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793A - 개선된 용량을 가진 저장 랙 - Google Patents

개선된 용량을 가진 저장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793A
KR20220103793A KR1020227021789A KR20227021789A KR20220103793A KR 20220103793 A KR20220103793 A KR 20220103793A KR 1020227021789 A KR1020227021789 A KR 1020227021789A KR 20227021789 A KR20227021789 A KR 20227021789A KR 20220103793 A KR20220103793 A KR 2022010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face
upright
storage
longitudinal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질 볼라드
Original Assignee
엑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소텍 filed Critical 엑소텍
Publication of KR2022010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8Transfer means for the stacker crane between the a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1 저장 랙(100) 및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2 저장 랙(200)을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가 제공된다. 제1 저장 랙(100)의 제1 전방 횡방향면(105)과 제2 저장랙(200)의 제2 후방 횡방향면(206)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용량을 가진 저장 랙
본 발명은 제품 저장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자동 제품 저장 및 복구 시스템과 일체화된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장 조립체는 종래적으로 여러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상 랙을 포함한다. 그러한 랙은 선반을 지지하는 수평의 크로스 부재에 의해 함께 연결된 네 개의 수직 업라이트를 포함한다. 선반은 저장 격실의 하부를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저장 격실은 표준 파렛트의 것에 상응하는 평행육면체 볼륨이고, 포크리프트는 주문의 준비를 위해 그 위에 저장된 제품 중 하나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때 파렛트를 두도록 주요면을 통해 저장 격실에 접근할 수 있다.
저장 격실의 주요면이 서로 마주하는 바와 같이 랙은 일반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배열된 랙은 다른 스팬을 배분하는 두 개의 순환 애비뉴 사이에 연장하는 포크리프트의 주요 순환 스팬의 범위를 정한다.
주어진 플로어 표면 영역(면적)에서 저장 체적을 증가시킴이 필요한 때에 선반 추가를 위해 필요한 랙의 높이 증가는 랙에 가해지는 수평 힘을 지탱하기 위하여 크로스 부재(cross-member)들 및 업라이트(직립 부재)(upright)들 사이에 고정된 연결부를 강화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업라이트들을 완전히 변형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저장 조립체의 완전한 분해-재장착 그리고 결과적으로 부동화(immobilization)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현저한 작업상 손실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규정된 플로어 표면 영역을 차지하는 저장 조립체의 저장 및/또는 팩킹 용량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1 저장 랙 및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2 저장 랙을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가 제공된다. 제1 랙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1 하부면, 제1 하부면에 대해 평행한 제1 상부면, 제1 우측 종방향면, 및 제1 전방 횡방향면과 제1 후방 횡방향면을 연결하는 제1 좌측 종방향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랙은, 제1 하부면과 제1 상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중첩되는 복수의 제1 저장 격실들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저장 격실들은 제1 좌측 종방향면으로부터 그리고 제1 우측 종방향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며, 제1 저장 격실들은 상기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1 최소 거리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2 랙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2 하부면, 제2 하부면에 대해 평행한 제2 상부면, 제2 우측 종방향면, 및 제2 전방 횡방향면과 제2 후방 횡방향면을 연결하는 제2 좌측 종방향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랙은, 제2 하부면과 제2 상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적층 방향을 따라서 중첩되는 복수의 제2 저장 격실들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저장 격실들은 제2 좌측 종방향면으로부터 그리고 제2 우측 종방향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며, 제2 저장 격실들은 상기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2 최소 거리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제1 전방 횡방향면과 제2 후방 횡방향면은 제로가 아닌 거리로 분리되면서 서로를 대면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브레이싱 구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수평 브레이싱 구조는, 제1 우측 종방향면 또는 제1 좌측 종방향면, 및/또는 제2 우측 종방향면 또는 제2 좌측 종방향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1 브레이싱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브레이싱 요소는, 제1 상부면 및/또는 제2 상부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하부면 및/또는 제2 하부면에서부터 미리 결정된 제1 거리로 연장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거리는 제1 최소 거리 또는 제2 최소 거리의 1 내지 2 배이다. 상기 제1 브레이싱 요소(501)는 제1 메쉬를 포함한다.
이로써, 수평 브레이싱이 랙 요소의 구조에 대한 (예를 들어 동일한 저장 랙의 대향된 꼭대기들을 결합시키는 보강기의 추가에 의한)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장 조립체가 얻어진다. 그러면 랙 요소의 저장 높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때에 앞선 랙 요소 구조를 보존하고 이를 본 발명에 의하여 외부에서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레이싱은 종방향면들을 포함하는 평면의 위치에 넣음으로써 배치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브레이싱은 랙 요소의 높이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기 때문에, 대형 브레이싱을 제작하거나 그리고/또는 경량이고 저렴한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는 제1 최소 거리 또는 제2 최소 거리의 1 내지 2 배 사이이기 때문에, 핸들링 기계들이 제1 격실 또는 제2 격실로부터 오는 물품을 운반하는 때에 핸들링 기계의 순환을 저해하지 않고서 많은 구조 요소들을 포함하는 브레이싱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브레이싱은 랙 요소의 경제적인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바,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저장 격실들 중 각각의 제1 격실은 제1 우측 종방향면과 제1 좌측 종방향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행 슬라이드들의 제1 쌍을 포함하고, 상기 평행 슬라이드들의 제1 쌍은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1 최소 거리만큼 분리된다. 제2 저장 격실들의 각각의 제2 격실이 제2 우측 종방향면과 제2 좌측 종방향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슬라이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경제성이 현저하다.
미리 정해진 제1 거리가 제1 최소 거리 및/또는 제2 최소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큰 때에 물품을 운반하는 핸들링 캐리지의 순환을 유지함이 가능하다.
제1 브레이싱 요소가 제1 메쉬를 포함하는 때에 설치가 간편한 효과적인 브레이싱이 얻어진다.
상기 브레이싱의 효율은, 상기 수평 브레이싱 구조가, 제1 상부면 및/또는 제2 상부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2 브레이싱 요소를 더 포함하는 때에 개선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저장 조립체가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3 저장 랙 및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4 저장 랙을 더 포함한다. 제3 랙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3 하부면, 제3 하부면에 대해 평행한 제3 상부면, 제3 우측 종방향면, 및 제3 전방 횡방향면과 제3 후방 횡방향면을 연결하는 제3 좌측 종방향면을 포함하고, 제3 우측 종방향면과 제3 좌측 종방향면 중 하나는 제1 우측 종방향면 또는 제1 좌측 종방향면 중 하나를 대면한다. 제4 랙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4 하부면, 제4 하부면에 대해 평행한 제4 상부면, 제4 우측 종방향면, 및 제4 전방 횡방향면과 제4 후방 횡방향면을 연결하는 제4 좌측 종방향면을 포함하고, 제4 우측 종방향면과 제4 좌측 종방향면 중 하나는 제2 우측 종방향면 또는 제2 좌측 종방향면 중 하나를 대면한다. 상기 수평 브레이싱 구조는, 제1 상부면 및/또는 제2 상부면 및/또는 제3 상부면 및/또는 제4 상부면을 포함하는 제3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3 브레이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브레이싱 요소는 제1 랙, 제2 랙, 제3 랙, 및 제4 랙을 연결한다.
제3 브레이싱 요소가 제3 메쉬를 포함하는 때에 간편하고 경제적인 브레이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장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문 준비 시스템에 관한 것인바, 이것은 물품(parcel)의 취급을 위한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식 안내 캐리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특정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기재를 읽을 때 나타날 것이다.
