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022A -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022A
KR20220104022A KR1020227021217A KR20227021217A KR20220104022A KR 20220104022 A KR20220104022 A KR 20220104022A KR 1020227021217 A KR1020227021217 A KR 1020227021217A KR 20227021217 A KR20227021217 A KR 20227021217A KR 20220104022 A KR20220104022 A KR 2022010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valuation
menu
time point
exercise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미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8Comparison to target or threshold, previous performance or not real time comparison to other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71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activities, movements, or kind of sports perform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05Image processing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메뉴의 유효성이 평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복수의 이용자는 각각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을 실시한다. 평가 값 산출 수단(11)은,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에 관련있는 운동 정보에서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은,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한다.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은, 평가 값과 기준 값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본 개시내용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의료, 간호 케어, 또는 건강 케어의 분야에서, 신체 기능 개선과 강화, 및 예방 케어를 목적으로, 물리 치료사 또는 트레이너와 같은 전문가가 운동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그것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다. 운동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운동 메뉴의 조합을 포함한다. 각 운동 메뉴는 하나의 종류의 운동 동작을 포함한다.
관련 기술에서, 이용자에게 따라서 적절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그것들을 각자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많은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은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을 개시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운동 프로그램이 실시된 기간, 및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의 결과를 축적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은, 새로운 이용자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이러한 사례에서 이용자의 개인 정보가 새로운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유사한 과거 사례를 추출하고, 이용자의 특징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제작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719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9870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서,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메뉴 자체의 질이 낮은 경우, 그 운동 메뉴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의 질은, 필연적으로 낮아진다. 보다 질이 높은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운동 프로그램의 제작에 사용되는 운동 메뉴를 적절히 갱신하고, 운동 메뉴 군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운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운동 메뉴의 수가 많은 경우, 다수의 운동 메뉴로부터 질이 낮은 운동 메뉴를 판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운동 메뉴 각각의 질은 고려되고 있지 않고, 따라서 질이 낮은 운동 메뉴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이 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관련 기술로서, 특허 문헌 2는, 지도 적합성 판정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특허 문헌 2는 수영 및 육상 경기와 같은 스포츠에 참가하는 운동자가 실시하는 운동 정보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컴퓨터는, 운동자가 실시한 운동을 계측해서 계측 값을 취득하고, 계측 값에 기초하여, 운동자가 실시한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를 취득한다. 컴퓨터는, 취득한 운동 정보와, 운동자가 실시한 운동에 관한 목표 값을 연관시켜서 표시한다.
특허 문헌 2는, 운동자의 신체의 어느 부분이 운동에 의해 개선되어야 하는지 및 신체의 부분이 운동에 의해 얼마나 많이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이용자가 알게 하기 위해서, 운동자의 운동 정보와 목표 값을 연관시켜서 표시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서는, 운동 자체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평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서도,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운동 메뉴로부터 질이 낮은 운동 메뉴를 판정하는 것은 어렵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운동 메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내용은, 제1 양태로서, 운동 메뉴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는: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평가 값 산출 수단과;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제2 양태로서, 운동 메뉴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운동 메뉴 평가 방법은: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제3 양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고;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개시내용에 관한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운동 메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관한 운동 메뉴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메뉴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운동 메뉴 정보의 구체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이용자 정보의 구체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의 구체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운동 데이터의 구체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운동 메뉴 k를 실시한 이용자 n의 최대 가동 영역의 변화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중간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취득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변형 예에 관한 운동 메뉴 평가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변형 예에 있어서 운동 기록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체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컴퓨터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 설명에 앞서, 본 개시내용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관한 운동 메뉴 평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는, 평가 값 산출 수단(11)과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을 포함한다.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은,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한다.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은,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평가 값 산출 수단(11)은, 하나의 운동 메뉴의 운동을 실시한 복수의 이용자의 각각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그 운동 메뉴에 대한 평가 값을 산출한다.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은, 산출된 평가 값과 기준 값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운동 메뉴의 운동을 행한 기록으로부터, 운동 메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메뉴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을 도시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100)은, 센서 장치(101), 운동 기록 DB(database)(102), 운동 메뉴 정보 DB(103), 이용자 정보 DB(104),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 및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를 포함한다.
