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623A -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623A
KR20220104623A KR1020210136035A KR20210136035A KR20220104623A KR 20220104623 A KR20220104623 A KR 20220104623A KR 1020210136035 A KR1020210136035 A KR 1020210136035A KR 20210136035 A KR20210136035 A KR 20210136035A KR 20220104623 A KR20220104623 A KR 2022010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ste collection
user
collection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299B1 (ko
Inventor
강인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라임팩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라임팩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라임팩트
Priority to KR102021013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로부터 폐기물 수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 중 수집량이 가장 작은 폐기물 수거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폐기물 수거 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 사용자가 안내된 폐기물 수거 장치 이외의 폐기물 수거 장치에 폐기물을 투입하면, 사용자에게 제1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안내된 폐기물 수거 장치에 폐기물을 투입하면, 사용자에게 제1 보상보다 큰 제2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 METHOD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WASTE BIN AND RECORDING MEDIA FOR STORING PROGRAM THEREOF }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 수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수거 장치에 투입하는 사용자와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자에 대해 각각 보상을 제공하는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 수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일반 주거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폐기물을 재활용 가능한 종류(종이, 금속, 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불가능한 종류 등으로 구분해서 배출하고 있다. 대형 건물이나 공원, 마트, 광장, 관공서 등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는 폐기물을 종류 별로 구분하여 버릴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수거 장치를 함께 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양심에 따라 폐기물을 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수거 과정에서 분류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을 수거한 후 구분하여 폐기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 및 노력이 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특정 행정 단위(시, 구, 군, 동 등)로 폐기물 수거 및 폐기를 구분하여 진행했다. 구체적으로는, 담당 기관에서는 그 구역 내의 여러 장소에 배치한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들을 일괄 수거하여 분류 및 운반하는 업체, 폐기물을 소각 또는 리사이클링하는 업체 등과 각각 계약하여 업무를 위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역 내의 여러 장치들을 일괄 관리하게 되면, 일부 폐기물 수거 장치에서 한계 용량을 초과하여 폐기물이 투입되더라도, 그 폐기물들이 바로 수거되지 않아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폐기물 분류를 주체적으로 잘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폐기물의 수거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 또는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하여 폐기물 수거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는, 복수의 수거함,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에 수거될 폐기물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폐기물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거함을 결정하며,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 중 하나가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의 폐기물을 수거하면,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는, 기프트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으로 상기 폐기물의 개수 또는 중량에 대응되는 가치의 제1 기프트를 배출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으로 폐기물 수거량에 대응되는 가치의 제2 기프트를 배출하도록 상기 기프트 배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폐기물 수거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으로 상기 폐기물의 개수에 대응되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으로 폐기물 수거량에 대응되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바코드, QR 코드, 비밀 코드, 사진, 텍스트, 패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폐기물 수거 장치는, 식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상을 제공해야 하는 사용자 또는 폐기물 수거자의 식별 정보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 및 보상 정보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신규 폐기물의 정보가 검출되면, 폐기물 수거를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가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로 투입되는 폐기물 중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폐기물의 투입량을 카운팅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카운팅된 투입량을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가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하면,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서버 장치로 수거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연락처 정보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는,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로 알림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 시점부터 폐기물 수거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에 따라 상이한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 규모를 상기 사용자의 