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240A - 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240A
KR20200087240A KR1020207017548A KR20207017548A KR20200087240A KR 20200087240 A KR20200087240 A KR 20200087240A KR 1020207017548 A KR1020207017548 A KR 1020207017548A KR 20207017548 A KR20207017548 A KR 20207017548A KR 20200087240 A KR20200087240 A KR 20200087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flow
air outlet
nozz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925B1 (ko
Inventor
토마스 리차드 모그리지
라이언 알렉산더 휴즈
제임스 그레고리 포레스트
스티븐 에드워드 피트
조셉 로버트 칼링
제임스 헨리 캠벨 테리-콜린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6Fan casings comprising more than on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04D29/547Ducts having a special shape in order to influence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4Casings or housings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Abstract

팬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 팬 어셈블리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 및 제 1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보어(bore)를 규정하고,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의 일부분에 의해 팬 어셈블리 외부의 공기가 보어를 통해 흡인되고, 공기는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팬 어셈블리는 제 2 공기 출구를 더 포함하고,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보어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지 않아 비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팬 어셈블리
본 발명은 팬 어셈블리 및 팬 어셈블리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정용 팬은 일반적으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일 세트의 블레이드 또는 베인, 및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그 일 세트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의 운동 및 순환은 "풍속 냉각(wind chill)" 또는 미풍(breeze)을 생성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열이 대류 및 증발을 통해 소산됨에 따라 냉각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케이지 내부에 위치되고, 이 케이지는, 사용자가 팬의 사용 동안에 회전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 흐름이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US 2,488,467에는,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해 케이지식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팬이 기재되어 있다. 대신에, 팬 어셈블리는 공기 흐름을 기부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수용하는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되는 일련의 동심 환형 노즐을 포함하고, 각 노즐은 공기 흐름을 팬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노즐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환형 출구를 포함한다. 각 노즐은 보어 축선 주위에 연장되어 보어를 형성하고, 이 보어 주위에는 노즐이 연장되어 있다.
각 노즐은 에어포일의 형태로 되어 있고 그래서 노즐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선두 가장자리, 노즐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후미 가장자리, 및 선두 가장자리와 후미 가장자리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코드(chord) 라인을 갖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US 2,488,467에서 각 노즐의 코드 라인은 노즐의 보어 축선에 평행하다. 공기 출구는 코드 라인에 위치되며, 또한 코드 라인을 따라 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배출하도록 배치된다.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해 케이지식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팬 어셈블리가 WO 2010/10045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팬 어셈블리는, 주 공기 흐름을 기부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수용하는 원통형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되고 주 공기 흐름이 팬에서 배출될 때 통과하는 환형 입구부/출구를 포함하는 단일의 환형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개구를 규정하고, 팬 어셈블리의 국부적인 환경 내의 공기가 입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주 공기 흐름에 의해 그 개구를 통해 흡인되어 주 공기 흐름을 증폭시킨다. 노즐은 코안다(Coanda) 표면을 포함하고, 입구부는 주 공기 흐름을 그 코안다 표면 위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코안다 표면은 개구의 중심 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있어, 팬 어셈블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흐름은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프로파일을 갖는 환형 젯트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폭 공기 흐름 또는 비증폭 공기 흐름을 전달하거나 또는 증폭 공기 흐름과 비증폭 공기 흐름 둘 다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사용자에게 공기가 팬 어셈블리에 의해 어떻게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팬 어셈블기의 사용자가 증폭 공기 흐름의 제공으로 생성되는 냉각 효과 없이 팬 어셈블리의 사용자가 정화 공기를 팬 어셈블리로부터 계속 받고자 원할 수 있음에 따라 팬 어셈블리가 정화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 팬 어셈블리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 및 제 1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보어(bore)를 규정하고, 상기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팬 어셈블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어를 통해 흡인되고, 상기 공기는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팬 어셈블리는 제 2 공기 출구를 더 포함하고,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지 않아 비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상기 팬 어셈블리로부터 갈라지도록,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된다.
모터 구동식 임펠러에 의해 팬 어셈블리를 통해 흡인되어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해 팬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이하 주 공기 흐름이라고 한다.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이 주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노즐 주변의 공기를 동반하게 되고, 그래서 주 공기 흐름 및 동반 공기 둘 다를 사용자에에 공급하는 공기 증폭기로서 작용하게 된다. 동반 공기를 이하 이차 공기 흐름이라고 한다. 이 이차 공기 흐름은 방 공간, 노즐 주변의 영역 또는 외부 환경으로 부터 흡인된다. 그러므로 주 공기 흐름은 동반 이차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노즐의 잔방부로부터 앞으로 보내지는 결합된 또는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주 공기 흐름의 일부분은 상당한 이차 공기 흐름을 동반하지 않으며 그래서 여기서 비증폭 공기 흐름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팬 어셈블리는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그 공기 흐름을 정화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노즐은 바람직하게는 루프를 포함한다. 노즐은 환형 형상 및 기다른 환형 형상 중의 어느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는 팬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팬 본체에 장착되고 또한 그 팬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팬 본체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상기 팬 본체로부터 갈라지도록,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노즐은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갈라지도록,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 2 공기 출구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의 덕트가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공기 출구는,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제 1 공기 출구는,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공기 출구는, 이 제 1 공기 출구의 덕트가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팬 어셈블리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이 밸브는 밸브의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있을 때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노즐은 상기 제 1 공기 출구, 제 2 공기 출구 및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둘 다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노즐의 상기 내부 통로 내에 제공된다.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의 형상은 내부 통로의 정렬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밸브는 노즐의 내부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제 1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를 내부 통로 내의 공기 흐름으로부터 차단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 1 공기 출구를 내부 통로 내의 공기 흐름으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통로에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 및 제 2 공기 흐름 채널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은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기 흐름 채널은 공기 흐름을 상기 제 2 공기 출구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는, 제 1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2 공기 흐름 채널을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을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플이 상기 내부 통로 내에 제공되어 있고, 배플은 내부 통로 내에서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과 제 2 공기 흐름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중의 한 위치에서 상기 배플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 또는 제 2 공기 흐름 채널을 내부 통로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밸브는,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도록 상기 밸브 부재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밸브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구동기는 밸브 모터 및 수동 구동식 다이얼 또는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구동기는 랙을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랙은 상기 밸브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랙이 움직이면 밸브 부재가 움직이게 된다. 랙과 밸브 부재 사이의 연결은 캠-종동자 쌍에 의해 제공되고, 캠은 상기 랙과 밸브 부재 중의 하나에 제공되고, 종동자는 상기 랙과 밸브 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캠과 상호 협력한다.
밸브 구동기는 밸브 액츄에이터를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밸브 액츄에이터는 밸브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밸브 액츄에이터가 움직이면 밸브 부재가 움직이게 된다. 밸브 액츄에이터와 밸브 부재의 연결은 캠-종동자 쌍에 의해 제공되고, 캠은 상기 밸브 액츄에이터와 밸브 부재 중의 하나에 제공되고, 종동자는 상기 밸브 액츄에이터와 밸브 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캠과 상호 협력한다. 밸브 구동기는 랙을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랙은 밸브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있어, 랙이 움직이면 밸브 액츄에이터가 움직이게 된다.
랙은 상기 내부 통로의 정렬된 부분의 아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 형상을 가지며, 밸브 구동기는 랙의 원형 운동을 일으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밸브 액츄에이터가 상기 아치형 랙의 제 1 단부에 연결되고, 제 2 밸브 액츄에이터가 상기 아치형 랙의 제 2 단부에 연결된다. 제 1 밸브 액츄에이터를 제 1 밸브 부재에 연결하는 캠-종동자 쌍의 캠은 상기 제 2 밸브 액츄에이터를 제 2 밸브 부재에 연결하는 캠-종동자 쌍의 캠과는 반대되는 배향을 갖는다.
노즐은 하나 보다 많은 제 1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밸브는 하나 보다 많은 제 1 공기 출구 각각에 대응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공기 흐름을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노즐은 하나 보다 많은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밸브는 하나 보다 많은 제 2 공기 출구 각각에 대응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공기 흐름을 대응하는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하나 보다 많은 밸브 부재 각각은,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팬 어셈블리용 노즐이 제공되며, 이 노즐은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흐름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 제 1 공기 출구; 및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노즐은 보어(bore)를 규정하고, 상기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팬 어셈블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어를 통해 흡인되고, 상기 공기는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지 않아 비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밸브를 더 포함하며, 이 밸브는 밸브의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있을 때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공기 출구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의 덕트가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공기 출구는,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공기 출구는,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보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공기 출구는, 이 제 1 공기 출구의 덕트가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노즐은 공기를 공기 입구로부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포함한다. 밸브는 노즐의 내부 통로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임펠러,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임펠러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을 받도록 배치되는 제 2 양태에 따른 노즐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a는 팬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팬 어셈블리의 제 1 실시 형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 선을 따라 취한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B-B 선을 따라 취한 팬 어셈블리의 노즐을 통과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a 및 1b의 팬 어셈블리의 주 본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a 및 1b의 팬 어셈블리의 정화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6b는 도 1a 및 1b의 팬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천공된 쉬라우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a 및 1b의 팬 어셈블리의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a 및 1b의 팬 어셈블리의 밸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팬 어셈블리를 위한 노즐의 제 2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팬 어셈블리를 위한 노즐의 제 2 실시 형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0a는 제 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도 9b의 B-B 선을 따라 취한, 도 9a 및 9b의 노즐의 한 단면을 통과한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 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도 9b의 B-B 선을 따라 취한, 도 9a 및 9b의 노즐의 한 단면을 통과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a 및 9b의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a 및 9b의 노즐의 밸브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a는 팬 어셈블리를 위한 노즐의 제 3 실시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팬 어셈블리를 위한 노즐의 제 3 실시 형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4a는 제 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도 13b의 B-B 선을 따라 취한, 도 9a 및 9b의 노즐의 한 단면을 통과한 단면도이다.
도 14b는 제 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도 13b의 B-B 선을 따라 취한, 도 9a 및 9b의 노즐의 한 단면을 통과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a 및 13b의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도 13a 및 13b의 노즐의 밸브의 정면 사시도이다.