운동 메뉴 정보 DB(103)는, 운동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운동 메뉴에 관한 정보(운동 메뉴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운동 메뉴 정보 DB(103)에 저장되는 운동 메뉴 정보의 구체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운동 메뉴 정보는, 메뉴 번호, 목적 부위(target part), 및 세트 수를 포함한다. 메뉴 번호는, 운동 메뉴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목적 부위는, 운동 메뉴에 있어서 트레이닝되도록 의도되는 신체의 부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뉴 번호 "00001"로 식별되는 운동 메뉴는, "어깨 회전"이며, 이는 "어깨"를 목적 부위로 하는 운동 메뉴이다. "세트 수()"는, 운동의 반복 횟수나 운동 시간 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뉴 번호 "00001"로 식별되는 운동 메뉴는, 1분간의 운동을 2세트 행하는 운동 메뉴이다.
이용자 정보 DB(104)는,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동 메뉴를 실시하는 각 이용자의 정보(이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이용자 정보 DB(104)에 저장되는 이용자 정보의 구체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이용자 정보는, 각 이용자의 이용자명, 이용자 ID(identifier), 연령, 성별,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 정보는, 각 이용자에 대하여 제작된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메뉴 정보 DB(103)에 저장되는 복수의 운동 메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운동 메뉴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이용자 정보 DB(104)는, 예를 들어, 이용자 ID가 "aaaaa"인 이용자에 대하여, 메뉴 번호 "00001" 및 "00007"의 운동 메뉴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는,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는, 예를 들어, 이용자 정보 DB(104)에 저장되는 이용자의 연령, 성별, 신장 및 체중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운동 메뉴 정보 DB(103)는, 예를 들어, M(M은 1개 이상의 정수임) 종류의 운동 메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는, M 종류의 운동 메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운동 메뉴를 조합함으로써,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 형성된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의 기능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의 구체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운동 프로그램은, 목적 부위가 서로 다른 5개의 운동 메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운동 프로그램은, 각각의 목적 부위가 몸통(trunk), 어깨, 팔꿈치, 무릎, 및 고관절인 5개의 운동 메뉴를 포함한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10)에 운동 프로그램을 송신한다. 이용자는, 단말 장치(210)에 표시된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을 참조하고,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각 운동 메뉴의 운동을 실행한다. 운동 메뉴의 제공은, 예를 들어, 인쇄 매체나 동화상 등을 사용해서 실시될 수 있다. 운동 메뉴의 제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목적 부위마다 운동 메뉴가 할당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에, 목적 부위가 같은 복수의 운동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그 경우,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이 정확히 동일한 복수의 운동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의 수의 상한은, 운동 메뉴 정보 DB(103)에 저장되는 운동 메뉴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1)는, 이용자가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운동 메뉴의 운동을 실시했을 때의 운동 데이터를 취득한다. 센서 장치(101)는, 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운동중의 이용자를 촬영한다. 센서 장치(101)는, 운동하는 이용자의 동화상을, 운동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센서 장치(101)는, 심도 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1)는, 다양한 센서에 의해 계측된 정보를, 운동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운동 데이터의 취득에 사용되는 센서의 수 및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1)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기록 DB(102)는, 이용자가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운동 메뉴를 실시 했을 때에 센서 장치(101)가 취득하는 운동 데이터를 기록한다. 운동 기록 DB(102)는,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1)가 취득한 각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운동 메뉴마다 기록한다. 운동 기록 DB(102)는, 센서 장치(101)가 복수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각 센서가 취득하는 운동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운동 기록 DB(102)에 기록되는 운동 데이터의 구체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운동 데이터는, 하나의 운동 메뉴에 관한 운동 데이터이다. 이 예에서, 운동 데이터는, 운동 실시 일시, 이용자 ID, 카메라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운동 실시 일시는, 운동이 실시된 일시를 나타낸다. 이용자 ID는, 운동 메뉴의 운동을 실시한 이용자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카메라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는, 센서 장치(101)를 사용해서 획득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1)인 카메라는, 이용자가 운동 메뉴의 운동을 완료한 후에, 카메라로 촬영한 동화상을 운동 기록 DB(102)에 송신한다. 운동 기록 DB(102)는, 동화상 데이터를 이용자 ID와 연관시켜 저장한다. 복수의 이용자가 계속해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운동 기록 DB(102)는, 다양한 운동 메뉴에 대해서 대량인 운동 데이터를 축적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운동 메뉴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예를 들어, 각 이용자가 일정 기간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운동 기록 DB(102), 운동 메뉴 정보 DB(103) 및 이용자 정보 DB(104)에 저장되는 데이터(정보)에 기초하여, 각 운동 메뉴를 평가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평가의 결과를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110)에 송신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도 1에 도시된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에 대응한다.
