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317B1 -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317B1
KR102071317B1 KR1020180075663A KR20180075663A KR102071317B1 KR 102071317 B1 KR102071317 B1 KR 102071317B1 KR 1020180075663 A KR1020180075663 A KR 1020180075663A KR 20180075663 A KR20180075663 A KR 20180075663A KR 102071317 B1 KR102071317 B1 KR 10207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basket
upper body
hour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07A (ko
Inventor
장익조
Original Assignee
장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익조 filed Critical 장익조
Priority to KR102018007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3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바디와,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상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각 개구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와 수직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과, 상기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구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결합될 경우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HOURGLASS CAT TOILET}
본 개시내용은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래시계형으로 형성되고 각 격실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기르는 고양이나 개 등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플라스틱제 용기에 광물계의 제올라이트 또는 강의 모래, 또는 뇨 등을 흡수하면 굳어지는 벤토나이트, 분쇄 펄프 등을 굳혀 입상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 입자 등의 소위 고양이 모래라고 불리는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화장실 모래가 들어있는 화장실을 사용하고 있다.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은 화장실 내로 들어가고, 화장실 모래 위에 뇨나 변 등을 배설한다.
위와 같이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뇨나 변을 배설한 후에는 뇨나 변과 같은 배설물에 의해 오염이 이루어진 부분의 화장실 모래를 주인이 직접 변 등과 함께 삽과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해 오염된 모래를 퍼서 용기내로부터 제거하고, 제거한 만큼 새로운 화장실 모래를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화장실을 사용한 후 뇨나 변과 같은 배설물에 의해 오염이 이루어진 부분의 화장실 모래를 주인이 직접 삽과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해 퍼서 용기 내로부터 오염된 고양이 모래 부분을 제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기존의 화장실의 경우 배변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처리 할 수 있는데, 배변의 무게나 하중을 이용하지 못하며,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품 제작시 비용이 많이 들며 사용이나 세척시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95542
본 개시내용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고양이 화장실의 구조를 각 격실들이 분리가능한 모래시계형으로 구성하여,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이 격실에 들어가 뇨나 변을 배설한 후에 간편하게 격실을 상하로 회전시켜 배변거름망을 통해 모래는 하부 격실로 투하되고, 거름망에 남아있는 배변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격실에 부착된 상하로 개폐가능한 도어 구조를 통해 고양이 등이 배설한 뇨나 변의 냄새 및 고양이 모래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비산을 차단하고,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각 격실들의 구성을 통해 세척이 용이한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은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바디와,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상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각 개구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와 수직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과, 상기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구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결합될 경우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는 바닥면에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라운드 형태의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받침대를 연결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은 상부에 배변거름망이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은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바스켓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1 바스켓 손잡이 및 제 2 바스켓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바스켓 손잡이는 상기 상부바디 개구부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바스켓 손잡이는 상기 하부바디 개구부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내부 면에는 빗살 형태의 돌기 형상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입구 상측에는 도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에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배변과 모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격실 구조들을 구성함으로써 격실 및 각 구성품들의 세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개폐가능한 도어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배설한 뇨나 변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의 외부 유출 및 고양이 모래 먼지의 외부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내용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정면 및 배면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상부 및 하부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사용상태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따른 권리 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성되는", "형성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정면 및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은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도어(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바디(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바디(2)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상부도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바디(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부바디(3)와 하부바디(2)의 각 개구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바디(3)와 하부바디(2)가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형태의 모래시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는 옆면이 곡면 형태를 가지고, 밑면이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구부로 이루어진 입체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는 가볍고, 제작이 용이한 플라스틱(Plasti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4)는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4)의 측면에는 커넥터(4)와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부재(20)가 배치되고, 연결부재(20)의 중앙부에는 받침대(6)를 연결할 수 있는 홀(10)이 형성된다.