지금부터, 증폭 공기 흐름 또는 비증폭 공기 흐름을 전달하거나 또는 증폭 공기 흐름과 비증폭 공기 흐름 둘 다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사용자에게 공기가 팬 어셈블리에 의해 어떻게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팬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팬 어셈블리" 라는 용어는, 열적 편안함 및/또는 환경적 또는 기후 제어의 목적으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켜 전달하도록 구성된 팬 어셈블리를 말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는 제습된 공기 흐름, 가습된 공기 흐름, 정화된 공기 흐름, 여과된 공기 흐름, 냉각된 공기 흐름 및 가열된 공기 흐름 중의 하나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0)는,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 들어갈 때 통과하는 공기 입구(1110)를 포함하는 본체 또는 스탠드(1100), 공기 입구(1110) 위에서 본체(1100)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 가능한 정화 필터/필터 어셈블리(1200), 및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개구(1115)에 장착되는 노즐(1300)을 포함한다. 노즐(1300)은 주 공기 흐름을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공기 출구(1310), 주 공기 흐름을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제 2 공기 출구(1320), 및 밸브(1400)를 포함하고, 이 밸브는 밸브(1400)의 밸브 부재(1410)의 위치에 따라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1310)와 제 2 공기 출구(1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노즐(1300)은, 공기를 노즐(1300)의 공기 입구(1340)로부터 제 1 공기 출구(1310)와 제 2 공기 출구(1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1330)를 포함한다. 노즐(1300)은 또한 중심/내부 개구/보어(1500)를 규정하고, 이를 통해 팬 어셈블리(1000) 외부의 공기가 제 1 출구(1310)로부터 배출된 주 공기 흐름에 의해 흡인되며, 그 공기는 배출된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노즐(1300)은 보어(1500)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그 보어를 둘러싸는 루프를 형성한다.
노즐(1300)의 제 2 공기 출구(1320)는, 내부 통로(1330)로부터 공기 흐름을 받고 또한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를 통해 팬 어셈블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이 없이 공기 흐름을 배출하여 비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2 공기 출구(1320)는 배출된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발산하거나 갈라지도록 그 배출된 공기 흐름을 보내도록 배치된다. 특히, 제 2 공기 출구(1320)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발산하거나 갈라지도록, 즉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발산하거나 갈라지도록 그 비증폭 공기 흐름을 보내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공기 출구(1320)는 비증폭 공기 흐름을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즉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로, 더 바람직하게는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70도 내지 110도의 각도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 2 공기 출구(1320)는 공기가 보어(1500)를 통해 흡인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비증폭 공기 흐름을 보내도록 배치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자유 직립형 환경 제어 팬 어셈블리(100)의 제 1 실시 형태의 외부도이고, 도 2 및 3은 도 1a 및 1b의 A-A 선 및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측 본체 부분(1130)에 장착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주 본체 부분(1120)을 포함한다. 주 본체 부분(1120)은 하측 본체 부분(1130)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주 본체 부분(1120)은 주 본체 부분(1120)의 하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하측 환형 플랜지(1121)를 갖는다. 하측 환형 플랜지(1121)의 외측 가장자리는 하측 본체 부분(113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그리고 제거 가능한 정화/필터 어셈블리(1200)가 주 본체 부분(1120)에 장착되어, 주 본체 부분(1120)의 하측 환형 플랜지(1121)에 안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주 본체 부분(1120)은, 주 본체 부분(1120)의 반대편 상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상측 환형 플랜지(1122)를 더 포함한다. 상측 환형 플랜지(1122)의 외측 가장자리는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노즐(1300)의 기부/목부(135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이 제 1 실시 형태에서, 팬 어셈블리(1000)는 2개의 개별적인 정화 어셈블리(1200a, 1200b)를 포함하고, 이들 개별적인 정화 어셈블리는 주 본체 부분(1120)의 2개의 상호 대향 절반부에 위치되어 그것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정화 어셈블리(1200)는 실질적으로 반원통/관의 형상을 가지며, 그러므로 이는 주 본체 부분(1120) 위에 동심으로 위치되어 주 본체 부분(1120)의 하측 환형 플랜지(1121)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는, 한 정화 어셈블리(1200b)는 제거되어 있고 다른 정화 어셈블리(1200a)는 주 본체 부분(1120)의 먼 측에 장착되어 있는 주 본체 부분(1120)을 나타낸다.
도 6a는 도 1 내지 5의 팬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필터 어셈블리(1200)의 실시 형태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각 필터 어셈블리(1200)는 하나 이상의 필터 매체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1210)을 포함한다. 각 필터 프레임(1210)은 실질적으로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필터 프레임(1210)의 길이 방향 축선과 평행한 2개의 곧은 측부 및 필터 프레임(1210)의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인 2개의 만곡된 단부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필터 매체는 필터 프레임(1210)에 의해 규정되는 표면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1210)에는, 필터 프레임(1210)의 제 1 만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단부 플랜지(1211) 및 필터 프레임(1210)의 반대편 제 2 만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2 단부 플랜지(1212)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터 프레임(1210)에는, 제 1 단부 플랜지(1211)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 플랜지(1212)의 제 1 단부까지 필터 프레임(1210)의 제 1 측부로부터 멀어지게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측부 플랜지(1213) 및 제 1 단부 플랜지(1211)의 제 2 단부로부터 제 2 단부 플랜지(1212)의 제 2 단부까지 필터 프레임(1210)의 제 2 측부로부터 멀어지게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2 측부 플랜지(1214)가 제공되어 있다. 제 1 단부 플랜지(1211), 제 2 단부 플랜지(1212), 제 1 측부 플랜지(1213) 및 제 2 측부 플랜지(1214)는 서로 일체적으로 향성되어, 필터 프레임(1210)의 전체 주변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리지(ridge) 또는 림(rim)을 형성항다. 플랜지(1211 - 1214)는, 필터 매체가 시일링될 수 있는(예컨대, 필터 어셈블리(1210)의 하류측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표면을 제공하고, 또한 공기가 필터 매체를 통과하지 않고 팬 본체(1100) 안으로 또는 그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 프레임(1210)이 팬 어셈블리(1000)의 주 본체(1120)와(예컨대, 주 본체 부분(1120)에 있는 대응하는 플랜지와) 시일을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표면을 제공한다.
각 필터 어셈블리(1200)는, 공기가 필터 어셈블리(1200)의 가장자리 주위를 지나 주 본체 부분(1120)의 공기 입구(1110)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 본체 부분(1120)과 결합하기 위해 필터 프레임(1210)의 내주의 전체 주위에 제공되는 가요성 시일(1230)을 더 포함한다. 가요성 필터 시일(123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치형 와이퍼 또는 립 시일의 형태로 된 하측 및 상측 만곡 시일 부분을 포함하고, 하측 시일 부분의 각 단부는 실질적으로 와이퍼 또는 립 시일의 형태로 되어 있는 2개의 곧은 시일 부분에 의해 상측 시일 부분의 대응 단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측 및 하측 만곡 시일 부분은 주 본체 부분(1120)의 만곡된 상하측 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곧은 시일 부분은, 주 본체 부분(1120)으로부터 멀어지게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정반대편 길이 방향 플랜지 중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프레임(1210)에는, 필터 프레임(1210)의 내주 전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오목부(나타나 있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고, 이 오목부는 시일(1230)을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이 오목부는 제 1 측부 플랜지(1213)와 제 2 측부 플랜지(1214) 둘 다의 내면을 가로질러 또한 필터 프레임(1210)의 제 1 및 2 단부 둘 다의 내측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필터 매체(1221, 1222)는 제 1 및 2 플랜지(1211, 1212)와 제 1 및 2 측부 플랜지(1213, 1214) 사이의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필터 프레임(1210)의 외측 볼록 면 상에 지지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필터 어셈블리(1200a, 1200b)는 필터 프레임(1210)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측 메쉬 층(1222)으로 덮히는 미립자 필터 매체 층(1221)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 필터 매체가 필터 프레임(1210)의 내측 오목 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추가의 필터 매체는, 필터 프레임(1210)의 내면 내부에 위치되는 제 2 화학적 필터 매체 층으로 덮히는 제 1 화학적 필터 매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필터 매체는 필터 프레임(1210)의 내측 오목 면에 부착되고/부착되거나 지지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주 본체 부분(1120)에 장착되어, 각 필터 어셈블리(1200a, 1200b) 아래에서 주 본체 부분(1120)의 하측 환형 플랜지(1111)에 안착된다. 어느 경우든, 필터 프레임(1210)은 필터 프레임(1210)의 내측 오목 면 내부에 공간을 규정하도록 형성될 것이며, 필터 어셈블리(1200)가 주 본체 부분(1120)에 장착될 때 이들 추가의 필터 매체가 그 공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원통형인 천공된 쉬라우드(shroud)(1240)가, 정화 어셈블리(1200)가 주 본체 부분(1120)에 위치될 때 그 정화 어셈블리를 덮도록 필터 프레임(1210)에 동심으로 부착된다. 도 6b는 도 1 내지 5의 팬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천공된 쉬라우드(1240)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천공된 쉬라우드(1240) 각각은, 팬(1000)의 사용시 정화 어셈블리(1200)의 공기 입구(1241)로서 작용하는 구멍 어레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쉬라우드(1240)의 공기 입구(1241)는 쉬라우드(1240)의 창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그릴 또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공기 입구 어레이의 대안적인 패턴도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쉬라우드(1240)는, 예컨대 이동 중에 필터 매체(1221-1224)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정화 어셈블리(1200)를 덮는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외면을 제공하며, 이 외면은 팬 어셈블리(1000)의 전체 외양과 조화를 이룬다. 쉬라우드(1240)가 정화 어셈블리(1200)를 위한 공기 입구(1241)를 규정함에 따라, 구멍 어레이는, 더 큰 입자가 정화 어셈블리(1200)에 들어가 필터 매체(1221-1224)를 막히게 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주 본체 부분(1120)은 팬 어셈블리(10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내장하는 천공된 하우징(1124)을 포함한다. 이 천공된 하우징(1124)은,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의 공기 입구(1110)로서 작용하는 구멍 어레이를 포함한다. 정화 어셈블리(1200)는 주 본체 부분(1120)의 공기 입구(1110)로부터 상류에 위치되며, 그래서 임펠러(1150)에 의해 주 본체 부분(1120) 안으로 흡인된 공기는 주 본체 부분(1120)에 들어가기 전에 여과된다. 이는 잠재적으로 팬 어셈블리(1000)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노즐(1300)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입자가 없도록 보장해준다. 추가로, 이는 잠재적으로 건강에 위험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그래서 노즐(1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정화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공기 입구(1110)는 주 본체 부분(11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어레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공기 입구(1110)는 주 본체 부분(1120)에 형성되어 있는 창(window)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그릴 또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본체 부분(1120)은 그의 상단부에서 열려 있어,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서 배출될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개구(1115)를 수용한다.