이용자가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간에 대해서, 예를 들어, 간호 케어 현장에 있어서 실시되는 개별 기능 훈련 가산의 산정 요건은 3개월에 1회 이상, 훈련 내용의 재검토를 행할 필요가 있다. 운동 프로그램의 실시 기간은, 거기에 맞추어 3개월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7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 운동 평가 유닛(108) 및 송신 유닛(109)을 포함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된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 내의 각 부 기능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운동 실시 판정 수단)(106)은, 운동 메뉴 정보 DB(103)에 저장되는 각 운동 메뉴에 대해서, 이용자 정보 DB(104)을 참조하고,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에 그 운동 메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해,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이용자가 각 운동 메뉴를 실시 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이용자가 실시했다고 판정한 운동 메뉴를 운동 평가 유닛(108)에 통지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이용자가 실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운동 메뉴를 운동 평가 유닛(108)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예를 들어, M 종류의 운동 메뉴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이용자 정보 DB(104)을 참조하고,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에 선택한 운동 메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예를 들어, 모든 M 종류의 운동 메뉴 중, K 종류(K≠0)의 운동 메뉴가 실시되었다고 판정한다. 그 경우, K 종류의 운동 메뉴가 운동 평가 유닛(108)에 있어서 평가 대상이 된다. K=0의 경우, 운동 메뉴의 평가는 실시되지 않고, "평가 대상 없음"을 나타내는 결과가 관리자의 단말 장치(110)에 송신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운동 정보 추출 수단)(107)은, 운동 기록 DB(102)에 기록되는 운동 데이터로부터 운동 정보를 추출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예를 들어, 평가 대상의 K 종류의 운동 메뉴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 k(K=1, 2, 3, …, K)에 대해서, 운동 기록 DB(102)에 저장되는 운동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운동 데이터로부터 운동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1)에 카메라가 사용될 경우를 생각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운동 데이터인 동화상으로부터 "가동 영역(range of motion)", "(단위 시간 당의) 운동 횟수" 및 "자세(posture)"의 적어도 하나를 운동 정보로서 추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이 목적 부위의 가동 영역을 추출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동화상으로부터 이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고, 각 운동 메뉴의 목적 부위의 최대 가동 영역을 나타내는 지표를 생성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으로부터, 각 이용자의 운동 정보를 취득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에 대해서, 각 이용자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를 평가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도 1에 도시된 평가 값 산출 수단(11) 및 평가 결과 생성 수단(12)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인 K 종류의 운동 메뉴로부터 운동 메뉴 k를 선택한다. 이 예에서는, 운동 메뉴 k가 포함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용자의 수가 N인(N은 2이상의 정수)이며, 각 이용자는, 운동 메뉴 k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일정 기간에 같은 빈도로 실시했다고 가정한다. 각 이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메뉴 k가 포함되어 있으면, 다른 종류의 운동 메뉴나 다른 수의 운동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 k를 실시한 각 이용자에 대해서, 일정 기간 내의 복수의 시점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 k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 k의 실시 개시 시점(제1 시점), 종료 시점(제2 시점) 및 개시 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의 중간 시점(제3 시점) 각각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 k의 평가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평가에 사용되는 시점은, 전술한 3개의 시점으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한 복수의 시점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 k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이용자가 운동 메뉴 k를 실시한 일정한 기간의 개시 시점을 tx로 표기하고, 중간 시점을 ty로 표기하고, 종료 시점(최신의 실시 시점)을 tz로 표기한다. 하나의 이용자 n(n=1, 2, 3, ..., N)의 각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을 xnk, ynk 및 znk로 표기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xnk와 ynk 사이의 변화량 및 xn과 znk와의 사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이용자 n에 관한 평가 지표를 계산하고, 각 이용자의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 k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운동 메뉴 k를 실시한 기간이 6개월인 경우, 운동 평가 유닛(108)은, 이용자 n에 대해서, 개시 시점, 그리고 운동의 개시 이래로 3개월 후 및 6개월 후의 각 시점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 xnk, ynk 및 znk를 취득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예를 들어, 개시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 xnk와 중간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 ynk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개시 시점부터 중간 시점까지의 사이에 가동 영역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를 산출한다. 또한,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개시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 xnk와 종료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 znk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개시 시점부터 중간 시점까지의 사이에 가동 영역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를 산출한다. 최대 가동 영역의 차이를 개선 스코어로도 칭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개시 시점부터 중간 시점까지의 개선 스코어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개선 스코어의 비(rate)를 계산한다. 개선 스코어의 비는 개선율(rate of improvement)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 k에 대해서, 이용자 n의 개선율 pnk를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한다.