폐기물 투입 이력, 폐기물 개수,폐기물 중량, 폐기물 종류, 폐기물 제조 회사, 폐기물 판매 장소, 폐기물 투입 시간대, 요일, 폐기물 수거 장치 설치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이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기물의 중량이 상기 폐기물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중량 조건을 벗어나거나, 상기 폐기물의 식별 정보가 기 등록된 제품 정보와 불일치하면, 폐기물 수거를 거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방법은,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에 수거될 폐기물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수거함 중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거함을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 중 하나가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을 수거하면,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상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의 개수 또는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의해 수거되는 폐기물 수거량에 대응되는 가치의 상품권, 쿠폰, 현금,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의 개수나 중량에 대응되는 가치의 보상 또는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의해 수거되는 폐기물 수거량에 대응되는 가치의 보상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 액세스하기 위한 바코드, QR 코드, 비밀 코드, 사진,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한 상태에서 신규 폐기물의 정보가 검출되면, 폐기물 수거를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로 투입되는 폐기물 중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폐기물의 투입량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투입량을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하면,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의 연락처 정보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 시점부터 폐기물 수거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에 따라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대해 제공될 보상 규모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 규모를 상기 사용자의 폐기물 투입 이력, 폐기물 개수,폐기물 중량, 폐기물 종류, 폐기물 제조 회사, 폐기물 판매 장소, 폐기물 투입 시간대, 요일, 폐기물 수거 장치 설치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폐기물의 중량이 상기 폐기물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중량 조건을 벗어나거나, 상기 폐기물의 식별 정보가 기 등록된 제품 정보와 불일치하면, 폐기물 수거를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 분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 분류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폐기물 수거 장치에서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 수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폐기물 수거를 위한 UI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폐기물 수거 장치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전송 또는 전달이라 함은, 데이터나 정보 또는 신호의 전송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암호화/복호화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로부터 B로 전송(전달)" 또는 "A가 B로부터 수신"과 같은 형태의 표현은 중간에 다른 매개체가 포함되어 전송(전달) 또는 수신되는 것도 포함하며, 반드시 A로부터 B까지 직접 전송(전달) 또는 수신되는 것만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언급되는 각 장치들은 서로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장치 안에 포함되는 여러 부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발명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라고 기재한 것은 A와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것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 것으로 나열된 요소 이외에 추가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도 포괄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며,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언급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언급되는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른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는 비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각 단계의 수학적 연산 및 산출은 해당 연산 또는 산출을 하기 위해 공지되어 있는 코딩 방법 및/또는 본 발명에 적합하게 고안된 코딩에 의해서 컴퓨터 연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폐기물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110), 폐기물 수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 기프트 배출부(130),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40), 내부 수거함(미도시)을 노출시켜 수거함에 모인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커버(150)를 포함한다. 내부 수거함은 복수 개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투입구(140)가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전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부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투입구(140)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은 내부 수거함으로 떨어지게 된다. 내부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들이 수거함 용량을 채우게 되면, 관리자는 커버(150)를 열어서 내부 수거함을 비울 수 있다. 커버(150)는 열쇠나 비밀 번호, 지문 인식, 목소리 인식, 얼굴 인식, 홍체 인식 등과 같은 다양한 인증 방식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폐기물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센서부(110)는 바코드 리드,QR 코드 리더, RFID 리더, 이미지 센서, 엑스레이 촬영 장치, 초음파 센서, 중량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에 구비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폐기물의 종류, 재질, 제조 회사, 제품 명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폐기물 수거 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는 메모리, 버퍼, 프로세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검출된 정보에 따라 폐기물이 투입될 수거함을 결정한다. 