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701B1 - 에어 워셔 - Google Patents

에어 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701B1
KR101600701B1 KR1020140111466A KR20140111466A KR101600701B1 KR 101600701 B1 KR101600701 B1 KR 101600701B1 KR 1020140111466 A KR1020140111466 A KR 1020140111466A KR 20140111466 A KR20140111466 A KR 20140111466A KR 101600701 B1 KR101600701 B1 KR 10160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rill
discharge
lock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4011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에서 간편하게 분리한 후 배출 그릴과 송풍 유닛의 유지 보수 및 청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배출 그릴이 공기 배출부에 탈거 가능한 구조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에어 워셔{AIR WASHER}
본 발명은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기 배출부에서 배출 그릴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에어 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를 접촉시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는 장치이다. 에어 워셔는 물과 공기의 접촉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워셔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 물이 적셔진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는 방식, 물막이 형성된 디스크에 공기를 송풍하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는 소음이 적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가습시 물방울이 보이지 않고, 필터의 교체가 불필요한 구조라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발명의 명칭: 가습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조립, 등록일: 2007.09.04)에는 디스크 타입의 에어 워셔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는 제품의 하부가 물통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디스크 조립체가 물통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7호에서는 공기 흡입부가 제품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공기 배출부는 제품의 상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를 측면으로 흡입한 후 가습 및 세척된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 배출구에는 에어 워셔의 장시간 사용시 먼지나 이물질이 쌓일 수 있지만, 공기 배출구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에어 워셔의 완전히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그로 인해서 공기 배출구는 더러워진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출 그릴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배출구와 송풍 유닛의 청소 작업 및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할 수 있고, 배출 그릴의 분리 작업도 간단한 동작만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의해 처리된 가습 세척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배출부에 배치된 배출 그릴,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1 부위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1 부위에 구비된 그릴 연결 기구, 및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2 부위를 선택적으로 잠금시키도록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2 부위에 구비된 그릴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에어 워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그릴 잠금 기구는 그릴 연결 기구에 의해 제1 부위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부위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그릴 연결 기구는 상기 그릴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부위가 비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위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릴 잠금 기구 및 상기 그릴 연결 기구에 의해서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잠금 기구 및 상기 그릴 연결 기구에 의해서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송풍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외부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송풍 가이드, 상기 송풍 가이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 가이드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 탈거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그릴 연결 기구는,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어느 하나의 제1 부위에 형성된 후크홀부, 및 상기 후크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다른 하나의 제1 부위에 돌출된 후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홀부는 상기 후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은 가능하나 상기 배출 그릴의 이탈 방향으로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 연결 기구는, 상기 배출 그릴의 장탈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후크홀부의 주위에 배치된 그릴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그릴 잠금 기구는,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어느 하나의 제2 부위에 형성된 잠금홀부, 및 상기 잠금홀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다른 하나의 제2 부위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의 제2 부위에 장착되는 잠금부 본체, 상기 잠금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잠금부 본체에 배치된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 돌기의 돌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부 본체 또는 상기 잠금 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기 조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 조절 부재는 버튼 누름 방식 또는 스크류 회전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 본체는 상기 공기 배출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2 부위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 조절 부재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외측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의 외측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그릴 연결 기구와 그릴 잠금 기구를 이용하여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에 장착 또는 분리하므로,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배출 그릴을 공기 배출부에서 분리하는 구조이므로, 에어 워셔 본체의 내부 또는 공기 배출부를 간편하게 청소 또는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그릴이 제거된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송풍 유닛을 분해한 후 에어 워서 본체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공기 배출부에서 배출 그릴을 분리하므로, 에어 워셔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어 워셔의 내부를 자주 청소할 수 있어 환경 오염과 청결도에 민감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에서 배출 그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에서 배출 그릴의 장착 과정 또는 탈거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릴 잠금 기구의 잠금부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에서 배출 그릴(13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워셔(100)에서 배출 그릴(130)의 장착 과정 또는 탈거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릴 잠금 기구(150)의 잠금부(154)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 공기 배출부(120), 배출 그릴(130), 그릴 연결 기구(140), 및 그릴 잠금 기구(150)를 포함한다.
