에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들.
도 6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
도 7은 도 4의 I-I' 및 II-II'를 따라 고양이 화장실을 절단한 단면도들.
도 8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9 및 10들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들.
도 6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
도 7은 도 4의 I-I' 및 II-II'를 따라 고양이 화장실을 절단한 단면도들.
도 8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9 및 10들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고양이 화장실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들은 일 실시예에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고양이 화장실은 본체 및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200)는 모래를 담을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이 배출하는 배설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200)는 상측에 개구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230)를 통하여 모래를 담거나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은 개구부(230)를 통하여 배설물을 본체(200)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200)는 내부의 측면에 분리막(300)을 고정 또는 거치 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본체(20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200)의 안쪽 측면의 소정 위치에서 본체(2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는 본체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의 안쪽 측면의 소정 위치에 파인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는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체(200)는 분리막(300)을 고정 또는 거치 시키기 위하여 단차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0)는 분리막(300)이 놓이는 위치에 본체(200) 내부 수평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리막(300)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와 맞닿는 분리막(300)의 일부에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와 분리막(300)은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분리막(3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분리막(300)이 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2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막(300)은 본체(200)의 개구부(230)의 일부를 막을 수 있다. 도1a의 좌측 도면과 같이, 분리막(300)은 개구부(230)의 일부를 막을 수 있으며, 개구부(230)의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반려 동물이 분리막(300) 위에서 본체(200) 내부로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분리막(300)은 반려 동물의 발판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막(300)은 모래와 배설물을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관통공의 직경은 모래의 직경보다 크며, 배설물 또는 모래 및 배설물이 함께 굳어진 결합물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분리막(300)은 본체(200)의 상측 개구부(230) 일부를 막거나 본체(200) 내부가 이등분 될 수 있도록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막(300)은 본체(2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리막(300)은 본체(200)의 개구부(230)에 설치되어 발판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체(2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막(300)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양이 화장실은 본체(200), 모래 넘침 방지막(301) 및 분리막(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모래 넘침 방지막(301)은 하나 이상의 구성품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 예로, 모래 넘침 방지막(301) 두 개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200)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래 넘침 방지막(301)은 본체(200)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본체(200) 내부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200)의 상측 내부에는 모래 넘침 방지막(301)을 고정 또는 거치 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본체(200)의 상측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200)의 안쪽 측면의 소정 위치에서 본체(2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는 본체(200)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200)의 안쪽 측면의 소정 위치에 파인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는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체(200)는 모래 넘침 방지막(301)을 고정 또는 거치 시키기 위하여 단차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0)는 분리막(300)이 놓이는 위치에 본체(200) 내부 수평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리막(300)을 고정 또는 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 와 맞닿는 모래 넘침 방지막(301)의 일부에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와 모래 넘침 방지막(301)은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모래 넘침 방지막(301)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모래 넘침 방지막이 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막(300)은 모래 넘침 방지막(301) 위에 고정 또는 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래 넘침 방지막(301)과 분리막(30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막(300)과 모래 넘침 방지막(301)은 고정 돌기 또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200)는 분리막(3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분리막(300)의 일부는 모래 넘침 방지막(301)에 형성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본체(200)에 형성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분리막(300)은 본체(200)에 고정 또는 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체(200)의 상측 내부에는 분리막(300)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수 있다. 