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251A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251A
KR20220105251A KR1020210007611A KR20210007611A KR20220105251A KR 20220105251 A KR20220105251 A KR 20220105251A KR 1020210007611 A KR1020210007611 A KR 1020210007611A KR 20210007611 A KR20210007611 A KR 20210007611A KR 20220105251 A KR20220105251 A KR 2022010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lower
case
tow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854B1 (ko
Inventor
노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8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팬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1기판; 및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히터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1기판과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 1기판으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제 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베이스에 안착시킴으로써, 기판의 배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로어 {Blower}
본 발명은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팬과 히터를 제어하는 기판에 관한 것이다.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블로어가 필터를 구비할 경우, 블로어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블로어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에게 온풍을 제공하는 히터가 배치될 수 있고, 히터로의 전원공급을 위해 교류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하지만, 히터와 연결되는 기판과 팬과 연결되는 기판으로의 전원인가를 위해 전선이 과도하게 길어지고,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해 직류전원의 전선 및 기판이 영향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814574는, 팬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기판이 배치된 블로어를 개시하고 있으나, 히터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온풍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654124는, 히터가 배치된 블로어를 개시하고 있으나, 히터와 연결되는 기판 및 팬과 연결되는 기판의 배치와 관련하여, 전선이 길어지고 교류전원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의 영향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814574 한국등록특허 10-16541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판의 배치가 최적화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선이 길이가 짧아진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교류가 흐르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히터와 팬으로의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선의 꼬임이 방지되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팬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1기판; 및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히터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2기판을 포함하여, 팬 및 히터로의 전력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1기판과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 1기판으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제 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기판과 제 2기판의 배치를 통해 전선의 길이를 줄이고 전력공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연장된 파워선이 관통되는 전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홀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전선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파워선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 2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이 안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바디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될 수 있어, 제 1기판과 제 2기판은 회전판의 상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파워선은, 상기 베이스의 회전중심을 관통할 수 있어, 파워선이 회전에 의해 꼬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팬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3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기판은, 상기 제 1기판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팬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기판은 상기 틈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의 상측에 루프(Roof)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3기판은, 상기 루프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이 수용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이 안착되는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에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된 틈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히터로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릴레이;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파워선; 및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선은,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서 상기 파워선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제 1기판으로부터 상기 팬을 향해 연장되는 팬전력선; 및 상기 제 2기판으로부터 상기 히터를 향해 연장되는 히터전력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전력선과 상기 히터전력선은, 상기 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히터전력선은, 상기 제 2기판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히터 각각을 향하여 복수개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팬전력선을 통해 직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전력선을 통해 교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제 2기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상기 제 2기판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기판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타워케이스와, 상기 제 1타워케이스와 이격되는 제 2타워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이 이격되는 방향은, 상기 제 1타워케이스와 상기 제 2타워케이스가 이격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히터는, 상기 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로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베이스에 안착시킴으로써, 기판의 배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동일한 높이에 배치함으로써, 파워선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제 1기판 및 제 2기판으로부터 각각 뻗어나오는 전선을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장점도 있다.
넷째, 파워선으로부터 분지되는 바이패스선을 구비함으로써, 히터와 팬으로부터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파워선이 회전중심을 관통함에 따라, 전선의 꼬임이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종단면 전방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종단면 측방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횡단면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기류전환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기류변환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하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 하부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배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배치를 설명하는 상방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배치를 설명하는 측방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조를 설명하는 종단면형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조를 설명하는 횡단면형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블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블로어(1)의 전체구조를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블로어(1)의 전체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블로어(1)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순환시킨다는 점에서, 공기조화기, 에어클린팬, 공기청정기 등 다른 명칭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모듈(100)과,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송풍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어(1)은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고, 블로어(1)은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흡입모듈(10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송풍모듈(20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모듈(100)은, 베이스(500)와, 베이스(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고, 블로어(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와 필터(130)는 베이스(50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내부에 필터(1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20)의 내측으로 개구된 흡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21)은, 하부케이스(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상하로 