Figure pct00001
도 8은, 운동 메뉴 k를 실시한 이용자 n의 최대 가동 영역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운동 메뉴 k를 실시하고 있는 이용자 n의 목적 부위의 최대 가동 영역을 나타낸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개시 시점 tx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 xnk와 중간 시점 ty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 ynk 사이의 차이를 개시 시점부터 중간 시점까지의 개선 스코어로서 계산한다. 또한,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개시 시점 tx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 xnk와 종료 시점 tz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 znk 사이의 차이를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개선 스코어로서 계산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개선 스코어의 비를, 위의 개선율 pnk로서 계산한다.
위의 개선율 pnk가 1보다 큰 것은, 중간 시점에서 최대 가동 영역보다, 종료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이 큰 것을 나타낸다. 개선율 pnk가 1 이하인 것은, 중간 시점과 종료 시점에서 최대 가동 영역을 비교할 때, 최대 가동 영역이 개선되지 않았거나, 또는 최대 가동 영역이 저하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율 pnk가 음의 값인 것은, 중간 시점 또는 종료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이, 개시 시점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보다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운동 기록 DB(102)는, 예를 들어, 6개월 등의 일정한 기간의 개시 시점에 있어서의 이용자 n의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운동 데이터로부터 최대 가동 영역 xnk가 취득될 수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운동 기록 DB(102)는, 운동 개시부터 3개월 또는 6개월 후의 시점에는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예를 들어, 중간 시점 및 종료 시점 전후에 버퍼 기간을 제공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기록 DB(102)이 중간 시점 및 종료 시점에 있어서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는, 버퍼 기간 내의 운동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최대 가동 영역 ynk 및 znk를 사용해서 개선율 pnk를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중간 시점 ty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취득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운동 기록 DB(102)는, 개시 시점 tx 및 종료 시점 tz에서의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중간 시점 tz에서의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예를 들어, 중간 시점 tz 전의 3일 및 중간 시점 tz 후의 3일을 포함하는 버퍼 기간 내의 운동 데이터로부터 운동 정보를 추출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운동 기록 DB(102)는, ty-2, ty-1, ty+2 및 ty+3의 각 시점에 있어서 운동 데이터를 저장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위의 시점에서의 운동 데이터로부터 최대 가동 영역을 추출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총 7일간의 버퍼 기간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 중, 최선의 값을 중간 시점 ty에서의 최대 가동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ty+2의 시점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이 가장 크다. 그 경우, 운동 평가 유닛(108)은, ty+2의 시점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 "42"를 ynk로서 설정해서 개선 스코어를 계산한다.
종료 시점 tz에 대해서는, tz가 최신의 기록인 것부터, 운동 기록 DB(102)는 tz보다 후의 시점의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종료 시점 tz에 대해서, 종료 시점 tz로부터 6일 전까지의 기간인 버퍼 기간 내에서 최선의 값을 znk로서 설정할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기록 DB(102)이 버퍼 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그 이용자에 대한 개선율을 계산하지 않는다.
