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463A - 가습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463A
KR20200105463A KR1020200108818A KR20200108818A KR20200105463A KR 20200105463 A KR20200105463 A KR 20200105463A KR 1020200108818 A KR1020200108818 A KR 1020200108818A KR 20200108818 A KR20200108818 A KR 20200108818A KR 20200105463 A KR20200105463 A KR 2020010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air purifier
humidification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686B1 (ko
Inventor
김소라
구경진
오초희
반행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2451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123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6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흡입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공을 가지는 어퍼 바디가 포함되어,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저수조가 구비되는 가습장치가 포함되어, 공기의 청정, 송풍 및 가습기능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가습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장치; 및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히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 {Humidifying air cleaner}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가습기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한 가습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가습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종래기술이 소개된다.
1. 한국 등록특허 번호 (등록일자) : 10-1765663 (2011년 12월 30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방법
위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의 전면에서 흡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면서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공기는 가습후 상방으로 방향 전환되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첫째,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수직한 방향으로 꺽이면서 유동하므로, 유동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둘째, 단순히 공기 청정 및 가습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온풍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가습유로 개폐유닛을 별도로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가습을 수행하므로, 제어가 복잡하여 공기 청정기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4가지의 공기조화 기능, 즉 송풍, 공기청정, 가습 및 온풍기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온풍기능을 수행할 때 히터를 토출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가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도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를 면상 히터로 구성함으로써, 히터의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하고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의 흡입부 및 토출부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의 유동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 커버만을 개방하여 간단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성이 개선된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직물 소재로 구성된 가습매체를 사용하여 가습효과가 개선되고 세척이 용이한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퍼 바디의 중앙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식성이 향상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의 면적을 공기 청정기의 본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흡입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공을 가지는 어퍼 바디가 포함되어,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로어 바디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저수조가 구비되는 가습장치가 포함되어, 공기의 청정, 송풍 및 가습기능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가습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장치; 및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히터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저면부 및 필터링 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면부가 포함되어, 필터 성능이 개선된다.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쉬라우드와 홀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팬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디퓨저가 더 포함되어, 공기 유동의 수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쉬라우드 보다 적어도 3배 이상 무겁게 형성되므로, 상기 홀더는 상기 쉬라우드를 가압하여 쉬라우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 구비되며, 물 유입부가 형성되는 상단부를 가지는 물통이 더 포함되어, 사용자의 급수가 용이하다.
상기 물 유입부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유입부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물통 유로가 형성되어, 급수경로와 공기 유로가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수조에는,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내벽을 둘러싸는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수조 내벽의 하부와 상기 저수조 외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저수조의 물 저장공간은 상기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면부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내벽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의 내측에는, 상기 송풍장치와 연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저수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 매체는, 상기 저수조 내벽의 외주면 및 개구된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가습 매체의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가습 매체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물통의 물 유입부에는, 가습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급수가 용이하다.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토출부 및 상기 제 1,2 토출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2 토출부 및 상기 토출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토출장치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터의 가로 폭은 상기 물통 연결부의 가로 폭에 대응되어, 히팅 성능이 개선된다.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유동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토출유로는 제 1,2 토출유로를 전후방으로 구획하여, 토출유동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어, 공기 청정기의 작동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모터가 설치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로어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청정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4가지의 공기조화 기능, 즉 송풍, 공기청정, 가습 및 온풍기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주변온도 및 습도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맞춤형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온풍기능을 수행할 때 히터를 토출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히터가 흡입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가습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도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히터를 면상 히터로 구성하고 토출부의 형상에 맞춰 절곡된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히터의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하고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하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상방으로 유동하여 토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원통 형상의 필터를 배치하여 공기의 유동 면적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필터링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물통 유입부가 공기 유로의 양측에 배치되고, 물통 커버만을 개방하여 간단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물통과 공기유로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간단히 물통의 급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어퍼 바디를 분리한 후 가습장치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습장치의 청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직물 소재로 구성된 가습매체를 사용하여 가습효과가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습매체를 저수조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가습매체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어퍼 바디의 중앙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2개의 토출부 사이에 배치되므로,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면적을 공기 청정기의 본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 청정기의 전도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제 1 케이스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상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가습매체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 및 가습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내주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내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와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XIX-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 이하 공기청정기)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본체(200,300)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200,3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횡단면적은 상기 본체(200,30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공기청정기(1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가로 방향, 즉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300)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로어 바디(200)가 포함된다. 