첨부한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고, 그 가운데
[도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도 2는 도 1의 랙 요소의 세부적이고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 도 3은 도 1의 저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상부도이고;
[도 4] 도 4는 도 1의 저장 조립체의 캐리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 도 5는 도 1의 저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 도 6은 도 1의 저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상부도이고;
[도 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1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2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3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4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5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6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7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8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5]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9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6] 도 16 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제2 업라이트의 개략도이고;
[도 17]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제10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8] 도 18은 도 1의 저장 조립체의 개략적인 상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으로 (1)로 표시된 저장 조립체는 제1 저장 랙(100), 제2 저장 랙(200), 제3 저장 랙(300), 및 제4 저장 랙(400)을 포함한다.
제1 저장 랙(100)은 실질적으로 패러럴파이프되고 지지 표면-여기서 미도시된 창고의 콘크리트 플로어(2) 상에 생성된 제1 하부면(100)을 포함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높이(h100)에 의해 분리된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한 제1 상부면(102), 여기서 905 밀리미터와 동일하고, 여기서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제1 깊이(p100)에 의해 분리되는 제1 우측 종방향면(104), 및 제1 좌측 종방향면(103)을 포함한다. 제1 좌측 종방향면(103) 및 제1 우측 종방향면(104)은 제1 폭(l100)에 의해 분리된 제1 전방 횡방향면(105) 및 제1 후방 횡방향면(106)을 연결한다.
제1 랙(100)은 서로 평행하고, 제1 랙(100)의 수직 에지를 규정하는,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및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를 포함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로부터 그리고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로부터 등거리인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를 포함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로부터 그리고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로부터 등거리인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를 포함한다.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및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는 제1 우측 종방향면(104)의 평면에서 연장하고, 미도시된 플로어(2)에 실링된 스레드 봉과 맞물린 앵커링 플레이트(107)를 사용하여 플로어(2)에 부착된다. 제1 좌측 후방 메인 업라이트(111),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는 제1 좌측 종방향면(103)의 평면에서 연장하고 미도시된 플로어(2)에 실링된 스레드 봉과 맞물린 앵커링 플레이트(107)를 사용하여 플로어(2)에 부착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 연장하는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를 포함한다.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는 여기서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제1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1) 및 제1 전방 메디안 하부 슬라이드(121.2)를 포함한다. 제1 전방 하우 슬라이드(121.1)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에 볼트된다. 제1 전방 메디안 하부 슬라이드(121.2)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 볼트된다.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는 여기서 제1 하부면(101)으로부터 495 밀리미터와 동일한 제1 기본 거리(130)에서 연장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 연장하는 제1 한 쌍의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를 포함한다. 제1 한 쌍의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는 여기서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제1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1) 및 제1 전방 메디안 중간 슬라이드(122.2)를 포함한다. 제1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1)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에 볼트된다. 제1 전방 메디안 중간 슬라이드(122.2)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 볼트된다. 제1 한 쌍의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는 여기서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로부터 225 밀리미터와 동일한 제1 하부 거리(131)에서 연장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 연장하는 제1 한 쌍의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를 포함한다. 제1 한 쌍의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는 여기서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제1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1) 및 제1 전방 메디안 상부 슬라이드(123.2)를 포함한다. 제1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1)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에 볼트된다. 제1 전방 메디안 상부 슬라이드(123.2)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 볼트된다.
제1 한 쌍의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는 여기서 제1 한 쌍의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로부터 325 밀리미터와 동일한 제1 중간 거리(132)에서 연장하고, 여기서 제1 상부면(102)으로부터 225 밀리미터와 동일한 제1 상부 거리(133)로 연장한다.
상응하게,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 연장하는 제1 한 쌍의 후방 하부 슬라이드(124)를 포함한다. 제1 한 쌍의 후방 하부 슬라이드(124)는 여기서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제1 전방 하부 슬라이드(124.1) 및 제1 후방 메디안 하부 슬라이드(124.2)를 포함한다. 제1 후방 하부 슬라이드(124.1)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에 볼트된다. 제1 후방 메디안 하부 슬라이드(124.2)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 볼트된다. 제1 한 쌍의 후방 하부 슬라이드(124)는 제1 하부면(101)으로부터 제1 기본 거리(130)에서 연장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 연장하는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를 포함한다.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는 여기서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제1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1) 및 제1 후방 메디안 중간 슬라이드(125.2)를 포함한다. 제1 후방 하부 슬라이드(126.1)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에 볼트된다. 제1 후방 메디안 중간 슬라이드(125.2)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 볼트된다.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는 제1 한 쌍의 하부 슬라이드(124)로부터 제1 하부 거리(131)에서 연장한다.
제1 랙(100)은 또한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 연장하는 제1 한 쌍의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를 포함한다. 제1 한 쌍의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는 여기서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제1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1) 및 제1 후방 메디안 상부 슬라이드(126.2)를 포함한다. 제1 후방 하부 슬라이드(126.1)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에 볼트된다. 제1 후방 메디안 상부 슬라이드(126.2)는 제1 하부면(10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한 편으로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 볼트되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 볼트된다.
제1 한 쌍의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는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로부터 제1 중간 거리(132)에서 연장하고, 제1 상부면(102)으로부터 제1 상부 거리(133)에서 연장한다.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 제1 한 쌍의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 및 제1 한 쌍의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는 물론,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는 제1 랙(100)의 제1 전방 요소(100.1)를 구성한다.
제1 한 쌍의 후방 하부 슬라이드(124),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 및 제1 한 쌍의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는 물론,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는 제1 랙(100)의 제1 후방 요소(100.2)를 구성한다.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중간 업라이트(115)에 의해 측면 상에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측면(121)에 의해 하부에 범위가 정해지고, 제1 한 쌍의 전방 중간 슬라이드(122)에 의해 상부에 범위가 정해진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볼륨은 제1 전방 하부 저장 격실(140)에 상응한다.
제1 전방 중간 저장 격실(141)은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중간 업라이트(115)에 의해 측면 상에 제1 한 쌍의 중간 슬라이드(122)에 의해 하부에 범위가 정해지고, 제1 한 쌍의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에 의해 상부에 범위가 정해진다.
제1 전방 상부 저장 격실(142)은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중간 업라이트(115)에 의해 측면 상에 제1 한 쌍의 전방 상부 슬라이드(123)에 의해 하부에 범위가 정해지고, 제1 상부면(102)에 의해 상부에 범위가 정해진다.
제1 전방 중간 격실(141) 및 제1 전방 상부 격실(142)은 제1 수직 적층 방향(143)에서 제1 전방 하부 격실(140) 상에 중첩된다. 제1 적층 방향(143)에서 고려된 제1 전방 하부 격실(140)의 높이는 제1 하부 거리(131)와 동일하다.
제1 적층 방향(143)에서 고려된 제1 전방 중간 격실(141)의 높이는 제1 중간 거리(132)와 동일하다.
제1 적층 방향(143)에서 고려된 제1 전방 상부 격실(142)의 높이는 제1 상부 거리(133)와 동일하다.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중간 업라이트(115)에 의해 측면 상에 제1 한 쌍의 후방 하부 측면(124)에 의해 하부에 범위가 정해지고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에 의해 상부에 범위가 정해진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볼륨은 제1 후방 하부 저장 격실(144)에 상응한다.
제1 후방 중간 저장 격실(145)은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중간 업라이트(115)에 의해 측면 상에 제1 한 쌍의 후방 중간 슬라이드(125)에 의해 하부에 범위가 정해지고 제1 한 쌍의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에 의해 상부에 범위가 정해진다.
제1 후방 상부 저장 격실(146)은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제1 중간 업라이트(115)에 의해 측면 상에 제1 한 쌍의 후방 상부 슬라이드(126)에 의해 하부에 범위가 정해지고 제1 상부면(102)에 의해 상부에 범위가 정해진다.