연장된 2개의 기둥 형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를 흡입모듈(100)과 연결시키는 타워베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흡입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흡입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모듈(100)과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의 상면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으로 연장된 타워베이스상면(2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타워베이스상면(211)의 일측(21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2타워(230)는 타워베이스상면(211)의 타측(211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흡입모듈(100)의 내부로부터 공급된 여과공기를 분배하고, 상기 분배된 공기를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타워베이스(210)와 제 1타워(220)는 블로어(1)의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고, 타워베이스(210)와 제 2타워(230)는 블로어(1)의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타워베이스(210) 없이 흡입모듈(100)에 직접 조립될 수 있고, 흡입모듈(10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S)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는, 전방,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된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 1타워(220), 제 2타워(230) 및 블로잉스페이스(S)로 이루어진 송풍모듈(200)의 외형은 원뿔대형일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에 각각 형성된 토출구(222)(232)은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구(222, 232)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타워(22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1토출구(222)라 하고, 제 2타워(23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2토출구(232)라 한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대칭되게배치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가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S) 내에서 유동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제 1타워(220)는 제 1타워(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 1타워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타워(230)는 제 2타워(23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 2타워케이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타워케이스(221)와 제 2타워케이스(231)는, 하부케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22)(232)가 각각 형성된 상부케이스로 이름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221, 231)는, "케이스"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하위개념일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타워(22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토출구(232)는 제 2타워(23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사이의 간격인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로잉스페이스(S)의 상단 폭이 하단폭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을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다를 경우, 넓은 쪽의 유동속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속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공기의 유속편차가 발생될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청정공기의 공급량이 달라질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 각각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로부터 토출된 공기와 제 2토출구(232)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유동되지 않고,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는 토출공기들이 합류되어 믹스(Mix)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어(1) 주위의 공기에 간접기류가 형성되어, 블로어(1) 주위의 공기도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232)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232)의 토출공기를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주변의 공기도 간접기류에 의해 송풍모듈(200)의 외둘레면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제 1타워케이스(221)는, 제 1타워(22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1타워상단(221a)과, 제 1타워(22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1타워(22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 1타워후단(221c)과, 제 1타워(22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1외측벽(221d)과, 및 제 1타워(22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 1내측벽(22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타워케이스(231)는, 제 2타워(23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2타워상단(231a)과, 제 2타워(23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2타워전단(231b)과, 제 2타워(23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 2타워후단(231c)과, 제 2타워(23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2외측벽(231d) 및 제 2타워(2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 2내측벽(23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외측벽(221d)과 제 2외측벽(231d)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각각의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각각의 내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내측벽(22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32)는, 제 2내측벽(23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타워전단(221b)보다 제 1타워후단(221c)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32)는, 제 2타워전단(231b)보다 제 2타워후단(231c)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기류변환기(401)가 관통되는 제 1보드슬릿(223)은, 제 1내측벽(22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제 2기류변환기(402)가 관통되는 제 2보드슬릿(233)은, 제 2내측벽(23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과 제 2보드슬릿(233)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은, 제 1타워후단(221c)보다 제 1타워전단(221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보드슬릿(233)은, 제 2타워후단(231c)보다 제 2타워전단(231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과 제 2보드슬릿(233)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블로어(1)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P'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한 단면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Q-Q'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500)의 상측에는, 팬어셈블리(300) 및 히터(240)의 가동을 제어하는 기판어셈블리(6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00)의 상측에는, 기판어셈블리(600)가 배치되는 제어공간(600S)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는, 제어공간(600S)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3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필터(130)의 내측에는 실린더형의 필터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130)를 통과하여 필터공(131)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130)의 상측에는, 필터(13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그릴(14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140)은, 팬어셈블리(300)와 필터(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140)은, 하부케이스(210)를 제거하고 필터(130)를 블로어(1)으로부터 분리할 시, 사용자의 손이 팬어셈블리(300)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는, 필터(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로어(1) 외부의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의 구동에 의해, 블로어(1) 외부의 공기는 흡입홀(121)과 필터공(131)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130)와 송풍모듈(200) 사이에는, 팬어셈블리(300)가 배치되는 가압공간(300s)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 1분배공간(220s)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타워(23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 2분배공간(230s)이 형성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를 제 1분배공간(220s)과 제 2분배공간(230s)으로 분배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제 1, 2타워(220, 230)와 팬어셈블리(300)를 연결하는 채널(Channel)일 수 있다.
제 1분배공간(220s)은, 제 1외측벽(221d)과 제 1내측벽(221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분배공간(230s)은, 제 2외측벽(231d)과 제 2 내측벽(231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제 1분배공간(220s)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1유동가이드(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제 1타워후단(221c)으로부터 제 1타워전단(221b)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제 1타워전단(221b)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유동가이드(224) 각각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작을 수 있다.