상기 로어 바디(20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설정된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210,22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210,220)의 하부 외주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212)는 다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공기의 흡입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22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210,220)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공(228)이 포함된다. 상기 관통공(228)은 물통(240, 도 12 참조)이 위치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에 구비되는 밸브(248, 도 13 참조)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관통공(228)에 의하여 상기 물통(240)의 내부는 대기압을 형성하므로 상기 물통(240)에 저장된 물은 저수조(231, 도 12 참조)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220)에는, 제 1 케이스(210) 및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상측에 맞춰지는 제 2 케이스(2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케이스(210,220)의 내경 및 외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2 케이스(210,220)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하나의 케이스로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200,300)에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 바디(3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 중앙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로어 바디(20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길쭉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어퍼 바디(300)가 결합되고, 상단 양측부에는 급수를 위한 물통 커버(251,2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 커버(251,255)는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325)을 가지는 토출장치(310) 및 상기 토출장치(3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380)가 포함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베이스(1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로어 바디(200)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개구된 상부를 가지며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고정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로어 바디(200) 및 어퍼 바디(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케이스(210,220) 및 상기 케이스(210,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품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송풍, 공기청정 및 가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장치(110)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장치(110)는 상기 베이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는 상기 지지장치(11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장치(110)는 상기 제 1 케이스(210) 및 상기 내부 케이스(26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입부(212)에 연통되는 흡입 개구부(111a, 도 9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 개구부(111a)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2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265)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측 하부에는 필터(270)가 지지되며, 내측 상부에는 가습장치(230)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265)에는 체결부재(269, 도 11 참조)에 의하여 송풍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265)는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 1,2 케이스(210,220)에 결합(체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장치(110)의 흡입 개구부(111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지나는 필터(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270)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25~35mm)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경에 맞춰지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70)는 내부가 차 있는 필터로 구성되며, 공기는 상기 필터(270)의 저면으로 유입되어 필터링 되며, 필터링 된 공기는 상기 필터(270)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필터(270)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필터지지부(27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지지부(275)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27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지지부(275)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필터(27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지지부(275)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공(275a,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필터(270)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송풍장치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필터(27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장치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280) 및 상기 팬(280)에 결합되는 팬 모터(282)가 포함된다.
상기 팬(280)에는 축방향으로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280)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가이드 하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282)는 상기 팬(280)의 상측에 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팬(280)을 지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음재(281)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음재(281)는 다공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60)는 상기 팬(28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팬(280)의 하단부를 향하여 공기를 모아주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는 상기 팬(28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7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팬(28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는 상기 필터(27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는 상기 필터(2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설정거리(S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가 상기 필터(270)에 접촉되거나 너무 가까이 위치하면 상기 필터(270) 주변에서의 유동 저항이 발생하여 흡입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기 설정거리(S1)를 20mm 이상 확보하는 것으로 제안한다 (도 11 참조).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쉬라우드(260)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284)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홀더(284)는 상기 쉬라우드(260)보다 더 무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는 금속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쉬라우드(26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홀더(284)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의 무게는 상기 쉬라우드(260) 무게의 3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284)의 무게는 상기 쉬라우드(260) 무게의 약 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264)가 상기 쉬라우드(260)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264)는 상기 쉬라우드(26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쉬라우드(260)에서의 진동에 따른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의 내부에는 상기 팬(280)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284)는 상기 팬(28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팬 하우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공기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60)와 상기 홀더(284)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2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홀더(284)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팬(280)을 통과하면서 상기 홀더(284)의 내주면측으로 발산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모아주는 디퓨저(28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퓨저(286)는 상기 팬 모터(28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팬(280)과 디퓨저(286)는 하나의 팬 모터(282)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디퓨저(286)의 상측에 배치되는 디퓨저 가이드(288)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퓨저 가이드(288)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디퓨저(28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퓨저(286)의 외주면과 상기 디퓨저 가이드(288)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디퓨저(286)를 지나는 공기 유로가 형성한다.