하측 본체 부분(1130)은 주 본체 부분(1120) 내부에 내장되는 것들 외의 다른 팬 어셈블리(1000)의 구성 요소를 내장하는 추가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측 본체 부분(1130)은 팬 어셈블리(1000)가 위치되는 표면과 결합하는 기부(114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기부(1140)는, 노즐(1300)이 기부(1140)에 대해 최상측에 있는 상태로 팬 어셈블리(1000)가 표면에 위치될 때 그 팬 어셈블리를 지지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하측 본체 부분(1130)은 팬 피니언(나타나 있지 않음)과 맞물리는 팬 구동 기어(나타나 있지 않음)를 수용한다. 팬 피니언은 주 본체 부분(1120) 의 바닥 내부에 수용되는 진동 모터(1160)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진동 모터(1160)에 의한 팬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주 본체 부분(1120)이 하측 본체 부분(11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팬 어셈블리(10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력 케이블(나타나 있지 않음)이 하측 본체 부분(11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131)을 통해 연장된다. 그래서 케이블의 외부 단부는 주 전력 공급부에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에 연결된다.
주 본체 부분(1120)은, 주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하측 본체 부분(1130)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예컨대, 하측 본체 부분(1130)의 상측 표면(1132) 및 하주 본체 부분(1120)의 하측 표면(1125)에는 상호 연결 부분이 제공될 수 있고, 이 상호 연결 부분은, 주 본체 부분(1120)이 하측 본체 부분(1130)으로부터 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 본체 부분(1120)이 하측 본체 부분(111)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예컨대, 하측 본체 부분(1130) 및 주 본체 부분(1120)은 상호 잠금 L-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하측 본체 부분(1130)의 상측 표면(1132)은 오목하고 이에 대응하여 주 본체 부분(1120)의 하측 표면(1125)은 볼록하다. 그러므로, 주 본체 부분(1120)이 하측 본체 부분(1130)에 대해 경사질 때, 두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인접하여 유지되고, 상호 연결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본체 부분(1120)은 팬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진동 모터(1160)를 수용하고, 그 팬 피니언은 하측 본체 부분(1130) 내부에 있는 팬 구동 기어와 맞물린다. 도 3 및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진동 모터(1160)는 주 본체 부분(1120)의 볼록한 하측 표면(1125)에 인접하여, 주 본체 부분(1120)의 바닥 내부에 수용된다. 진동 모터(126), 팬 피니언 및 팬 구동 기어는 함께 주 본체 부분(1120)을 하측 본체 부분(1130)에 대해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를 제공한다. 이 진동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입력에 응답하여 팬 어셈블리(1000)의 주 제어 회로(1170)에 의해 제어된다.
주 전력 케이블이 하측 본체 부분(1130)을 통과하고, 그래서 주 전력 케이블의 내부 단부는 주 본체 부분(1120)의 바닥 쪽에 수용되는 전력 공급 유닛(1180)에 연결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전력 공급 유닛(1180)은 진동 모터(1160) 위쪽에 고정되는 전력 공급 마운트(1181)에 장착된다. 전력 공급 커버(1182)가 전력 공급 유닛(1180)을 에워싸 보호하기 위해 전력 공급 유닛(1180) 위에 위치된다. 이 실시 헝태에서, 전력 공급 커버(1182)는 실질적으로 돔형이어서, 공기 입구(1110)를 통해 팬 어셈블리(1000)에 들어가는 주 공기 흐름에 대한 교란을 최소화하고 또한 주 공기 흐름의 안내를 도와주게 된다. 선택적으로, 전력 공급 유닛(1180)에 의해 발생된을 열을 소산시키기 위해 열 싱크(나타나 있지 않음)가 전력 공급 커버(1182)의 상측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열 싱크를 전력 공급 커버(1182)의 상측 표면에 장착하면, 공기 입구(1110)를 통해 본체(1100)에 들어가는 주 공기 흐름의 경로 내부에 열 싱크가 위치되며, 그래서 주 공기 흐름은 전력 공급 유닛(1180)에 의해 발생된을 열을 소산시키는데 더 도움을 줄 것이다.
주 본체 부분(1120)은, 주 공기 흐름을 공기 입구(1110)를 통해 본체(1100) 안으로 흡인하기 위한 임펠러(1150)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임펠러(1150)는 혼합류 임펠러의 형태이다. 임펠러(1150)는 모터(115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 축(1151)에 연결된다. 도 3 및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모터(1152)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입력에 응답하여 주 제어 회로(1170)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속도를 갖는 DC 브러시레스 모터이다. 이 모터(1152)는 하측 부분(1153b)에 연결되는 상측 부분(1153a)을 포함하는 모터 버킷(1153) 내부에 수용된다. 모터 버킷의 상측 부분(1153a)은 곡면형 블레이드를 갖는 환형 디스크의 형태로 된 확산기(1153c)를 더 포함한다.
모터 버킷(1153)은 주 본체 부분(1120)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 하우징(1154) 내부에 위치되고 또한 그 하우징에 장착된다. 임펠러 하우징(1154)은 대체로 절두 원추형인 임펠러 벽(1154a) 및 임펠러 벽(1154a) 내부에 위치되는 임펠러 쉬라우드(1154b)를 포함한다. 임펠러(1150), 임펠러 벽(1154a) 및 임펠러 쉬라우드(1154b)는, 임펠러(1150)가 임펠러 쉬라우드(1154b) 가까이에 있되 그에 접촉하지 않도록 성형된다. 실질적으로 환형인 입구 부재(1155)가 주 공기 흐름을 임펠러 하우징(1154) 안으로 안내하기 위해 임펠러 하우징(1154)의 바닥에 연결된다.
도 2 및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서 배출될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개구(1115)는 모터 버킷(1153a)의 상측 부분 및 임펠러 벽(1154a)에 의해 형성된다.
가요성 시일링 부재(1156)가 임펠러 하우징(1154)과 주 본체 부분(1120) 사이에 부착된다. 가요성 시일링 부재(1156)는 공기가 임펠러 하우징(1154)의 외면 주위를 지나 입구 부재(1155)로 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링 부재(1156)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형성되는 환형 립 시일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1115) 위에서 노즐(1300)이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노즐(1300)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목부/기부(1350)를 포함하고, 또한 본체(1100)로부터 주 공기 흐름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1340)를 제공하는 개방된 하단부를 갖는다. 노즐(1300)의 기부(1350)의 외면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측 환형 플랜지(1121)의 외측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그러므로 기부(1350)는, 주 본체 부분(1120)의 상측 표면(1121)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1000)의 구성 요소를 덮고/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3 및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주 제어 회로(1170)는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측 환형 플랜지(1121)의 상측 표면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주 제어 회로(1170)는 노즐(1300)의 기부(1350) 내부에 수용된다. 추가로, 전자 디스플레이(1180)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측 환형 플랜지(1121)에 장착되고 그래서 노즐(1300)의 기부(1350) 내부에 수용되며, 디스플레이(1180)는 기부(1350)에 제공되어 있는 개구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창을 통해 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전자 부품이 상측 환형 플랜지(1121)의 상측 표면에 장착되고 따라서 노즐(1300)의 기부(13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추가적인 전자 부품은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 적외선 센서, 먼지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 및 관련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추가적인 전자 부품은 주 제어 회로(1170)에 연결될 것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노즐(1300)은 기다한 환형 형상(종종 스타디움(stadium) 형상이라고 함)을 가지며, 폭 보다 큰 높이를 갖는 기다란 개구(1500)를 규정한다. 그러므로 노즐(1300)은, 개구(1500)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에 인접하는 2개의 비교적 곧은 부분(1301, 1302), 이들 곧은 부분(1301, 130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측 만곡 부분(1303), 및 곧은 부분(1301, 130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측 만곡 부분(1304)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노즐(1300)은 기다란 환형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 부분은 기다란 환형 내측 케이싱 부분(1370)과 동심이고 그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1360) 및 외측 케이싱 부분(1370)은 개별적인 부품인데, 하지만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1300)은 이 노즐(1300)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을 가지며,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내측 단부는 내측 케이싱 부분(137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1370) 및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은 예컨대 스크류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되는 개별적인 부품이지만,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은, 노즐(1300)의 내측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수직인 대체로 기다란 환형 단면, 및 노즐(1300)의 내측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대체로 반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내측 케이싱 부분(1370)은, 노즐(1300)의 내측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수직인 대체로 기다란 환형 단면을 가지며, 노즐(1300)의 내측 보어(1500)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 보어를 둘러싼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1370)은 후방부(1371) 및 전방부(1372)를 갖는다. 후방부(1371)는, 내측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측 케이싱 부분(1372)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각져 있다. 전방부(1372) 역시, 내측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측 케이싱 부분(1370)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후방부(1371) 보다 큰 경사각으로 각져 있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싱 부분(1370)의 전방부(1372)는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전방 단부 쪽으로 테이퍼져 있는데, 하지만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전방 단부와 만나지 않으며, 내측 케이싱 부분(1370)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은 노즐(1300)의 제 1 공기 출구(1310)를 형성하는 슬롯을 규정한다.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은 노즐(1300)의 전방부로부터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외측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그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외측 단부와 만나지 않고,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후방 단부와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외측 단부 사이의 공간은 노즐(1300)의 제 2 공기 출구(1320)를 형성하는 슬롯을 규정한다.