제 2타워(230)는, 제 2분배공간(230s)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2유동가이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제 2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제 2타워전단(231b)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제 2타워전단(231b)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유동가이드(234) 각각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작을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팬어셈블리(3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 1토출구(222)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팬어셈블리(3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 2토출구(232)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팬어셈블리(3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310)와, 팬모터(310)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330)과, 팬모터(310)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팬(320)과, 팬(320)에 의해 가압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디퓨져(34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310)는, 팬(3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팬모터(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모터축(311)을 통해 팬(320)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모터하우징(331)과, 팬모터(3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 2모터하우징(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타워베이스상면(211)의 일측(21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하단(222d)은, 타워베이스상면(211)의 일측(21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타워상단(221a)의 하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상단(222c)은, 제 1타워상단(221a)의 하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축(Z)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전단(222a)과 제 1토출구후단(222b)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전단(222a)과 제 1토출구후단(222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축(Z)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제 1분배공간(220s) 내의 공기를 제 1토출구(222)로 안내하는 제 1토출가이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제 2타워(230)와 대칭될 수 있고, 제 2타워(23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 1타워(220)에 대한 설명은 제 2타워(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블로어(1)는, 상부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히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40)는,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히터(240)는, 제 1타워(220)에 배치되는 제 1히터(241)와, 제 2타워(230)에 배치되는 제 2히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히터(241)는, 제 1토출구(222)에 대응되게 상하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2히터(242)는, 제 2토출구(232)에 대응되게 상하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240)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240)는, 외부전원(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토출구(222, 23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코안다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블로어(1)의 공기토출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블로어(1)을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R-R'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하여 상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 사이의 간격(D0, D1, D2)은, 블로잉스페이스(S)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의 꼭지점 사이에 최단거리(D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단거리(D0)는, 블로잉스페이스(S)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32)는,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2타워전단(231b)은 제 1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1타워후단(221c)과 제 2타워후단(231c)은 제 2간격(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1간격(D1)과 제 2간격(D2)은 동일할 수 있다. 제 1간격(D1)은 최단거리(D0)보다 클 수 있고, 제 2간격(D2)은 최단거리(D0)보다 클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 사이의 간격은, 후단(221c, 231c)으로부터 상기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까지는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전단(221b, 231b)까지는 커질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2타워전단(231b)은, 전후방축(X)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2타워전단(231b) 각각에서 그은 접선은, 전후방축(X)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을 가질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전후방축(X)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A)을 갖고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확산각이 증대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기류변환기(401)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제 1보드슬릿(223) 내에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후술할 제 2기류변환기(402)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제 2보드슬릿(233) 내에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 1토출가이드(225)와 제 2토출가이드(235)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225)는, 제 1내측벽(221e)과 연결되는 제 1이너가이드(225a)와, 제 1외측벽(221d)과 연결되는 제 1아우터가이드(2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이너가이드(225a)는, 제 1내측벽(221e)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아우터가이드(225b)는, 제 1외측벽(221d)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이너가이드(225a)는, 제 1내측벽(221e)으로부터 제 1분배공간(22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아우터가이드(225b)는, 제 1외측벽(221d)으로부터 제 1분배공간(22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아우터가이드(225b)는, 제 1이너가이드(225a)의 외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이너가이드(225a)와의 사이에 제 1토출구(2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이너가이드(225a)의 곡률반경은, 제 1아우터가이드(225b)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분배공간(220s)의 공기는, 제 1이너가이드(225a)와 제 1아우터가이드(225b) 사이로 유동하여 제 1토출구(22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토출가이드(235)는, 제 2내측벽(231e)과 연결되는 제 2이너가이드(235a)와, 제 2외측벽(231d)과 연결되는 제 2아우터가이드(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이너가이드(235a)는, 제 2내측벽(231e)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아우터가이드(235b)는, 제 2외측벽(231d)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이너가이드(235a)는, 제 2내측벽(231e)으로부터 제 2분배공간(23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아우터가이드(235b)는, 제 2외측벽(231d)으로부터 제 2분배공간(23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아우터가이드(235b)는, 제 2이너가이드(235a)의 외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이너가이드(235a)와의 사이에 제 2토출구(2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이너가이드(235a)의 곡률반경은, 제 2아우터가이드(235b)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분배공간(230s)의 공기는, 제 2이너가이드(235a)와 제 2아우터가이드(235b) 사이로 유동하여 제 2토출구(23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폭(w1, w2, w3)은, 제 1토출가이드(225)의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해 갈수록 점차 작아지다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225)의 입구폭(w1)의 크기는, 제 1토출가이드(225)의 출구폭(w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입구폭(w1)은, 제 1이너가이드(225a)의 외측끝단과 제 1아우터가이드(225b)의 외측끝단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출구폭(w3)은, 제 1이너가이드(225a)의 내측끝단인 제 1토출구전단(222a)으로부터 제 1아우터가이드(225b)의 내측끝단인 제 1토출구후단(222b)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입구폭(w1)과 상기 출구폭(w3)의 크기는, 제 1토출구(222)의 최단폭(w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최단폭(w2)은, 제 1토출구후단(222b)과 제 1이너가이드(225a)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폭은, 제 1토출가이드(225)의 입구로부터 최단폭(w2)이 형성된 위치까지는 점차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최단폭(w2)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제 1토출가이드(225)의 출구까지는 점차 커질 수 있다.