상기 로어 바디(200)에는, 상기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습장치(23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습장치(230)는 상기 디퓨저(286)의 출구측, 즉 상기 디퓨저(28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물통(240) 및 상기 물통(240)에 저장된 물이 집수되는 저수조(231)가 포함된다. 상기 물통(240)은 상기 저수조(23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31)에는 가습매체(2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상기 물통(24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습커버(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물통(240)의 상단부에는 개구된 물 유입부(245)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커버(250)는 상기 물 유입부(245)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커버(250)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통(24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를 지난 공기는 상기 가습매체(235)를 지나면서 가습되며, 가습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어퍼 바디(300)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케이스(210,220)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측에는 어퍼 바디(300)가 결합된다.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가습장치(23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0)는 상기 로어 바디(200)에 결합되어,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0)에는 상기 가습장치(230)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배출시키는 토출장치(3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장치(310)에는 온풍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에는, 히터(3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300)에는, 상기 토출장치(31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38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토출장치(310)에는, 상기 가습장치(230)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유로(351,355, 도 23 참조)를 형성하는 토출본체(320)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토출본체(320)의 내부공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토출부(320a,320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토출부(320a,320b)에는,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토출부(320a) 및 상기 로어 바디(200)의 상단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토출부(32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에는, 각각 토출공(3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325)은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에 각각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320c)가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 연결부(320c)는 상기 제 1 토출부(320a)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2 토출부(320b)의 하부를 향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기 가습 장치(230)의 물통(240)에 결합되는 물통 결합부(3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 결합부(328)는 상기 토출 연결부(320c)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는,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 및 상기 토출 연결부(320c)의 구성에 의하여,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3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330)는 상기 토출 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330)에는 면상 히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330)는 상기 토출 본체(3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기 토출 본체(3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서로 결합되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에는, 제 1 파트(321) 및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 2 파트(3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321,322)가 결합되면, 그 내부에 토출유로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본체(320)에는, 상기 제 1,2 파트(321,3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방부는 개구되며, 제 1 히터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1) 및 상기 제 1 히터는 U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의 전방부는 개구되며, 제 2 히터는 제 2 파트(322)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파트(322) 및 상기 제 2 히터는 U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80)의 하측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지지부(3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329)는 상기 제 2 파트(322)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329)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하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의 토출유로에는 상기 토출장치(3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공(325)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3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340)는 상기 히터(330)의 출구측, 즉 상기 히터(3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340)는 상기 토출본체(3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토출공(325)으로 가이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제 1 케이스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상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0)의 상측에는, 제 1 케이스(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1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장치(11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11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지지 본체(11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지지 본체(111)는 상기 제 1 케이스(210)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열간 압입의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본체(111)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흡입부(212)에 정렬되는 흡입 개구부(111a)를 가진다.
상기 지지장치(110)에는, 상기 지지 본체(111)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케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한 베이스(100)의 상부공간을 덮는 모터 커버(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커버(113)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 본체(111)의 하부는 상기 모터 커버(113)의 원주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10)에는, 상기 모터 커버(113)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장치(1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중심 브라켓(11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중심 브라켓(114)은 상기 모터 커버(1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에는, 개구된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02)가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10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모터 커버(113)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베이스 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홈(115)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홈(115)에는 상기 지지장치(11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홈(115)은 상기 지지장치(110)의 회전 가이드홈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축 지지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축 지지부(106)의 상단부는 상기 모터 커버(113)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축 지지부(106)에는 중심축(116)이 삽입되며, 상기 중심축(116)은 상기 중심 브라켓(114)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축 지지부(106)의 내부에서 자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10)가 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116)은 상기 지지장치(110)의 안정적인 회전을 가이드 한다.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 하우징(115a)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15a)은 상기 축 지지부(106)의 측방에 배치되며, 회전모터(1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15a)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터 하우징(115a)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모터(1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115)에는 모터 축(115b)이 결합된다. 상기 모터 축(115b)은 상기 회전모터(11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축(115b)에는 링크(115c)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링크(115c)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115c)의 일측부는 상기 모터 축(115b)에 결합되며, 타측부는 상기 일측부에 대하여 절곡되어 상기 모터 커버(113)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축(115b)이 회전하면 상기 링크(115c)는 상기 모터 축(115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모터 커버(113)에는 회전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113)는 상기 중심축(116)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상하 방향(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113), 즉 상기 지지장치(110)가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가습매체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는 로어 바디(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물통(240) 및 상기 물통(2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저수조(231)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통(2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에는 상부가 개방된 물통 본체(24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물통 본체(24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상부에는,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 유입부(245a,245b)가 포함된다. 상기 물 유입부(245a,245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유입부(245a) 및 제 2 유입부(24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에는 가습 커버(2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 본체(241)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통 외벽(242)과, 상기 물통 외벽(242)의 내부에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통 내벽(243) 및 상기 물통 외벽(242)의 하단부와 상기 물통 내벽(243)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물통 저면부(2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 외벽(242)의 상단부와 상기 물통 내벽(243)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를 형성한다.