일 예로, 분리막(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는 모래 넘침 방지막(301)보다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본체(200)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200)의 안쪽 측면의 소정 위치에서 본체(2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는 본체(200)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200)의 안쪽 측면의 소정 위치에 파인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체(200)는 분리막(3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단차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0)는 분리막(300)이 놓이는 위치에 본체(200) 내부 수평 단면적을 변화시켜 분리막(300)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와 맞닿는 분리막(300)의 일부에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와 분리막(300)은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분리막(3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분리막(300)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분리막(300)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의 전방부는 분리막(300)의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막(30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전방부쪽 테두리는 분리막(300)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분리막(300)에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의 후방부는 전방부에서 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 각각의 테두리 일부분은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하강 절곡되어 분리막(3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의 후방부에는 상기 손잡이 및 분리막(300) 사이의 손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손을 상기 손잡이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분리막(300)을 본체(200)에 부착하거나 본체(200)에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반려 동물은 본체 개구부(230)에 설치된 분리막(300)을 발판으로 이용하여 본체(200) 내부의 모래에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다. 반려 동물이 배설물을 배출하면, 본체(200) 내부의 모래는 배설물과 섞인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체(200)를 기울여 배설물이 섞인 모래를 본체의 한쪽 측면으로 모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2(3)와 같이 분리막(300)을 본체(200)의 개구부(230)에서 분리하여 본체(2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설물인 섞인 모래가 분리막(300)에 의해 분리된 한쪽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2(4)와 같이 본체(200)를 기울여 모래가 다른 쪽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모래는 분리막(3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통하여 분리막(300)으로 분리된 본체(200) 내부의 다른 쪽 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배설물 및 모래와 배설물이 섞인 결합물은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한 채 남아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본체(200) 내부의 한쪽 공간에 남아있는 배설물 및 모래와 배설물이 섞인 결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200) 내부에는 배설물이 제거된 모래만 남아 있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본체(200)를 도 2(1)과 같이 위치시키며 본체(2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된 분리막(300)을 분리하여 본체(200)의 개구부(230)에 다시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막(300)은 본체(2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200)의 내부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막(30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삽입부는 본체(200)의 내부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는 본체(200)의 내부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에서 본체(2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부는 본체(200)의 내부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는 본체(200)의 내부 측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에 파인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삽입부는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200)는 측면에 분리막(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분리막(300)은 고정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세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리막(300)과 본체(200)는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막(300)이 세로 방향으로 본체(200)에 삽입되는 경우, 분리막(300)의 측면 및 하면은 본체(200) 내부의 측면 및 하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00)은 손잡이(210, 220)들, 모래 넘침 방지막(410, 420)들, 고정부(640), 패드(510, 52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3들의 고양이 화장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한다.
도 4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 화장실(100)은 고양이, 강아지 및 다람쥐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화장실로서, 내부공간이 단일의 통로를 통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고양이 화장실(100)은 내부에 모래가 배치되고, 반려동물이 모래에 배변을 보면 상부커버로 사용되는 다공판을 탈착하고, 다공판을 고양이 화장실(100)의 내부에 삽입시켜 상기 내부공간을 분리시킨 후 모래만 다공판을 통해 다른 쪽으로 이동시켜 배변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고양이 화장실(100)은 본체(200), 분리막(300) 및 모래 넘침 방지막(410, 420)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200)는 내부공간(10)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방향(1)쪽 전방 상부 및 제1방향(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2)쪽 상부에는 본체(200)의 외측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210, 220)들이 각각 형성된다.
본체(200)의 내부공간(10)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200)의 제1방향(1)쪽 및 제2방향(2)쪽 하부 모서리에 해당하는 일부분은 내부공간(10)의 중앙을 향해 함몰되어 경사면(240, 260)들이 각각 형성된다.
경사면(240)은 본체(200)의 저면부터 제1방향(1)쪽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경사면(260)은 본체(200)의 저면부터 제2방향(2)쪽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경사면(240, 260)들 각각과 지면 사이의 각도는 5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본체(20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기울어지고, 경사면(240, 260)들 각각이 지면과 밀착되면 본체(200)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본체(200)의 제1방향(1)쪽 전방부가 제1방향(1)쪽 하부를 향해 하강하여 기울어지면 경사면(240)은 지면에 밀착되고, 내부공간(10)의 제2방향(2)쪽 모래가 제1방향(1)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1)으로 치우친 모래에 의해 본체(200)는 경사면(240)이 지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체(200)의 제2방향(2)쪽 후방부가 제2방향(2)쪽 하부를 향해 하강하여 기울어지면 경사면(260)은 지면에 밀착되고, 내부공간(10)의 제1방향(1)쪽 모래가 제2방향(2)으로 이동하며, 제2방향(2)으로 치우친 모래에 의해 본체(200)는 경사면(260)이 지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분리막(300)의 제1방향(1)쪽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2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양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면서 축소 연장된다.