제 2토출가이드(235)도 제 1토출가이드(225)와 마찬가지로, 제 2토출구전단(232a)과 제 2토출구후단(232b)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토출가이드(225)와 동일한 폭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기류변환기(400)에 의한 풍향전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기류변환기(400)가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되어 블로어(1)가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기류변환기(4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류변환기(40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승풍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류변환기(400)는, 제 1타워케이스(221)에 배치되는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타워케이스(231)에 배치되는 제 2기류변환기(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는,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각각으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되어,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가 돌출되어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을 차단하면,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기류변환기(400)에 의해 가로막혀 상방(Z)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가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에 각각 인입되어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을 개방하면,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X)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류변환기(401, 402)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되는 보드(410)와, 보드(4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20)와, 보드(41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보드가이드(430)와, 모터(410)와 보드가이드(430)를 지지하는 커버(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기류변환기(401)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할 제 1기류변환기(401)에 대한 설명은 제 2기류변환기(40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드(4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보드슬릿(223) 내에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보드(410)는, 모터(420)가 구동되면, 제 1보드슬릿(223)을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다. 보드(410)는 횡단면의 형상이 호(arc)형인 아치(arch)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드(410)는, 모터(420)가 구동되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420)는, 피니언기어(421)와 연결되어 피니언기어(4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420)는 피니언기어(4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보드가이드(430)는, 상하로 연장된 판형일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는, 상하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슬릿(450)과, 피니언기어(421)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랙(431)을 포함할 수 있다.
랙(431)은, 피니언기어(421)와 맞물릴 수 있다. 모터(420)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421)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421)와 맞물린 랙(431)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드(410)에 보드가이드(4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에 삽입될 수 있다.
랙(431)의 상하이동에 따라 보드가이드(430)가 상하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에 따라,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 내에서 사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431)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을 따라 이동되어 가이드슬릿(450)의 최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1)가 가이드슬릿(450)의 최하단에 위치되었을 때, 보드(4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타워(220) 내에 완전하게 은닉될 수 있다. 랙(431)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슬릿(450)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을 따라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431)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을 따라 이동되어 가이드슬릿(45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1)가 가이드슬릿(450)의 상단에 위치되었을 때, 보드(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타워(220)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랙(431)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슬릿(450) 또한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50)을 따라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440)는, 보드가이드(4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커버(441)와, 보드가이드(4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1내측면(221e)에 밀착되는 제 2커버(442)와, 제 1커버(4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모터(420)와 연결되는 모터지지판(443) 및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버(441)는 보드가이드(43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고, 제 2커버(442)는 보드가이드(430)의 내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 1커버(441)는 보드가이드(43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 1분배공간(220s)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 2커버(442)는, 보드가이드(430)가 제 1내측벽(221e)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지지판(443)은, 제 1커버(4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모터(4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444)는, 제 1커버(441)로부터 보드가이드(43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의 일면에는 상하이동에 따라 스토퍼(444)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가 상하이동될 때, 상기 걸림돌기(미도시)가 스토퍼(444)에 걸림됨으로써,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히터(24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히터(240)와 토출구(222)를 나타낸 것이다.
히터(240)는, 토출구(222)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고, 토출구(222)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240)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 1방열관(243)과, 상하로 연장되고 제 1방열관(243)과 이격되는 제 2방열관(244)과, 제 1방열관(243)과 제 2방열관(244)을 연결하는 제 3방열관(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방열관(243)과 제 2방열관(244)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3방열관(245)은, 제 1방열관(243)과 제 2방열관(244)의 상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 3방열관(245)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방열관(243), 제 2방열관(244) 및 제 3방열관(245)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으로 볼록한 포물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히터(240)는, 제 1방열관(243) 및 제 2방열관(244)이 관통되는 복수개의 방열핀(24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핀(246)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방열관(243)과 제 2방열관(244)은, 복수의 방열핀(246) 각각을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될 수 있고, 방열핀(246)으로 열을 전도시킬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내에 유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방열핀(246) 사이를 통해 토출구(222)로 유동할 수 있다. 방열핀(246)은, 상부케이스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222, 232)로 안내할 수 있고, 토출구(222, 232)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히터(240)는, 히터(240)를 타워케이스(221, 231)에 결합시키는 커넥터(2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방열관(243)과 제 2방열관(244)은, 커넥터(247)를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247)에는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고, 히터(240)는, 커넥터(247)를 관통하는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타워케이스(221, 2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컨트롤박스(6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베이스(500), 기판어셈블리(600) 및 필터(130)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베이스(500)는, 기판어셈블리(600)의 하측에 배치되고 기판어셈블리(600)가 안착되는 회전판(520)과, 회전판(5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판(520)을 지지하는 지지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어셈블리(600)는, 후술할 제 1제어부(620), 제 2제어부(630) 및 제 3제어부(640)가 수용되는 컨트롤박스(61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610)는, 베이스(5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500)에 안착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610)는, 제 1제어부(620), 제 2제어부(630) 및 제 3제어부(640)가 배치되는 제어공간(600s)을 형성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610)는, 제어공간(600s)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130)는, 컨트롤박스(6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컨트롤박스(61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필터(130)는, 제어공간(600s)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611a)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필터(130)는, 중심부에 필터공(131)이 형성된 실린더형일 수 있고, 원통형의 필터내벽(132)과, 원통형의 필터외벽(133)을 가질 수 있다. 필터내벽(132)은, 필터외벽(133)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고,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내벽(132)과 필터외벽(133)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필터(130)의 외측에는, 필터(130)를 지지하는 필터프레임(150)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50)은, 필터외벽(1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50)은, 필터(13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프레임(150)에 의해 좌우방향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프레임(1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61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제어공간(600s)을 형성하는 박스바디(611)와, 박스바디(6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캡(611a)과, 박스바디(6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조인트(612)와, 조인트(612)에 개구된 체결홈(613)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바디(611)와, 캡(611a)과, 조인트(6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공간(600s)은, 캡(611a)의 하측에서 박스바디(611)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50)은, 컨트롤박스(610)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50)은, 체결홈(613)을 통해 조인트(612)를 관통하는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컨트롤박스(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어공간(600s)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흡입모듈(100)의 종단면도를 측방에서 투시한 형태이고, 도 11은 베이스(500) 및 기판어셈블리(600)의 종단면도를 전방에서 투시한 형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500)의 상측에는 제어공간(600s)이 형성될 수 있고, 제어공간(600s)은 컨트롤박스(6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00)의 상측에는, 팬(320)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1제어부(620) 및 히터(240)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630)가 안착될 수 있다.