상기 물통 외벽(242)의 외주면과 상기 물통 내벽(243)의 외주면 사이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 저장공간(24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물통 저장공간(246)은 상기 물통 외벽(242)과 상기 물통 내벽(243)에 의하여 정의되며, 환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물통 내벽(243)의 내측에는 공기유로(241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로(241a)에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세히,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241a)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241a)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물통 내벽(243)의 내부 공간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구성에 기인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 저장공간(246)은 상기 공기유로(24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하부에는 내부 케이스(265)의 돌기 홈(266, 도 18 참조)에 끼워지는 돌기(249)가 포함된다. 상기 돌기(249)는 상기 물통(240)의 하부 외주면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231)는 상기 물통(240)의 하측에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저수조(231)의 상단 테두리 외측에 상기 물통(240)의 하부 테두리가 배치되도록, 상기 저수조(231)의 상부는 상기 물통(24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231)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공기유로(231b)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 저수조 저장공간(231a)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은 상기 저수조(231)의 공기유로(23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공기유로(241a)를 "물통 유로", 상기 저수조(231)의 공기유로(231b)를 "저수조 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수조(231)에는, 원통형의 저수조 외벽(232)과, 상기 저수조 외벽(23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저수조 내벽(233) 및 상기 저수조 외벽(232)의 하부와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수조 저면부(234)가 포함된다. 상기 저수조 외벽(232)과, 상기 저수조 내벽(233) 및 상기 저수조 저면부(244)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수조(231)로 낙하하여,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물통 저면부(244)에는, 밸브(2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248)는, 상기 물통(240)이 상기 저수조(231)의 상측에 결합될 때 상기 상기 저수조(231)의 저수조 저면부(234)에 구비되는 밸브 돌기(234a)에 의하여 눌러져서 개방되며, 상기 물통(240)의 물은 개방된 밸브(248)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231)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밸브(248)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240)이 상기 저수조(23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248)는 상기 밸브 돌기(234a)로부터 이격되어 닫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240)으로부터 상기 저수조(231)로의 물 유입은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유로(231b)는 상기 저수조(231)의 상부 및 하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내측에는 저수조 유로(231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저수조 유로(231b)는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개구된 하부로부터 개구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유로(231b)의 하측에는 송풍장치의 공기유로가 연통되며, 상기 저수조 유로(231b)의 상측에는 상기 물통 유로(241a)가 연통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가습장치(230)의 중앙측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되어 공기유로(231b,241a)를 형성하며, 물 저장공간(231a,246)은 상기 공기유로(231b,241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231b,241a)에는, 저수조 유로(231b) 및 상기 저수조 유로(231b) 상측의 물통 유로(241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물 저장공간(231a,246)에는 저수조 저장공간(231a) 및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 상측의 물통 저장공간(246)이 포함된다.