분리막(30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인접한 위치까지는 분리막(300)을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홀(340)들이 격자 배열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홀(340)의 형태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홀(340)을 통해 모래는 통과가 가능하지만, 반려동물의 배변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도록 제작되어 홀(340)을 통한 배변의 이동은 차단된다.
손잡이(320)는 분리막(300)의 제2방향(2)쪽 끝단 일부분을 둘러싸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분리막(300)과 결합되고, 사용자는 손잡이(320)를 잡고 분리막(300)을 본체(2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손잡이(320)는 분리막(300)이 본체(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200)의 제2방향(2)쪽 상단 일부분이 손잡이(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손잡이(320) 및 본체(200)가 서로 결합된다.
도 5 및 6들을 참조하면, 내측돌출부(270)는 본체(200)의 제2방향(2)쪽 후방부 내측면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후방 내측면, 일측 내측면 및 타측 내측면 일부가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내부공간(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다.
내측돌출부(272)는 본체(200)의 제1방향(1)쪽 전방부 내측면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방 내측면, 일측 내측면 및 타측 내측면 일부가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내부공간(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다.
스토퍼(280)는 내부공간(10)의 일측쪽에 형성되는 내측돌출부(270)의 일부분 상부에 분리막(3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본체(200)의 일측 내측면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된다.
스토퍼(290)는 내부공간(10)의 타측쪽에 형성되는 내측돌출부(270)의 일부분 상부에 분리막(3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스토퍼(280)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본체(200)의 타측 내측면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분리막(300)의 일측 및 타측 테두리 일부분은 스토퍼(280, 290)들 및 내측돌출부(270)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공간(10)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위치의 개구부(230)의 후방 일부분을 커버한다.
모래 넘침 방지막(410)의 제1방향(1)쪽 전방부는 제1방향(1)으로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본체(200)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고, 후방부는 전방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본체(20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을 따라 축소되며 연장된다.
모래 넘침 방지막(410)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내측돌출부(272)의 상부에 거치되어 개구부(230)의 제1방향(1)쪽 일부분을 커버한다.
모래 넘침 방지막(410)의 전방부 하부에는 제1방향(1)을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모래 넘침 방지막(4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된 절단면을 통한 단면 형태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밀봉부(412)가 형성된다.
밀봉부(412)의 제1방향(1)쪽 전면 테두리는 손잡이(210)에 의해 제2방향(2)으로 돌출된 주위의 본체(200)의 전방 내측면 일부분과 밀착되어 손잡이(2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모래 넘침 방지막(410)이 내측돌출부(27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밀봉부(412)는 손잡이(210)를 둘러싸면서 본체(200)와 결합된다.
모래 넘침 방지막(420)의 제2방향(2)쪽 후방부는 제2방향(2)으로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본체(200)의 후방 내측면과 밀착되고, 전방부는 후방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본체(20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을 따라 축소되며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된다.
모래 넘침 방지막(420)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내측돌출부(270)의 상부에 거치되어 개구부(230)의 제2방향(2)쪽 일부분을 커버한다.
모래 넘침 방지막(420)의 후방부 하부에는 제2방향(2)을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모래 넘침 방지막(420)의 저면에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된 절단면을 통한 단면 형태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밀봉부(422)가 형성된다.
밀봉부(422)의 제2방향(2)쪽 테두리는 손잡이(220)에 의해 내부공간(10)에서 제1방향(1)으로 돌출된 본체(200)의 후방 내측면 일부분과 밀착되어 손잡이(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모래 넘침 방지막(420)이 내측돌출부(27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밀봉부(422)는 손잡이(220)를 둘러싸면서 본체(2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모래 넘침 방지막(410, 420)들 각각은 밀봉부(412, 422)들 각각이 손잡이(210, 220)들 각각을 둘러싸면서 본체(200)와 견고하게 결합되고, 모래 넘침 방지막(410, 420)들 각각의 테두리 저면은 내측돌출부(272), 270)들 각각에 안착된다.
도 7는 도 4의 I-I' 및 II-II'를 따라 고양이 화장실을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4의 고양이 화장실을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 화장실(100)은 고정부(620, 640)들을 더 포함한다.