그러므로 외측 케이싱 부분(1360), 내측 케이싱 부분(1370) 및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은, 노즐(1300)의 공기 입구(1340)로부터 공기를 제 1 공기 출구(1310)와 제 2 공기 출구(1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1330)를 규정한다. 다시 말해, 내부 통로(1330)는 외측 케이싱 부분(1360), 내측 케이싱 부분(1370) 및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내부 표면으로 경계져 있다. 공기 입구(1340)를 통해 노즐(1300)에 들어가는 공기는 노즐(1300)의 하측 만곡 부분(1304)에 들어가 2개의 공기 흐름(각각 노즐(1300)의 곧은 부분(1301, 1302) 중 각각의 곧은 부분 안으로 유입하게 됨)으로 분할됨에 따라, 내부 통로(13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보어(1500)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2 부분을 포함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노즐(1300)은 2개의 만곡된 시일 부재(1365)를 더 포함하는데, 이 시일 부재는 노즐(1300)의 정상 및 바닥 만곡 부분(1303, 1304)에서 외측 케이싱 부분(1360)과 내측 케이싱 부분(1370)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래서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의 만곡 부분으로부터 나가는 공기의 누설이 실질적으로 없다. 그러므로 노즐(1300)은 중심 보어(1500)의 각각의 기다란 측에 위치되는 2개의 기다란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그러므로 노즐(1300)에는 주 공기 흐름을 배출하기 위한 한쌍의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가 제공되는데, 이 공기 출구는 노즐(1300)의 전방부 쪽에서 노즐(1300)/개구(1500)의 기다란 상호 반대 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노즐(1300)은 내부 통로(1330) 내에서 한쌍의 가열기 어셈블리(1390a, 1390b)를 더 포함하며, 각 가열기 어셈블리(1390a, 1390b)는 한쌍의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중 각각의 공기 출구에 인접하여 있다. 각 가열기 어셈블리(1390a, 1390b)는 프레임(1392) 내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가열기 요소(1391)를 포함하고, 프레임(1392)은 각각의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엔접하여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 내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각 가열기 어셈블리(1390a, 1390b)의 프레임(1392)은, 내부 통로(1330) 내에 장착되면, 공기 흐름을 가열 요소(1391)를 통해 또한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밖으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가열기 요소(1391) 및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사이에 있는 프레임(1392)의 부분은 공기 출구 쪽으로 테이퍼져 있고, 프레임(1392)의 좁은 단부는 노즐(1300)의 전향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는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내에 끼워 맞춤된다. 그러므로, 프레임(1392)의 이 테이퍼형 부분은,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쪽으로 보내고 또한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의 덕트를 형성함에 따라 공기 흐름 안내 부재로서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각각에는, 대응하는 가열기 어셈블리(1390)의 프레임(1392)에 의해 규정되는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 내의 대응하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이 제공된다.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 각각은 공기 흐름을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가열기 어셈블리(1390)의 프레임(1392)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 안으로의 공기 입구는 보어/개구(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한쌍의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이 공기와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는 배출된 공기 흐름을,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즉 중심 축선으로부터 -30도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20도 내지 20도, 더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10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각각의 덕트(1311)가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공기 출구(1320)는, 제 2 공기 출구(1320)의 덕트(1321)가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공기 출구(1320)로부터 배출되는 비증폭 공기 흐름은,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보내질 것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공기 출구(1320)의 덕트(1321)는, 보어(1500)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본체(1100)로부터 받은 주 공기 흐름을 전달하는 내부 통로(1330)로부터 노즐(1300)의 외주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내부 통로(1330) 내에서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을 규정하는 배플(1420)이 내부 통로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그 제 2 공기 흐름 채널은 주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1320)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배플(1420)은, 내부 통로(13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노즐(130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통로(1330)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은 배플(1420)의 일 측에 있는 내부 통로(1330)의 일 부분이다. 특히,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은, 배플(1420), 및 제 2 공기 출구(1320)에 인접하는 노즐(1300)의 내부 표면의 일 부분에 의해 경계지는 내부 통로(1330)의 일 부분을 포함한다.
배플(1420)은,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으로부터 내부 통로(1330)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플 벽으로 제공된다. 이 배플 벽(1420)은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며, 전방부(1421)와 후방부(1422)를 갖는다. 배플 벽(1420)의 후방부(1422)는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1380)의 외측 단부로부터 보어(1500)의 중심 축선(X) 쪽으로 내측으로 각져 있다. 그리고 전방부(1421)는 후방부(1422)에 대해 각져 있어, 전방부(1421)는 외측 케이싱 부분(1360)에 평행하며, 전방부(1421)의 대부분이 외측 케이싱 부분(1360)과 겹친다. 배플 벽(1420)의 전방부(1421)와 외측 케이싱 부분(360)의 겹침부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 통로(1330)의 부분이 내부 통로(1330)의 내의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을 형성하며, 배플 벽(1420)의 각진 후방부(1422)는,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공기 출구(1320)의 덕트(1321)를 제공한다. 배플 벽(1421)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내면으로 규정되는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 안으로의 공기 입구는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배플 벽(1420)은 내부 통로(1330)의 기다란 측부(1301, 1302)까지 또한 상측 만곡 부분(1303)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배플 벽(1420)의 기다란 측부는 대체로 곧으며, 배플 벽(1420)의 하단부는 내부 통로(1330)의 하측 만곡 부분(1304)의 내면과 만날 때까지 부분적으로만 하측 만곡 부분(1304) 안으로 연장되어 있어, 주 공기 흐름은 이 하단부를 통해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에 들어갈 수 없다. 배플 벽(1420)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가스켓(1423) 또한 배플 벽(1420)의 하측 가장자리 주위에 연장되어 있어, 배플 벽(1420)과 내부 통로(1320)의 하측 만곡 부분(1304)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을 개선한다.
추가로, 배플 벽(1420)은 상측 만곡 부분(1303)의 피크/중심에서 돌출부(1424)를 더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배플 벽(1420)의 외향 표면으로부터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내면까지 연장되어 있어,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의 인접한 부분을 내부 통로(1330)로부터 분리시키고 또한 내부 통로(1330)로부터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 안으로 들어가는 개구/입구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며, 각 개구/입구 부분은, 상측 만곡 부분(1303)의 피크에 있는 돌출부(1424)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란 측부(1301, 1302) 중의 하나까지 또한 부분적으로 내부 통로(1330)의 상측 만곡 부분(1303)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팬 어셈블리(1000)는 밸브(1400)를 포함하고, 이 밸브는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와 제 2 공기 출구(1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밸브(1400)는 한쌍의 밸브 부재(1410a, 1410b)를 포함하고, 이 밸브 부재는, 한쌍의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위치에 따라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와 제 2 공기 출구(1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밸브 부재가 주 공기 흐름을 한쌍의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중의 대응하는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132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가 주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1320)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위치되면, 밸브 부재는 주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보내고 또한 주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제 2 공기 출구(1320)에 보내게 된다.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제 1 끝 위치에 가까울 수록,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보내지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은 더 커지게 된다. 반대로,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제 2 끝 위치에 가까울 수록, 제 2 공기 출구(1320)에 보내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은 더 커지게 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밸브(1400)는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 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을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제 2 끝 위치에 있을 때는 대응하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을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제 1 끝 위치에서, 제 2 공기 출구(1320)에 인접하는 노즐(1300)의 내면과 배플(1420) 둘 다에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접촉/안착되어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의 대응하는 입구 부분을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된다. 배플 벽(1420)의 전방 단부 제공되어 있는 가스켓(1423)은,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이 밸브 부재(1410a, 1410b)와 배플(1420)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을 개선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또한, 제 2 끝 위치에서, 대응하는 가열기 어셈블리(1390)의 프레임(1392)의 내주/가장자리에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접촉/안착되어 대응하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을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의 형상은 내부 통로(1330)의 정렬된 부분의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일치하거나 상호 연관된다. 노즐(1300)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대체로 J-형이며, 기다란 부분과 만곡 단부를 가지며 또한 기다란 부분과 만곡 단부를 포함하는 대체로 J-형인 단면을 갖는다.
밸브 부재(1410a, 1410b)를 제 1 끝 위치로부터 제 2 끝 위치까지 임의의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팬 어셈블리(1000)에는 밸브 모터(143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밸브 모터에 의해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주 제어 회로(1170)로부터 벋은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이게 된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모터(1430)는, 만곡된 또는 아치형 랙(1440)과 맞물리는 피니언(1431)을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며, 밸브 모터(143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1431)과 랙(1440)의 회전이 일어나고 또한 밸브(1400)는, 랙(1440)의 회전으로 인해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밸브 모터(1430)는 상측 만곡 부분(1303)의 피크/중심에서 내부 통로(1330) 내의 배플 벽(1420)에 장착되며, 배플 벽(1420)은 후방 케이싱 부분(1380)에 부착된다. 밸브 모터(1430)의 회전 축(1432)은 후방 케이싱(1380) 쪽으로 돌출하고, 축(1432)의 회전 축선은 보어/개구(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하다. 피니언(1431)은 회전 축(1432)에 장착되며, 피니언(1431)의 치부는 아치형 랙(1440)과 맞물리며, 이 랙의 형상은 내부 통로(1330)의 상측 만곡 부분(130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일치하거나 상호 연관된다.
노즐(1300)은 기다란 환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 랙(1440)은 작은 아치 형상을 가지며, 랙(1440)은 180도 미만의 각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아치형 랙(1440)은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통로(1330)의 상측 만곡 부분(1303)의 대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아치형 랙(1440)의 단부는 노즐(1300)의 내부에 장착될 때 내부 통로(1330)의 각각의 기다란 측부(1301, 1302)와 정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 안으로의 입구 및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의 대응하는 입구 부분은 서로 정렬되며, 노즐(1300)의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밸브 부재(1410a, 1410b)가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을 차단하고 또한 제 2 끝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을 차단하기 위해, 밸브 부재(1410a, 1410b) 각각은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밸브(1400)는, 랙(1440)의 회전이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랙(1440)의 회전을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는 아치형 랙(1440)에는 한쌍의 표면(1441a, 1441b)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표면은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랙(1440)으로부터 돌출하며, 이들 돌출 표면(1441a, 1441b) 각각은 아치형 랙(1440)의 곡률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고, 또한 랙(1440)은, 피니언(1431)이 랙(1440)에 맞물릴 때 한쌍의 표면(1441a, 1441b)이 피니언(1431)의 상호 반대 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 표면(1441a, 1441b) 각각에는, 캠 슬롯(1442a, 1442b)의 형태인 선형 캠이 제공되어 있고, 그 캠 슬롯은 랙(1440)의 회전 축선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만곡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또한 대응하는 밸브 부재(1410a, 1410b)로부터 돌출하는 종동자 핀(1411a, 1411b)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양 돌출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442a, 1442b)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져 있다.
추가로, 한쌍의 밸브 액츄에이터 중의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450a)가 아치형 랙(1440)의 제 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한쌍의 밸브 액츄에이터 중의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450b)는 아치형 랙(1440)의 반대편 제 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부착된다. 각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는 기다랗고(내부 통로(1330)의 기다란 측부(1301, 1302)를 따라 연장되어 있도록 배치됨), 또한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상단부 쪽에 제공되는 상측 캠 슬롯(1451) 및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하단부 쪽에 제공되는 하측 캠 슬롯(1452)이 제공되어 있다. 상하측 캠 슬롯(1451, 1452)은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대응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또한 대응하는 밸브 부재(1410a, 1410b)로부터 돌출하는 종동자 핀(1412, 1413)과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450a)에 있는 캠 슬롯(1451a, 1452a)은 밸브 액츄에이터(1450a)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됨에 따라 위쪽으로 각져 있고,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450b)에 있는 캠 슬롯(1451b, 1452b)은 밸브 액츄에이터(1450b)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됨에 따라 아래쪽으로 각져 있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랙(1440)의 대응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442)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3개의 종동자 핀(1411, 1412, 1413) 및 대응하는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에 제공되어 있는 상하측 캠 슬롯(1451, 1452)을 포함한다.