팬(320) 및 히터(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3제어부(640)는,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어셈블리(600)는, 제어공간(600s) 내에 배치되는 받침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제어부(640)는, 받침대(6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받침대(66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받침대(660)는, 베이스(50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어퍼보스(529)가 삽입되는 필러(Pillar)(661)와, 필러(661)의 상측에 배치되는 루프(Roof)(662)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66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1제어부(620) 및 제 2제어부(630)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루프(66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일 수 있고, 제 3제어부(640)를 지지할 수 있다.
필러(661)와 루프(66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루프(662)는 제 1제어부(620) 및 제 2제어부(63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판(520)은, 지지바디(51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회전판(520)이 이동되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530)와, 회전판(520)에 삽입되어 회전판(520)을 회전시키는 축바디(570)와, 회전판(5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5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는, 회전판(5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고, 회전판(52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는, 회전축(RX)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 사이에 회전축(RX)이 위치될 수 있다.
외부전원(2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1제어부(620) 및 제 2제어부(630)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선(651)은, 베이스(500)를 관통하여 제 2제어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5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파워선(651)이 지나가는 채널(510s)이 형성될 수 있다. 파워선(651)은, 외부전원(20)으로부터 연장되어 채널(510s)을 지나 축바디(570)의 외둘레면에 감길 수 있다.
축바디(570)의 외둘레면에 감긴 파워선(651)은, 축바디(570)의 내측에 형성된 전선관통부(570s)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선관통부(570s)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파워선(651)은, 베이스(500)에 형성된 전선홀(520s)을 통과하여 제 2제어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선홀(520s)은,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파워선(651)은,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 사이에서 베이스(500)를 관통하여 제어공간(600s)으로 뻗어나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회전판(520)이 회전되는 구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12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베이스(5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베이스(500)를 지지바디(510)와 회전판(520)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판(520)은, 전선홀(520s)이 형성된 제 1플레이트(521)와, 제 1플레이트(521)의 외측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522)와, 제 1플레이트(521)와 제 2플레이트(522)를 연결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523)와, 모터(530)와 연결되는 모터축(531)이 관통되는 개구부(524)와, 제 1플레이트(5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어퍼보스(5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 및 제 2제어부(630)는, 제 1플레이트(52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제 2플레이트(522)에 연결될 수 있다. 전선홀(520s)은, 제 1플레이트(52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보스(529)는, 받침대(660)의 필러(66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터(530)는, 모터축(531)을 통해 제 1기어(54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바디(510)는, 내측에 채널(610s)이 형성된 보울(511)과, 보울(5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512)와, 지지플레이트(51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레일(513)과, 레일(513)의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 1경계벽(514)과, 제 1경계벽(514)의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 2경계벽(515)을 포함할 수 있다.
보울(511)은 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512)는 채널(510s)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레일(513)은, 베어링(58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 1기어(540)와 맞물리는 제 2기어(550)는, 제 1경계벽(514)에 고정될 수 있다. 축바디(570)는, 제 2경계벽(51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530)가 가동되면, 제 1기어(540)는 제 2기어(550)와 맞물린 상태로 제 2기어(550)의 둘레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전선홀(520s)에 삽입되어 회전판(520)에 구속된 축바디(570)는 회전되고, 회전판(520)은, 축바디(57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채널(510s)을 통과한 파워선(651)은, 축바디(570)의 외둘레벽에 권취될 수 있고, 축바디(570)의 외둘레벽에 형성된 진입홈(571)을 통해 전선관통부(570s)로 진입할 수 있다. 전선관통부(570s)로 진입된 파워선(651)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전선홀(520s)을 통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기판어셈블리(600)의 배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14는, 컨트롤박스(610)와 받침대(660)가 제거된 상태의 제어공간(600s)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제 1제어부(620)는, 후술할 제 1기판(621)이 수용되는 제 1기판케이스(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의 전체적인 외형은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는 회전판(5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는, 제 1기판케이스(622)로부터 돌출된 제 1돌기(6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는, 제 1돌기(622a)에 형성된 제 1체결홀(622b)을 관통하는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회전판(5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제어부(630)는, 후술할 제 2기판(631)이 수용되는 제 2기판케이스(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기판케이스(632)의 전체적인 외형은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제 2기판케이스(632)는 회전판(5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제어부(630)는, 제 2기판케이스(632)로부터 돌출된 제 2돌기(6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기판케이스(632)는, 제 2돌기(632a)에 형성된 제 2체결홀(632b)을 관통하는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회전판(5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 및 제 2기판케이스(632)는,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 및 제 2기판케이스(632)는 판금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제 1기판케이스(622)와 제 2기판케이스(632)의 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와 제 2기판케이스(632)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제 1기판케이스(622)와 제 2기판케이스(632)는 서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와 제 2기판케이스(632)는, "기판케이스"로 이름될 수도 있다.