위의 예에서, 운동 평가 유닛(108)은, 버퍼 기간을, 중간 시점 전후 및 종료 시점 전의 6일로 설정하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버퍼 기간의 길이 등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예에서는, 버퍼 기간에 있어서 최대 가동 영역의 최대 값을 중간 시점에 있어서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으로서 결정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버퍼 기간 내의 최대 가동 영역의 평균 값을, 중간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의 최대 가동 영역의 값으로 해서 결정할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 k를 실시한 전 이용자에 대해서 획득된 개선율의 평균을, 운동 메뉴 k의 평가 값 pk로서 설정한다. 평가 값 pk는, 이용자 k의 개선율 pnk를 사용해서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운동 평가 유닛(108)은, 위의 평가 값 pk를, 평가 대상의 복수의 운동 메뉴 각각에 대해서 획득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복수의 운동 메뉴의 평가 값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유효성 평가 기준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값 pk의 평균값을, 운동 메뉴의 기준 값으로서 설정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각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운동 메뉴의 질(유효성)을 판정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예를 들어, 평가 값이 기준 값미만의 운동 메뉴는 질이 낮은 운동 메뉴라고 판정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평가 결과를 송신 유닛(109)에 출력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예를 들어, 질이 낮다고 판정된 운동 메뉴의 리스트를 평가 결과로서 생성한다. 혹은,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가 평가 결과(평가 값)에 따라서 재배열되는 리스트를 평가 결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관리자가 지정한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유닛(109)은,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110)에 송신한다. 송신 유닛(109)은, 예를 들어, 질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110)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110)는, 평가 결과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단말 장치(110)는, 예를 들어, 질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를 표시한다. 관리자는, 평가 결과, 예를 들어, 질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를 참조함으로써, 어느 운동 메뉴의 유효성이 낮을지를 알 수 있다. 관리자는,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의 내용을 재검토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운동 메뉴의 수정 또는 갱신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에 있어서의 동작 수순(운동 메뉴 평가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에 있어서의 동작 수순을 도시한다. 복수의 이용자는, 각각,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의 운동을 실시한다. 운동 기록 DB(102)는, 각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운동 데이터를 저장한다(스텝 S1). 운동 기록 DB(102)는, 예를 들어, 대량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각 운동 메뉴가 이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스텝 S2에서는, 예를 들어, 운동 메뉴 정보 DB(103)에 저장되는 M 종류의 운동 메뉴 중, K 종류의 운동 메뉴가 이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판정한다. 운동 실시 판정 유닛(106)은, 이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운동 메뉴를,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로서 운동 평가 유닛(108)에 통지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운동 기록 DB(102)에 저장되는 각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로부터, 운동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운동 정보를 추출한다(스텝 S3). 예를 들어,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스텝 S3에서는, 스텝 S2에서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될 것으로 판정된 운동 메뉴, 또는 운동 평가 유닛(108)에서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에 대해서, 운동 데이터로부터 운동 정보를 추출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에 미평가의 운동 메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 운동 평가 유닛(108)은, 미평가의 운동 메뉴가 있는 경우, 미평가의 운동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기준 값에 따라 선택된 운동 메뉴를 평가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를 평가할 때, 미리 결정된 기간에 있어서 평가 대상의 각 운동 메뉴의 운동을 실시한 각 이용자에 대해서, 운동 정보로부터 개선율을 계산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각 이용자의 개선율을 사용해서 각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예를 들어, 평가 대상의 모든 운동 메뉴의 평가 값 평균을 기준 값으로서 설정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선택한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선택한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이 기준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그것이, 스텝 S5에서 선택된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프로세스는 스텝 S4로 복귀하고, 여기서 운동 평가 유닛(108)은 미평가의 운동 메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것이, 스텝 S5에서, 평가 값이 기준 값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운동 평가 유닛(108)은 선택한 운동 메뉴를, 질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에 추가한다(스텝 S6). 그 후, 처리는 스텝 S4로 복귀하고, 미평가의 운동 메뉴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것이, 스텝 S4에 있어서, 미평가의 운동 메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스텝 S7). 운동 평가 유닛(108)은, 스텝 S7에서는, 제작한, 질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를, 평가 결과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기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운동 정보를 사용하여, 운동 메뉴를 평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일상적으로 실시되는 운동을 기록함으로써, 운동 메뉴를 평가할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예를 들어,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가 식별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관리자는, 평가 결과를 참조함으로써, 운동 메뉴 정보 DB(103)에 저장되는 다수의 운동 메뉴 중에서 이용자에 대하여 제공되는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를 효율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자가, 체력 테스트 등이 특별한 운동을 실시하지 않아도, 운동 메뉴를 평가할 수 있다. 관리자는, 단말 장치(110)를 사용하여,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추가, 또는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이런 수순에 따라, 의료 또는 간호 케어의 분야에 있어서, 각 이용자는, 더 질이 높은 운동 메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가 운동의 현장에 항상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용자가 매일 운동을 실시하는 상태를 반영한 운동 메뉴의 평가를 획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에게는 더 질이 높은 운동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실시 형태에서는, 운동 기록 DB(102)가, 센서 장치(101)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센서 데이터)를 운동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운동 기록 DB(102)는, 센서 장치(101)가 취득하는 센서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변형 예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 예에 있어서,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센서 장치(101)가 취득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운동 정보를 추출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추출한 운동 정보를, 운동 데이터로서 운동 기록 DB(102)에 저장한다. 