분류 기준은 폐기물 수거 장치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활용을 목적으로 분류하는 경우라면, 금속, 종이, 플라스틱, 기타 일반 폐기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특정 회사의 제품 폐기물 개수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류하는 경우라면, 해당 회사 제품만 하나의 수거함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폐기물들은 다른 수거함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료”에서 판매하는 PET병 음료만을 하나의 수거함으로 수집할 수 있다. 투입된 폐기물의 분류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폐기물이 투입되면,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한다. 보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폐기물 투입 시 기프트 배출부(130)를 통해 기프트를 바로 제공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기프트 배출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기프트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프트란 사용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물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품권, 쿠폰, 할인권, 상품, 현금, 지역 화폐 등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을 제1 기프트라고 하고, 폐기물 수거자에게 제공하는 보상을 제2 기프트라고 한다. 제1 기프트 및 제2 기프트의 종류나 보상 정도는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프트는 투입된 폐기물의 개수나 중량에 대응되는 가치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기프트는 폐기물 수거량에 대응되는 가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폐기물을 버렸다면 1포인트가 제1 기프트로 제공될 수 있고, 폐기물 수거자가 50KG의 폐기물을 수거하였다면 100포인트가 제2 기프트로 제공될 수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100)가 특정 매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매장 관리자와 협약이 되어 있다면 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이나 할인권, 상품권 등을 기프트로 활용할 수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100)가 시나 구, 군, 동 등과 같은 행정 구역 단위로 관리되는 경우라면, 그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이나 할인권, 상품권 등을 기프트로 활용할 수도 있다. 만약, 폐기물 수거 장치의 관리자와 해당 지역 내에서 권한을 가진 자(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장, 상인 회장 등)가, 보상으로 제공된 쿠폰이나 할인권, 상품권, 지역 화폐 등을 해당 지역 내에서 사용할 경우 더 큰 가치로 인정해주도록 협약을 맺은 경우라면, 지역 내의 소비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지역 상권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기프트의 종류에 따라서 기프트 배출부(130)의 구성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이나 할인권 같은 경우에는 특수 용지가 적재된 적재부, 특수 용지를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특수 용지 상에 텍스트나 이미지, 패턴 등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프트의 가치는 인쇄부에 의해 인쇄되는 컨텐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면, 상품이나 현금, 상품권의 경우에는 현물 그대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그 저장부에서 보상 규모에 따라 상이한 개수 또는 상이한 종류의 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폐기물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따라서 특정 폐기물들의 수거 개수 등을 카운팅한다. 제어부(120)는 카운팅된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상금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로, 재활용품을 취급하는 제조업체에서는 재활용을 담당하는 조합(또는, 기관)에 가입하여 재활용 분담금을 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재활용 폐기물의 개수나 중량을 기준으로 분담금이 측정된다. 서버 장치(200)는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센서부(110)에 의해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회사의 제품 폐기물이 수거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200)는 제조업체들이 납부하는 재활용 분담금을 이용하여 보상금을 마련할 수 있다. 이 밖에, 보상금 마련 정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조업체와 서버 장치(200)의 운영자가 계약하여 직접 지급받을 수도 있고, 정부 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받는 지원금을 기초로 보상금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폐기물 수거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이나, 마트, 백화점 등으로부터 받는 지원금을 기초로 보상금을 마련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마련된 보상금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보상의 총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총량과 폐기물의 양을 고려하여 사용자 및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폐기물의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그 정보에 따라 특정 폐기물들만 분류하여 수거할 수 있다. 폐기물 분류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는 폐기물 수거 장치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투입구(140) 하측에는 복수의 수거함(151, 152)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두 개의 수거함(151, 152)만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수거함의 개수는 더 많아 질 수 있다. 투입구(140)와 수거함(151, 152) 사이에는 폐기물의 투입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위칭 가이드(160)가 배치된다. 스위칭 가이드(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부(120)는 제1 수거함(151)에 투입해야 하는 폐기물이라면 스위칭 가이드(160)를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은 스위칭 가이드(160)에 부딪히면서 제1 수거함(151)으로 투입된다. 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스위칭 가이드(160)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모터, 힌지 등이 사용된다. 