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17U -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17U
KR20180000317U KR2020160004229U KR20160004229U KR20180000317U KR 20180000317 U KR20180000317 U KR 20180000317U KR 2020160004229 U KR2020160004229 U KR 2020160004229U KR 20160004229 U KR20160004229 U KR 20160004229U KR 20180000317 U KR20180000317 U KR 201800003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cat
main body
housing main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시진
Original Assignee
편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시진 filed Critical 편시진
Priority to KR2020160004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317U/ko
Publication of KR20180000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천정에 환기를 위해 환기구(112)가 구비되며, 바닥면에 고양이가 배변할 수 있도록 모래(101)가 적재되는 고양이 화장실의 하우징본체(110)에 일체형 또는 착탈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냄새 배출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팬 또는 에어펌프로 구비할 수 있는 환기구동수단(120);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에 일측이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연결되는 제1 냄새배출호스(132);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창문(1)을 지지하는 하부 창문틀(2)에 구멍을 내어 관통시킴에 의해 외부로 노출 배치시킨 제2 냄새배출호스(134);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통해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창문(1)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환기시키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환기장치를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설계를 제공하며, 창문을 열어 환기하지 않아도 되고 고양이 배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즉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VENTILLATION DEVICE FOR CATS TOILET}
본 고안은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장치를 고양이 화장실에 일체형으로 결합 또는 착탈형으로 연결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창문을 열어 환기하지 않아도 되고 배변시 냄새를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의 가속화 및 개인화된 생활양식 등 사회현상의 변화로 인해, 고양이나 개 등의 애완동물을 인간생활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애완동물을 가정에서 기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은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해 반려동물이라 불리워지고 있으며, 아파트나 빌라 등 사람들의 주거공간 내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
특히, 고양이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고양이 화장실 등을 비롯하여 일정 장소에서 배변하는 습관을 배울 수 있는 영리한 애완동물에 해당하는데, 고양이 등을 실내에서 기르는데에는 배변 문제로 골치를 앓는 경우가 많으므로 배변 처리가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종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 대한 배변 처리에 있어서는 모래나 펠릿이 구비된 고양이 화장실을 일정 장소에 비치하여 배변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화장실이 실내에 비치될 수밖에 없는 환경때문에 고양이의 배변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병균발생 등으로 실내 환경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까지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하며, 심지어는 질병에 걸리기도 하므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819호에서는 모래용 변기와 그 주변을 함께 덮어서 사용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회동외측판, 회동내측판, 앞판, 뒷판, 상판, 지면과 마주보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단개구부 및 애완 동물이 출입가능한 출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화장실 커버의 회동외측판과 회동내측판의 무게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회동내측판의 하단을 기준으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회동 개폐되고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819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기장치를 고양이 화장실에 일체형으로 결합 또는 착탈형으로 연결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창문을 열어 환기하지 않아도 되고 고양이 배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즉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고양이 화장실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한 냄새의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배변 냄새를 탈취 처리한 후에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환기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수명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는, 상부 천정에 환기구(112)가 구비되며, 바닥면에 고양이가 배변할 수 있도록 모래(101)가 적재되는 고양이 화장실의 하우징본체(110) 상에 일체형 또는 착탈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냄새 배출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팬 또는 에어펌프로 구비할 수 있는 환기구동수단(120);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에 일측이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연결되는 제1 냄새배출호스(132);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창문(1)을 지지하는 하부 창문틀(2)에 구멍을 내어 관통시킴에 의해 외부로 노출 배치시킨 제2 냄새배출호스(134);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통해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창문(1)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고양이의 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출입감지센서(140);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본체 내에 발생되는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감지센서(150); 상기 출입감지센서(140)와 냄새감지센서(150)의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상에는 고양이털 거름망을 구비하여 송풍팬이나 에어펌프의 환기구동수단(120) 측으로 고양이 털이 들어가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상에는 냄새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탈취제(170)를 배치하되, 상기 탈취제는 활성탄, 숯, 베이킹소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환기장치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착탈형으로 연결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설계를 제공하며, 창문을 열어 환기하지 않아도 되고 고양이 배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즉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감지수단의 