고정부(620, 640)들 각각의 일단은 내부공간(10)의 일측 및 타측에서 본체(200)의 저면에 인접한 본체(20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에 밀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개구부(230)를 향해 연장되며, 분리막(300)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부(620)는 가이드(622, 624)들을 포함한다.
가이드(622)의 일단은 제2방향(2)쪽의 본체(200)의 일측 내측면 하부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바 형태로 연장된다.
가이드(624)의 일단은 가이드(622)의 제1방향(1)쪽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00)의 일측 내측면 하부로부터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가이드(622)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바 형태로 연장된다.
가이드(624)의 타단의 높이는 가이드(622)의 타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가이드(622, 624)들 사이의 거리는 분리막(300)의 두께 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분리막(300)이 가이드(622, 624)들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분리막(300)은 안정적으로 가이드(622, 624)들 사이에 고정된다.
고정부(640)는 가이드(642, 644)들을 포함한다.
가이드(642)의 일단은 제2방향(2)쪽에서 본체(200)의 타측 내측면 하부로부터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바 형태로 연장된다.
가이드(644)의 일단은 가이드(642)의 제1방향(1)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00)의 타측 내측면 하부로부터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가이드(642)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바 형태로 연장된다.
가이드(644)의 타단의 높이는 가이드(642)의 타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가이드(642, 644)들 사이의 거리는 분리막(300)의 두께 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분리막(300)이 가이드(642, 644)들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분리막(300)은 안정적으로 가이드(642, 644)들 사이에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양이 화장실(100)은 패드(510, 520)들을 더 포함한다.
패드(51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스티커, 패치 또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제작되며, 경사면(240) 및 본체(200)의 저면 사이에 부착되어 본체(200)와 지면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한다.
패드(52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스티커, 패치 또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제작되며, 경사면(260) 및 본체(200)의 저면 사이에 부착되어 본체(200)와 지면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한다.
도 9 및 10들은 도 4의 화장실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들을 도시한다.
도 9 및 10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후방부가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면, 경사면(260)이 지면에 밀착되고, 모래(5)가 경사면(26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내부공간(10)으로 이동하므로, 본체(200)는 스스로 경사면(260)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한 모래(5) 및 모래(5) 내부의 배변은 내부공간(10)에서 모래 넘침 방지막(420)에 의해 제2방향(2)쪽 외부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어 위생적으로 장점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5) 및 배변이 내부공간(10)에서 제2방향(2)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분리막(300)을 본체(200)에서 탈착시키고, 분리막(300)의 일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분리막(300)을 고정부(620, 640)들 각각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고정부(620, 640)들에 결합된 분리막(300)은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하강하고, 분리막(300)의 일단은 본체(200)의 저면 내측면에 밀착되며, 내부공간(10)은 분리막(300)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1)쪽 제1공간과 모래(5) 및 배변들이 수납되는 제2방향(2)쪽 제2공간으로 분리된다.
제2방향(2)쪽 제2공간에는 모래(5) 및 배변들이 몰려서 배치되고, 제1방향(1)쪽 제1공간은 비어있는 상태에서 본체(200)를 제1방향(1)쪽으로 기울여 경사면(240)을 지면에 밀착시키면, 모래(5)는 분리막(300)의 홀(340)들을 통해 제1방향(1)쪽 제1공간으로 이동하고, 배변은 제2방향(2)쪽 제2공간에 남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에 분리막(300)을 반려동물이 오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면서, 배변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본체(200)의 내부공간(10)에 삽입하고, 본체(200)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배변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20)은 분리막(350), 상단커버부(800) 및 고정부(660, 670, 680, 69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고양이 화장실(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 화장실(120)은 분리막(350), 상단커버부(800), 외측돌출부(900) 및 고정부(660, 670, 680, 690)들을 포함한다.
고양이 화장실(120)은 상단커버부(800)를 본체(200)의 상부에 결합시켜, 모래(5)를 밟고 분리막(300)의 상부로 올라오는 반려동물로부터 모래(5)가 고양이 화장실(100)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단커버부(800)는 프레임(810) 및 도어(820)들을 포함하고, 도어(820)는 제1플레이트(822), 제2플레이트(824) 및 제3플레이트(826)들로 구성된다.