상기 저수조(231)에는, 가습매체(235)가 구비된다. 상기 가습매체(235)는 물의 흡수가 용이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매체(235)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235)는 상기 저수조 저장공간(231a)의 물에 담겨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외주면 및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235)의 일부분이 물에 적셔지면, 가습매체(235) 전체 부분으로 물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내벽(233)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가습매체(235)에 의하여 가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매체(235)는 고정부재(236)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23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236)에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링 부재 또는 와이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36)는 상기 가습매체(23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23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에는, 물통(240)의 물 유입부(245a,245b)를 커버하기 위한 가습 커버(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습 커버(250)는 제 2 케이스(220)에 지지되며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개구된 상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차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물 유입부(245a,245b)는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 커버(250)에는, 제 1 커버(251) 및 상기 제 1 커버(2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버(25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커버(251)에는, 개구부(252c)를 정의하는 링 형상의 제 1 커버본체(252a) 및 제 1 물 유입부(245a) 또는 제 2 물 유입부(2435b)를 커버하는 차폐부(252b)가 포함된다. 상기 차폐부(252b)는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로부터 제 1 커버(251)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반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와 상기 차폐부(252b)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에는, 상기 제 2 커버(255)를 지지하는 지지 턱(253)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 턱(253)은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의 상면에 단차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본체(252a)의 외주면에는, 제 2 케이스(2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자석부재(258a)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습커버(250)를 지지하는 커버지지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지지부(225)는 상기 제 2 케이스(220)의 상부 내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가습커버(250)의 하단부는 상기 커버지지부(225)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자석부재(258a)는 상기 커버지지부(225) 상측의 제 2 케이스(220) 내주면에 자력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20)는 제 1 자석부재(258a)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255)는 대략 반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커버(255)는 상기 차폐부(252b)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커버(255)에는, 상기 제 1 지지턱(253)에 지지되는 제 2 지지턱(257)을 가지는 제 2 커버본체(25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본체(256)에는, 상기 제 1 커버(251)에 자력 결합되는 제 2 자석부재(258b)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자석부재(258b)는 상기 제 2 커버본체(256)의 내부에 심어져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251)는 상기 제 2 자석부재(258b)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커버(250)에는, 물통(240)의 물통 유로(241a)에 연통되는 공기유로(250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로(250a)를 "커버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250a)는 상기 가습커버(25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로(250a)의 양측에는 상기 차폐부(252b) 및 상기 제 2 커버(255)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2b)는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며, 상기 제 2 커버(255)는 상기 다른 하나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252b) 및 상기 제 2 커버(255)가 어떠한 물 유입부를 차폐하는지 여부는, 상기 가습 커버(250)가 상기 제 2 케이스(220)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250a)에는, 토출장치(310)의 물통 결합부(32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로(250a)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물통 결합부(328)를 통하여 상기 토출장치(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 및 가습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내주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내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는 내부 케이스(265)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240)에 구비되는 돌기(249)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돌기 홈(266)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66)은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에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66)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 홈(266)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홈부(266a) 및 상기 제 1 홈부(266a)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꺽여지는 제 2 홈부(266b)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 홈(266)은 상기 제 1,2 홈부(266a,266b)에 의하여 "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240)의 장착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물통(240)은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 때 상기 돌기(249)는 상기 돌기 홈(266)의 제 1 홈부(266a)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240)을 상하방향 기준 시계(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249)는 상기 제 2 홈부(266b)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249)가 상기 제 2 홈부(266b)에 걸림이 이루어지면 상기 물통(240)의 회전은 중단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265)로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에는, 저수조(231)를 지지하는 케이스 턱(267)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턱(267)은 상기 내부 케이스(26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돌기 홈(266)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턱(267)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에는, 쉬라우드(260), 홀더(284) 및 디퓨저(286)가 송풍장치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60)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쉬라우드 유로(260a)가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는 상기 쉬라우드(260)의 하단부(유입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유로 폭(d1)이 감소 후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260)로의 유입 속도가 증가하여 팬(28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홀더(284)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홀더 유로(284a)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유로(284a)는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와 연통되며,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 유로(284a)의 폭(d2)은 상기 쉬라우드 유로(260a)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284)의 내부에는 팬(280)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260)의 외경과 상기 홀더(284)의 외경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260)와 상기 홀더(284)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286)는 상기 홀더(284)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팬(280)을 통과하면서 상기 홀더(284)의 내주면측으로 발산된 공기를 송풍장치의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28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디퓨저(286) 상측에 설치되는 가습장치(230)의 공기유로(231b,241a)를 통과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와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19의 XIX-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퍼 바디(300)에는, 토출본체(320)가 구비되는 토출장치(310) 및 상기 토출장치(310)에 결합되며 공기청정기(10)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80)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2 토출부(320a,32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8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전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공(3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325)은 슬릿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320c)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토출부(320a,320b) 및 상기 토출 연결부(320c)에 의하여, 상기 토출본체(320)는 절곡된 형상, 일례로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출 연결부(320c)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240)에 결합되는 물통 결합부(328)가 돌출된다. 