받침대(6)는 커넥터(4)의 연결부재(20)에서 연장되어 구성된다. 커넥터(4)와 상부바디(3), 하부바디(2) 및 받침대(6)가 결합되는 경우 받침대(6)는 지면에 배치되고, 이 때 받침대(6)는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 및 후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성을 볼 수 있다.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가 상하로 교반되지 않는 경우, 도 2a, 2b의 경우처럼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바디(2)의 측면에는 내부 방향으로 일정 직경 이상 파인 홈 형태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홈 형태의 형상은 교반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즉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을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하부바디(2)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하부바디(2)의 작은 홈, 금속 재질의 받침대(6)와 체결되는 스탑퍼(Stopper)(7)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c를 참조하면, 스탑퍼(7)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이 교반작용을 하지 않는 경우 받침대(6)를 체결하는 작용을 한다.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뇨나 변을 배설하고 나서 사용자가 변과 고양이 모래를 분리시키려고 하는 경우 스탑퍼(7)가 형성되는 부분은 받침대(6)의 탈거가 용이하게 교반 진행 방향 쪽으로 슬림하게 턱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쉽게 받침대(6)를 스탑퍼(7)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의 상부 및 하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부바디(3)와 하부바디(2)의 바닥면에 모두 라운드 형태의 홈, 바람직하게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 형태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바디(3)의 바닥면에는 상부 손잡이(8)가, 하부바디(2)의 바닥면에는 하부 손잡이(9)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손잡이(8) 및 하부 손잡이(9)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하부바디(2) 내부에 뇨나 변을 배설하고 나온 후 사용자가 미끄럼 없이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의 교반작용이 가능하도록 라운드 처리 및 일정한 깊이의 홈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부바디(2) 바닥면에 형성되는 하부 손잡이(9)에 손을 집어넣고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을 상하로 돌려서 변과 고양이 모래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5)은 커넥터(4)를 통과하고, 상부바디(3) 및 하부바디(2)와 수직방향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바스켓(5)은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제작이 용이한 플라스틱(Plastic)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5)은 상부에 배변거름망(21)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바스켓(5)의 원주방향을 따라 입술(lip)형태의 형상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5) 하단의 입술(lip) 형태의 형상은 바스켓(5) 하단부가 하부바디(2)와 결합될 때, 하부바디(2)와 결합되는 부분의 단차에 용이하게 거치, 즉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 바스켓(5) 부분과 격실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어 고양이 배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냄새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5)의 상부에는 바스켓(5)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1 바스켓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스켓(5)의 하부에 바스켓(5)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2 바스켓 손잡이(23)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바스켓 손잡이(22)는 교반 작용시 고양이 모래의 빠짐이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바스켓 손잡이(22)는 상부바디(3) 개구부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변거름망(21)의 제 1 바스켓 손잡이(22) 부분에는 배변거름망(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입술(lip)형태의 형상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5) 상단의 입술(lip) 형태의 형상은 바스켓(5) 상단부가 상부바디(3)와 결합될 때, 상부바디(3)와 결합되는 부분의 단체에 용이하게 거치, 즉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 바스켓(5) 부분과 격실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어 고양이 배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냄새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바스켓 손잡이(23)는 하부바디(2) 개구부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바스켓 손잡이(23)의 경우 사용자가 교반 작용을 위해 하부바디(2)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경우 배변이 걸리지 않도록 하부바디(2) 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변거름망(21)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고양이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타원 형태의 구멍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하부바디(2) 내부로 들어가 배설 한 후, 사용자가 하부 손잡이(9)를 이용해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1)을 교반시킬 수 있다. 교반 작용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변거름망(21)을 통해 배변과 고양이 모래가 분리되게 되고, 사용자는 상부바디(3)를 45도로 회전시킨 후 상부바디(3)를 분리시키고, 내부에 장착된 배변거름망(21)을 제 1 바스켓 손잡이(22)를 한 손으로 잡고 꺼낼 수 있다. 배변거름망(21) 위에 걸러진 고양이 배변을 처리한 후 제 2 바스켓 손잡이(23)를 한 손으로 잡고 바스켓(5)을 거꾸로 결합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하부도어(11)와 상부도어(12)의 내부 면에는 빗살 형태의 돌기 형상이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부도어(11)를 내리면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하부바디(2) 내부로 들어가 뇨나 변을 배설하게 된다.