제2 수거함(152)으로 투입해야 하는 폐기물이라면 제어부(120)는 스위칭 가이드(160)를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AA 음료의 제품만 제1 수거함(151)에 분리 수거하고자 한다면, 제어부(120)는 AA 음료 제품이 투입될 경우 스위칭 가이드(160)를 b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른 폐기물이 투입될 경우에는 스위칭 가이드(160)를 a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만약, 수거함의 개수가 2개 이상이라면 스위칭 가이드(160)의 개수나 형태도 달라질 수 있다. 가령, 3개의 수거함이 배치되었다면, 스위칭 가이드(160)를 위쪽과 아래쪽 두 개 연속하여 배치하고 각 스위칭 가이드(160)를 개별적으로 구동시켜 수거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복수의 수거함(미도시)을 포함하고 있고, 각 수거함에 대응되는 복수의 커버(171, 172, 173)를 포함한다. 각 커버(171, 172, 173)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된다.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폐기물(10)을 센서부(110)에 근접시키면 센서부(110)는 폐기물(10)의 정보를검출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폐기물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거함을 결정하고, 그 수거함에 해당하는 커버를 열어서 사용자가 해당 수거함에 폐기물을 투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세번째 커버(173)가 열린 경우를 도시한다. 제어부(120)는 폐기물 투입이 완료되면, 기프트 배출부(130)를 통해 보상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폐기물 수거 장치는 내부에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벨트를 구비하고, 특정 수거함 상측에서 폐기물을 떨어뜨려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는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크기가 작아서 복수의 수거함을 구비하기 어려운 경우라면, 하나의 수거함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폐기물 수거 시에 폐기물의 정보는 수집하되, 폐기물 분류는 폐기물 수거 장치를 비울 때 수거자가 수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폐기물이 투입되면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하여, 폐기물의 개수나 총 중량에 대응되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는 바코드, QR 코드, 비밀 코드, 사진, 텍스트, 패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나 QR 코드로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성한 다음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의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촬영된 코드를 인식하여 특정 서버에 액세스하여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폐기물을 투입하기 전에 사용자는 휴대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시킬 수도 있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보상 이미지(바코드, QR 코드, 사진, 텍스트, 패턴 이미지 등)를 인식하도록 요청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UI 화면에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이미지를 인식시키면, 어플리케이션은 서버 장치(200)로 인식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 장치(200)는 그에 대응되는 보상을 제공한다. 이 경우, 보상은 서버 장치(200)가 운영하는 사이트 또는 연계하는 사이트의 적립금이나 포인트, 가상 화폐, 마일리지 등이 될 수 있다. 비밀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UI 화면 상에서 비밀 코드를 직접 입력하여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폐기물이 수거되는 경우에도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으로 폐기물 수거량에 대응되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폐기물을 투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보상은 제1 이미지,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자에 대한 보상은 제2 이미지로 기재하지만,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같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표현하는 보상의 가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를 활용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나 폐기물 수거자는 보상을 받기 위하여 자신의 전화 번호나 이름 등의 정보를 폐기물 수거 장치(100)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 없이 적절하게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센서부(110)가 투입구(140) 내부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도 도 1과 같이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의 방식과 도 4의 방식이 함께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보상인 경우 또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프트 배출부를 통해서 제공하고, 가치가 높은 보상의 경우나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제공하는 혼합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5와 같은 UI 화면(500)을 디스플레이한다. UI 화면(500)에는 폐기물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텍스트(510)와, 카메라의 라이브 뷰를 표시하는 영역(5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라이브 뷰 영역(520)에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QR 코드를 위치시켜 리딩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리딩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금을 서버 장치로부터 수령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보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530)를 디스플레이한다. 보상금은 사용자 계정에 포인트나 적립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폐기물 수거 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블럭. 도 6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모터(161), 입력부(171), 저장부(172), 스피커(173), 디스플레이(180),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일부 구성은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별도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의 실시 예의 경우, 기프트 배출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센서부(110)는 폐기물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고, 제어부(120)는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161)는 스위칭 가이드(1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161)의 구동을 제어한다.
