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44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449A
KR20220103449A KR1020210006065A KR20210006065A KR20220103449A KR 20220103449 A KR20220103449 A KR 20220103449A KR 1020210006065 A KR1020210006065 A KR 1020210006065A KR 20210006065 A KR20210006065 A KR 20210006065A KR 20220103449 A KR20220103449 A KR 2022010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refrigerator
recessed
cover pa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281B1 (ko
Inventor
장선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2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2Removal, transportation or shipping of refrigerating devices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운반용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 부근에 발생할 수 있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저면에는 냉장고의 이동 및 설치 시 냉장고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운반용 손잡이가 설치되는데, 이에 따른 종래의 냉장고 운반용 손잡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문헌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09512호(공개일 1999년07월13일)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케이스와, 상기 인너케이스와 소정의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는 프론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의 저면에 소정의 깊이로 판금 가공하여 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홈부를 손잡이로 사용하는 사상이 개시된다.
다만, 이러한 선행문헌과 같은 구조의 운반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운반용 손잡이 부근의 단열층의 두께가 감소되며, 상기 운반용 손잡이에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즉, 단열층의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운반용 손잡이의 함몰 깊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반용 손잡이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운반 과정에서 미끌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운반용 손잡이의 내부에 단열 부재를 구비하여, 운반용 손잡이 부근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에 상기 단열 부재가 수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 함몰 공간의 크기가 적절히 확보될 수 있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마련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파지를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저면까지의 수직거리가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와 지면의 간섭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운반용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 힌지에 의해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일단은, 상기 힌지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몰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몰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몰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제 2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고를 운반시키기 위한 바퀴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의 저면까지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는, 상기 냉장고를 안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 1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일 측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 2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함몰부가 상기 커버부에 의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상기 함몰부가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함몰부의 내측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의 타단의 일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단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운반용 손잡이의 내부에 단열 부재를 구비하여, 운반용 손잡이 부근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에 상기 단열 부재가 수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 함몰 공간의 크기가 적절히 확보될 수 있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마련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운반용 손잡이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파지를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저면까지의 수직거리가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와 지면의 간섭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운반용 손잡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a)와, 상기 아웃 케이스(10a) 내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0a)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재가 채워지게 되어 상기 저장 공간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하나의 독립적인 저장공간을 포함하거나 구분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복수의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저장실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저장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상측의 제1 저장실을 제1 저장실 도어(21, 22)가 개폐하고, 하측의 제2 저장실을 제2 저장실 도어(23, 24)가 개폐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저장실을 하나의 도어 또는 복수의 도어가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저장실을 개폐하는 한 쌍의 제1 저장실 도어(21, 22)와,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저장실을 개폐하는 한 쌍의 제2 저장실 도어(23, 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저장실 도어(21, 22) 및 제2 저장실 도어(23, 24)를 프렌치(french) 타입 도어라 부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에는, 상기 냉장고(1)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11)는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고(1)를 운반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부(11)는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11)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1)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부(11)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11)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H)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10)의 저면에는, 상기 냉장고(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는, 지면의 불균일 또는 음식물의 편중 보관에 따른 하중의 편차를 보상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0)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냉장고(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0) 저면의 전방부 양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의 불균일 및 음식물의 편중 보관에 따른 하중의 편차를 보상하여 본체(10)의 무게를 분산시키고 수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12)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H)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11)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12)의 저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H)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에는, 냉장고(1)의 이동 및 설치 시 냉장고(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용 손잡이(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운반의 편리함을 위해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상기 아웃 케이스(10a)의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상기 아웃 케이스(10a)의 저면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를 형성하는 브라켓이 상기 홀에 삽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상기 캐비닛(10)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운반용 손잡이(10) 부근의 상기 아웃 케이스(10a) 및 상기 이너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 공간이 축소되어, 단열 효과가 저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단열 효과가 저감될 경우,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에 결로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즉,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의 함몰 깊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운반 과정에서 미끌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손잡이(100)는, 상기 함몰부(130)를 개폐하는 커버부(140) 및 상기 함몰부(130)에 수용되는 단열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운반용 손잡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부에서 일측을 향해 더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에 손을 넣어 상기 냉장고(1)를 운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130)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 1 함몰부(110) 및 상기 제 1 함몰부(1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일 측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 2 함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10) 및 상기 제 2 함몰부(120)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함몰부(130)에 손을 넣어 상기 냉장고(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는, 상기 함몰부(130)를 개폐하는 커버부(140) 및 상기 함몰부(130)에 수용되는 단열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함몰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함몰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140)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에 힌지(145)에 의해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130)를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140)의 일단이 상기 힌지(145)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145)의 축이 상기 커버부(140)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40)의 일단은, 상기 힌지(145)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140)의 타단은, 상기 힌지(145)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함몰부(130)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140)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함몰부(130)를 차폐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함몰부(13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제 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부(140)의 타단은, 상기 힌지(145)의 축을 기준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11)의 저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함몰부(13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40)의 타단 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11)의 저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11)의 저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H)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H)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도, 지면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부(140)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 리브(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리브(15)는, 상기 함몰부(130)의 내측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함몰부(13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 리브(15)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140)가 상기 함몰부(130)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돌출 리브(15)를 지나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 리브(15)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40)의 타단의 일부는, 상기 돌출 리브(15)로부터 상기 커버부(14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140)의 일단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140)의 타단 중 함몰된 부분에 손을 넣어 상기 돌출 리브(15)로부터 상기 커버부(14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50)는, 상기 함몰부(130)에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열부재(150)는, 상기 함몰부(130)가 상기 커버부(140)에 의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13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50)는, 상기 함몰부(13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함몰부(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50)가 상기 함몰부(130)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운반용 손잡이(100) 형성으로 인한 단열 공간 감소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140)를 통해, 상기 함몰부(130)를 차폐하고, 상기 함몰부(130)에 상기 단열부재(150)를 수용하여, 상기 함몰부(130)에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함몰부(130)의 함몰 깊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140)의 개방으로, 상기 함몰부(130)로부터 상기 단열부재(150)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함몰부(130)에 손을 넣고 상기 냉장고(1)를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개방된 상기 커버부(140)를 통해 상기 함몰부(13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14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140)를 상기 함몰부(130) 파지를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 냉장고
10: 캐비닛
11: 바퀴부
12: 지지부
100: 운반용 손잡이
130: 함몰부
140: 커버부