에어 워셔 본체(110)는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워셔 본체(110)는 케이스(111), 송풍 유닛(112), 디스크 어셈블리(미도시), 수조 유닛(113)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1)는 에어 워셔(100)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케이스(111)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송풍 유닛(112), 디스크 어셈블리, 및 수조 유닛(113)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1)에는 공기 흡입부(160) 및 공기 배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부(160)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부재이다. 일례로, 공기 흡입부(160)는 케이스(111)의 후면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 그릴(162)이 장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1)의 하부에는 수조 수납부가 형성되어 수조 유닛(113)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수조 유닛(113)은 수조 수납부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112)은 에어 워셔(100)에서의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력을 발생하는 부재이다. 송풍 유닛(112)은 공기 흡입부(160)와 공기 배출부(120)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유닛(112)이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공기 배출부(120)와 연통되게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송풍 유닛(112)은 공기 배출부(120)를 통해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부로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 유닛(112)은 송풍 가이드(114), 송풍팬(115), 구동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가이드(114)는 공기 배출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 가이드(114)는 덕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115)은 송풍 가이드(11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15)은 원심팬, 축류팬, 시로코팬 등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6)는 송풍팬(115)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16)가 송풍팬(115)의 회전축과 연결된 모터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팬(115)이 구동부(116)에 탈거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송풍팬(115)는 선풍기의 날개와 같은 구조로 구동부(116)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15)은 송풍 가이드(114)와 공기 배출부(120)를 통해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부(116)도 송풍 가이드(114)와 공기 배출부(120)를 통해서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다.
디스크 어셈블리는 송풍 유닛(11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및 세척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디스크 어셈블리는 공기 흡입부(160)와 공기 배출부(120) 사이의 공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 어셈블리는 수조 유닛(11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회전축(미도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디스크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 플레이트들의 하부는 수조 유닛(113) 내의 물에 잠긴 상태이다. 디스크 플레이트들이 디스크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 디스크 플레이트의 표면에 물막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흡입부(160)로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플레이트의 물막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가습과 세척이 실시될 수 있다.
수조 유닛(113)은 에어 워셔(100)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부재이다. 수조 유닛(113)의 내부에는 디스크 어셈블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조 유닛(113)은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수조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 본체(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전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패널(11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조 수납부(112)는 디스크 어셈블리와 수조 유닛(113)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수조 유닛(113)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17)은 에어 워셔(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수조 유닛(113)과 수조 수납부(112)의 크기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여기서, 수조 유닛(113)을 수조 수납부(112)에서 인출하면, 전면 패널(117)은 디스크 어셈블리와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상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유닛(113)과 디스크 어셈블리는 전면 패널(117)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조 수납부(112)의 전방으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 유닛(113)을 수조 수납부(112)에 수납 완료되면, 전면 패널(117)은 수조 유닛(113)과 수조 수납부(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차폐시키도록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수조 수납부(112)가 에어 워셔(100)의 전방으로 들어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전면 패널(117)과 수조 유닛(113)이 에어 워셔(100)의 전면을 일체감 있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워셔(100)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수조 수납부(112)를 통해 에어 워셔(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부(120)는 에어 워셔 본체(110)에 의해 처리된 가습 세척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부재이다. 일례로, 공기 배출부(120)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에어 워셔(100)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후방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160)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에어 워셔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120)를 통해 가습 세척된 공기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배출부(120)는 중앙에 개구부(120a)를 갖는 링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1)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0)는 송풍 유닛(112)의 송풍 가이드(114)와 연통되도록 송풍 가이드(114)의 상단부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배출부(120)의 일측에는 컨트롤 패널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부(128)는 에어 워셔(100)의 작동을 조작하거나 또는 에어 워셔(100)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부재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출 그릴(130)은 공기 배출부(12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20a)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그릴(130)은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그릴(130)이 송풍 유닛(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출 그릴(130)은 공기 배출부(120)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또는 이물질이 공기 배출부(120)를 통해 송풍 유닛(112)의 내부에 임의로 들어가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와 부품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그릴 연결 기구(140)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132)를 연결시키는 부재이다. 