제1 후방 중간 격실(145) 및 제1 후방 상부 격실(146)은 제1 수직 적층 방향(143)에서 제1 후방 하부 격실(144) 상에 중첩된다. 제1 적층 방향(143)에서 고려된 제1 후방 하부 격실(144)의 높이는 제1 하부 거리(131)와 동일하다.
제1 적층 방향(143)에서 고려된 제1 후방 중간 격실(145)의 높이는 제1 중간 거리(132)와 동일하다.
제1 적층 방향(143)에서 고려된 제1 후방 상부 격실(146)의 높이는 제1 상부 거리(133)와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중간 거리(132)는 제1 하부 거리(131) 및 제1 상부 거리(133)보다 더 크다.
제1 전방 하부 격실(140)은 모두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 상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제1 우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0) 및 제1 좌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1)를 수용한다. 제1 우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0) 및 제1 좌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1)는 여기서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이다. 도 2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0)는 실질적으로 제1 하부 거리(131) 미만의 높이(h150)를 가진다. 제1 우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0)의 폭(l150)은 실질적으로 제1 폭(l100)의 절반과 같다. 제1 우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0)의 깊이(p150)는 제1 깊이(p100)의 절반이다. 따라서, 제1 전방 하부 격실(140)이 열리고 따라서 제1 우측 종방향면(104) 및 제1 좌측 종방향면(103)으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제1 좌측 전방 컨테이너(151)를 취급할 필요없이 제1 우측 전방 컨테이너(150)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역도 성립한다.
상응하게, 제1 전방 중간 격실(141)은 제1 우측 전방 중간 컨테이너(152) 및 제1 좌측 전방 중간 컨테이너(153)를 수용한다.
제1 전방 상부 격실(142)은 제1 우측 전방 상부 컨테이너(154) 및 제1 좌측 전방 상부 컨테이너(155)를 수용한다. 제1 후방 하부 격실(144)은 제1 우측 후방 컨테이너(156) 및 제1 좌측 후방 컨테이너(157)를 수용한다. 제1 후방 중간 격실(145)은 제1 우측 후방 중간 컨테이너(158) 및 제1 좌측 후방 중간 컨테이너(159)를 수용한다.
제1 후방 상부 격실(146)은 제1 우측 후방 상부 컨테이너(160) 및 제1 좌측 후방 상부 컨테이너(161)를 수용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전방 자유 통과 볼륨(190)은 제1 하부면(101) 및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는 제1 전방 볼륨(190)의 수직 에지를 규정한다.
제1 전방 볼륨(190)은 그 수직 방향에서의 제1 치수가 제1 기본 거리(130), 즉, 495 밀리미터와 동일한 제1 전방 통과 섹션(S190)을 가진다. 제1 좌측 종방향면(103) 및 제1 우측 종방향면(104)을 연결하는 횡방향에서의 섹션(S190)의 제2 치수는 실질적으로 제1 깊이(p100), 즉, 950 밀리미터와 동일하다.
제1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후방 자유 통과 볼륨(191)은 제1 하부면(101) 및 제1 한 쌍의 후방 하부 슬라이드(124)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는 제1 후방 볼륨(191)의 수직 에지를 규정한다.
제1 전방 볼륨(191)은 제1 전방 통과 섹션(S190)과 동일한 제1 후방 섹션(S191)을 가진다.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에는 제1 우측 후방 업라이트(110)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우측 후방 클라이밍 체인(170)이 제공된다.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에는 제1 좌측 후방 업라이트(111)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좌측 후방 클라이밍 체인(170.1)이 제공된다.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에는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우측 전방 클라이밍 체인(170.2)이 제공된다.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에는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좌측 전방 클라이밍 체인(170.3)이 제공된다.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에는 제1 우측 중간 업라이트(114)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우측 중간 클라이밍 체인(170.4)이 제공된다.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에는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좌측 중간 클라이밍 체인(170.5)이 제공된다.
클라이밍 체인(170.5)에 클라이밍 체인(170)의 장착 및 고정은 각기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 상의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장착 및 고정, 및 제1 중간 체인(170.5)의 장착 및 고정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은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 7에 도시된 제1 단계에 따라서,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여기서, 관통된 U 형상 프로파일)는 실질적으로 수평 장착 위치에 있고, 제1 좌측 전방 하부 커넥터-여기서 제1 좌측 전방 하부 안내 장치(20)-는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제1 좌측 전방 하부 위치(113.1) 상에 볼트된다.
도 8에 도시된 제2 단계에 따라서, 제1 점퍼(40)는 일정한 간격에서 업라이트(113) 상에 볼트된다. 도 9에 도시된 제3 단계에 따라서, 제1 프로파일(41)-여기서 그 횡단면이 U 형상인 프로파일-은 점퍼(40) 상에 볼트되고 제1 좌측 전방 하부 안내 장치(20) 상에 볼트된다. 제1 프로파일(41)은 제1 우측 윙(41.2) 및 제1 좌측 윙(41.3)을 연결하는 제1 웹(41.1)을 포함하고, 제1 우측 윙(41.2) 및 제1 좌측 윙(41.3)은 개별적으로 제1 우측 플랫(first right flat)(41.4) 및 제1 좌측 플랫(41.5)에 의하여 끝을 맺으며, 제1 우측 플랫(41.4) 및 제1 좌측 플랫(41.5)은 각각 제1 우측 윙(41.2) 및 제1 좌측 윙(4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4 단계에 따라서, 제1 좌측 전방 상부 커넥터(42)는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제1 상부(113.2) 상에 볼트된다. 제1 좌측 전방 상부 컨넥터(42)는 제1 홀(42.3)을 지지하는 횡방향 벽(42.2)이 제공되는 프레임(42.1)을 포함한다. 프레임(42.1)은 각기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우측 윙 및 좌측 윙 상에 볼트되는 우측 패널(42.4) 및 좌측 패널(42.5)을 포함한다.
제1 좌측 전방 상부 커넥터(42)는 제1 좌측 전방 하부 안내 장치(20)로부터 제1 미리결정된 거리(L42)에서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제1 상부(113.2) 상에 설치된다. 미리결정된 거리(L42)는 여기서 제1 좌측 전방 하부 안내 장치(20)의 제1 한 쌍의 플랜지(22)의 보어(21)의 축(O21)과 횡방향 벽(42.2)의 상부 표면(42.6) 사이에 연장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5 단계에 따라서, 제1 니트릴 랜드(first nitrile land)(43)는, 하부 단부(43.1)가 실질적으로 제1 좌측 전방 하부 안내 장치(20)의 축(O21) 바로 아래에 오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41)의 웹(41.1) 상에 놓인다. 도 12에 도시된 제6 단계에 따라서,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하부 단부(170.31)는 제1 핀(44)을 사용하여 제1 한 쌍의 플랜지(22)에 부착된다. 도 13에 도시된 제7 단계에 따라서,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상부 단부(170.32)는 급속 체인 패스너(45)에 의해 제1 체인 텐셔너(46)에 연결된다.