프레임(810)은 본체(200)와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2)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본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2방향(2)쪽 후방부는 상단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12)과 제2방향(2)쪽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개구부(814)가 형성된다.
프레임(810)의 크기는 본체(20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프레임(810)의 내측면의 형상은 본체(200)의 외측면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하부개구부(814)가 개방된 상태의 프레임(810)의 내부공간(12)에 본체(200)를 삽입시키면, 본체(200)의 제2방향(2)쪽 배면, 경사면(260) 및 상부면 일부를 제외한 본체(200)의 외측면은 프레임(8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도 11의 오른쪽 하부의 상단커버부(800)를 참조하면, 도어(820)의 일단은 프레임(810)의 제2방향(2)쪽 상단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복수의 절곡부를 통해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어 하부개구부(814)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른쪽 하부의 상단커버부(800)를 참조하면, 도어(820)가 하부개구부(814)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822)의 일단은 프레임(810)의 제2방향(2)쪽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프레임(810)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810)의 제2방향(2)쪽 배면의 상하부 길이만큼 연장되어 하부개구부(814)의 일부를 커버한다.
도어(820)가 하부개구부(814)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2플레이트(824)의 일단은 제1플레이트(822)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플레이트(822)와 함께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된 상태로 제1플레이트(82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방향(1)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본체(200)의 경사면(260)을 형성하며, 본체(200)의 저면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도어(820)가 하부개구부(814)를 커버한 상태에서, 제3플레이트(826)의 일단은 제2플레이트(824)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2플레이트(824)와 함께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된 상태로 제2플레이트(824)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방향(1)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본체(200)의 제2방향(2)쪽 저면 일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도어(820)는 일단을 축으로 타단이 펼쳐져 내부공간(10)을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플레이트(822, 824)들은 본체(200)의 내부로 이동하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된다.
외측돌출부(900)는 본체(200)의 외측면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한 본체(200)의 외측면 일부분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본체(200)의 상부를 둘러싸며 본체(200)에 결합되는 상단커버부(800)의 상단 테두리와 밀착되어 상단커버부(80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단커버부(800)의 상단 테두리는 본체(200)의 상부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본체(200)와 결합되고, 외측돌출부(90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본체(200)의 외측면에서 하강이 방지된다.
도 11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상단커버부(800)가 본체(2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820)가 개방되면, 제3플레이트(826)는 지면에 밀착되고, 제2플레이트(824)는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방향(1) 및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플레이트(822)는 본체(200)의 배면과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반려동물은 모래(5)에서 배변 후 분리막(300)에 올라오면서 모래(5)가 내부공간(10)으로 수거되고, 반려동물이 프레임(810)의 상부에 오르거나 제3플레이트(826)로 이동하는 경우 2차로 반려동물로부터 모래(5)가 분리되어 모래(5)로 인한 고양이 화장실(120) 주변의 환경이 개선된다.
상단커버부(800)가 본체(2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820)의 일단을 축으로 도어(820)의 타단이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 도어(820)는 프레임(810)의 제2방향(2)쪽 하부개구부(814)를 밀봉하여 내부공간(10)으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한다.
반대로, 상단커버부(800)가 본체(2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820)의 일단을 축으로 도어(820)의 타단이 제2방향(2) 및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하부개구부(814)가 개방되면,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822, 824, 826)들을 통해 반려동물은 편리하게 분리막(300)으로 올라갈 수 있다.
고정부(660)는 가이드(662, 664)들을 포함하고, 고정부(670)는 가이드(672, 674)들을 포함한다.
고정부(660)의 일단은 본체(200)의 일측 내측면 하부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고정부 형태로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본체(200)의 테두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662)의 일단은 본체(200)의 일측 내측면 하부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바 형태로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본체(200)의 테두리까지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664)의 일단은 본체(200)의 일측 내측면 하부의 가이드(662)보다 상대적으로 제1방향(1)쪽에 이격된 위치에서 내부공간(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바 형태로 제1방향(1) 및 개구부(230)를 향해 본체(200)의 테두리까지 가이드(662)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고정부(670)의 일단은 고정부(660)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200)의 일측 상부 테두리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 형태로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고정부(66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가이드(672)의 일단은 본체(200)의 일측 테두리 상부면에서 가이드(66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662)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662)와 평행하도록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672)의 일단은 본체(200)의 일측 테두리 상부면에서 가이드(66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67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674)의 일단은 본체(200)의 일측 테두리 상부면에서 가이드(664)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66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고정부(670)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672, 674)들 각각의 내측면들은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662, 664)들 각각의 내측면들과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한다.