제 3제어부(640)는, 제 1기판케이스(622) 및 제 2기판케이스(632)의 상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 3제어부(640)는, 별도의 케이스 없이 기판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제어부(640)는, 제 3기판(640)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여, 제어공간(600s) 내에서 각 구조물(620, 630, 640, 530) 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도 15는 컨트롤박스(610)와 받침대(660)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제어공간(600s)을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어공간(600s)을 측방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위개념 중, 좌우방향은, 수평방향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기판케이스(622)와 제 2기판케이스(632)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는, 제 2제어부(630)와 마주보게 배치된 제 1측벽(6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제어부(630)는, 제 1제어부(620)와 마주보게 배치된 제 2측벽(63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측벽(620a)과 제 2측벽(630a)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틈(G)은, 제 1기판케이스(622)와 제 2기판케이스(6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측벽(620a)과 제 2측벽(630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틈(G)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3기판(640)의 적어도 일부는 틈(G)과 상하로 마주볼 수 있다.
모터(530)는, 틈(G)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터(530)는 틈(G)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틈(G)과 전후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개구부(524)는, 틈(G)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틈(G)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가 이격되는 방향은 제 1타워케이스(221)와 제 2타워케이스(231)가 이격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틈(G)의 폭방향은,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틈(G)은, 블로잉스페이스(S)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S)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3기판(640)은, 제 1제어부(620) 및 제 2제어부(630)보다 상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모터(530)와,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는 회전판(520)에 안착될 수 있고, 제 3기판(640)은, 회전판(520)의 상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제 1제어부(620)와 높이차(D)를 가질 수 있다. 제 3기판(640)이 안착되는 루프(662)는, 제 3기판(640)과 제 1제어부(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기판어셈블리(600)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17은 제 1제어부(620), 제 2제어부(630) 및 제 3제어부(640) 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어공간(600s)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외부전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선(651)은, 외부전원(20)으로부터 연장되어 채널(510s)을 통과할 수 있다. 파워선(651)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방향으로 베이스(500) 내로 진입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 베이스(500) 내로 진입할 수도 있다.
채널(510s)을 통과한 파워선(651)은,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 사이에 형성된 전선홀(520s)을 관통하여 제 2제어부(6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판(520)의 회전중심(RX)은, 전선홀(520s)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제어부(630)는, 히터(240)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2기판(631)과, 제 2기판(631)이 수용되는 제 2기판케이스(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제어부(630)와 연결된 파워선(651)은, 제 2기판(6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기판(631)은, 파워선(651)을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히터(240)와 연결되는 히터전력선(653)을 통해 히터(240)로 공급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는, 파워선(651)으로부터 분지된 바이패스선(65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제어부(620)는, 팬모터(310)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1기판(621)과, 제 1기판(621)이 수용되는 제 1기판케이스(6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제 1기판(621) 및 제 2기판(63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파워선(651)을 통해 제 2기판(631)으로 전달된 전력 중 일부를 제 1기판(6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바이패스선(652)을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팬모터(310)와 연결되는 팬전력선(654)을 통해 팬모터(3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팬전력선(654)을 통해 제 1기판(6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을 통해 제 1기판(621)으로 공급된 전력은, 팬모터(310)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고, 제 3기판(640)을 거쳐 팬모터(3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제 3기판(640)은, 후술할 센서부(40), 디스플레이부(50) 및 입력부(60)와 연결되는 전력분배선(655)을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전선홀(520s)을 통과한 파워선(651)과 바이패스선(652)은, 틈(G)에 위치할 수 있다.
파워선(651)에는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교류가 흐를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에는 파워선(651)으로부터 교류전원이 전달되어, 교류가 흐를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바이패스선(652)을 통해 전달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컨버터(623)(도 19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컨버터(623)를 통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 팬전력선(654)에 공급할 수 있다.