즉, 그릴 연결 기구(140)는 배출 그릴(130)의 제1 부위(132) 및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132)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접촉부 중에서 어느 한 특정 부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접촉부는 공기 배출부(120)의 내주부(121) 및 배출 그릴(130)의 외주부(131)에 해당될 수 있으며,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132)는 접촉부 중에서 전방에 위치된 부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그릴(130)의 제1 부위(132)가 배출 그릴(130)의 외주부(131)의 전방부이고,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는 공기 배출부(120)의 내주부(121)의 전방부인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릴 연결 기구(140)는 후크홀부(142) 및 후크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홀부(142)는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또는 배출 그릴(130)의 제1 부위(13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부(144)는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또는 배출 그릴(130)의 제1 부위(13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후크홀부(142)와 후크부(144)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크홀부(142)가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에 형성되고, 후크부(144)가 배출 그릴(130)의 제1 부위(132)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후크홀부(142)는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와 연결된 송풍 가이드(114)의 제1 부위(114a)에도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144)는 후크홀부(142)에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배출 그릴(130)의 제1 부위(1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144)는 후크홀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후크홀부(142)에 걸려 배출 그릴(130)의 전방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후크홀부(142)는 후크부(144)의 삽입이 가능한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후크부(144)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크홀부(142)는 후크홀부(142)와 후크부(144)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배출 그릴(1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릴 연결 기구(140)는 그릴 감지부(14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릴 감지부(146)는 후크홀부(142)와 후크부(144)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여 배출 그릴(130)의 장탈착 여부를 검출하는 부재이다. 그릴 감지부(146)는 접촉 센서, 광센서, 홀센서,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그릴 감지부(146)는 후크홀부(142) 또는 후크부(144)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감지부(146)가 후크홀부(142)의 주위에 배치된 접촉 센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144)가 후크홀부(142)에 삽입되면, 후크부(144)의 단부는 그릴 감지부(146)와 접촉할 수 있으며, 그릴 감지부(146)는 후크부(144)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배출 그릴(130)이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에 배치된 상태인지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그릴 잠금 기구(150)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134)를 선택적으로 잠금시키는 부재이다. 즉, 그릴 연결 기구(140)는 배출 그릴(130)의 제2 부위(134) 및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134)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접촉부의 후방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그릴(130)의 제2 부위(134)가 배출 그릴(130)의 외주부(131)의 후방부이고,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는 공기 배출부(120)의 내주부(121)의 후방부인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워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릴 잠금 기구(150)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132)가 그릴 연결 기구(14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134)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릴 연결 기구(140)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134)가 그릴 잠금 기구(15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132)를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그릴 잠금 기구(150)의 잠금 상태를 직접 조절하여 배출 그릴(130)의 장착 또는 탈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릴 잠금 기구(150)는 잠금홀부(152) 및 잠금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홀부(152)는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또는 배출 그릴(130)의 제2 부위(13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부(154)는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또는 배출 그릴(130)의 제2 부위(134)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잠금부(154)가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에 구비되고, 잠금홀부(152)가 배출 그릴(130)의 제2 부위(134)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잠금홀부(152)는 배출 그릴(130)의 제2 부위(134)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홀부(152)에는 후술하는 잠금부(154)의 잠금 돌기(156)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잠금홀부(152)는 잠금 돌기(156)에 상하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154)는 잠금홀부(15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부재이다. 잠금부(15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잠금홀부(152)에 잠금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부(154)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54)는 잠금부 본체(155), 잠금 돌기(156), 및 돌기 조절 부재(157)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부 본체(155)는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잠금부 본체(155)는 공기 배출부(120), 송풍 유닛(112) 또는 케이스(111) 등에 다양한 고정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잠금부 본체(155)가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의 내부에 배치되되, 공기 배출부(120)와 연결되는 송풍 가이드(114)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잠금 돌기(156)는 돌기 조절 부재(157)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잠금부 본체(155)에 구비될 수 있다. 