운동 정보 추출 유닛(107)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의 일부일 수도 있고,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와는 다른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위의 변형 예에 있어서 운동 기록 DB(102)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운동 기록 DB(102)는,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각 운동 메뉴에 대해서, 메뉴 번호와 추출된 운동 정보(가동 영역)를 연관시켜 저장한다. 위의 변형 예에 있어서,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기록 DB(102)로부터,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의 메뉴 번호와 연관시켜 저장되는 가동 영역을 취득하고, 운동 메뉴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가 평가하는 운동 메뉴가 포함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가 제작한 운동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는, 의학 치료사(medical therapists) 등의 전문가가 수동으로 제작한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는,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위의 실시 형태에서는, 운동 평가 유닛(108)이 각 이용자의 개선율의 평균값을 기준 값으로서 사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운동 메뉴마다 산출되는 개선율이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평균값 - 표준 편차"에 의해 산출되는 값을 기준 값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값이 "평균값 - 표준 편차"보다 작은 운동 메뉴를, 질이 낮은 운동 메뉴라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기준 값은, 관리자가 단말 장치(210)을 사용해서 입력한 값일 수 있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이용자 정보 및 운동 메뉴 정보 등을 사용하고, 임의의 속성에 따라서 이용자 또는 운동 메뉴를 분류하고, 분류마다 운동 메뉴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이용자를 성별, 연령, 및 병력 등의 속성에 따라 분류한다. 혹은, 운동 평가 유닛은, K 종류의 운동 메뉴를, 목적 부위 등의 속성에 따라 분류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K 종류의 운동 메뉴에 대해서, 분류마다 평가 값을 산출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분류마다 산출된 평가 값에 기초하여, 분류마다 기준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하나의 분류에 대해서 산출된 복수의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의 평균값을, 그 분류에 있어서의 기준 값으로 설정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분류마다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운동 메뉴를 평가할 수 있다.
위의 실시 형태에서는, 운동 평가 유닛(108)은, 평가 대상의 운동 메뉴를 실시한 모든 이용자의 운동 정보를 사용해서 그 운동 메뉴를 평가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하나의 운동 메뉴를 단독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운동 프로그램 전체를 고려함으로써, 운동 메뉴의 조합의 양립성(compatibility)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평가 유닛(108)은, 하나의 운동 메뉴(제1 운동 메뉴)와, 특정한 운동 메뉴(제2 운동 메뉴)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이용자의 운동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운동 평가 유닛(108)은,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고,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수순에 따라, 제1 운동 메뉴와, 제2 운동 프로그램이 조합되는 경우의, 제1 운동 메뉴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있어서,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 및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는, 컴퓨터 장치(서버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 또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로서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컴퓨터 장치(500)는, 제어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510), 저장 유닛(520), ROM(Read Only Memory)(530), RAM(Random Access Memory)(540), 통신 인터페이스(IF: Interface)(550)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56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50)는, 유선 통신 수단 또는 무선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컴퓨터 장치(5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용자 인터페이스(560)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 인터페이스(560)는,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520)은, 각종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 저장 장치이다. 저장 유닛(520)이 반드시 컴퓨터 장치(500)의 일부일 필요는 없고, 외부 저장 장치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 장치(500)에 접속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일 수도 있다.
ROM(530)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이다. ROM(530)은, 예를 들어, 비교적 용량이 적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저장 장치일 수 있다. CPU(510)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저장 유닛(520) 또는 ROM(53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유닛(520) 또는 ROM(530)은, 예를 들어,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 또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 내의 각 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위의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사용해서 저장되고, 컴퓨터 장치(500)에 공급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여러 가지 타입의 실체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자기 저장 매체, 예를 들어, 광자기 디스크 등의 광자기 저장 매체, CD(compact disc),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광 디스크 매체 및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또는 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들)은, 여러 가지 타입이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사용해서 컴퓨터에 공급될 수 있다.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유선 통신로(예를 들어, 전선 및 광 섬유),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RAM(540)은 휘발성의 저장 장치이다. RAM(540)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또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RAM(540)은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내부 버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PU(510)은, 저장 유닛(520) 또는 ROM(5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540)로 확장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510)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운동 메뉴 평가 장치(105) 또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200) 내의 각 부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CPU(510)은,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내부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내용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 형태의 변경이나 수정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위에 개시된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음의 부기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기 1]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평가 값 산출 수단; 및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부기 2]
부기 1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운동 정보는 운동 메뉴에서 목적 부위의 가동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기 3]
부기 1 또는 2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값 산출 수단은 복수의 운동 메뉴에 대해서 평가 값을 산출하고,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복수의 운동 메뉴의 평가 값에 기초하여 기준 값을 결정한다.