제 2기판(631)은, 히터(240)로의 전력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633)(도 19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40)는, 릴레이(633)에서의 선택적인 전력차단에 의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방식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기판케이스(622, 632)는,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기판케이스(622, 632)는, 판금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컨버터(623)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전자파 및 릴레이(633)에서의 잦은 스위칭(Switching)으로 인해 발생되는 노이즈/전자파가 기판케이스(622, 632)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전자파는, 팬전력선(654)에 영향을 미쳐 전력손실 및 팬(320)의 오작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기판케이스(622, 632)는,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노이즈/전자파가 팬전력선(654)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팬전력선(654)은 팬모터(3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히터전력선(653)은 히터(24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팬전력선(654)과 히터전력선(653)은, 하부케이스(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의 중심은, 회전중심(RX)일 수 있다. 히터전력선(653)에는, 릴레이(633)를 통해 전달된 교류가 흐를 수 있고, 릴레이(633)의 잦은 스위칭(Switching)으로 인해 노이즈/전자파가 발생된다. 이에, 팬전력선(654)과 히터전력선(653)을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히터전력선(653)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전자파가 팬전력선(654)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전선(651, 652, 653, 654) 간의 위치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전선(651, 652, 653, 654) 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어공간(600s)을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전선홀(520s)을 통과한 파워선(651)은, 모터(53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제어부(630)와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모터(53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연장되어, 제 1제어부(620)와 제 2제어부(630)를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틈(G) 내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틈(G)의 외측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히터전력선(653)은, 제 2기판(631)으로부터 제 1히터(241)를 향해 연장되는 제 1히터전력선(653a)과, 제 2기판(631)으로부터 제 2히터(242)를 향해 연장되는 제 2히터전력선(65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히터(241)는, 제 1히터전력선(653a)과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고, 제 2히터(242)는, 제 2히터전력선(653b)과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제 1히터전력선(653a)과 제 2히터전력선(653b)은, 제 2기판(631)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전력선(654)은, 제 1기판(621)과 팬모터(310)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팬전력공급선(654a)과, 제 1기판(621)과 제 3기판(640)을 연결하는 전력중계선(65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전력중계선(654b)을 통해, 제 3기판(640)으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제 3기판(640)으로부터 팬모터(31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전력공급선(654a)과 전력중계선(654b)은, 제 1기판(621)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전력선(654)과 히터전력선(653)은, 제 1기판(621) 또는 제 2기판(631)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히터전력선(653a)은, 전력공급선(654a) 및 전력중계선(654b) 각각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히터전력선(653b)은, 전력공급선(654a) 및 전력중계선(654b) 각각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의 배선구조를 설명한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히터(240)가 배치된 블로어(1)에서의 배선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파워선(651)은, 플러그(30)를 통해 외부전원(20)에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30)는, 콘센트(20)에 삽입되어 파워선(651)으로 교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파워선(651)은, 제 2기판(6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기판(631)에 배치된 릴레이(6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633)는, 파워선(651)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릴레이(633)는, 히터전력선(653)을 통해 히터(240)에 선택적으로 교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릴레이(633)는, 반복적인 스위칭(Switching)을 통해 히터(24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외부전원(20)과 릴레이(633) 사이에서 파워선(65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제 2기판(6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릴레이(633)를 향해 연장되는 파워선(65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파워선(651)이 제 2기판(631)과 연결되는 접속단자(631a)와 릴레이(633) 사이에서 분지될 수 있다.
제 2기판(631)에는, 접속단자(631a)와 릴레이(633) 사이에 분지점(651a)이 형성될 수 있고, 바이패스선(652)은, 분지점(651a)으로부터 제 1기판(62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바이패스선(652)은, 파워선(651)을 통해 전달되는 교류전력을 제 1기판(621)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바이패스선(652)을 통해 전달받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623)가 배치될 수 있다.
컨버터(623)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력공급선(654a)을 통해 팬모터(310)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전력중계선(654b)을 통해, 컨버터(623)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전달받은 직류전원을 블로어(1)의 전장품으로 공급하고, 상기 전장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6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제 1기판(621)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제어신호와 함께 전력중계선(654b)을 통해 다시 제 1기판(6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전달받은 전력과 상기 제어신호를 전력공급선(654a)을 통해 팬모터(310)에 전달할 수 있다.