잠금 돌기(156)와 잠금홀부(152)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잠금 돌기(156)는 잠금홀부(152)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 134)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120)의 제2 부위(124)에는 잠금홀부(152)와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홀(126)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26)의 내부에는 잠금 돌기(156)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잠금부 본체(155)가 송풍 가이드(114)에 배치되므로, 송풍 가이드(114)의 제2 부위(114b)에도 공기 배출부(120)의 관통홀(126)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26)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 돌기(156)가 잠금부 본체(155)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출 그릴(130)의 장착시 배출 그릴(130)과의 간섭에 의해 잠금부 본체(155)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잠금 돌기(156)와 잠금부 본체(155)의 사이에는 잠금 돌기(15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57)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157)의 탄성력은 잠금 돌기(156)의 돌출 방향으로 잠금 돌기(156)에 상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돌기(156)의 단부는 잠금 돌기(156)와 배출 그릴(130)의 간섭시 잠금 돌기(156)를 잠금부 본체(155)에 삽입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내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조절 부재(157)는 잠금 돌기(156)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도록 잠금부 본체(155) 또는 잠금 돌기(156)에 조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1 위치(P1)로 조작하여 잠금 돌기(156)를 잠금부 본체(155)의 내부에 강제로 삽입시킬 수 있으며,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2 위치(P2)로 조작하여 잠금 돌기(156)의 강제 삽입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기 조절 부재(157)는 버튼 누름 방식 또는 스크류 회전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 조절 부재(157)가 스크류 회전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돌기 조절 부재(157)는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공기 배출부(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 조절 부재(157)에는 걸림 리브(157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부 본체(155)에는 돌기 조절 부재(157)의 회전 각도에 따라 걸림 리브(157a)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걸림턱(15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 조절 부재(157)는 잠금 돌기(156)와 돌출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잠금 돌기(156)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1 위치(P1)로 회전 조작하면, 걸림 리브(157a)가 걸림턱(155a)과 간섭될 수 있으며, 걸림 리브(157a)와 걸림턱(155a)의 간섭에 의해서 돌기 조절 부재(157)는 잠금 돌기(156)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잠금 돌기(156)는 돌기 조절 부재(157)와 함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잠금 돌기(156)와 잠금홀부(152)의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2 위치(P2)로 회전 조작하면, 걸림 리브(157a)가 걸림턱(155a)과의 간섭이 해제될 수 있으며, 걸림 리브(157a)와 걸림턱(155a)의 간섭 해제에 의해서 돌기 조절 부재(157)는 잠금 돌기(156)의 돌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잠금 돌기(156)는 돌기 조절 부재(157)와 함께 돌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잠금 돌기(156)는 잠금홀부(152)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잠금홀부(15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어 워셔(100)를 작동시키면, 송풍 유닛(112)이 구동되어 외부 공기가 공기 흡입부(160)로 흡입되고, 디스크 어셈블리가 회전되어 외부 공기가 가습 및 세척된다. 디스크 어셈블리에 의해 가습 및 세척된 공기는 송풍 유닛(112)에 의해 공기 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워셔(100)를 장시간 작동시키면, 공기 흡입부(160), 공기 배출부(120), 디스크 어셈블리, 송풍 유닛(112), 수조 유닛(113) 등이 오염되거나 이물질이 표면에 적층된다. 따라서, 에어 워셔(100)는 정기적으로 청소와 세척이 필요하다.
공기 흡입부(160)의 경우에는, 흡입 그릴(162)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세척하고, 흡입 그릴(162)이 제거된 공기 흡입부(160)의 내부를 청소한다.
디스크 어셈블리와 수조 유닛(113)의 경우에는, 수조 유닛(113)을 에어 워셔 본체(110)의 수조 수납부에서 인출한 후, 수조 유닛과 디스크 어셈블리를 세척한다.
공기 배출부(120)의 경우에는, 그릴 잠금 기구(15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그릴 연결 기구(140)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공기 배출부(120)에서 배출 그릴(130)을 탈거한다. 배출 그릴(130)을 세척하고,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의 내부를 청소한다.
송풍 유닛(112)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 그릴(130)을 탈거한 상태에서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를 통해 송풍 유닛(112)의 송풍팬(115)을 구동부(116)에서 분리하고, 송풍팬(115) 및 구동부(116)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측으로 꺼낸다. 그리고, 송풍팬(115)을 세척하고, 구동부(116)와 송풍 가이드(114)의 내부를 청소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워셔(100)의 부품에 관한 세척 및 청소가 완료되면,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를 통해 송풍 유닛(112)을 다시 조립하고, 배출 그릴(130)을 공기 배출부(120)에 다시 장착한다. 아울러, 디스크 어셈블리를 수조 유닛(113)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조 유닛(113)을 에어 워셔 본체(110)의 수조 수납부에 삽입하고, 흡입 그릴(162)을 공기 흡입부(160)에 장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워셔(100)는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에어 워셔(100)의 각종 부품과 내부 공간을 간편하게 세척 또는 청소해 줄 수 있으며, 에어 워셔(100)의 오염 및 이물질 축적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배출 그릴(130)의 탈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전이나 공구 등을 이용하여 그릴 잠금 기구(150)의 잠금부(154)의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1 위치(P1)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 조절 부재(157)의 걸림 리브(157a)가 잠금부 본체(155)의 걸림턱(155a)에 간섭하면서 돌기 조절 부재(157)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잠금 돌기(156)는 돌기 조절 부재(157)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돌기 조절 부재(157)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 그릴(130)의 잠금홀부(152)에서 빠져 나온다. 따라서, 그릴 잠금 기구(150)의 잠금 상태를 해소시킨다.