입력부(17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171)는 버튼이나 터치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180)와 일체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72)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6에서는 저장부(172)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품 구현 시에는 여러 개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고, 외장 하드 메모리나 메모리카드 등이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피커(173)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알림 음이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대신에, 제어부(120)는 스피커(173)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인이나 극빈자인 경우에는 휴대폰과 같은 단말 장치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보유하더라도 그 사용에 미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단말 장치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피커(173)나 디스플레이(180)를 통해서 알림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주변을 지나가는 사용자들의 폐기물 투입을 유도하거나, 폐기물 수거를 유도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90)는 LAN, 무선 LAN,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 등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통신부(130)를 하나의 독립적인 모듈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통신부(190)는 다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와의 유선 연결을 위한 포트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부(171)를 통해 자신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전화 번호나 이메일 주소, 메신저 ID, 이름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보상을 제공해야 하는 사용자 또는 폐기물 수거자의 식별 정보가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되면, 통신부(190)를 통해 식별 정보 및 보상 정보를 서버 장치로 전송한다. 서버 장치(200)는 식별 정보 및 보상 정보에 대응되는 보상을 제공한다. 일 예로 전화 번호인 경우, 보상 쿠폰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폐기물을 버리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폐기물을 수거하는 폐기물 수거자에 대해서도 보상을 제공해줄 수 있다.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권한을 가진 전문 업체에서 정해진 시간마다 지역을 순회하면서 폐기물을 수거하게 된다. 이 경우, 지역에 따라 폐기물이 아직 덜 채워진 수거 장치도 있을 수 있고, 수거 시간 이전에 폐기물이 다 채워진 수거 장치도 있을 수 있다. 폐기물이 다 채워진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그 주변에 폐기물을 두고 가게 되어 오히려 더 지저분해질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구비된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이 한계 용량을 초과하여 또는 임박하여 채워진 상태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에 대하여 수거 요청을 전송한다. 도 7에서는 폐기물 수거 장치(100가 직접 각 폐기물 수거자의 단말 장치(700-1 ~ 700-n)으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저장부(172)는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하면, 저장부(172)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로 알림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도록 통신부(190)를 제어한다. 알림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가 될 수도 있고, SNS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주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자신의 정보를 폐기물 수거 장치(100)에 직접 등록하거나, 서버 장치(200)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등록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지역의 재활용 수거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희망자들의 정보를 수집한 후, 일괄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폰 사용이 미숙한 노약자나 심신 미약자 등도 폐기물 수거 업무에 참여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받은 폐기물 수거자 중 한 명이 폐기물 수거 장치(100)로 와서 폐기물을 수거하게 되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그 수거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보상 방법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폐기물을 투입하는 사용자에 대해 제공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폐기물 수거가 완료되면,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수거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메시지들을 다시 폐기물 수거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폐기물 수거 장치(100)가 수거자들의 단말 장치로 직접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서버 장치(200)를 통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에는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하면, 서버 장치(200)로 수거 요청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90)를 제어한다. 서버 장치(200)는 수거 요청이 접수되면, 저장된 연락처 정보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7에서는 미리 등록이 된 폐기물 수거자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폐기물 수거를 요청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주변의 사용자 단말 장치들에게 임의로 수거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또는,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특정 시점에 폐기물을 버리는 사용자에게 폐기물 수거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 수거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복수의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한 상태에서 센서부(110)에 의해 신규 폐기물의 정보가 검출되면, 폐기물 수거를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8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한다.