제1 체인 텐셔너(46)는 한 편으로 제2 급속 체인 패스너(45)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46.2)가 제공되고, 다른 한 편으로 베어링 워셔(46.4) 및 너트(46.5)를 수용하기 위한 자유 스레드 단부(46.3)가 제공되는 스레드 봉(46.1)을 포함한다. 스레드 봉(46.5)은 횡방향 벽의 제1 홀(42.3)을 통해 그리고 베어링 워셔(46.4)를 통해 연장한다. 도 14에 도시된 제8 단계에 따라서, 너트(46.5)는 횡방향 벽(42.2)의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상부 단부(170.32)를 분리하는 거리(L46)를 조절하도록 그리고 그것을 여기서 22 밀리미터와 동일한 미리결정된 값(d46)으로 가져오도록 작용된다. 로크너트(46.8)는 제1 좌측 전방 상부 커넥터(42)에 관련해서 스레드 봉(46.1)의 위치를 고정하고, 따라서 제1 업라이트(113)에 관련해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상부 단부(170.32)의 위치를 고정한다. 거리(L46)를 조절함으로써,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하부 단부(170.31)와 제1 상부 단부(170.32)를 분리하는 거리(L170.3)가 2500 밀리미터와 동일한 바와 같이 작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제9단계에 따라서, 제1 좌측 전방 강화 메쉬(183)는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상에 장착된다.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는 동일하게 취급되고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의 제2 하부(115.1) 상에 제2 하부 안내 장치(50)를 수용한다. 도 16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 상에 볼트된 제2 점퍼(51)는 제2 니트릴 랜드(53)를 수용하는 제1 프로파일(41)과 동일한 프로파일(52)을 지지한다. 제2 좌측 중간 커넥터(54)는 제2 좌측 중간 하부 안내 장치(50)의 제2 미리결정된 거리(L54)에서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의 제2 상부 단부(115.2) 상에 설치된다.
제1 좌측 중간 체인(170.5)의 제1 하부 단부(170.51)는 제2 하부 안내 장치(50)에 연결되고, 제1 좌측 중간 체인(170.5)의 제1 상부 단부(170.52)는 제2 좌측 중간 상부 커넥터(54)에 연결된다. 제1 좌측 중간 체인(170.5)의 제1 하부 단부(170.51) 및 제1 상부 단부(170.32)를 분리하는 거리(L170.5)는, 거리(L170.5)가 9000 밀리미터와 동일한 바와 같이, 제1 체인 텐셔너(46)와 동일한 제2 체인 텐셔너(55) 상에 작용함으로써 조절된다. 제1 좌측 중간 강화 메쉬(185)는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 상에 장착된다.
도 17에 도시된 제10의 다음 단계에 따라서, 각기 제1 좌측 전방 메쉬(183)가 제공되고, 제1 좌측 중간 메쉬(185)가 제공되는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가 수직으로 위치되고, 플레이트(107)는 플로어(2) 상에 안착한다.
최종 설정 단계에 따라서,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위치 및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의 위치는,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하부 단부(170.3) 및 제1 좌측 중간 체인(170.5)의 제1 하부 단부(170.51)가 수평 평면(Ph)에 놓이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일단 이들 위치가 설정되면, 적응된 고정이, 필요하다면, 플레이트(107)와 플로어(2) 사이에 이루어진다.
제1 우측 후방 체인(170)의 장착, 제1 좌측 후방 체인(170.1)의 장착, 제1 우측 전방 체인(170.2)의 장착, 및 제1 우측 중간 체인(170.4)의 장착이 동일한 수평 평면(Ph)에서 이들 체인의 각각의 제1 단부를 위치시키도록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위에 기재된 방법의 제1 단계 동안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제1 좌측 전방 하부(113.1) 상의 안내 장치(20)의 부착은 볼팅에 의해 이루어진다.
위에 기재된 방법의 제2 단계에 따라 안내 장치(20)에 제1 프로파일(41)의 결합이 프레임(42.1)의 러그(31) 상의 제1 프로파일(41)을 볼팅함으로써 유리하게 이루어진다.
최종으로, 도 22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부(21)에 제1 좌측 전방 체인(170.3)의 제1 하부 단부(170.31)를 부착하는 제6 단계 동안, 제1 하부 단부(170.31)는 한 쌍의 러그(22)들 사이에 도입되고 제1 핀(44)은 제1 하부 단부(170.31)의 보어에서 연장하도록 보어(21)를 통해 도입된다.
제2 랙(200), 제3 랙(300), 및 제4 랙(400)은 여기서 제1 랙(100)과 동일하다. 제1 랙(100)을 참조하여 기재된 이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제2 랙(200)과 관련될 때, 하나의 동일한 번호 참조 더하기 100을 가질 것이고, 제3 랙(300)에 관련될 때, 하나의 동일한 번호 참조 더하기 200을 가질 것이고, 제4 랙(400)과 관련될 때, 하나의 동일한 번호 참조 더하기 300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랙(200)의 제2 후방 횡방향면(206)은 제1 랙(100)의 제1 전방 횡방향면(105)를 마주한다. 제3 랙(300)의 제3 우측 종방향면(304)은 제1 랙(100)의 제1 좌측 종방향면(103)을 마주하고, 후방 중심 순환 스팬(3)을 규정한다. 제4 랙(400)은 제4 랙(400)의 제4 후방 횡방향면(406)이 제3 랙(300)의 제3 전방 횡방향면(305)를 마주하는 바와 같이 위치된다. 따라서 제4 랙(400)의 제4 우측 종방향면(404)은 제2 랙(200)의 제2 좌측 종방향면(203)을 마주하고, 전방 중심 순환 스팬(4)을 규정한다. 좌측 후방 순환 스팬(5)은 제3 좌측 종방향면(303)을 따라 연장한다. 좌측 전방 순환 스팬(6)은 제4 좌측 종방향면(403)을 따라 연장한다. 유사하게, 우측 후방 순환 스팬(7)은 제1 우측 종방향면(104)을 따라 연장하고, 우측 전방 순환 스팬(8)은 제4 우측 종방향면(404)을 따라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중심 스팬(3), 전방 중심 스팬(4), 좌측 후방 스팬(5), 좌측 전방 스팬(6), 우측 후방 스팬(7), 및 우측 전방 후방 스팬(80)은 제1 전방 횡방향면(105), 제2 후방 횡방향면(206), 제3 전방 횡방향면(305), 및 제4 후방 횡방향면(406)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중심 순환 애비뉴(9) 상에 열린다. 후방 중심 스팬(3), 좌측 후방 스팬(5), 및 우측 후방 스팬(7)은 제1 후방 횡방향면(106) 및 제3 후방 횡방향면(306)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후방 순환 애비뉴(10) 상에 열린다. 전방 중심 스팬(4), 좌측 전방 스팬(6), 및 우측 전방 후방 스팬(8)은 제2 전방 횡방향면(205) 및 제4 전방 횡방향면(405)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전방 순환 애비뉴(11) 상에 열린다.
저장 조립체(1)는 제1 캐리지(70) 및 제2 캐리지(80)와의 무선 통신 수단(92)이 제공되는 제어 및 명령부(91)에 연결된 제1 자동 안내 캐리지(70) 및 제2 자동 안내 캐리지(80)를 포함하는 주문 준비 시스템(90)과 일체화된다. 주문 준비 시스템(90)은 또한 언로딩 램프(94)가 제공되는 제거 영역(93)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캐리지(70)는 실질적으로 패러럴파이프 형상 몸체(71)를 갖고 제1 기어휠(73.1), 제2 기어휠(73.2), 제3 기어휠(73.3), 및 제4 기어휠(73.4)은 물론, 네 개의 동력이 달린 구동 휠(72.1 내지 72.4)을 포함한다. 구동 휠(72.1 내지 72.4)은 제1 캐리지(70)가 중심 방향(75)에서 앞뒤로 플로어(2)에 걸쳐 이동하고 되돌아가는 것을 허용한다. 기어휠(73.1 내지 73.4)은 각기 중심 방향(75)에 직교하고 플로어(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횡방향(76)과 평행한 몸체(71)로부터 전개된 제1 리트랙터블 아암(74,1)의 단부, 제2 리트랙터블 아암(74.2)의 단부, 제3 리트랙터블 아암(74.3)의 단부, 및 제4 리트랙터블 아암(74.4)의 단부 상에 장착된다. 기어휠(73.1 내지 73.4)은 중심 방향(75)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리트랙터블 아암(74.1 내지 74.4)을 리트랙팅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물론, 구동 휠(72.1 내지 72.4), 기어휠(73.1 내지 73.4)을 이동시키는 캐리지의 모든 액추에이터는 제어 및 명령부(91)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구동부(77)와 연결된다.