블로어(1)는, 블로어(1)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0)와, 블로어(1)의 구동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와, 블로어(1)에 대한 구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전장품(40, 50, 60, 310, 530, 24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전장품(40, 50, 60, 310, 530, 2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분배선(655)은, 제 3기판(640)과 센서부(40)를 연결하는 제 1전력분배선(655a)과, 제 3기판(640)과 디스플레이부(50)를 연결하는 제 2전력분배선(655b)과, 제 3기판(640)과 입력부(60)를 연결하는 제 3전력분배선(65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센서부(40), 디스플레이부(50) 및 입력부(6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제 1전력분배선(655a)을 통해 센서부(4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제 2전력분배선(655b)을 통해 디스플레이부(5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제 3전력분배선(655c)을 통해 입력부(6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모터(530)와 연결된 모터제어선(656)을 통해, 회전판(5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회전판(520)의 회전명령 또는 회전정지명령을 모터(5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릴레이(633)와 연결된 히터제어선(657)을 통해, 히터(24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 3기판(640)은, 릴레이(633)의 스위칭(Switching) 비율을 조절하도록 명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릴레이(633)는, 제 3기판(640)으로부터 수신받은 명령신호를 바탕으로, 히터(240)의 On/Off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히터(24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의 배선구조를 설명한다.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히터(240)가 배치되지 않은 블로어(1)에서의 배선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히터(24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히터(240)가 부재하므로, 제 2제어부(63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기판(631)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외부전원(20)과 플러그(30)를 통해 연결된 파워선(651)은, 제 1기판(6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기판(621)은, 컨버터(623)를 통해 외부전원(20)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 3기판(640) 및 팬모터(3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기판(621), 제 3기판(640) 및 다른 전장품(40, 50, 60, 530, 310)에 대한 배선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20: 외부전원 100: 흡입모듈
120: 하부케이스 130: 필터
200: 송풍모듈 220: 제 1타워
230: 제 2타워 300: 팬어셈블리
320: 팬 400: 기류변환기
500: 베이스 510: 지지바디
520: 회전판 530: 모터
600: 기판어셈블리 610: 컨트롤박스
620: 제 1제어부 621: 제 1기판
630: 제 2제어부 631: 제 2기판
640: 제 3기판 651: 파워선
652: 바이패스선 660: 받침대

Claims (20)

  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팬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1기판; 및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히터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 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1기판과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 1기판으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제 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로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연장된 파워선이 관통되는 전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홀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블로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선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 2기판과 연결되는 블로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이 안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바디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는 블로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파워선은,
    상기 베이스의 회전중심을 관통하는 블로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팬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3기판을 더 포함하는 블로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기판은,
    상기 제 1기판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팬에 전달하는 블로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고,
    상기 제 3기판은,
    상기 틈의 상측에 위치되는 블로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루프(Roof)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기판은,
    상기 루프의 상측에 안착되는 블로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이 수용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상측에 안착되는 블로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이 안착되는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에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된 틈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블로어.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릴레이;
    상기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파워선; 및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선은,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릴레이 사이에서 상기 파워선으로부터 분지되는 블로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으로부터 상기 팬을 향해 연장되는 팬전력선; 및
    상기 제 2기판으로부터 상기 히터를 향해 연장되는 히터전력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전력선과 상기 히터전력선은, 상기 케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블로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히터전력선은,
    상기 제 2기판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히터 각각을 향하여 복수개가 연장되는 블로어.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팬전력선을 통해 직류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전력선을 통해 교류전원을 인가받는 블로어.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상기 제 2기판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기판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타워케이스와, 상기 제 1타워케이스와 이격되는 제 2타워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이 이격되는 방향은, 상기 제 1타워케이스와 상기 제 2타워케이스가 이격되는 방향과 동일한 블로어.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블로어.
KR1020210007611A 2021-01-19 2021-01-19 블로어 KR10252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611A KR102521854B1 (ko) 2021-01-19 2021-01-19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611A KR102521854B1 (ko) 2021-01-19 2021-01-19 블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51A true KR20220105251A (ko) 2022-07-27
KR102521854B1 KR102521854B1 (ko) 2023-04-14

Family

ID=8270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611A KR102521854B1 (ko) 2021-01-19 2021-01-19 블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8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24B1 (ko) 2012-04-04 2016-09-0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가열 장치
KR101814574B1 (ko) 2013-07-09 2018-01-0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KR20200105463A (ko) * 2018-10-1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20200128997A (ko) * 2019-05-07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24B1 (ko) 2012-04-04 2016-09-0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가열 장치
KR101814574B1 (ko) 2013-07-09 2018-01-0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팬 어셈블리
KR20200105463A (ko) * 2018-10-1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20200128997A (ko) * 2019-05-07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854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5869A (ko) 팬 어셈블리
KR20200087240A (ko) 팬 어셈블리
TWI400411B (zh) Air supply device
EP3273062B1 (en) Blower
GB2588483A (en) Vertical lighting vaneless inverter fan
KR20220105251A (ko) 블로어
KR102127843B1 (ko) 풍향조절장치
EP3922862B1 (en) Blower
KR20130043989A (ko) 공기조화기
EP3879118B1 (en) Blower
JP613800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210012241A (ko) 공기조화기
WO2018235947A1 (ja) 空調室内機
CN112797504B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JP2022180317A (ja) 空気処理装置
CN112880105A (zh) 风机过滤机组的送风单元
KR100813325B1 (ko) 에어콘 실내기의 송풍팬 모듈 착탈구조
JPH0715896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13757188A (zh) 送风机
KR100843458B1 (ko) 에어콘 실내기의 열교환기 안착구조
CN214945262U (zh) 风机的蜗壳导流机构、以及风机过滤机组的送风单元
CN214619967U (zh) 风机过滤机组的送风单元
CN215216472U (zh) 风机过滤机组的送风单元
JP4071258B2 (ja) 空気攪拌装置および空気攪拌方法
CN216203665U (zh) 吊装式室内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