가이드(672, 674)들 각각은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고, 가이드(662, 664)들 각각은 가이드(672, 674)들 각각과 자성으로 부착되는 소재로 제작되어 고정부(670)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펼쳐지면 가이드(672, 674)들 각각은 가이드(672, 674)들 각각과 자성결합되며, 고정부(670)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가이드(662, 664)들 사이의 거리는 가이드(672, 674)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가이드(672, 674)들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분리막(300) 또는 분리막(350)을 삽입시키면, 분리막(300) 또는 분리막(350)은 가이드(672, 674) 및 가이드(662, 664)들에 의해 하강하여 내부공간(10)을 제1 및 제2 공간들로 분리시킨다.
고정부(680) 및 고정부(690)들 각각은 고정부(660) 및 고정부(670)들 각각과 내부공간(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분리막(350)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홀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고정부(660, 670, 680, 690)들을 통해 내부공간(10)에 삽입되면 내부공간(10)을 제1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시킨다.
고정부(670, 690)들 각각의 타단의 연장선상이 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임(810)의 내측면 일부분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프레임(810)의 내측면부터 외부까지 함몰된 삽입홀(812)이 형성된다.
상단커버부(800)가 본체(200)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리막(350)을 삽입홀(812)에 삽입시키면, 분리막(350)은 고정부(670, 690)들을 통해 고정부(660, 680)들로 이동하고, 내부공간(10)을 제1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배변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820)를 개방할 필요없이 고양이 화장실(120)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기울인 후 분리막(350)을 삽입홀(812)에 삽입시키는 동작만으로 냄새걱정없이 배변 분리 준비가 완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140)은 분리막(330)을 제외하면, 도 4 내지 10들의 고양이 화장실(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양이 화장실(140)은 분리막(330)을 포함하고, 분리막(330)은 도 4 내지 10들에 도시된 분리막(300)과 동일한 손잡이(320) 및 홀(340)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리막(330)의 제1방향(1)쪽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2방향(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양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면서 축소 연장된다.
분리막(330)은 도 5의 분리막(300)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부(6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622, 624)들 및 가이드(642, 644)들 각각의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막(330)의 양측 일부분을 제외한 분리막(33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해당하는 일부분이 제1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함몰부(332)가 형성된다.
분리막(330)은 본체(200)가 제1방향(1)을 향해 기울어지고, 경사면(240)이 지면과 밀착되어 모래 및 배변이 함몰부(332)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모래 및 배변이 함몰부(332)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여, 모래 및 배변이 분리막(330)의 양측 및 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방향(1)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분리막(33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분리막(330)을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홀(340)들이 격자 배열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홀(340)의 형태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홀(340)을 통해 모래는 통과가 가능하지만, 반려동물의 배변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도록 제작된다.
손잡이(320)는 분리막(330)의 타단 상부에서 제1방향(1)쪽 전방부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분리막(33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방향(1)쪽 테두리 부분은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분리막(330)에 결합된다.