상기 물통 결합부(328)는 상기 제 1,2 유입부(245a,245b)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물통 본체(24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 결합부(328)는 상기 물통 유로(24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본체(32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351,35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351,355)에는 히터(331,3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본체(320)는 2개의 파트(321,322)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321,322)에는, 상기 토출공(325)을 형성하는 제 1 파트(321) 및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측에 결합되는 제 2 파트(3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321,322)의 내부 공간은 상기 토출유로(351,35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파트(321,322)는 각각 U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1)에는 제 1 히터(331)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파트(321)에는 상기 제 1 히터(331)가 설치되는 제 1 함몰부(3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321a)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히터(331)는 상기 물통 연결부(328)의 상측 및 상기 토출본체(320)의 전방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히터(331)는 면상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파트(3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에는 제 2 히터(332)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파트(322)에는 상기 제 2 히터(332)가 설치되는 제 2 함몰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부(322a)는 상기 제 2 파트(321)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히터(332)는 상기 물통 연결부(328)의 상측 및 상기 토출본체(320)의 후방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히터(332)는 면상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파트(3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물통 연결부(328)의 폭(Wo)에 대응하는 가로 폭을 가지는 제 1,2 히터(331,332)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물통 연결부(328)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 1,2 히터(331,332)의 발열 면을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토출본체(320)의 내부에는, 히터(331,332)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가이드(340)에는, 상기 제 1 파트(321)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히터(331)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토출공(325) 측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34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제 1 히터(3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토출유로(351,355)를 제 1 토출유로(351) 및 제 2 토출유로(355)로 구획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는 상기 제 1 토출유로(351)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제 1,2 토출유로(351,35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유로(351)는 상기 제 1 히터(331)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며,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는 상기 제 2 히터(33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2 토출유로(351,355)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는 상기 토출본체(320)의 대략 중앙부 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의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 본체(320)의 전방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절곡부(34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341a)는 상기 제 1 토출유로(351)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341)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는 다수의 토출공(325)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토출공(325)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340)에는, 상기 제 2 파트(322)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히터(332)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토출공(325) 측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3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342)는 상기 제 1 가이드(34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가이드(34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341)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가이드(342)의 하단부 사이에는 이격부(357)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357)는 상기 제 2 토출유로(355)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357)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는 전방으로 꺽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유로(355)의 공기는 상기 이격부(357)를 지나면서 상기 토출본체(320)의 전방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342)의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 본체(320)의 전방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절곡부(34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절곡부(342a)는 상기 제 2 토출유로(355)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34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는 다수의 토출공(325) 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토출공(325)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4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10)에서의 공기유동을 설명한다. 팬(280)이 구동하면, 공기는 공기청정기(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부(212)를 통하여 로어 바디(200)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필터(270)의 저면으로 유입되어 상면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270)에서 배출된 공기는 쉬라우드(260)로 흡입되어 팬(280)을 통과하고 홀더(284) 및 디퓨저(286)를 통과한다.
상기 디퓨저(286)에서 배출된 공기는 가습장치(230)의 저수조 유로(231b) 및 물통 유로(241a)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230)에서 배출된 공기는 토출장치(310)의 물통 연결부(328)를 통하여 토출 본체(320)의 내부로 유동한다.
공기는 상기 토출 본체(3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배치된 제 1,2 히터(331,332)를 지나면서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제 1 가이드(341)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 1,2 토출유로(351,355)로 분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유로(351)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가이드(341)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토출공(325)으로 안내되며, 상기 제 2 토출유로(355)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가이드(342)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토출공(325)으로 안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로어 바디(200) 및 어퍼 바디(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115)가 구동하면, 링크(115c)의 작용에 의하여 지지장치(110)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110)에 결합된 내부 케이스(265) 및 제 1,2 케이스(210,220)는 축방향(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265)에 결합 또는 지지된 송풍장치 및 가습장치(230)도 함께 회전하므로, 상기 로어 바디(200)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30)의 상측에는 어퍼 바디(300)가 결합되므로, 상기 어퍼 바디(300) 또한 상기 로어 바디(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 바디(300)가 회전하여 토출공(325)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에 의한 공기청정 면적이 커질 수 있다.