Claims (10)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운반용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 힌지에 의해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단은, 상기 힌지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몰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냉장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몰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몰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제 2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를 회전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고를 운반시키기 위한 바퀴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의 저면까지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는 냉장고.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는, 상기 냉장고를 안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바퀴부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냉장고.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 1 함몰부; 및
    상기 제 1 함몰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일 측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 2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함몰부가 상기 커버부에 의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상기 함몰부가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고.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함몰부의 내측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타단의 일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단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210006065A 2021-01-15 2021-01-15 냉장고 KR10245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065A KR102457281B1 (ko) 2021-01-15 2021-01-1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065A KR102457281B1 (ko) 2021-01-15 2021-01-1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49A true KR20220103449A (ko) 2022-07-22
KR102457281B1 KR102457281B1 (ko) 2022-10-20

Family

ID=8260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065A KR102457281B1 (ko) 2021-01-15 2021-01-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2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065U (ko) * 1997-12-29 1999-07-26 윤종용 냉장고
KR100611317B1 (ko) * 2004-08-28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2686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065U (ko) * 1997-12-29 1999-07-26 윤종용 냉장고
KR100611317B1 (ko) * 2004-08-28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72686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281B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123B1 (ko) 냉장고
KR20070076980A (ko) 냉장고
KR102457281B1 (ko) 냉장고
KR100395931B1 (ko) 손잡이를 구비한 김치용기
US20190316834A1 (en) Adjustable, two-position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a work surface
US7798580B2 (en) Mobile computer security cart
JP2003279243A (ja) 冷蔵庫
JP2001091152A (ja) 引き出し型冷蔵庫
WO2015079603A1 (ja) 冷蔵庫
JP4881649B2 (ja) 扉の支持構造
US9821720B1 (en) Slideout truck box cover and shelving assembly
KR200441767Y1 (ko) 미닫이 장롱
JP2014031182A (ja) 箱型容器
JPS6027350Y2 (ja) 冷蔵庫
WO2020105178A1 (ja) 冷蔵庫
JPS589170Y2 (ja) 扉棚装置
KR20190104109A (ko) 냉장고
KR100300637B1 (ko) 냉장고
KR200183398Y1 (ko) 저장용기
JP2023093831A (ja) 冷蔵庫
JP3944533B2 (ja) 冷蔵庫
KR102111717B1 (ko) 냉장고
JPS589169Y2 (ja) 扉棚装置
WO2024041798A1 (en) A cooling device having a handle groove
KR200349032Y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