배설 후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화장실 밖으로 나올 때, 하부도어(11) 내부 면에 형성된 빗살무늬 형태의 돌기 형상에 애완동물의 발에 묻은 모래가 걸리게 되고, 따라서 고양이 모래가 화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도어(11) 및 상부도어(12) 입구 상측에는 턱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각 도어를 열고 닫는 작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하부바디(2) 및 상부바디(3)에 상기와 같은 각 도어를 구성함으로써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배변 냄새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배변과 모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격실 구조들을 구성함으로써 격실 및 각 구성품들의 세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개폐가능한 도어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배설한 뇨나 변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의 외부 유출 및 고양이 모래의 외부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2 : 하부바디
3 : 상부바디 4 : 커넥터
5 : 바스켓 6 : 받침대
7 : 스탑퍼 8 : 상부 손잡이
9 : 하부 손잡이 10 : 홀
11 : 하부도어 12 : 상부도어
20 : 연결 부재 21 : 배변거름망
22 : 제 1 바스켓 손잡이 23 : 제 2 바스켓 손잡이

Claims (7)

  1.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바디;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개폐가능한 상부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각 개구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와 수직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 및
    상기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구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가 결합될 경우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는 바닥면에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라운드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받침대를 연결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부에 배변거름망이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 개구부에 끼움결합되는 환형의 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바스켓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1 바스켓 손잡이 및 제 2 바스켓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스켓 손잡이는 상기 상부바디의 개구부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바스켓 손잡이는 상기 하부바디의 개구부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내부 면에는 빗살 형태의 돌기 형상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입구 상측에는 도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KR1020180075663A 2018-06-29 2018-06-29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KR10207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663A KR102071317B1 (ko) 2018-06-29 2018-06-29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663A KR102071317B1 (ko) 2018-06-29 2018-06-29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07A KR20200002307A (ko) 2020-01-08
KR102071317B1 true KR102071317B1 (ko) 2020-01-30

Family

ID=6915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663A KR102071317B1 (ko) 2018-06-29 2018-06-29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24B1 (ko) * 2020-09-03 2021-12-01 김재혁 반려 동물 화장실
KR20220060804A (ko)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친화물질층과 탄소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20060806A (ko)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형태 변형이 가능한 경화 가압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420B2 (ja) * 1998-07-22 2000-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基板反り抑制治具
JP3208974B2 (ja) 1993-12-27 2001-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油圧供給装置
JP2003061498A (ja) * 2001-08-27 2003-03-04 Itsuro Inoue 小動物用トイレ
US20140283753A1 (en) * 2013-03-19 2014-09-25 Daniel William Dawn Litter and waste sepa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498B2 (ja) * 1994-08-08 2006-04-05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JP3059420U (ja) * 1998-11-27 1999-07-0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ペット飼育容器
KR20130095542A (ko) 2012-02-20 2013-08-28 박정효 가발
JP3208974U (ja) * 2016-11-18 2017-03-02 純子 堀川 ペット用排泄物処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974B2 (ja) 1993-12-27 2001-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油圧供給装置
JP3059420B2 (ja) * 1998-07-22 2000-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基板反り抑制治具
JP2003061498A (ja) * 2001-08-27 2003-03-04 Itsuro Inoue 小動物用トイレ
US20140283753A1 (en) * 2013-03-19 2014-09-25 Daniel William Dawn Litter and waste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07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317B1 (ko) 모래시계형 고양이 화장실
AU2006202677B2 (en) Pet litter box
AU2013254259B2 (en) Animal litter box
JP5768199B1 (ja) 動物用トイレ
EP3005865A1 (en) Litter box for animals
US5394833A (en) Animal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2220159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327717B1 (ko) 고양이 화장실
JP2009011176A (ja) 動物用トイレ
US10398124B2 (en) Cat litter process
KR20110097263A (ko) 좌변식 고양이화장실
KR200461110Y1 (ko) 고양이용 용변기구
US20020166510A1 (en) Animal litter box
US10258019B1 (en) Quick sifting dog proof litter device
JP5057152B2 (ja) ネコ用トイレ
KR20150019115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CN210470611U (zh) 猫砂盆
KR102349801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JP6491942B2 (ja) 動物用トイレ
KR102331224B1 (ko) 반려 동물 화장실
KR102427354B1 (ko) 고양이 화장실
KR20200144034A (ko) 고양이 화장실
JP3208974U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器
JP3136264U (ja) 飼い猫用トイレ
KR20190003077U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