제1 카메라(78.10)는 제1 기어휠(73.1)의 이미지 및 그 주변부를 캡처하도록 제1 아암(74.1)에 부착된다. 상응하게, 제2 카메라(78.20), 제3 카메라(78.30), 및 제4 카메라(78.40)는 각기 제2 기어휠(73.2)의 이미지 및 그 주변부, 제3 기어휠(73.3)의 이미지 및 그 주변부, 제4 기어휠(73.4)의 이미지 및 그 주변부를 캡처하도록, 각기 제2 아암(74.22)에, 제3 아암(74.3)에, 그리고 제4 아암(74.4)에 부착된다. 카메라(78.10 내지 78.40)는 구동부(77)에 연결된다.
제1 캐리지(70)는 횡방향(76)에서 몸체(71)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드에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78)를 수용한다. 플레이트(78)는 플레이트(78)의 것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돌출하여 연장하는 러그(79)를 포함한다. 제1 캐리지(70)의 휠(72.1 내지 72.4)이 플로어(2) 상에 안착할 때, 플레이트(78)의 상부 표면은 플로어(2)로부터, 여기서 260 밀리미터와 동일한 거리(h78)에서 연장한다.
제2 캐리지(80)는 제1 캐리지(70)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메쉬(501)는 제1 수직 평면(502)에서 연장한다. 제1 우측 종방향면(104) 및 제2 우측 종방향면(204) 역시 제1 평면(502)에 놓인다. 제1 메쉬(501)는 제1 우측 전방 업라이트(112) 및 제2 우측 후방 업라이트(210)를 연결하는 삼각화된 시스템(504)을 구성하도록 볼트된 스틸 앵글 바(503)로 구성된다. 제1 메쉬(501)는 제1 상부면(102)로부터 연장하고, 485 밀리미터와 같은 통과 높이(Hpas)에 의해 플로어(2)로부터 연장된 제1 하부 단부(501.1)를 가진다.
따라서 제1 메쉬(501)는 제2 랙(200)에 의한 제1 랙(100)의 수평력의 전달을 보장하고 그 역도 성립하여, 수평력에 대한 제1 랙(100)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도 6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메쉬(511)는 제2 수직 평면(512)에서 연장한다. 제1 상부 면(102) 및 제2 상부 면(202) 역시 제1 평면(512)에 놓인다. 제2 메쉬(511)는 제1 랙(100)의 상부 에지와 제2 랙(200)의 상부 에지를 연결하는 삼각화된 시스템(514)을 구성하도록 볼트된 스틸 앵글 바(513)로 구성된다.
제3 메쉬(521)는 역시 여기서 제3 상부면(302) 및 제4 상부면(402)을 포함하는 제2 수평 평면(512)에서 연장한다. 제3 메쉬(521)는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2 좌측 후방 업라이트(211), 제3 우측 전방 업라이트(312), 및 제4 우측 후방 업라이트(410)를 연결하는 삼각화된 시스템(524)을 구성하도록 볼트된 스틸 앵글 바(523)로 구성된다.
제1 메쉬(501), 제2 메쉬(511), 및 제3 메쉬(521)는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에 속한다.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또한 여기서 제1 좌측 종방향면(103) 및 제2 좌측 종방향면(203)을 포함하는 제4 수직 평면(532)에서 연장하는 제4 메쉬(531)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제4 메쉬(531)는 제1 메쉬(501)와 동일할 수 있다.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또한 여기서 제3 우측 종방향면(304) 및 제4 우측 종방향면(404)을 포함하는 제5 수직 평면(542)에서 연장하는 제5 메쉬(541)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제4 메쉬(531)는 제1 메쉬(501)와 동일할 수 있다.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또한 여기서 제3 좌측 종방향면(303) 및 제4 좌측 종방향면(403)을 포함하는 제6 수직 평면(552)에서 연장하는 제6 메쉬(551)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제6 메쉬(551)는 제1 메쉬(501)와 동일할 수 있다.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또한 여기서 제3 상부면(302) 및 제4 상부면(402)을 포함하는 제6 수평 평면(552)에서 연장하는 제7 메쉬(561)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제7 메쉬(561)는 제3 랙(300)의 상부 에지 및 제4 랙(400)의 상부 에지를 연결한다. 상응하게, 제2 메쉬(511)와, 제3 메쉬(521)와, 또는 제4 메쉬(531)와 유사한 다른 수평 메쉬는 제1 랙(100), 제2 랙(200), 제3 랙(300) 및/또는 제4 랙(400) 가운데 두 개 이상의 랙 사이에 연장할 수 있다.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플로어(2)로부터 거리(Hpas)에서 정지함으로써, 어떠한 컨테이너도 지지하지 않거나 하부 또는 상부 컨테이너 중 하나를 지지할 때, 중심 애비뉴(9)에서 제1 캐리지(70)의 순환 및 제2 캐리지(80)의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캐리지 및/또는 제2 캐리지가 중간 컨테이너를 지지할 때, 유닛(91)은 그들이 중심 애비뉴(9)에서 순환하지 않는 바와 같이 그들을 구동한다.
동작에서, 주문 준비 시스템(90)의 저장 격실 중 하나에 저장된 아이템, 예를 들어, 제1 좌측 전방 하부 컨테이너(151)에 저장된 아이템을 제거하는 것이 추구될 때, 이러한 제거 요청은 유닛(91)에 의해 처리된다. 제1 기어휠(73.1), 제2 기어휠(73.2), 제3 기어휠(73.3), 및 제4 기어휠(73.4) 각각이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 제1 좌측 중간 업라이트(115), 제3 우측 전방 업라이트(312), 및 제3 우측 중간 업라이트(314)를 마주하는 바와 같이, 유닛(91)은 제1 캐리지(70)를 후방 중심 회전 스팬(3)에 가져오도록 그것을 구동한다.
따라서, 구동부(77)는 제1 아암(74.1)의 전개를 구동한다. 도 24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기어휠(73.1)은 실질적으로 제1 전방 체인(170.3)을 마주한다. 제1 아암(74.1)의 전개 동안, 제1 카메라(78.10)는 제1 구동부(77)에 제1 기어휠(73.1)의 상대 위치의 제1 이미지, 및 제1 체인(170.3)의 상대 위치의 제1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이미지의 분석에 기반해서, 구동부(77)는 휠(72.1 내지 72.4)을 제어함으로써 로봇(70)의 상대 위치화 및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113)의 상대 위치화를 조절할 수 있다. 일단 제1 체인(170.3)의 상대 위치화 및 제1 기어휠(73.1)의 상대 위치화가 이루어지면, 제1 체인(170.3)과 제1 기어휠(73.1)의 맞물림까지 구동부(77)는 제1 아암(74.1)의 전개를 제어한다. 상응하게, 구동부(77)는 제2 아암(74.2) 그런 후에 제3 아암(74.3) 및 제4 아암(74.4)을 전개하는 한편, 제1 좌측 중간 체인(170.5), 제3 우측 중간 체인(370.4), 및 제3 우측 전방 체인(370.2)과 각기 맞물리는 제2 기어휠(73.2), 제3 기어휠(73.3), 및 제4 기어휠(73.4)을 가져오도록 제1 캐리지(70)의 위치를 조절한다. 체인(170.3, 170.5, 370.2, 및 370.4 )과 기어휠(73.1 내지 73.4)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캐리지(70)의 움직임은 중심 방향(75)에서 아암(74.1 내지 74.4)의 유연성 및 동시적이거나 연속적인 아암의 전개에 의해 특히 용이해진다.