[부기 4]
부기 3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복수의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의 평균 값을 기준 값으로서 설정한다.
[부기 5]
부기 3 또는 4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복수의 이용자 및 복수의 운동 메뉴의 적어도 하나를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마다, 복수의 운동 메뉴에 대해서 평가 값을 산출하고, 분류마다 산출된 평가 값에 기초하여 분류마다 기준 값을 결정한다.
[부기 6]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제1 운동 메뉴와 제2 운동 메뉴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고,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부기 7]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평가 값이 기준 값보다 낮은 운동 메뉴를,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라고 판정한다.
[부기 8]
부기 7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를 평가 결과로서 생성한다.
[부기 9]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운동 메뉴가 이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실시 판정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에 대해서,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한다.
[부기 10]
부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센서 장치를 사용해서 취득된 운동 데이터로부터 운동 정보를 추출하는 운동 정보 추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부기 11]
부기 10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센서 장치는 운동하고 있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부기 12]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값 산출 수단은, 복수의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 값을 산출한다.
[부기 13]
부기 12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복수의 시점은, 제1 시점, 제1 시점보다 후의 제2 시점 및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제3 시점을 포함하고,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와 제2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 사이의 변화량 및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와 제3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 사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효과를 나타내는 개선율을 평가 값으로서 산출한다.
[부기 14]
부기 13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제1 시점은 미리 결정된 기간에 있어서 이용자가 최초에 운동 메뉴를 실시한 시점이며, 제2 시점은 미리 결정된 기간이 종료하는 시점이며, 제3 시점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중간 시점이다.
[부기 15]
부기 13 또는 14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제2 시점 또는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운동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시점 또는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전후에 버퍼 기간을 제공하고, 버퍼 기간 내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점 또는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를 결정한다.
[부기 16]
부기 15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값 산출 수단은, 버퍼 기간 내에서 최선의 운동 정보를, 제2 시점 또는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로서 사용한다.
[부기 17]
부기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평가 결과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부기 18]
운동 메뉴 평가 방법으로서: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기 19]
컴퓨터로 하여금 다음의 처리를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처리; 및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처리.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236956호에 기초하고 그로부터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10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1 평가 값 산출 수단
12 평가 결과 생성 수단
100 운동 프로그램 제시 시스템
101 센서 장치
102 운동 기록 DB
103 운동 메뉴 정보 DB
104 이용자 정보 DB
105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06 운동 실시 판정 유닛
107 운동 정보 추출 유닛
108 운동 평가 유닛
109 송신 유닛
110 단말 장치
200 운동 프로그램 제공 장치
210 단말 장치

Claims (19)

  1. 운동 메뉴 평가 장치로서,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평가 값 산출 수단; 및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운동 메뉴의 목적 부위의 가동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인 운동 메뉴 평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복수의 운동 메뉴 각각에 대해서 상기 평가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운동 메뉴의 평가 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값을 결정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의 평균 값을 상기 기준 값으로서 설정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용자 또는 상기 복수의 운동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마다, 상기 복수의 운동 메뉴에 대해서 상기 평가 값을 산출하고, 상기 분류마다 산출된 평가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류마다 상기 기준 값을 결정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제1 운동 메뉴와 제2 운동 메뉴를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상기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평가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낮은 운동 메뉴를,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라고 판정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생성 수단은, 유효성이 낮은 운동 메뉴의 리스트를 상기 평가 결과로서 생성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메뉴가 이용자의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실시 판정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운동 메뉴에 대해서,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장치를 사용해서 취득된 운동 데이터로부터 상기 운동 정보를 추출하는 운동 정보 추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는 운동하고 있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복수의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 값을 산출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점은, 제1 시점, 상기 제1 시점보다 후의 제2 시점 및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3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 사이의 변화량 및 상기 제1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와 상기 제3 시점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 사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효과를 나타내는 개선율을 상기 평가 값으로서 산출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은 미리 결정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최초에 상기 운동 메뉴를 실시한 시점이며,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이 종료하는 시점이며, 상기 제3 시점은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중간 시점인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상기 제2 시점 또는 상기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운동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시점 또는 상기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전후에 버퍼 기간을 제공하고, 그 버퍼 기간 내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점 또는 상기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를 결정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값 산출 수단은, 상기 버퍼 기간 내에서 최선의 운동 정보를, 상기 제2 시점 또는 상기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의 운동 정보로서 사용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운동 메뉴 평가 장치.