밸브 부재(1410a, 1410b)를 제 1 끝 위치로부터 제 2 끝 위치까지 임의의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주 제어 회로(1170)는, 모터가 축(1432)을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그 축(1432)에 제공되어 있는 피니언(1431)의 회전을 일으키게 하는 신호를 밸브 모터(1430)에 보낸다. 그러므로 피니언(1431)과 아치형 랙(1440)의 맞물림에 의해 랙(1440)이 축(143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치형 랙(1440)의 회전에 의해, 랙(1440)으로부터 돌출하는 만곡 표면(1441a, 1441b)에 제공되어 있는 각진 캠 슬롯(1442)이, 캠 슬롯 내부에 결합하는 대응하는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종동자 핀(1411)에 대해 움직이게 되고, 캠 슬롯(1442a, 1442b)의 각도에 의해 아치형 랙(1440)의 회전 운동이,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된다. 특히, 아치형 랙(1440)의 회전에 의해, 양 돌출 표면(1441a, 1441b)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랙(1440)으로부터 돌출하는 만곡 표면(1441a, 1441b)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442a, 1442b)이 동일한 방향으로 각져 있음에 따라, 동일한 방향의 만곡 표면(1441a, 1441b)의 회전이 동일한 방향으로의 제 1 밸브 부재(1410a) 및 제 2 밸브 부재(1410b)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된다.
추가로, 아치형 랙(1440)의 회전에 의해, 아치형 랙(1440)의 제 1 및 2 단부의 수직 방향 변위가 일어나고, 그리하여, 아치형 랙(14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수직 방향 변위가 일어나게 된다. 특히, 아치형 랙(1440)의 회전에 의해, 아치형 랙(1440)의 제 1 및 2 단부 및 연결된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 중의 하나가 위쪽으로 움직이고 또한 아치형 랙(1440)의 제 1 및 2 단부 및 연결된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 중의 다른 하나는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수직 방향 변위에 의해, 그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에 제공되어 있는 각진 캠 슬롯(1451, 1452)이 대응 밸브 부재(1410a, 1410b)의 각각의 종동자 핀(1412, 1413)에 대해 움직이게 되며, 캠 슬롯(1451, 1452)의 각도에 의해,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수직 방향 변위가,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수평 방향 운동으로 전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450a)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451a, 1452a)은,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450b)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과는 반대 방향으로 각져 있음에 따라,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450a)와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450b)의 상호 반대 수직 방향 운동이 제 1 밸브 부재(1410a)와 제 2 밸브 부재(1410b)의 동일 방향 수평 방향 운동으로 전환된다.
팬 어셈블리(10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버튼을 누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팬 어셈블리(1000) 자체, 관련된 원격 제어부(나타나 있지 않음), 및/또는 팬 어셈블리(10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나타나 있지 않음)과 같은 무선 컴퓨팅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 행위는 주 제어 회로(1170)에 전달되고, 그에 응답하여 주 제어 회로(1170)는 팬 모터(1152)를 활성화시켜 임펠러(115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임펠러(1150)의 회전에 의해, 주 공기 흐름이 공기 입구(1110)를 통해 정화 어셈블리(1200)를 지나 본체(1100) 안으로 흡인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팬 모터(1152)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그래서 공기가 공기 입구(1110)를 통해 본체(1100) 안으로 흡인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주 공기 흐름은 정화 어셈블리(1200), 공기 입구(1110), 임펠러 하우징(1154) 및 주 본체 부분(1120)의 개방된 상단부에 있는 공기 배출구(1115)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노즐(1300)의 기부(1350)에 위치되어 있는 공기 입구(1340)를 지나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에 들어간다.
내부 통로(1330) 내에서, 주 공기 흐름은, 서로 반대되는 각도 방향으로 노즐(1300)의 보어(1500) 주위를 지나는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할되고, 각 공기 흐름은 내부 통로(1330)의 각각의 곧은 부분(1301, 1302) 내에 있다. 공기 흐름이 내부 통로(1330)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는 밸브(1400)의 밸브 부재(1410a, 1410b)의 위치에 따라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와 제 2 공기 출구(1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를 통해 배출된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내부 통로(1330)에 제공되어 있는 밸브 부재(1410a, 1410b) 둘 다가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대체로 J-형인 단면을 갖는 밸브 부재(1410a, 1410b)의 기다란 부분은 배플 벽(1420)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가스켓(1423)과 접촉할 것이며, 대체로 J-형인 단면을 갖는 밸브 부재(1410a, 1410b)의 만곡 단부는 외측 케이싱 부분(1360)의 내면의 겹침부와 접촉할 것이다. 그래서 밸브 부재(1410a, 1410b)는,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 안으로의 입구를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하여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것이며, 또한 그래서 전체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보낼 것이다. 내부 통로(1330)에 제공되어 있는 밸브 부재(1410a, 1410b) 둘 다가 제 2 끝 위치에 있을 때, 대체로 J-형인 단면을 갖는 밸브 부재(1410a, 1410b)의 기다란 부분은 대응하는 가열기 어셈블리(1390a, 1390b)의 프레임(1392)의 내주/가장자리와 접촉할 것이다. 그래서 밸브 부재(1410a, 1410b)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을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하며 그래서 전체 주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1320)에 보낼 것이다. 밸브 부재(1410a, 1410b) 둘 다가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있으면, 양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 및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은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에 개방될 것이며, 주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은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보내지고 주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은 제 2 공기 출구(1320)에 보내진다.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주 공기 흐름 또는 주 공기 흐름의 일부가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로부터 배출되면, 외부 환경, 구체적으로 노즐(1300)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공기가 동반되어 이차 공기 흐름이 발생된다. 이 이차 공기 흐름은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로부터 배출되는 주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노즐(1300)로부터 앞으로 보내지는 결합된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주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발산하거나 갈라지도록 주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1320)로부터 배출되면, 이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 외부로부터 노즐(1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1500)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 방지되어,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도 10 및 11은 자유 직립 환경 제어 팬 어셈블리(1000)의 제 2 실시 형태의 노즐(1300)의 외부도이고, 도 12a 및 12b는 도 1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서,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는 제 1 실시 형태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래서 더 도시되고 설명되지 않았다. 추가로, 이 제 2 실시 형태의 노즐(1300)도 제 1 실시 형태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들 실시 형태의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분 또는 특징부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노즐(1300)은,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1115) 위에서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제 1 실시 형태의 경우 처럼, 노즐(1300)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목부/기부(1350)를 포함하고, 또한 본체(1100)로부터 주 공기 흐름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1340)를 제공하는 개방된 하단부를 갖는다. 노즐(1300)의 기부(1350)의 외면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측 환형 플랜지(1121)의 외측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제 1 실시 형태와 제 2 실시 형태 간의 유일한 큰 차이점은, 제 2 실시 형태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에 인접하여 내부 통로(1330) 내에서 가열기 어셈블리(1390a, 1390b)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의 팬 어셈블리(1000)는,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쪽으로 보내고 또한 그래서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 내에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을 규정하는 가열기 어셈블리(1392a, 1392b)의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 2 실시 형태의 팬 어셈블리(1000)는, 내부 통로(1330) 내에 장착되면 공기 흐름을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밖으로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흐름 안내 부재(1331a, 1331b)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각 공기 흐름 안내 부재(1331a, 1331b)는, 노즐(1300)의 전향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는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내에 끼워 맞춤되는 전방 단부를 포함하고, 그래서 이 전방 단부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의 덕트(1311)를 형성하고, 전방 단부에 대해 각져 있는 후방 표면을 갖는다. 그래서 각 공기 흐름 안내 부재(1331a, 1331b)의 각진 후방 표면은 주 공기 흐름을 대응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 및 공기 흐름 안내 부재(1331a, 1331b)의 전방 단부에 의헤 제공되는 제 1 공기 출구(1310a, 1310b)의 덕트(1311) 쪽으로 보낸다. 그러므로 노즐(1300)의 내부 통로(1330) 내의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은 각각의 공기 흐름 안내 부재(1331a, 1331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된다. 그러므로, 도 1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1400)는, 제 2 끝 위치에서 밸브 부재(1410a, 1410b)가 대응하는 공기 흐름 안내 부재(1331a, 1331b)의 각진 표면 및 대응하는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표면에 접촉하거나 안착되도록 배치되며,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는 외측 케이싱(1360)의 내면에 인접하여 내부 통로(1330) 내에 위치되며, 그래서 제 1 공기 흐름 채널(1312a, 1312b)이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된다. 추가로,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밸브(1400)는, 제 1 끝 위치에서 밸브 부재(1410a, 1410b)가 배플 벽(1420)의 전방 단부 및 제 2 공기 출구(1320)에 인접하는 대응하는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표면에 접촉하거나 안착되도록 배치되며, 그래서 제 2 공기 흐름 채널(1322)이 내부 통로(1330)의 나머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된다.
제 1 실시 형태와 제 2 실시 형태 간의 다른 차이점은, 제 2 실시 형태에서 아치형 랙(1440)에는,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랙(1440)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표면(1441a, 1441b)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도 13 및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 아치형 랙(1440)에는,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랙(1440)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일 표면(1441)이 제공되어 있고, 이 단일 표면은 아치형 랙(144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돌출 표면(1441)에는 2개의 선형 캠이 제공되어 있는데, 각 선형 캠은, 랙(1440)의 회전 축선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만곡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캠 슬롯(1442a, 1442b)의 형태로 되어 있고, 랙(1440)은, 피니언(1431)이 랙(1440)에 맞물릴 때 캠 슬롯(1442a, 1442b)이 그 피니언(1431)의 상호 반대 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캠 슬롯(1442a, 1442b) 각각은 대응하는 밸브 부재(1410a, 1410b)로부터 돌출하는 종동자 핀(1411a, 1411b)과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캠 슬롯(1442a, 1442b)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져 있다.