설치를 통해 고양이 화장실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한 냄새 배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 및 환기 처리할 수 있으며, 배변 냄새를 탈취 처리한 후에 외부 배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환기구 상에 고양이털 거름망을 구비함으로써 고양이털에 의해 환기구동수단 등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환기장치의 사용수명을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양이 화장실의 하우징본체(110) 상에 일체형 또는 착탈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환기구동수단(120), 제1 냄새배출호스(132) 및 제2 냄새배출호스(1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110)은 고양이 화장실의 본체로서, 케이스형 구조가 가장 보편적인 구성이라 할 것인데, 형상이나 구조의 변형 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110)는 고양이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 출입구 또는 출입도어의 출입영역(1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부 천정에 환기를 위해 환기구(112)가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바닥면에 고양이가 배변할 수 있도록 모래(101)가 적재된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바닥면에 적재되는 모래(101)는 일반 모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양이 발에 잘 묻지 않는 벤토나이트 모래, 실리카겔이 주성분인 크리스탈 모래, 종이 모래, 나무펠릿 모래, 두부 모래 중에서도 어느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벤토나이트 모래는 탈취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크리스탈 모래는 실리카겔이 주성분으로 습기 등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종이 모래와 두부 모래는 친환경 특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무펠릿 모래는 습기 등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래(101)에는 황토가루를 첨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인데, 황토가루를 통해 탈취와 세균 퇴치 및 곰팡이 방지 작용 등을 발휘토록 할 수 있다.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은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하우징본체(110) 내에 가득차는 배변에 의한 냄새를 배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송풍팬 또는 에어펌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냄새배출호스(132)는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측에 일측이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환기구동수단(120) 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2 냄새배출호스(134)는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을 사이에 두고 제1 냄새배출호스(132)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창문(1)을 지지하는 하부 창문틀(2)에 구멍을 내어 관통시킴에 의해 외부로 노출 배치시킨다.
여기에서, 하부 창문틀(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멍을 내어 상기 제2 냄새배출호스(134)를 관통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는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통해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창문(1)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즉시 환기시킬 수 있다.
이때, 환기를 위해 창문(1)을 열고 닫지 않아도 되며, 고양이 화장실 즉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한 냄새를 제거 및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한 냄새의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를 위해 출입감지센서(140)와 냄새감지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출입감지센서(140)는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고양이의 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출입감지센서(140)는 출입구 또는 출입도어의 출입영역(111) 측에 설치하여 고양이의 출입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출입감지센서(1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 또는 출입도어의 출입영역(111)에 근접한 하우징본체(110) 내 천정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출입감지센서(140)는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포토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냄새감지센서(150)는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본체 내에 발생되는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냄새감지센서(150)는 하우징본체(110) 내 배변에 의한 냄새를 잘 감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본체(110)의 출입영역(111) 반대쪽에 설치하며, 하우징본체(110)의 상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냄새감지센서(150)는 가스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출입감지센서(140)와 냄새감지센서(150)의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다.
여기에서, 상기 출입감지센서(140)와 냄새감지센서(150) 및 제어부(160)는 고양이에 의해 손상 및 훼손되지 않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는 고양이가 하우징본체(110) 내로 들어오거나 또는 배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감지하므로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을 강제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어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한 냄새의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상에 냄새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탈취제(170)를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취제(170)는 활성탄, 숯, 베이킹소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활성탄과 숯은 가루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때로는 일정 형상을 갖는 구조체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베이킹소다는 가루 형태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탈취제(170)는 환기구(112) 상에 배치 및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탈취제(170)를 환기구(112) 상에 배치함에 따라 환기구동수단(120)을 통해 고양이의 배변 냄새를 외부 배출시 탈취 처리를 실시하면서 창문(1) 외부로 냄새를 배출하므로 공기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민원 발생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상에는 고양이털 거름망을 구비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양이털 거름망을 통해서는 송풍팬이나 에어펌프로 구비될 수 있는 환기구동수단(120)에 대해 환기 처리를 위해 구동시 환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환기구동수단(120) 측으로 고양이 털이 들어가 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110: 하우징본체
112: 환기구 120: 환기구동수단
132: 제1 냄새배출호스 134: 제2 냄새배출호스
140: 출입감지센서 150: 냄새감지센서
160: 제어부 170: 탈취제