  18. 운동 메뉴 평가 방법으로서,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 메뉴 평가 방법.
  19.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운동 메뉴에 따라서 운동한 복수의 이용자 각각의 운동 정보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을 산출하는 처리; 및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메뉴의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21217A 2019-12-26 2020-12-10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04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6956 2019-12-26
JP2019236956 2019-12-26
PCT/JP2020/046143 WO2021131762A1 (ja) 2019-12-26 2020-12-10 運動メニュー評価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022A true KR20220104022A (ko) 2022-07-25

Family

ID=7657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217A KR20220104022A (ko) 2019-12-26 2020-12-10 운동 메뉴 평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01266A1 (ko)
JP (1) JP7310929B2 (ko)
KR (1) KR20220104022A (ko)
CN (1) CN114868197A (ko)
WO (1) WO202113176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7192A (ja) 2015-07-17 2017-02-02 和男 村田 運動プログラム提示システム、運動プログラム提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98707A (ja) 2017-05-26 2018-12-20 太雅 原 運動情報の記録及び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226B2 (ja) * 2006-09-22 2012-02-15 特定非営利活動法人熟年体育大学リサーチセンター 運動効果予測システム、運動効果予測プログラムおよび運動効果予測方法
JP2009276893A (ja) * 2008-05-13 2009-11-26 Toshiba Corp 健康管理支援装置
JP6181373B2 (ja) * 2013-01-18 2017-08-16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162354A (ja) * 2016-03-11 2017-09-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7192A (ja) 2015-07-17 2017-02-02 和男 村田 運動プログラム提示システム、運動プログラム提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98707A (ja) 2017-05-26 2018-12-20 太雅 原 運動情報の記録及び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1266A1 (en) 2023-01-05
JPWO2021131762A1 (ko) 2021-07-01
JP7310929B2 (ja) 2023-07-19
WO2021131762A1 (ja) 2021-07-01
CN114868197A (zh)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ngoli Exploring the Technological Benefits of VR in Physical Fitness
US7575433B2 (en) Sports skill evaluation system
US11113988B2 (en) Apparatus for writing motion script, apparatus for self-teaching of mo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1263953A (zh) 动作状态评估系统、动作状态评估装置、动作状态评估服务器、动作状态评估方法以及动作状态评估程序
JP6760986B2 (ja) 遠隔リハビリ分析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5498188A (zh) 一种体育活动监控装置
JP6757010B1 (ja) 動作評価装置、動作評価方法、動作評価システム
KR102320960B1 (ko) 사용자 신체 맞춤형 홈 트레이닝 동작 안내 및 교정 시스템
JP4579652B2 (ja) スポーツ能力評価システム
CN113010557A (zh) 一种心理测评系统量表随机答题方法及系统
Slawson et al. Characterizing the swimming tumble turn using acceleration data
JP5160830B2 (ja) 動画生成システム、動画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111178A (ja) 動作トレーニング表示システム
JP2024036481A (ja) ライフログ提供システムおよびライフログ提供方法
Furley et al. Coding body language in sports: the nonverbal behavior coding system for soccer penalties
JP7409390B2 (ja) 運動認識方法、運動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86867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10929B2 (ja) 運動メニュー評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62512B2 (ja) 多次元時系列データ分析装置及び多次元時系列データ分析プログラム
US202302982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d system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US201601800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port for a physical activity
WO2016146834A1 (en) Optimizing recommendations in a system for assessing mobility or stability of a person
CN114450701A (zh) 信息处理系统及方法以及信息处理装置
WO2023162159A1 (ja) 動作生成装置、動作生成システム、動作生成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6659011B2 (ja) 検索システム、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