제1 회전 방향에서의 기어휠(73.1 내지 73.4)의 회전은 제1 캐리지(70)가 제1 한 쌍의 전방 하부 슬라이드(121)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레벨에 위치될 때까지 수직 방향에서 제1 랙(100)에 관련해서 그리고 제3 랙(300)에 관련해서 클라이밍 하는 것을 허용한다. 플레이트(78)는 제1 좌측 전방 컨테이너(151)의 바닥 아래에 연장하도록 전개된다. 기어휠(73.1 내지 73.4)의 추가 회전은 러그(78)가 컨테이너(151)의 바닥의 상응하는 오리피스(151.1)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한다. 그런 후에 유닛(91)은 플로어(2)와 접촉하는 제1 캐리지(70)를 가져오도록 플레이트(78)의 리트렉션 그런 후에 제1 회전 방향에 반대편인 제2 회전 방향에서 기어휠(73.1 내지 73.4)의 회전을 제어한다.
일단 제1 캐리지(70)의 휠(72.1 내지 72.4)이 플로어(2)와 접촉하면, 구동부(77)는 텔레스코픽 아암(74.1 내지 74.4)의 리트랙션을 제어하고 제거 영역(93) 및 램프(94)까지 제1 캐리지(70)를 구동한다. 조작자가 제1 좌측 전방 컨테이너(151)에서 아이템을 제거하고 이러한 제거를 유효화한 후에, 유닛(91)은 제1 전방 하부 저장 격실(140)에서 제1 좌측 전방 컨테이너(151)를 교체하는 바와 같이 제1 캐리지(70)를 제어한다.
제1 캐리지(70) 및 제2 캐리지(80)가 동시에 사용될 때, 제1 캐리지(70) 및 제2 캐리지(80)는 컨테이너에 접근하거나 제거 영역(93)을 결합하도록 하나의 동일한 스팬-여기서 예를 들어, 후방 중심 스팬(3)에서 순환해야만 함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전방 자유 통과 볼륨(190) 및 제1 후방 자유 통과 볼륨(191)의 정렬은 따라서 제1 전방 하부 격실(140) 및 제1 후방 하부 격실(144) 아래로 연장하는 제1 추가 후방 중심 순환 스팬(3')을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1 추가 후방 중심 스팬(3')은 제1 랙(100)의 제1 전방 횡방향면(105)으로부터 제1 랙(100)의 제1 후방 횡방향면(106)으로 제1 캐리지(70)의 순환 및/또는 제2 캐리지(80)의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캐리지(70)의 순환 및/또는 제2 캐리지(80)의 순환이, 이들이 제1 우측 하부 전방 컨테이너(150)와 유사하거나 제1 우측 전방 상부 컨테이너(154)와 유사한 컨테이너를 수송할 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 큰 높이의 제1 우측 전방 중간 컨테이너(152)와 유사한 컨테이너의 수송 동안, 유닛(91)은 따라서 제1 추가 후방 스팬(3')을 사용하지 않는 바와 같이 로딩된 제1 캐리지(70) 또는 제2 캐리지(80)를 제어한다 (도 18).
물론, 제2 랙(200), 제3 랙(300), 및 제4 랙(400) 자체는 역시 다른 추가 순환 스팬을 생성하도록 전방 및 후방 자유 통과 볼륨을 포함한다.
당연히,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야에 도입하는 임의의 변형을 포함한다.
특히,
여기서 제1 랙의 깊이는 5 밀리미터의 간격에 의해 분리된 450 밀리미터의 깊이의 두 개의 컨테이너에 상응하는 950 밀리미터와 동일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깊이에서 하나의 단일한 컨테이너 또는 감소된 간격 또는 더 낮은 간격의 두 개의 분리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950 밀리미터에서 상부 또는 하부 랙의 다른 깊이 값을 적용하고;
여기서 제1 및 제2 기본 거리가 495 밀리미터와 동일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플로어 상에 안착할 때 캐리지 플레이트로부터 플로어를 분리하는 수송 높이가 바람직하게 부가되는 저장 격실의 최저 높이에 상응하는 최소 거리보다 더 큰 다른 기본 거리 값을 적용하며;
여기서 중간 슬라이드로부터 하부 슬라이드를 분리하는 제1 하부 거리가 컨테이너에 대해 5 밀리미터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225 밀리미터와 동일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5 밀리미터보다 더 크거나 작은 간격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하부 제1 거리 값을 적용한다. 동일한 것이 제1 중간 및 상부 거리에 대해 적용하고;
여기서 상부 슬라이드로부터 중간 슬라이드를 분리하는 제1 상부 거리는 325 밀리미터와 동일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랙을 얻도록 다른 상부 제1 거리 값을 적용하고, 모든 저장 격실은 동일한 치수를 갖고;
여기서 제1 랙은 각각이 저장 격실의 칼럼을 포함하는 두 개의 랙 요소를 분리하는 제1 중간 업라이트를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중간 업라이트가 없거나 두 개 이상의 중간 업라이트와 같은 예를 들어, 다른 개수의 중간 업라이트를 포함하는 랙과 같은 다른 랙 구성을 적용하고;
여기서 제1 최소 거리는 하부 거리 - 여기서 225 밀리미터와 동일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제1 최소 거리의 다른 값, 및 예를 들어, 또 다른 격실의 높이와 같이 저장 격실의 높이의 최저에 상응하는 다른 값을 적용하고;
여기서 하나의 동일한 종방향면의 업라이트는 등거리임에도, 본 발명은 또한 다른 거리에 의해 분리된 업라이트를 적용하고;
여기서 랙 요소의 업라이트는 앵커링 봉 상에 볼트된 앵커링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플로어에 부착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앵커링 스틱, 앵커링 플레이트에 용접된 연결부, 하나의 단일 업라이트 상의 하나의 단일 앵커링과 같은 베어링 표면에 랙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적용하고;
여기서 슬라이드는 금속 앵글 바의 형태로 구성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PTFE 또는 합성 소재로 구성된 사각형 또는 원통형 프로파일과 같은 다른 유형의 슬라이드를 적용하고;
여기서 슬라이드가 업라이트에 볼트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스크류잉, 용접 또는 스냅-피팅과 같이 업라이트에 슬라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적용하고;
여기서 제1 랙은 세 개의 저장 격실의 두 개의 칼럼을 규정하도록 두 개의 랙 요소를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다른 개수의 저장 격실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개수의 칼럼을 규정하도록 예를 들어, 하나의 단일 랙 요소 또는 두 개 이상의 랙 요소를 포함하는 랙과 같이 다른 랙 구성을 적용하고;
여기서 적층 방향은 수직임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수직 또는 임의의 다른 방향에 대해 45도에서의 방향과 같이 적층 방향에 대해 다른 배향을 적용하고;
여기서 저장 격실은 두 개의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플레이트, 파렛트 또는 원제품과 같이, 다른 저장 요소를 수용하는 격실을 적용하고;
여기서 제1 전방 통과 섹션은 제1 깊이(p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종방향 면을 연결하는 횡방향으로 제2 치수를 가짐에도, 본 발명은 또한 횡방향으로 제2 치수, 바람직하게 한 쌍의 슬라이드의 길이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방향에서 제2 치수에 대해 다른 값을 적용하고;
여기서 업라이트에는 300개의 링크를 갖는 클라이밍 체인이 제공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투스 벨트, 투스 바, 더블 링크 체인 또는 갈레(Galle)형 체인, 스레드 케이블 또는 트위스트 케이블과 같이 다른 유형의 클라이밍 요소를 적용한다. 클라이밍 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300개의 링크를 갖는 제1 체인 및 150개의 링크를 갖는 제2 체인과 같은 두 개의 다른 유형일 수 있고;
여기서 제1 좌측 전방 업라이트가 관통된 U 형상임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관통되지 않은 IBE, IPN, 또는 HEA를 갖는 사각형 튜브, 원통형 튜브와 같이, 다른 유형의 업라이트를 적용한다.