메시지(800)에는 폐기물 수거 시에 보상금을 지급한다는 안내 텍스트(810)와 그에 대한 인터랙션 메뉴(820, 8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메뉴(820)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커버(150)를 오픈하는 방법, 폐기물을 수거하는 방법, 폐기물을 수거하는 위치 등에 대하여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80) 및 스피커(173)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신규 폐기물을 투입하고자 했던 사용자는 메시지(800) 내용을 보고 폐기물 수거를 도와주게 되면, 보상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폐기물 투입 시 1포인트가 적립된다면, 폐기물 수거를 도왔을 경우에는 10포인트가 적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로 폐기물 수거 업체와 계약을 맺을 필요 없이 폐기물 수거가 가능해지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폐기물 수거 장치의 주변에 있는 사람이 바로 폐기물 수거를 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 수거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렷한 직업이 없는 노약자나 빈곤층에서 폐기물 수거 작업에 참여하면서 수익을 얻을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폐기물 수거 작업은 빨리 이루어지면 질수록 좋으므로, 수거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보상 규모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소요 시간은 용량 초과 시점 또는 알림 메시지 전송 시점 등 다양한 시점을 기준으로 수거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메시지를 발송 또는 디스플레이 한 후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수거가 이루어지면 최대 보상을 제공하고, 시간이 지나면 보상 규모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 수거자가 폐기물을 빠른 시간 내에 수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 수록 보상 규모를 점점 더 낮추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정책적으로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동안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상이 많이 낮아질 경우, 폐기물 수거 가능성이 더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다면 다시 보상 규모를 높여서 폐기물 수거자를 모으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각 수거함 별로 센서를 구비하여, 각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물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한 상태인지 여부를 직접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거함의 상 측에 포토 다이오드 및 수광 다이오드를 대향 배치하여 적재된 폐기물이 포토 다이오드 및 수광 다이오드 사이의 광 진행을 차단하면 한계 용량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센서 없이, 기 설정된 폐기물량(개수, 부피, 중량 등)과 센서부(110)에 의해 센싱된 폐기물량이 일치하면 한계 용량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 수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폐기물 수거 장치는 폐기물 정보가 검출되면(S910), 복수의 수거함 중 폐기물이 들어갈 수거함을 결정한다(S920). 폐기물 수거 장치는 폐기물이 투입되면 보상을 제공한다(S930).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 규모는 사용자의 폐기물 투입 이력, 폐기물 개수, 폐기물 중량, 폐기물 종류, 폐기물 제조 회사, 폐기물 판매 장소, 폐기물 투입 시간대, 요일, 폐기물 수거 장치 설치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가령, 폐기물 수거 장치가 설치된 마트나 백화점에서 판매한 제품의 폐기물이 그 폐기물 수거 장치로 투입되는 경우, 다른 장소에서 판매된 폐기물보다 더 큰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폐기물 투입이 처음인 사용자 또는 폐기물 투입 횟수가 일정 횟수(예를 들어, 10회) 이상인 사용자에 대해서 더 큰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폐기물을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줄을 서야 하거나, 용량이 초과되는 등의 이유로 폐기물 투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폐기물 수거 장치의 이용 빈도가 낮은 시간대(예를 들어, 밤)나 요일(예를 들어, 월요일)에는 더 큰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인적이 드문 장소에 위치한 폐기물 수거 장치에서는 번화가에 위치한 폐기물 수거 장치에 비해 더 큰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상 정책은 반드시 이와 같이 적용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일부 사용자의 경우, 내용물이 남은 폐기물을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폐기물의 재활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폐기물의 중량이 폐기물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중량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폐기물 수거를 거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폐기물 수거 장치의 관리자가 설정한 정책이나 취지에 맞게 폐기물 수거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폐기물의 식별 정보가 기 등록된 제품 정보와 불일치하면, 폐기물 수거를 거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A 음료 회사의 BB 제품만을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 이와 다른 제품이나 타 사 제품은 수거를 거부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수거함에 적재된 폐기물의 총량이 한계 용량에 도달한 경우나, 폐기물이 심하게 오염되거나 파손되었다고 인식되는 경우에도 폐기물 수거를 거부할 수 있다.
기물 수거 거부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배출구 커버를 열지 않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특정 수거함에 대해서만 수거를 거부하고, 다른 수거함으로 투입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AA 음료 회사의 BB 제품은 제1 수거함으로 분류하고, CC 제품이나 DD 회사의 제품 등은 전부 제2 수거함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폐기물 수거 장치(100)는 수거함에 적재되는 폐기물의 양이 한계 용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S940), 서버 장치로 또는 수거자의 단말 장치로 수거 요청을 전송한다(S950). 이에 따라 수거가 이루어지면(S960), 폐기물 수거자에 대해서도 보상을 제공한다(S970).