한쌍의 밸브 액츄에이터 중의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450a)가 아치형 랙(1440)의 제 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한쌍의 밸브 액츄에이터 중의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450b)는 아치형 랙(1440)의 반대편 제 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부착된다. 각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는 기다랗고(내부 통로(1330)의 기다란 측부(1301, 1302)를 따라 연장되어 있도록 배치됨), 또한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상단부 쪽에 제공되는 상측 캠 슬롯(1451),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하단부 쪽에 제공되는 하측 캠 슬롯(1452), 및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의 중간부 쪽에 제공되는 중간 캠 슬롯(1453)이 제공되어 있다. 상측, 하측 및 중간 캠 슬롯(1451, 1452, 1453)은 보어(1500)의 중심 축선(X)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대응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또한 대응하는 밸브 부재(1410a, 1410b)로부터 돌출하는 종동자 핀(1412, 1413, 1414)과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제 1 밸브 액츄에이터(1450a)에 있는 캠 슬롯(1451a, 1452a, 1453a)은 밸브 액츄에이터(1450a)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됨에 따라 위쪽으로 각져 있고, 제 2 밸브 액츄에이터(1450b)에 있는 캠 슬롯(1451b, 1452b, 1453b)은 밸브 액츄에이터(1450b)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연장됨에 따라 아래쪽으로 각져 있다.
그러므로 각 밸브 부재(1410a, 1410b)는, 랙(1440)의 대응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캠 슬롯(1442)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4개의 종동자 핀(1411, 1412, 1413, 1414) 및 대응하는 밸브 액츄에이터(1450a, 1450b)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상측, 하측 및 중간 캠 슬롯(1451, 1452, 1453)을 포함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밸브의 작동(밸브 부재(1450a, 1450b)의 운동을 포함하여)은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래서 더 설명되지 않는다.
도 15 및 16는 자유 직립 환경 제어 팬 어셈블리(1000)의 제 3 실시 형태의 노즐(2300)의 외부도이고, 도 17a 및 17b는 도 15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 팬 어셈블리(1000)의 본체(1100)는 제 1 및 2 실시 형태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래서 더 도시되고 설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다란 환형 형상을 갖는 대신에, 이 제 3 실시 형태의 노즐(2300)은 환형이거나 대체로 원통형이며, 그래서 노즐(2300)의 구성에 차이가 있고 또한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 내에 제공되는 밸브(2400)에도 차이가 있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 노즐(2300)은, 주 공기 흐름이 본체(1100)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공기 배출구(1115) 위에서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노즐(2300)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목부/기부(2350)를 포함하고, 또한 본체(1100)로부터 주 공기 흐름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2340)를 제공하는 개방된 하단부를 갖는다. 노즐(1300)의 기부(2350)의 외면은 주 본체 부분(1120)의 상측 환형 플랜지(1121)의 외측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도 15 내지 19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노즐(2300)은 환형/원통형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을 포함하고, 이 외측 케이싱 부분은 환형/대체로 원통형인 내측 케이싱 부분(2370)과 동심이고 또한 그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2370) 및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은 개별적인 부품인데, 하지만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2300)은 이 노즐(2300)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을 가지며,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내측 단부는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2370) 및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은 예컨대 스크류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되는 개별적인 부품이지만, 단일체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은, 노즐(2300)의 내측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수직인 대체로 환형/원통형인 단면, 및 노즐(2300)의 내측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대체로 반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은, 노즐(2300)의 내측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수직인 대체로 환형/원통형인 단면을 가지며, 또한 노즐(2300)의 내측 보어(2500)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그를 둘러싼다. 이 예에서,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은 후방부(2371) 및 전방부(2372)를 갖는다. 후방부(2371)는, 내측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각져 있다. 전방부(2372) 역시, 내측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후방부(2371) 보다 큰 경사각으로 각져 있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전방부(2372)는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전방 단부 쪽으로 테이퍼져 있는데, 하지만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전방 단부와 만나지 않으며,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은 노즐(2300)의 제 1 공기 출구(2310)를 형성하는 슬롯을 규정한다.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은 노즐(2300)의 전방부로부터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외측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그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외측 단부와 만나지 않고,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후방 단부와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외측 단부 사이의 공간은 노즐(2300)의 제 2 공기 출구(2320)를 형성하는 슬롯을 규정한다.
그러므로 외측 케이싱 부분(2360), 내측 케이싱 부분(2370) 및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은, 노즐(2300)의 공기 입구(2340)로부터 공기를 제 1 공기 출구(2310)와 제 2 공기 출구(2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2330)를 규정한다. 다시 말해, 내부 통로(2330)는 외측 케이싱 부분(2360), 내측 케이싱 부분(2370) 및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내부 표면으로 경계져 있다. 공기 입구(2340)를 통해 노즐(2300)에 들어가는 공기는 노즐(2300)에 들어가 2개의 공기 흐름(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 주위를 흐르게 됨)으로 분할됨에 따라, 내부 통로(23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보어(2500)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2 부분을 포함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공기 출구(2310)는,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제공되는 슬롯의 형태를 취한다. 노즐(2300)은 또한 노즐(2300)의 전향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단일의 제 1 공기 출구(2310)를 포함하고, 이 공기 출구는 주 공기 흐름을 노즐(2300)의 전방부 쪽으로 배출하기 위해 중심 보어(2500)의 둘레의 대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제 1 공기 출구(2310)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이 공기와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공기 출구(2310)는 배출된 공기 흐름을,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즉 중심 축선으로부터 -30도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20도 내지 20도, 더 바람직하게는 중심 축선으로부터 -10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 1 공기 출구(2310)는, 제 1 공기 출구(2310)의 덕트(231)가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싱 부분(2370)에는,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에 바로 인접하는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전방 단부로부터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 안으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2373)가 제공된다. 이 내측 연장 돌출부(2373)는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상호 대향 내면과 함께, 보어/개구(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공기 출구(2310)의 덕트(2311)를 규정한다. 공기 흐름 안내 부재(2331)가 내부 통로(2330) 내에 제공되며, 이 안내 부재는 내측 연장 돌출부(2373)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측 케이싱 부분(2370)의 내면의 인접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공기 흐름 안내 부재(2331)는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2310) 및 내측 연장 돌출부(2373)에 의해 부분적으로 규정되는 제 1 공기 출구(2310)의 덕트(2311) 쪽으로 보내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 내의 제 1 공기 흐름 채널(2312)이 공기 흐름 안내 부재(233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된다.
제 2 공기 출구(2320)는, 제 2 공기 출구(2320)의 덕트(2321)가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공기 출구(2320)로부터 배출된 비증폭 공기 흐름은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향할 것이다. 도 17a 및 1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공기 출구(2320)의 덕트(2321)는, 보어(2500)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본체(1100)로부터 받은 주 공기 흐름을 전달하는 내부 통로(2330)로부터 노즐(2300)의 외주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7a 및 17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내부 통로(2330) 내에서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을 규정하는 배플(2420)이 내부 통로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그 제 2 공기 흐름 재널은 주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2320)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된다. 배플(2420)은, 내부 통로(23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노즐(230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통로(2330)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은 배플(2420)의 일 측에 있는 내부 통로(2330)의 일 부분이다. 특히,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은, 배플(2420), 및 제 2 공기 출구(2320)에 인접하는 노즐(2300)의 내부 표면의 일 부분에 의해 경계지는 내부 통로(2330)의 일 부분을 포함한다.
배플(2420)은,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으로부터 내부 통로(2330)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플 벽으로 제공된다. 이 배플 벽(2420)은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며, 전방부(2421)와 후방부(2422)를 갖는다. 배플 벽(2420)의 후방부(2422)는 만곡된 후방 케이싱 부분(2380)의 외측 단부로부터 보어(2500)의 중심 축선(X) 쪽으로 내측으로 각져 있다. 그리고 전방부(2421)는 후방부(2422)에 대해 각져 있어, 전방부(2421)는 외측 케이싱 부분(2360)에 평행하며, 전방부(2421)의 대부분이 외측 케이싱 부분(2360)과 겹친다. 배플 벽(2420)의 전방부(2421)와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겹침부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 통로(2330)의 부분이 내부 통로(2330)의 내의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을 형성하며, 배플 벽(2420)의 각진 후방부(2422)는,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공기 출구(2320)의 덕트(2321)를 제공한다. 배플 벽(2421)의 전방 단부와 외측 케이싱 부분(2360)의 내면으로 규정되는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 안으로의 공기 입구는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도 17a 내지 17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배플 벽(2420)은 내부 통로(2330)의 대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배플 벽(2420)의 하단부는 내부 통로(2330)의 하측 부분의 내면과 만나도록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각져 있으며, 그래서 주 공기 흐름은 이 하단부를 통해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에 들어갈 수 없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 노즐(2300)은 밸브(2400)를 포함하고, 이 밸브는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2310)와 제 2 공기 출구(2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밸브(2400)는 단일의 밸브 부재(2410)를 포함하고, 이 밸브 부재는, 주 공기 흐름을 밸브 부재(2410)의 위치에 따라 제 1 공기 출구(2310)와 제 2 공기 출구(2320)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밸브 부재(2410)는, 밸브 부재(2410)가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2310)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232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2410)가 주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2320)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출구(231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밸브 부재(2410)가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위치되면, 밸브 부재(2410)는 주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제 1 공기 출구(2310)에 보내고 또한 주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제 2 공기 출구(2320)에 보내게 된다. 밸브 부재(2410)가 제 1 끝 위치에 가까울 수록, 제 1 공기 출구(2310)에 보내지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은 더 커지게 된다. 반대로, 밸브 부재(2410)가 제 2 끝 위치에 가까울 수록, 제 2 공기 출구(2320)에 보내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은 더 커지게 된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 밸브(2400)는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 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각 밸브 부재(2410)는,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을 내부 통로(2330)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제 2 끝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2312)을 내부 통로(2330)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흐름 채널(2312)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밸브 부재(2410)를 제 1 끝 위치로부터 제 2 끝 위치까지 임의의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팬 어셈블리(1000)에는 밸브 모터(243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밸브 모터에 의해 밸브 부재(2410)가 주 제어 회로(1170)로부터 벋은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이게 된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모터(2430)는, 아치형 랙(2440)과 맞물리는 피니언(2431)을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며, 밸브 모터(243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2431)과 랙(2440) 둘 다의 회전이 일어나고 또한 밸브(2400)는, 랙(2440)의 회전으로 인해 밸브 부재(2410)가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 모터(2430)는 내부 통로(2330)의 피크/중심에서 내부 통로(2330) 내의 배플 벽(2420)에 장착되며, 배플 벽(2420)은 후방 케이싱 부분(2380)에 부착된다. 밸브 모터(2430)의 회전 축(2432)은 후방 케이싱(2380) 쪽으로 돌출하고, 축(2432)의 회전 축선은 보어/개구(2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하다. 피니언(2431)은 회전 축(2432)에 장착되며, 피니언(2431)의 치부는 아치형 랙(2440)과 맞물리며, 이 랙의 형상은 환형/원통형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의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일치하거나 그와 연관된다.