여기서 하부 안내 장치는 부착 탭에 맞물린 볼트에 의해 업라이트 상에 볼트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스크류잉, 용접, 또는 스냅-피팅과 같이 업라이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공되는 안내 장치를 적용한다.
여기서 하부 안내 장치는 체인의 하부 단부 및 연결 핀을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체인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갖지 않는 하부 안내 장치, 어떠한 안내 수단도 갖지 않는 하부 체인 커넥터, 및 예를 들어, 링크에 맞물린 후크 또는 스크류와 같이, 체인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수단이 제공되는 안내 장치를 적용한다.
여기서 상부 커넥터가 업라이트 상에 볼트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스크류잉, 용접, 글루잉 또는 스냅-피팅과 같이 업라이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공되는 상부 커넥터를 적용하고;
업라이트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는 하나가 다른 하나 뒤에 기재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특정 단계가 동시에 또는 다른 순서로 수행되는 방법을 적용하고;
여기서 점퍼는 지지 프로파일을 수용하도록 업라이트에 연결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튜블러 지지부, 진동 흡수 지지부, 또는 역시 임의의 지지부와 같이 체인 지지 프로파일의 다른 유형의 지지부를 적용하고;
여기서 제1 프로파일은 U 형상임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C-형상 프로파일과 같이 다른 유형의 체인 지지 프로파일을 적용하며;
여기서 니트릴 랜드는 체인과 지지 프로파일 사이에 위치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네오프렌, 발포성 EPDM 랜드, 또는 복수의 엘라스토머 패드와 같이 다른 유형의 댐퍼 요소를 적용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U 형상 또는 다른 것과 같이, 다른 횡단면이 댐퍼 요소에 대해 가능하며;
여기서 거리(L46)가 22 밀리미터와 동일한 값으로 조절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22 밀리미터보다 크거나 그보다 작은 것과 같이 제2 클라이밍 요소의 제2 상부 단부의 제2 상부 커넥터를 분리하는 제4 거리의 다른 제3 미리결정된 값을 적용하고;
여기서 거리(L170.3)는 2500 밀리미터와 동일한 값으로 조절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제1 체인의 제1 하부 단부와 제1 상부 단부를 분리하는 제1 미리결정된 거리에 대해 다른 값을 적용하며;
여기서 업라이트는 수직 클라이밍 방향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위치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수직 또는 임의의 다른 방향에 대해 45도에서의 클라이밍 방향(d)과 같이 다른 배향의 클라이밍 방향을 적용하고, 따라서 제1 및 제2 커넥터의 조절 평면은 클라이밍 방향에 대해 직교일 필요가 있고;
여기서 하부 안내 장치는 러그를 포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어떠한 클라이밍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도 갖지 않거나, 예를 들어, 랜드 또는 니플과 같이 또 다른 유형의 프로파일 연결부를 갖지 않는 하부 안내 장치를 적용한다.
여기서 제1 캐리지는 구동 휠을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트랙, 에어 쿠션, 예선로에서 맞물림을 위한 후크와 같이, 플로어 상의 캐리지를 이동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적용한다.
여기서 제1 캐리지는 기어휠을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캐리지가 예를 들어, 자기 트랙 또는 웜 스크류와 같은, 이들 업라이트를 따라 상승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업라이트와 맞물릴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동력이 달린 클라이밍 수단을 적용하고;
여기서 제1 메쉬는 제1 우측 종방향면과 제2 우측 종방향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서 연장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종방향면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그 둘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1 메쉬와 같이 제1 수평 브레이싱 구조 요소의 다른 설치를 적용하고, 메쉬는 수직 평면에 대해 임의의 배향을 갖는 평면에서 연장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메쉬는 제1 상부면과 제2 상부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에서 연장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상부면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그 둘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메쉬와 같이 제2 수평 브레이싱 구조 요소의 다른 설치를 적용하고, 메쉬는 수평 평면에 대해 임의의 배향을 갖는 평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메쉬는 제2 수평 평면에서 연장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랙의 상면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3 메쉬와 같이 제3 수평 브레이싱 구조 요소의 다른 설치를 적용하고, 메쉬는 수평 평면에 대해 임의의 배향을 갖는 평면에서 연장할 수 있고,
여기서 메쉬는 삼각화된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볼트된 스틸 앵글 바로 구성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볼트되거나 용접된, 튜브-형상 메쉬와 같이 다른 유형의 브레이싱을 적용하고, 메쉬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른 철 소재 또는 심지어 합성이 아닌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메쉬는 강성 벽,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평면은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러그를 포함함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러그, 후크 또는 자석과 같이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적용하고;
여기서 제1 메쉬는 제1 체인의 텐셔닝 후에 장착됨에도, 제1 메쉬의 실행은 바람직하게 제1 체인의 텐셔닝 전에 이루어지고;
여기서 체인과 관련한 로봇의 위치화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뤄짐에도,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초음파, 적외선, 라이다 또는 레이더 센서와 같이, 위치화 작동을 보조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센서를 적용한다.