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알림 방법 및 수거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 정책 역시 폐기물을 투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보상 정책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폐기물 수거 시간, 수거 중량, 수거 이력, 폐기물 종류, 폐기물 제조 회사, 요일, 폐기물 수거 장치 설치 장소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보상 규모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200)는 관할 지역 내의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100)의 상태를 통합 관리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관할 지역 내(1000)에 m개의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m)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각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m)는 수집된 폐기물의 투입량, 폐기물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서버 장치(200)는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전체 보상액을 결정하고, 보상을 받을 사용자 및 폐기물 수거자 등을 결정하여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는 각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m)의 수집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20)에게 적절한 폐기물 수거 장치의 위치를 안내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사용자(20)가 4개의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4) 사이에 위치한 경우, 주변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4) 중에서 그 시점까지 수집량이 가장 작은 폐기물 수거 장치(예를 들어, 100-1)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추천된 폐기물 수거 장치(100-1)에서 폐기물이 투입되는 경우,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좋은 보상을 해줄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는 사용자(20) 주변의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4) 중에서 한계 용량을 초과하였거나 거의 도달한 장치(예를 들어, 100-4)가 있다면, 그 장치에서는 폐기물 수거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사용자(20)에게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와 사용자(20) 간의 인터랙션은 사용자(20)의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 장치(200)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있거나, 네비게이션 서버와 연동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20)의 단말 장치로 주변 폐기물 수거 장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지도 화면을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서버 장치는 폐기물 수거 장치로부터 폐기물 투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10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버 장치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S1110). 사용자 위치 주변에서 용량이 많이 남은 수거 장치를 검색하고(S1120), 검색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1130). 서버 장치는 수거가 필요한 수거 장치, 즉, 한계 용량에 도달한 수거 장치가 탐색되면(S1140), 폐기물 수거자에게 그 수거 장치의 위치를 브로드캐스팅한다(S1150).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폐기물 수거 장치가 사용자 또는 폐기물 수거자에 대하여 직접 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상은 서버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폐기물 수거자에 의해 해당 폐기물 수거 장치에서 정상적인 수거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면, 서버 장치는 폐기물 수거자의 계정으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는 지역 내의 폐기물 수거 장치(100-1 ~ 100-m)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들을 모아서 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이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 각 제조업체의 시장 점유율, 지역 별 소비 성향 등을 파악하고 각 제조 업체에게 피드백하여 보상 지원금을 더 많이 받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폐기물을 버리는 사용자나 폐기물을 수거해가는 수거자들에게 적절하게 보상을 제공하여, 폐기물 처리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대형 건물이나 상점, 마트, 백화점, 번화가 골목 등에 다수 설치하여, 주변 상인으로부터 직접적인 관리를 받으면서 그 상인이 소유한 매장과 관련된 보상을 제공하도록 구현한다면, 별도로 관리자 또는 수거자를 두지 않더라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지역 내에서 다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운용하는 경우라면, 각 수거 장치의 수거 현황을 고려하여 사용가능한 수거 장치 또는 수거가 필요한 수거 장치 등을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를 흐름도 및 블럭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각 흐름도에 도시한 단계들의 순서는 예시에 불과하며, 상황에 따라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 방법, 보상 방법, 수거 장치 안내 방법, 수거 방법 등은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배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면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배포되거나, 온라인 상에서 배포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폐기물 수거 장치에 수거될 폐기물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폐기물 수거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수거함 중 폐기물이 투입될 수거함을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폐기물을 투입한 사용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기 등록된 복수의 폐기물 수거자 중 하나가 상기 폐기물 수거 장치의 폐기물을 수거하면,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등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코드가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과 일치하도록 일부 단계들이 변경, 삭제 또는 추가된 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가 탑재된 장치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ROM, RAM, 메모리 칩, 메모리 카드, 외장형 하드, 하드,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폐기물 수거 장치 110 : 센서부
120 : 제어부 190 : 통신부

Claims (5)