노즐(2300)은 환형/원통형임에 따라, 랙(2440)은 우호(major arc) 형상을 가지며, 랙(2440)은 180도 보다 큰 각도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아치형 랙(2440)은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통로(2330)의 대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을 것이며, 노즐(2300)의 내부 통로(2330) 내에 장착될 때 아치형 랙(2440)의 단부들 사이의 공간은 공기 입구(2340)와 정렬된다.
제 1 공기 흐름 채널(2312) 안으로의 입구 및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의 입구는 서로 정렬되며, 노즐(2300)의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밸브 부재(2410)가 제 1 끝 위치에 있을 때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을 차단하고 또한 제 2 끝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2312)을 차단하기 위해, 밸브 부재(2410) 각각은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밸브(2400)는, 랙(2440)의 회전이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2410)의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랙(2440)의 회전을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2410)의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도 18 및 19에 도시되어 있는 아치형 랙(2440)에는 단일의 표면(2441)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표면은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랙(2440)으로부터 돌출하며, 또한 아치형 랙(244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돌출 표면(2441)에는, 아치형 랙(2440)의 길이 주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5개의 선형 캠이 제공되어 있고, 각 선형 캠은 랙(2440)의 회전 축선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만곡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캠 슬롯(2442a-e)의 형태이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 랙(2440)은, 5개의 캠 슬롯 중의 한 캠 슬롯(2242a)이, 피니언(2431)이 랙(2440)에 맞물리는 위치에 인접하여 또한 공기 입구(2340)의 반대편에서 랙(2440)의 길이를 따른 중간 지점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4개의 추가 캠 슬롯(2442b, 2442c, 2442d, 2442e)은 중간 캠 슬롯(2442a)의 양측에 분산되어 있어, 이들 캠 슬롯 중의 2개는 랙(2440)의 각 절반부에 위치되며, 그래서 피니언(2431)이 랙(2440)에 맞물릴 때 그 피니언(2431)의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슬롯이 있다. 캠 슬롯(2442a-e) 각각은 밸브 부재(2410)로부터 돌출하는 대응하는 종동자 핀(2411a-e)와 결합되도록 배치되며, 모든 캠 슬롯(2442a-e)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져 있다.
밸브 부재(2410)를 제 1 끝 위치로부터 제 2 끝 위치까지 임의의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주 제어 회로(1170)는, 모터가 축(2432)을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그 축(2432)에 제공되어 있는 피니언(2431)의 회전을 일으키게 하는 신호를 밸브 모터(2430)에 보낸다. 그러므로 피니언(2431)과 아치형 랙(2440)의 맞물림에 의해 랙(2440)이 축(243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치형 랙(2440)의 회전에 의해, 랙(2440)의 만곡 표면(2441)에 제공되어 있는 각진 캠 슬롯(2442a-e)이 밸브 부재(2410)의 대응하는 종동자 핀(2411a-e)에 대해 움직이게 되고, 캠 슬롯(2442a-e)의 각도에 의해 아치형 랙(2440)의 회전 운동이, 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밸브 부재(2410)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도 1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2400)는, 제 2 끝 위치에서, 밸브 부재(2410)가 공기 흐름 안내 부재(2331)의 표면 및 외측 케이싱(2360)의 내면에 인접하여 내부 통로(2330) 내에 위치되는 아치형 랙(2440)의 표면에 접촉/안착되어 제 1 공기 흐름 채널(2312)을 내부 통로(2330)의 나머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2400)는, 제 1 끝 위치에서, 밸브 부재(2410)가 배플 벽(2420)의 전방 단부 및 제 2 공기 출구(2320)에 인접하는 아치형 랙(2440)의 표면 둘 다에 접촉/안착되어 제 2 공기 흐름 채널(2322)을 내부 통로(2330)의 나머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배치된다.
밸브 부재(2410)가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위치되면, 밸브 부재(2410)는 주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제 1 공기 출구(2310)에 보내고 또한 주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제 2 공기 출구(2320)에 보내게 된다. 밸브 부재(2410)가 제 1 끝 위치에 가까울 수록, 제 1 공기 출구(2310)에 보내지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은 더 커지게 된다. 반대로, 밸브 부재(2410)가 제 2 끝 위치에 가까울 수록, 제 2 공기 출구(2320)에 보내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은 더 커지게 된다.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주 공기 흐름 또는 주 공기 흐름의 일부가 제 1 공기 출구(2310)로부터 배출되면, 외부 환경, 구체적으로 노즐(2500)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공기가 동반되어 이차 공기 흐름이 발생된다. 이 이차 공기 흐름은 제 1 공기 출구(2310)로부터 배출되는 주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노즐(2300)로부터 앞으로 보내지는 결합된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주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발산하거나 갈라지도록 주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2320)로부터 배출되면, 이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1000) 외부로부터 노즐(230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보어(2500)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는 것이 방지되어,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되는 팬 어셈블리는 증폭 공기 흐름 또는 비증폭 공기 흐름을 전달하거나 또는 증폭 공기 흐름과 비증폭 공기 흐름 둘 다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사용자에게 공기가 팬 어셈블리에 의해 어떻게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이는, 증폭 공기 흐름의 제공으로 생성되는 냉각 효과 없이 팬 어셈블리의 사용자가 정화 공기를 팬 어셈블리로부터 계속 받고자 원할 수 있음에 따라, 팬 어셈블리는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예컨대, 이는 사용자가 증폭 공기 흐름으로 제공되는 냉각 효과를 사용하기에는 온도가 너무 낮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겨울에 그럴 수 있다. 유사하게, 팬 어셈블리가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팬 어셈블리의 사용자는 집중된 증폭 공기 흐름에 대한 필요 없이 정화된 공기를 팬 어셈블리부터 계속 받고자 원할 수 있고, 그래서 비방향성의 비증폭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에 의해 전달된다.
예컨대, 증폭 공기 흐름의 제공으로 생성되는 냉각 효과 없이 사용자가 정화된 공기를 팬 어셈블리로부터 받고자 원하면, 그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공기 전달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주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이 하나 이상의 제 1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할 것이며, 그래서 주 공기 흐름 전체가 하나 이상의 제 2 공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래서 팬 어셈블리는 비증폭 공기 흐름만 생성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증폭 공기 흐름의 제공으로 생성되는 냉각 효과를 부분적으로만 줄이고자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밸브 부재가 하나 이상의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지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을 증가시키면서 하나 이상의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지는 주 공기 흐름의 비율을 감소시키도록 움직이게 하도록 주 제어 회로에 지시할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팬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노즐에 의해 규정되는 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발산하거나 갈라지도록 그 비증폭 공기 흐름을 보내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들 실시 형태에서, 비증폭 공기 흐름은 확산적으로 배출되어, 주 공기 흐름이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팬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제 1 공기 출구는,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노즐에 의해 규정되는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그 공기 흐름을 보내도록 구성되어, 중폭 공기 흐름이 더 직접적으로 또한 집중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집중된 증폭 공기 흐름의 제공으로 생성되는 냉각 효과를 더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제 2 공기 출구에 의해 비증폭 공기 흐름이 더 확산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개별적인 항목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거나 설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다른 항목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동일한 단락 또는 서로 동일한 도면에 언급되어 있는 항목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필요는 없음을 알 것이다. 추가로, "수단" 이라는 표현은, 바람직한 경우 액츄에이터 또는 시스템 또는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 또는 "이루어지는" 이라는 말은 결코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독자는 그에 따라 설명부 및 청구 범위를 해석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단지 실례를 들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속한다고 생각되는 수정예 및 대체예를 본 개시를 고려하여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당업자는 전술한 발명은 자유 직립 팬 어셈블리 뿐만이 아닌 다른 종류의 환경 제어 팬 어셈블리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함을 알 것이다. 예컨대, 그러헌 팬 어셈블리는 자유 직립 팬 어셈블리, 천정 또는 벽 장착 팬 어셈블리 및 차량내 팬 어셈블리 중의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 모두에서 노즐은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하지만, 제 2 공기 출구는 팬 어셈블리의 본체/스탠드에 또는 팬 어셈블리의 본체/스탠드에 연결되는 노즐의 목부에 제공될 수 있고, 밸브는 그에 따라 공기 흐름을 보내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예로, 도 1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실시 형태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 내부에서 가열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이 가열기 어셈블리는 주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흐름 채널을 통해 제 1 공기 출구로 갈 때 그 주 공기 흐름을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여기서 설명된 팬 어셈블리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주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흐름 채널을 통해 제 2 공기 출구로 갈 때 그 주 공기 흐름을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기 어셈블리가 제 2 공기 흐름 채널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전술한 실시 형태 모두는 밸브의 밸브 부재의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밸브 모터를 제공하지만, 여기서 설명되는 노즐은 밸브 부재의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수동 기구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밸브 부재가 움직일 것이다. 예컨대, 이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 또는 휠 또는 슬라이딩 다이얼 또는 스위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다이얼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축, 피니언 및 랙의 회전이 일어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팬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제 1 출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가 하나 보다 많은 제 1 공기 출구 및/또는 하나 보다 많은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경우, 팬 어셈블리는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들)와 제 2 공기 출구(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기 위한 단일의 밸브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주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들)와 제 2 공기 출구(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는 복수의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팬 어셈블리는 각 제 1 공기 출구 및/또는 각 제 2 공기 출구에 대응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8)

  1. 팬 어셈블리로서,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 및
    제 1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보어(bore)를 규정하고, 상기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팬 어셈블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어를 통해 흡인되고, 상기 공기는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제 2 공기 출구를 더 포함하고,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지 않아 비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이 팬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그 공기 흐름을 정화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상기 팬 어셈블리로부터 갈라지도록,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팬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팬 본체에 장착되고 또한 그 팬 본체에 의해 지지되며, 팬 본체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상기 팬 본체로부터 갈라지도록,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비증폭 공기 흐름이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갈라지도록,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을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의 덕트가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출구는,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출구는, 이 제 1 공기 출구의 덕트가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출구는,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이 밸브는 밸브의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있을 때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 1 공기 출구, 제 2 공기 출구 및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둘 다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노즐의 상기 내부 통로 내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2 공기 출구를 내부 통로 내의 공기 흐름으로부터 차단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공기 출구를 내부 통로 내의 공기 흐름으로부터 차단시키는, 팬 어셈블리.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에는 제 1 공기 흐름 채널 및 제 2 공기 흐름 채널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은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기 흐름 채널은 공기 흐름을 상기 제 2 공기 출구 쪽으로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2 공기 흐름 채널을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끝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을 상기 내부 통로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배플(baffle)이 상기 내부 통로 내에 제공되어 있고, 배플은 내부 통로 내에서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과 제 2 공기 흐름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팬 어셈블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중의 한 위치에서 상기 배플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공기 흐름 채널 또는 제 2 공기 흐름 채널을 내부 통로의 나머지로부터 차단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23. 제 14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보어의 중심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24. 제 14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보내도록 상기 밸브 부재를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밸브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동기는 밸브 모터 및 수동 구동식 다이얼 또는 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동기는 랙(rack)을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랙은 상기 밸브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랙이 움직이면 밸브 부재가 움직이게 되는, 팬 어셈블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랙과 밸브 부재 사이의 연결은 캠-종동자 쌍에 의해 제공되고, 캠은 상기 랙과 밸브 부재 중의 하나에 제공되고, 종동자는 상기 랙과 밸브 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캠과 상호 협력하게 되는, 팬 어셈블리.