Claims (8)

  1.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1 저장 랙(100) 및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2 저장 랙(200)을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로서,
    제1 랙(100)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1 하부면(101), 제1 하부면(101)에 대해 평행한 제1 상부면(102), 제1 우측 종방향면(104), 및 제1 전방 횡방향면(105)과 제1 후방 횡방향면(106)을 연결하는 제1 좌측 종방향면(10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랙은, 제1 하부면(101)과 제1 상부면(10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중첩되는 복수의 제1 저장 격실들(140-146)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저장 격실들(140-146)은 제1 좌측 종방향면(103)으로부터 그리고 제1 우측 종방향면(104)으로부터 접근가능하며, 제1 저장 격실들(140-146)은 상기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1 최소 거리로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 랙(200)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2 하부면(201), 제2 하부면(201)에 대해 평행한 제2 상부면(202), 제2 우측 종방향면(204), 및 제2 전방 횡방향면(205)과 제2 후방 횡방향면(206)을 연결하는 제2 좌측 종방향면(20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랙은, 제2 하부면(201)과 제2 상부면(20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적층 방향을 따라서 중첩되는 복수의 제2 저장 격실들(240-246)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저장 격실들은 제2 좌측 종방향면(203)으로부터 그리고 제2 우측 종방향면(204)으로부터 접근가능하며, 제2 저장 격실들(240-246)은 상기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2 최소 거리로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제1 전방 횡방향면(106)과 제2 후방 횡방향면(205)은 제로가 아닌 거리로 분리되면서 서로를 대면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제1 우측 종방향면(104) 또는 제1 좌측 종방향면(103), 및/또는 제2 우측 종방향면(204) 또는 제2 좌측 종방향면(203)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1 브레이싱 요소(501)를 포함하며,
    제1 브레이싱 요소(501)는, 제1 상부면(102) 및/또는 제2 상부 면(202)으로부터, 상기 제1 하부면 및/또는 제2 하부면에서부터 미리 결정된 제1 거리로 연장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거리는 제1 최소 거리 또는 제2 최소 거리의 1 내지 2 배이며,
    상기 제1 브레이싱 요소(501)는 제1 메쉬를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저장 격실들 중 각각의 제1 격실(140-146)은 제1 우측 종방향면(104)과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행 슬라이드들(121-126)의 제1 쌍을 포함하고, 상기 평행 슬라이드들(121-126)의 제1 쌍은 제1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1 최소 거리만큼 분리되는, 저장 조립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저장 격실들 중 각각의 제2 격실(240-246)은 제2 우측 종방향면(204)과 제2 좌측 종방향면(203)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행 슬라이드들(221-226)의 쌍을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
  4.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제1 상부면(102) 및/또는 제2 상부면(202)을 포함하는 제2 평면(512)에서 연장되는 제2 브레이싱 요소(511)를 더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레이싱 요소(511)는 제2 메쉬를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
  6.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3 저장 랙(300) 및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제4 저장 랙(400)을 더 포함하고,
    제3 랙(300)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3 하부면(301), 제3 하부면(301)에 대해 평행한 제3 상부면(302), 제3 우측 종방향면(304), 및 제3 전방 횡방향면(305)과 제3 후방 횡방향면(306)을 연결하는 제3 좌측 종방향면(303)을 포함하고, 제3 우측 종방향면(304)과 제3 좌측 종방향면(303) 중 하나는 제1 우측 종방향면(104) 또는 제1 좌측 종방향면(103) 중 하나를 대면하며,
    제4 랙(400)은, 지지 표면 상에 지탱되도록 의도된 제4 하부면(401), 제4 하부면(401)에 대해 평행한 제4 상부면(402), 제4 우측 종방향면(404), 및 제4 전방 횡방향면(405)과 제4 후방 횡방향면(406)을 연결하는 제4 좌측 종방향면(403)을 포함하고, 제4 우측 종방향면(404)과 제4 좌측 종방향면(403) 중 하나는 제2 우측 종방향면(204) 또는 제2 좌측 종방향면(203) 중 하나를 대면하며,
    상기 수평 브레이싱 구조(500)는, 제1 상부면(102) 및/또는 제2 상부면(202) 및/또는 제3 상부면(302) 및/또는 제4 상부면(402)을 포함하는 제3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3 브레이싱 요소(52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레이싱 요소(521)는 제1 랙(100), 제2 랙(200), 제3 랙(300), 및 제4 랙(400)을 연결하는, 저장 조립체(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브레이싱 요소(521)는 제3 메쉬를 포함하는, 저장 조립체(1).
  8.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따른 저장 조립체(1)를 포함하는 주문 준비 시스템으로서,
    물품(parcel)의 취급을 위한 트레이(78)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식 안내 캐리지(70, 80)를 포함하는, 주문 준비 시스템.
KR1020227021789A 2019-11-26 2020-11-16 개선된 용량을 가진 저장 랙 KR20220103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3251A FR3103367B1 (fr) 2019-11-26 2019-11-26 Rack de stockage à capacité améliorée
FRFR1913251 2019-11-26
PCT/EP2020/082293 WO2021104921A1 (fr) 2019-11-26 2020-11-16 Rack de stockage a capacite amelior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793A true KR20220103793A (ko) 2022-07-22

Family

ID=6974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789A KR20220103793A (ko) 2019-11-26 2020-11-16 개선된 용량을 가진 저장 랙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88775A1 (ko)
EP (1) EP4065493A1 (ko)
JP (1) JP7446470B2 (ko)
KR (1) KR20220103793A (ko)
CN (1) CN114761335A (ko)
CA (1) CA3160957A1 (ko)
FR (1) FR3103367B1 (ko)
WO (1) WO20211049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1718A1 (de) * 1995-01-20 1996-07-25 Haenel & Co Regal
US20020146305A1 (en) * 2001-03-27 2002-10-10 Gerhard Haag Automated parking tower
US6923612B2 (en) * 2002-03-29 2005-08-02 TGW Transportgeräte GmbH & Co. KG Load-handling system and telescopic arm therefor
ITTO20020825A1 (it) * 2002-09-20 2004-03-21 Bertello Spa Cassetto per un magazzino automatizzato verticale e magazzino comprendente tale cassetto.
AT503473B1 (de) * 2006-02-16 2013-07-15 Salomon Automation Gmbh Automatisiertes system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kommissionieren oder konsolidieren von artikeln
US20160016731A1 (en) * 2014-07-16 2016-01-21 Sergey N. Razumov Loading desired container sequence onto board of container carriage in storage system
NL2013200B1 (nl) * 2014-07-16 2016-07-14 Vanderlande Ind Bv Systeem voor het opslaan van producthouders.
US20180108891A1 (en) * 2016-10-14 2018-04-19 Inevit, Inc. Battery module compartment and battery module arrangement of an energy storage system
MX2019010117A (es) 2017-02-24 2019-12-19 Opex Corp Sistemas y metodos automatizados de almacenamiento y recuperacion.
CN207604706U (zh) * 2017-07-07 2018-07-13 成都百胜家具材料有限公司 货物托架及组合式货架
CN107933279B (zh) * 2017-12-18 2023-06-27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电动卡车动力电池框架
CN209064808U (zh) * 2018-09-30 2019-07-05 重庆第二机床厂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仓储控制系统
CN209038359U (zh) * 2018-10-19 2019-06-28 鑫兰食品武汉有限公司 一种储货架
CN209009377U (zh) * 2018-10-23 2019-06-21 会稽山绍兴酒股份有限公司 一种仓储搬运设备
CN109573427B (zh) * 2018-11-12 2021-04-02 合肥徽策信息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化保管设备
CN209506754U (zh) * 2018-12-24 2019-10-18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多工位环形智能仓库
CN110143393B (zh) * 2019-06-17 2024-02-06 隆链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四向穿梭车的立体仓库拣选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6470B2 (ja) 2024-03-08
CA3160957A1 (fr) 2021-06-03
WO2021104921A1 (fr) 2021-06-03
CN114761335A (zh) 2022-07-15
EP4065493A1 (fr) 2022-10-05
FR3103367A1 (fr) 2021-05-28
US20220388775A1 (en) 2022-12-08
JP2023504586A (ja) 2023-02-03
FR3103367B1 (fr)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48379B4 (de) Lagerregal mit einer Vielzahl von Regaleinheiten
US9902573B2 (en) Compact depalletizer including a skeleton and a subassembly
CA2088723C (en) Reciprocating floor conveyor
US3685665A (en) Knockdown storage frame and components
US20150060632A1 (en) Portable Lifting Rig
US4759676A (en) Wheeled vehicle conveying system
DE202005017269U1 (de) Lagerregal mit einer Vielzahl von Regaleinheiten
KR20220101185A (ko) 클라이밍 루트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DE1482910B2 (de) Ballen-Ladewagen
KR20220103793A (ko) 개선된 용량을 가진 저장 랙
WO2018224184A1 (de) Modulares lager-regalsystem sowie lastaufnahmefahrzeug
US11999564B2 (en) Method for securing a climbing route
CN112520285A (zh) 仓储系统
DE10257109B3 (de) Regalbediengerät
CN214454084U (zh) 货物暂存装置
CN209957321U (zh) 集装箱装箱系统
CN208616418U (zh) 一种便于安装的叉车用运货架
CN108891729A (zh) 一种便于安装的叉车用运货架
CN110282328A (zh) 一种物料移载车及其系统、及控制方法
CN211643466U (zh) 一种可转向调节的货架
DE4300621C2 (de) Lager- bzw. Speicheranordnung
CN211336868U (zh) 一种具有固定装置的托盘
SU1479338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панелей в вертикальном положении
EP3235682B1 (de) Mobiles ladesystem
SU1324910A1 (ru) Рама полуприцеп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