그릴 잠금 기구(150)의 잠금 상태가 해소되면, 그릴 연결 기구(140)의 후크부(144)와 후크홀부(142)를 중심으로 배출 그릴(130)을 회전시켜 배출 그릴(130)의 후방부를 공기 배출부(120)의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상기와 같이 배출 그릴(130)을 비스듬하게 들어올리고, 그 상태에서 후크부(144)가 후크홀부(142)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배출 그릴(130)를 이동시킨다. 후크부(144)가 후크홀부(142)에서 완전히 이탈되면, 배출 그릴(130)을 공기 배출부(120)에서 제거한다. 이때,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를 통해서 송풍 유닛(112)의 송풍팬(115)과 구동부(116)를 분해할 수 있으며,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를 통해서 송풍팬(115) 또는 구동부(116)를 에어 워셔 본체(110)의 외부로 꺼낼 수도 있다.
또한, 배출 그릴(130)의 장착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 및 송풍 유닛(112)의 세척 및 청소가 완료되면,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를 통해서 송풍 유닛(112)을 에어 워셔 본체(110)의 내부에 다시 조립한다. 이때, 배출 그릴(130)은 탈거 작업을 수행할 때와 유사한 비스듬한 모습으로 후크부(144)를 후크홀부(142)에 삽입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후크부(144)를 후크홀부(142)에 삽입시키면, 그릴 연결 기구(140)의 후크부(144)와 후크홀부(142)에 의해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제1 부위(122, 132)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전방부가 그릴 연결 기구(140)에 의해 연결되면, 그릴 연결 기구(140)의 후크부(144)와 후크홀부(142)를 중심으로 배출 그릴(130)을 회전시켜 배출 그릴(130)의 후방부를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잠금 기구(150)는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 중에서 어느 위치에 놓아도 상관없다. 즉,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1 위치(P1)에 놓으면, 잠금 돌기(156)가 후방으로 이동된 잠금 해제 상태이므로 배출 그릴(130)의 후방부가 잠금 돌기(156)와 간섭되지 않는다. 설사, 돌기 조절 부재(157)를 제2 위치(P2)로 회전시켜 잠금 돌기(156)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더라도, 잠금 돌기(156)는 배출 그릴(130)과의 간섭으로 후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배출 그릴(130)의 장착 과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배출 그릴(130)이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에 완전히 삽입됨과 아울러 돌기 조절 부재(157)가 제2 위치(P2)로 조작되면, 돌기 조절 부재(157)와 함께 잠금 돌기(156)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출 그릴(130)의 잠금홀부(152)에 들어가고, 잠금 돌기(156)와 잠금홀부(152)는 배출 그릴(130)과 공기 배출부(120)의 후방부를 연결시킨다. 즉, 배출 그릴(130)의 공기 배출부(120)의 전방부는 그릴 연결 기구(1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고, 배출 그릴(130)의 공기 배출부(120)의 후방부는 그릴 잠금 기구(15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 그릴(130)은 그릴 잠금 기구(150) 및 그릴 연결 기구(140)에 의해서 공기 배출부(120)의 개구부(120a)의 내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배치되거나 공기 배출부(120)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탈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에어 워셔
110: 에어 워셔 본체
112: 송풍 유닛
114: 송풍 가이드
115: 송풍팬
120: 공기 배출부
130: 배출 그릴
140: 그릴 연결 기구
142: 후크홀부
144: 후크부
146: 그릴 감지부
150: 그릴 잠금 기구
152: 잠금홀부
154: 잠금부
155: 잠금부 본체
156: 잠금 돌기
157: 돌기 조절 부재
160: 공기 흡입부
162: 흡입 그릴

Claims (10)

  1. 공기의 가습 및 세척을 수행하는 에어 워셔 본체;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의해 처리된 가습 세척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에어 워셔 본체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배출부에 배치된 배출 그릴;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1 부위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1 부위에 구비된 그릴 연결 기구; 및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2 부위를 선택적으로 잠금시키도록 상기 배출 그릴과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2 부위에 구비된 그릴 잠금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 잠금 기구는 상기 그릴 연결 기구에 의해 상기 제1 부위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부위가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그릴 연결 기구는 상기 그릴 잠금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부위가 비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위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그릴 잠금 기구는,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어느 하나의 제2 부위에 형성된 잠금홀부; 및
    상기 잠금홀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다른 하나의 제2 부위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의 제2 부위에 장착되는 잠금부 본체;
    상기 잠금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잠금부 본체에 배치된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 돌기의 돌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부 본체 또는 상기 잠금 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기 조절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 조절 부재에는 걸림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본체에는 상기 돌기 조절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걸림 리브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 조절 부재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걸림 리브 및 상기 걸림턱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잠금 돌기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홀부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돌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와 직각을 이루는 제2 위치에서 상기 걸림 리브 및 상기 걸림턱의 비간섭에 의해 상기 잠금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 홀부가 연결되는 에어 워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송풍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외부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에어 워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송풍 가이드;
    상기 송풍 가이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부;
    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 가이드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 탈거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에어 워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연결 기구는,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어느 하나의 제1 부위에 형성된 후크홀부; 및
    상기 후크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 또는 상기 배출 그릴 중 다른 하나의 제1 부위에 돌출된 후크부;
    를 구비한 에어 워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부는 상기 후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은 가능하나 상기 배출 그릴의 이탈 방향으로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연결 기구는, 상기 배출 그릴의 장탈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후크홀부의 주위에 배치된 그릴 감지부를 더 구비한 에어 워셔.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조절 부재는 버튼 누름 방식 또는 스크류 회전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된 에어 워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 본체는 상기 공기 배출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제2 부위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돌기 조절 부재는 상기 에어 워셔 본체의 외측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의 외측에 노출되게 배치된 에어 워셔.