손잡이(320)의 제2방향(2)쪽 후방부는 전방부에서 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일측 및 타측 각각의 테두리 일부분은 일측 및 타측 하부를 향해 곡면을 형성하며 하강 절곡되어 분리막(330)과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320)의 후방부에는 손잡이(320) 및 분리막(330) 사이의 손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제2방향(2)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손을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여 분리막(330)을 본체(200)에 부착하거나 본체(200)에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고양이 화장실 200: 본체
300, 330, 350: 분리막
620, 640, 660, 670, 680, 690: 고정부
800: 상단커버부
300, 330, 350: 분리막
620, 640, 660, 670, 680, 690: 고정부
800: 상단커버부
Claims (7)
- 모래 및 배설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및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에 거치되거나, 상기 본체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분리막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들; 및
후방부는 후방을 향해 아치 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부는 후방부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을 따라 축소되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돌출부에 거치된 모래 넘침 방지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된 위치의 하부 모서리 일부분들이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경사면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각각의 타단은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및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의 전방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 하부에 돌출되고, 각각의 타단은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상기 제1 가이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의 타단 후방부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의 후방, 일측 및 타측 내측면 일부가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상단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10029 WO2021040252A1 (ko) | 2019-06-17 | 2020-07-30 | 고양이 화장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825 | 2019-06-17 | ||
KR20190071825 | 2019-06-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034A KR20200144034A (ko) | 2020-12-28 |
KR102312295B1 true KR102312295B1 (ko) | 2021-10-14 |
Family
ID=7408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7477A KR102312295B1 (ko) | 2019-06-17 | 2019-08-30 | 고양이 화장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2295B1 (ko) |
WO (1) | WO20210402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7354B1 (ko) | 2021-11-24 | 2022-08-01 | 조민형 | 고양이 화장실 |
KR102660661B1 (ko) * | 2023-08-14 | 2024-05-16 | 주식회사 비엠스테이지 |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44448A1 (en) * | 2005-12-23 | 2007-06-28 | Andrew Fairhall | Pet lit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
US20170251627A1 (en) * | 2016-03-05 | 2017-09-07 | James R. Sage, Jr. | Sifting litter box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9731A (ja) * | 2000-04-28 | 2001-11-06 | J Two:Kk | 猫等の小動物の排泄物処理装置 |
US20110088630A1 (en) * | 2009-09-24 | 2011-04-21 | Sportpet Designs, Inc. | Cat litter box and method of cleaning same |
KR101327717B1 (ko) * | 2013-04-05 | 2013-11-11 | 박성식 | 고양이 화장실 |
KR20150019115A (ko) * | 2013-08-12 | 2015-02-25 | 이용현 | 애완동물용 화장실 |
KR20170003078U (ko) * | 2016-02-24 | 2017-09-01 | 강명구 | 반려동물용 변기 |
-
2019
- 2019-08-30 KR KR1020190107477A patent/KR1023122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7-30 WO PCT/KR2020/010029 patent/WO202104025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44448A1 (en) * | 2005-12-23 | 2007-06-28 | Andrew Fairhall | Pet lit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
US20170251627A1 (en) * | 2016-03-05 | 2017-09-07 | James R. Sage, Jr. | Sifting litter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034A (ko) | 2020-12-28 |
WO2021040252A1 (ko) | 202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7321B1 (ko) | 동물용 화장실 | |
JP3824887B2 (ja) | ペット用トイレ | |
JP6173052B2 (ja) | 動物用トイレ | |
KR102312295B1 (ko) | 고양이 화장실 | |
KR102092861B1 (ko) | 고양이용 화장실 | |
KR101477320B1 (ko) | 동물용 화장실 | |
US7243612B2 (en) | Device introduced in toilet for pets | |
JP2020022450A (ja) | 動物用トイレ | |
EP3424311A1 (en) | Toilet | |
JP4231492B2 (ja) | ペット用トイレ及び交換シート | |
KR102071317B1 (ko) |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 |
KR100967115B1 (ko) | 애완동물용 용변기 | |
KR102427354B1 (ko) | 고양이 화장실 | |
CN108347901B (zh) | 厕所用铺垫材料和厕所 | |
US10512371B2 (en) | Urine collection receptacle and toilet | |
JP2021073946A (ja) | 動物用トイレ | |
KR20120004948A (ko) | 일회용 고양이 화장실 | |
CN210470611U (zh) | 猫砂盆 | |
JP4437264B2 (ja) | ペット用トイレ | |
JP2009136274A (ja) | ペット用トイレ | |
KR102524493B1 (ko) |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 |
JP3739387B1 (ja) | 動物用トイレ | |
CN216983031U (zh) | 一种简易分区式鼠笼 | |
KR790002124Y1 (ko) | 재래식 변소용 좌변기 | |
GB2440403A (en) | Cat litte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