Claims (4)

  1. 상부 천정에 환기구(112)가 구비되며, 바닥면에 고양이가 배변할 수 있도록 모래(101)가 적재되는 고양이 화장실의 하우징본체(110) 상에 일체형 또는 착탈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냄새 배출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팬 또는 에어펌프로 구비할 수 있는 환기구동수단(120);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에 일측이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연결되는 제1 냄새배출호스(132);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창문(1)을 지지하는 하부 창문틀(2)에 구멍을 내어 관통시킴에 의해 외부로 노출 배치시킨 제2 냄새배출호스(134);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서 고양이가 배변시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통해 하우징본체(110) 내 고양이 배변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창문(1)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고양이의 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출입감지센서(140);
    상기 하우징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본체 내에 발생되는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냄새감지센서(150);
    상기 출입감지센서(140)와 냄새감지센서(150)의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환기구동수단(1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상에는 고양이털 거름망을 구비하여 송풍팬이나 에어펌프의 환기구동수단(120) 측으로 고양이 털이 들어가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환기구(112) 상에는 냄새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탈취제(170)를 배치하되,
    상기 탈취제는 활성탄, 숯, 베이킹소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20160004229U 2016-07-22 2016-07-22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KR201800003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29U KR20180000317U (ko) 2016-07-22 2016-07-22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29U KR20180000317U (ko) 2016-07-22 2016-07-22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17U true KR20180000317U (ko) 2018-01-31

Family

ID=6128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29U KR20180000317U (ko) 2016-07-22 2016-07-22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937A (ko) * 2020-03-17 2021-09-27 모닝플래닛(주) 애완동물 배변 경보 시스템
KR20220105735A (ko) * 2021-01-21 2022-07-28 이은서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KR102534462B1 (ko) *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819U (ko) 2011-06-15 2012-12-26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819U (ko) 2011-06-15 2012-12-26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937A (ko) * 2020-03-17 2021-09-27 모닝플래닛(주) 애완동물 배변 경보 시스템
KR20220105735A (ko) * 2021-01-21 2022-07-28 이은서 공기정화시스템을 형성하는 고양이 화장실
KR102534462B1 (ko) *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75602B (zh) 宠物生活用盆
EP2367415B1 (en) A ventilation duct system and a method for minimizing air pollution in and/or around an animal habitat structure
KR20180000317U (ko)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CN205585015U (zh) 一种清洁健康的养猪场猪舍
US20150074886A1 (en) Toilet Deodorizing Apparatus
CN205040391U (zh) 一种奶牛饲养舍
KR20140109538A (ko) 축사용 배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US20080307570A1 (en) Toilet odor elimination device
WO2006041836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bating odors from household enclosures
KR102437490B1 (ko)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102437489B1 (ko) 고양이 화장실의 공기정화장치
KR20080005062U (ko) 컨테이너형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CN110972967A (zh) 一种基于智能环境调节的饲养笼
CN212589496U (zh) 一种具有排风杀菌功能的智能猫砂盆
CN212816054U (zh) 一种墙体中空排气旱厕
CN213095435U (zh) 一种除味猫砂盆
KR20020012085A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CN210492092U (zh) 一种兽医用牛羊圈养舍
CN106614035A (zh) 一种畜牧养殖用饲养室结构
KR20030072279A (ko) 애완동물용 하우스
CN106259005A (zh) 一种宠物便溺自动冲洗装置及冲洗方法
CN110839541A (zh) 一种多功能动物护理病房系统
JP4799250B2 (ja) ペット対応建物
EP3145380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CN106401434A (zh) 一种具有除味功能的宠物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75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7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12

Effective date: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