KR1020140111466A 2014-08-26 2014-08-26 에어 워셔 KR10160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66A KR101600701B1 (ko) 2014-08-26 2014-08-26 에어 워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66A KR101600701B1 (ko) 2014-08-26 2014-08-26 에어 워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701B1 true KR101600701B1 (ko) 2016-03-07

Family

ID=5554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66A KR101600701B1 (ko) 2014-08-26 2014-08-26 에어 워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7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6335A1 (en) * 2017-12-01 2019-06-06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EP3550218A4 (en) * 2016-11-30 2019-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1022146B2 (en) 2017-12-01 2021-06-01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assembly
WO2022045776A1 (ko) * 2020-08-27 2022-03-0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EP3919749B1 (en) * 2020-06-02 2024-01-17 LG Electronics Inc. Fa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72Y1 (ko) * 2002-06-14 2002-10-25 주식회사 현우스타이십일 침전식 공기정화기
JP2004092998A (ja) * 2002-08-30 2004-03-25 Toshiba Kyaria Kk スライド式ロック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70094209A (ko) * 2006-03-16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KR20100038769A (ko) * 2008-10-06 2010-04-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72Y1 (ko) * 2002-06-14 2002-10-25 주식회사 현우스타이십일 침전식 공기정화기
JP2004092998A (ja) * 2002-08-30 2004-03-25 Toshiba Kyaria Kk スライド式ロック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70094209A (ko) * 2006-03-16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KR20100038769A (ko) * 2008-10-06 2010-04-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바디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218A4 (en) * 2016-11-30 2019-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19106335A1 (en) * 2017-12-01 2019-06-06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US11022146B2 (en) 2017-12-01 2021-06-01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assembly
EP3919749B1 (en) * 2020-06-02 2024-01-17 LG Electronics Inc. Fa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US11885336B2 (en) 2020-06-02 2024-01-30 Lg Electronics Inc. Blower
WO2022045776A1 (ko) * 2020-08-27 2022-03-0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TWI801981B (zh) * 2020-08-27 2023-05-11 南韓商Sk美奇科股份有限公司 空氣淨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701B1 (ko) 에어 워셔
TW201834603A (zh) 清掃機器人及其維護裝置
EP2417894B1 (en) Robot cleaner
KR101352195B1 (ko) 로봇 청소기
JP6633345B2 (ja) 空気調和機
WO2012096119A1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6114302A (ja) 空気清浄機
JP5108119B2 (ja) ダストボックス、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6646032B2 (ja) 空気清浄装置
JP5260691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21471A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구조
WO2016170849A1 (ja) 電気掃除機
KR101817090B1 (ko)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JP6567322B2 (ja) 空気調和機
JP2018089568A (ja) 空気清浄装置
WO2016098424A1 (ja) 空気清浄機
JP6469523B2 (ja) 空気調和機
JP6372612B2 (ja) 空気清浄機
JP6719864B2 (ja) 電気掃除機
TWI633258B (zh) 空氣清淨機
JP6840121B2 (ja) 電気掃除機
KR102359206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를 관리하는 관리 기기
JP5720602B2 (ja) 空気清浄機ユニット
KR102045462B1 (ko) 로봇 청소기
JP6840122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