10 : 공기 청정기 100 : 베이스
200 : 로어 바디 210,220 : 케이스
230 : 가습장치 231 : 저수조
240 : 물통 250 : 가습 커버
260 : 쉬라우드 265 : 내부 케이스
270 : 필터 280 : 팬
284 : 홀더 286 : 디퓨저
300 : 어퍼 바디 310 : 토출장치
320 : 토출 본체 330 : 히터
340 : 유동 가이드 351,355 : 토출유로

Claims (22)

  1. 흡입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며 토출공을 가지는 어퍼 바디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로서,
    상기 로어 바디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가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가습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장치; 및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분기유로;
    상기 제 1 토출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분기유로; 및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 1 분기유로 및 상기 제 2 분기유로로 분기되도록 상기 제 1,2 분기유로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유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는,
    상기 제 1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제 1 토출부;
    상기 제 2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제 2 토출부;
    상기 토출유로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2 토출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토출 연결부; 및
    상기 토출 연결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유로와 결합되는 물통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는,
    가습 매체가 설치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의 상측에 구비되며, 물 유입부가 형성되는 상단부를 가지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저수조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장치와 연통하는 저수조 유로; 및
    상기 물통에 형성되는 물통 유로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내벽을 둘러싸는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수조 내벽의 하부와 상기 저수조 외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면부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물 저장공간은,
    상기 저수조 내벽, 상기 저수조 외벽 및 상기 저면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벽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 내벽의 내측에는, 상기 저수조 유로가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매체는,
    상기 저수조 내벽의 외주면 및 개구된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매체는,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부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물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 유로는, 2개의 상기 물 유입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습 공기 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물 유입부에는, 가습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커버는,
    상기 2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가지는 제 1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2개의 유입부 중 다른 하나를 차폐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가로 폭은 상기 물통 결합부의 가로 폭에 대응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는, 상기 토출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유로를 전후방부로 구획하는 유동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토출유로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제 1 히터; 및
    상기 토출유로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는, 절곡된 형상의 면상 히터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에는,
    상기 제 1,2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모터가 설치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로어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송풍장치 및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흡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는 가습 공기청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저면부; 및
    필터링 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면부가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에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에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쉬라우드와 홀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팬이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측에 결합되는 디퓨저가 더 포함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200108818A 2018-10-18 2020-08-27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8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18A KR102386686B1 (ko) 2018-10-18 2020-08-27 가습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513A KR102151236B1 (ko) 2018-10-18 2018-10-18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200108818A KR102386686B1 (ko) 2018-10-18 2020-08-27 가습 공기청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513A Division KR102151236B1 (ko) 2018-10-18 2018-10-18 가습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463A true KR20200105463A (ko) 2020-09-07
KR102386686B1 KR102386686B1 (ko) 2022-04-14

Family

ID=8121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18A KR102386686B1 (ko) 2018-10-18 2020-08-27 가습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251A (ko) * 2021-01-19 2022-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390A (ja) * 1993-08-30 1995-03-07 Hitachi Ltd 流体移送システム
KR101461849B1 (ko) *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KR20170051201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장치
KR20180029939A (ko) * 2017-10-24 2018-03-21 류이하 습식 공기세척기
KR101885999B1 (ko) * 2017-06-16 2018-08-06 김동선 선풍기, 온풍기, 공기청정기, 헤어드라이어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송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390A (ja) * 1993-08-30 1995-03-07 Hitachi Ltd 流体移送システム
KR101461849B1 (ko) *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KR20170051201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장치
KR101885999B1 (ko) * 2017-06-16 2018-08-06 김동선 선풍기, 온풍기, 공기청정기, 헤어드라이어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송풍장치
KR20180029939A (ko) * 2017-10-24 2018-03-21 류이하 습식 공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251A (ko) * 2021-01-19 2022-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686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236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120076284A (ko) 가습 장치
JP7174082B2 (ja) スチームジェネレータ
JP5953196B2 (ja) 加湿装置
KR20180070525A (ko) 공기청정기
KR20160149871A (ko) 기화식 가습기
KR102165914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86686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2012037144A (ja) 加湿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加湿装置
KR102033061B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CN217844148U (zh) 一种加湿器
KR20160014216A (ko) 가습기
KR102165911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6081639B2 (ja) 加湿装置
KR102122582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1849084B1 (ko) 수차 및 수차가 구비된 가습장치
JPH0593525A (ja) 冷風扇の導水装置
JP2014031967A (ja) 加湿装置
CN217715261U (zh) 一种加湿器
CN218237692U (zh) 一种加湿器
KR10253171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CN218820775U (zh) 一种加湿器
JP6081010B2 (ja) 加湿装置
JP6277293B2 (ja) 加湿装置
CN212431105U (zh) 空气清洗装置及空调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