  28.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동기는 밸브 액츄에이터를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밸브 액츄에이터는 밸브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밸브 액츄에이터가 움직이면 밸브 부재가 움직이게 되는, 팬 어셈블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액츄에이터와 밸브 부재의 연결은 캠-종동자 쌍에 의해 제공되고, 캠은 상기 밸브 액츄에이터와 밸브 부재 중의 하나에 제공되고, 종동자는 상기 밸브 액츄에이터와 밸브 부재 중의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캠과 상호 협력하게 되는, 팬 어셈블리.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구동기는 랙을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랙은 밸브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있어, 랙이 움직이면 밸브 액츄에이터가 움직이게 되는, 팬 어셈블리.
  31. 제 26 항, 제 27 항 및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내부 통로의 정렬된 부분의 아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 형상을 가지며, 밸브 구동기는 랙의 원형 운동을 일으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32. 제 30 항을 인용할 때 제 31 항에 있어서,
    제 1 밸브 액츄에이터가 상기 아치형 랙의 제 1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밸브 액츄에이터가 상기 아치형 랙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액츄에이터를 제 1 밸브 부재에 연결하는 캠-종동자 쌍의 캠은 상기 제 2 밸브 액츄에이터를 제 2 밸브 부재에 연결하는 캠-종동자 쌍의 캠과는 반대되는 배향을 갖는, 팬 어셈블리.
  34. 팬 어셈블리용 노즐로서,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흐름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
    제 1 공기 출구; 및
    제 2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보어(bore)를 규정하고, 상기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 흐름의 일부분에 의해 상기 팬 어셈블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보어를 통해 흡인되고, 상기 공기는 제 1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공기 흐름과 결합하여 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기 출구는, 이 제 2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분이 상기 노즐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상기 보어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지 않아 비증폭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용 노즐.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밸브를 더 포함하며, 이 밸브는 밸브의 밸브 부재의 위치에 따라 공기 흐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와 제 2 공기 출구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용 노즐.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2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1 끝 위치와, 밸브 부재가 공기 흐름을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이 제 1 공기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 제 2 끝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용 노즐.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끝 위치와 제 2 끝 위치 사이에 있을 때 공기 흐름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공기 출구에 보내고 또한 공기 흐름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2 공기 출구에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용 노즐.
  38. 임펠러,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임펠러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을 받도록 배치되는 제 34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즐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KR1020207017548A 2017-12-01 2018-10-03 팬 어셈블리 KR102518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20058.5A GB2568939B (en) 2017-12-01 2017-12-01 A fan assembly
GB1720058.5 2017-12-01
PCT/GB2018/052821 WO2019106332A1 (en) 2017-12-01 2018-10-03 A fa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240A true KR20200087240A (ko) 2020-07-20
KR102518925B1 KR102518925B1 (ko) 2023-04-10

Family

ID=6095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48A KR102518925B1 (ko) 2017-12-01 2018-10-03 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22146B2 (ko)
EP (1) EP3717781A1 (ko)
JP (1) JP7029380B2 (ko)
KR (1) KR102518925B1 (ko)
CN (2) CN209539664U (ko)
GB (1) GB2568939B (ko)
WO (1) WO2019106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4956B2 (en) 2017-05-22 2022-07-12 Sharkninja Operating Llc Modular fan assembly with articulating nozzle
GB2568939B (en) * 2017-12-01 2020-12-0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78615B (en) * 2018-11-01 2021-10-1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O2021088677A1 (zh) * 2019-11-08 2021-05-14 追觅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无叶风扇及其组装方法
WO2021088947A1 (zh) * 2019-11-08 2021-05-14 追觅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无叶风扇
CN110792639B (zh) * 2019-11-18 2023-08-25 应辉 风扇以及风扇更换过滤器的方法
KR102299268B1 (ko) * 2019-12-26 2021-09-06 김세출 에어의 분할 영역별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미세먼지 선풍기 시스템
EP4184014A1 (en) * 2020-03-04 2023-05-24 LG Electronics, Inc. Blower
US11473593B2 (en) * 2020-03-04 2022-10-18 Lg Electronics Inc. Blower comprising a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lower body having a first and second upper body positioned abov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dies wherein the bodies have a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through respective boundary surface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KR102630059B1 (ko) * 2020-03-04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WO2021177713A1 (ko) * 2020-03-04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EP4145001A1 (en) 2020-03-11 2023-03-08 LG Electronics, Inc. Blower
KR102630060B1 (ko) * 2020-03-11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WO2021182809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TW202246710A (zh) * 2020-06-02 2022-12-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空氣調節器用風扇裝置
GB2618449A (en) * 2021-02-26 2023-11-08 Dyson Technology Ltd Air amplifier
GB2604164B (en) * 2021-02-26 2023-09-13 Dyson Technology Ltd Air Amplifier
CN115727455A (zh) * 2021-08-31 2023-03-03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
GB2611044A (en) 2021-09-23 2023-03-29 Dyson Technology Ltd A biodegradable filt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2358A (ja) * 2016-03-22 2017-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および送風機能付空気清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8467A (en) 1947-09-12 1949-11-15 Lisio Salvatore De Motor-driven fan
JPS5828134B2 (ja) 1978-11-08 1983-06-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シ−トベルト装置
CA2130584C (en) 1993-08-23 1999-12-07 Bernard Chiu Filter air cleaner
KR100224450B1 (ko) 1996-05-23 1999-10-1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밸런싱장치
US6447586B1 (en) 2000-12-06 2002-09-10 Whirlpool Corporation Air treatment appliance with a translucent body
EP1565097A1 (en) 2001-07-26 2005-08-24 Ian Robert Symons Body dryer
US7258715B2 (en) 2004-07-22 2007-08-21 Kaz, Incorporated Air cleaner
GB2468312A (en)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GB2476172B (en) 2009-03-04 2011-11-16 Dyson Technology Ltd Tilting fan stand
CN102235385A (zh) 2010-04-21 2011-11-09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吹风装置
GB2484669A (en) * 2010-10-18 2012-04-2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omprising an adjustable nozzle for control of air flow
CN102011755A (zh) 2010-12-02 2011-04-13 任文华 无扇叶风扇装置
JP5828134B2 (ja) * 2011-07-06 2015-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
BR112014001474A2 (pt) * 2011-07-27 2017-02-21 Dyson Technology Ltd conjunto de ventilador
CN202228388U (zh) 2011-08-26 2012-05-23 夏爱月 遥控加湿无叶风扇
GB2493975B (en) 2011-08-26 2015-02-11 Dyson Technology Ltd Turbomachine
GB2493976B (en) 2011-08-26 2014-08-13 Dyson Technology Ltd Turbomachine
CN202545295U (zh) * 2011-12-28 2012-11-21 乐清市畅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无叶冷热两用风扇
TWI548813B (zh) * 2012-03-13 2016-09-11 Yi-Sheng Luo A fanless fan with air cleaning function
US20130320574A1 (en) 2012-05-18 2013-12-05 The Yankee Candle Company, Inc. Aerodynamic formula dispersing apparatus
GB2536767B (en) 2013-03-11 2017-11-1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nozzle with control port
CN203272264U (zh) 2013-03-29 2013-11-06 合肥科盛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出风口呈曲面排布的无叶风扇
US9719525B2 (en) 2013-05-23 2017-08-01 Jeffrey Butler Cunnane Medallion fan
KR102033689B1 (ko) 2013-07-03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935769B2 (ja) 2013-07-12 2016-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GB2528708B (en) 2014-07-29 2016-06-29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KR101600701B1 (ko)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 위닉스 에어 워셔
DE102014017774B4 (de) * 2014-12-02 2018-05-17 Audi Ag Verfahren zur Belüftung eines Raums und Belüftungssystem
US10024330B2 (en) 2015-01-23 2018-07-17 Jianhui Xie Bladeless cooling light
WO2016128735A1 (en) 2015-02-13 2016-08-18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CN105317663A (zh) 2015-11-25 2016-02-10 许传平 一种风扇组件
JP6650561B2 (ja) * 2016-03-07 2020-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
GB2568939B (en) * 2017-12-01 2020-12-0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68979A (en) 2017-12-01 2019-06-0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2358A (ja) * 2016-03-22 2017-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および送風機能付空気清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70157A1 (en) 2019-06-06
EP3717781A1 (en) 2020-10-07
CN209539664U (zh) 2019-10-25
JP2019100341A (ja) 2019-06-24
US11022146B2 (en) 2021-06-01
CN109869358A (zh) 2019-06-11
CN109869358B (zh) 2021-04-27
JP7029380B2 (ja) 2022-03-03
GB201720058D0 (en) 2018-01-17
KR102518925B1 (ko) 2023-04-10
GB2568939A (en) 2019-06-05
GB2568939B (en) 2020-12-02
WO2019106332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7240A (ko) 팬 어셈블리
KR20200085869A (ko) 팬 어셈블리
JP7170877B2 (ja) 調整可能なノズルを備えたインダクションジェットファン
US11110380B2 (en) Fan assembly
EP3256734B1 (en) A fan assembly
KR102095989B1 (ko) 스윙 루버를 구비한 스탠드형 에어컨
US20190168151A1 (en) Filter assembly
KR102485747B1 (ko) 팬 어셈블리
KR20200124715A (ko) 팬 어셈블리
KR20220009307A (ko) 다방향 배출이 가능한 날개없는 선풍기
KR20210098058A (ko)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