  1.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로부터 폐기물 수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 중 수집량이 가장 작은 폐기물 수거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폐기물 수거 장치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내된 폐기물 수거 장치 이외의 폐기물 수거 장치에 폐기물을 투입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제1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내된 폐기물 수거 장치에 폐기물을 투입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보상보다 큰 제2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들 중 한계 용량에 초과 또는 임박한 장치가 있으면, 상기 장치에서는 폐기물 수거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위치로부터 상기 수집량이 가장 작은 폐기물 수거 장치의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지도 화면을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 중에서 한계 용량에 도달한 폐기물 수거 장치가 탐색되면, 폐기물 수거자에게 상기 탐색된 폐기물 수거 장치의 위치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의해 상기 탐색된 폐기물 수거 장치에서 폐기물이 수거되면, 상기 폐기물 수거자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5.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로부터 폐기물 수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 중 수집량이 가장 작은 폐기물 수거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폐기물 수거 장치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내된 폐기물 수거 장치 이외의 폐기물 수거 장치에 폐기물을 투입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제1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내된 폐기물 수거 장치에 폐기물을 투입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보상보다 큰 제2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210136035A 2021-01-18 2021-10-13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53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035A KR102534299B1 (ko) 2021-01-18 2021-10-13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13 2021-01-18
KR1020210136035A KR102534299B1 (ko) 2021-01-18 2021-10-13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13 Division 2021-01-18 2021-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623A true KR20220104623A (ko) 2022-07-26
KR102534299B1 KR102534299B1 (ko) 2023-05-26

Family

ID=8260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035A KR102534299B1 (ko) 2021-01-18 2021-10-13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3315A (zh) * 2023-11-16 2023-12-19 福州城投德正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回收箱有偿回收垃圾的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880A (ko) * 2001-05-04 2002-11-13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네트워크를 통한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5804A (ko) * 2010-04-16 2011-10-24 이오순 인터넷 기반 수거물 통합 관리 시스템, 그를 이용한 수거차량 운용 방법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30007294A (ko) * 2011-06-30 2013-01-18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폐기물 처리 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718A (ko) * 2016-06-08 2017-12-18 김재국 폐기물 수집 및 운반 퀵 서비스 시스템
KR20190008581A (ko) * 2017-07-17 2019-01-25 이경록 폐건전지 수거 및 보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880A (ko) * 2001-05-04 2002-11-13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네트워크를 통한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5804A (ko) * 2010-04-16 2011-10-24 이오순 인터넷 기반 수거물 통합 관리 시스템, 그를 이용한 수거차량 운용 방법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30007294A (ko) * 2011-06-30 2013-01-18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폐기물 처리 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718A (ko) * 2016-06-08 2017-12-18 김재국 폐기물 수집 및 운반 퀵 서비스 시스템
KR20190008581A (ko) * 2017-07-17 2019-01-25 이경록 폐건전지 수거 및 보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3315A (zh) * 2023-11-16 2023-12-19 福州城投德正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回收箱有偿回收垃圾的方法及系统
CN117253315B (zh) * 2023-11-16 2024-02-23 福州城投德正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回收箱有偿回收垃圾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99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4142B2 (en) System and kiosk apparatus for collecting end-of-life mobile phones
US6021883A (en) Funds processing system
KR20070108828A (ko)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
KR101653957B1 (ko)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EP2690609A1 (en) Settlement system, settlement method, and cash settlement device
CN108648377A (zh) 基于无人零售设备的自动售货系统和方法
KR100973548B1 (ko)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20220164234A (ko) 페트병 회수 장치 및 페트병 회수 시스템
KR102534299B1 (ko) 복수의 폐기물 수거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의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US20140337191A1 (en) Recycling collection payout
KR102253819B1 (ko) 빈용기 무인수거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4879A (ko) 폐물품 및/또는 동전의 수거 및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CN110803408A (zh) 垃圾分类管理系统
KR100515207B1 (ko) 무인 물류 접수 방법 및 장치
JP2008192065A (ja) 駐車場併設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KR100714926B1 (ko)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KR20230043514A (ko) 다회용 컵 반납 장치의 동작 방법
US11948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ste management using recurrent convolution neural network with stereo video input
KR20230043519A (ko) 다회용 컵 회수 재공급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230043518A (ko) 다회용 컵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회용 컵 회수 관리 시스템
CN104471619A (zh) 纸币处理装置以及纸币处理方法
JP6928536B2 (ja) 紙幣処理システム
TWI641543B (zh) 垃圾收集系統及其方法
JP5016267B2 (ja) 廃棄物収集管理装置、廃棄物収集管理方法、および廃棄物収集管理プログラム
US2023019630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ourcing and processing recyclabl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