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986A -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 Google Patents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986A
KR20220101986A KR1020210004138A KR20210004138A KR20220101986A KR 20220101986 A KR20220101986 A KR 20220101986A KR 1020210004138 A KR1020210004138 A KR 1020210004138A KR 20210004138 A KR20210004138 A KR 20210004138A KR 20220101986 A KR20220101986 A KR 20220101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inlet
mold part
intermediate mold
rea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778B1 (ko
Inventor
정예린
Original Assignee
정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예린 filed Critical 정예린
Priority to KR102021000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1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8Slip c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부 제작틀을 이용하여 내측에 나사산부가 구비된 기성부품에 결합되기 위한 도자기 입구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부금형부, 중간금형부 및 베이스금형부를 포함하여 복수개 층으로 이루어진 석고재의 입구부 제작틀의 수용공간으로 흙물(slip)을 유입시키는 흙물 유입단계; 기 설정된 시간동안 건조하여 입구부 제작틀에 직접 닿는 부분의 수분이 입구부 제작틀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중간금형부를 차례로 제거한 후 상기 건조단계에 의하여 생기는 측벽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전 단계 입구부 내부의 미건조 흙물(slip)을 제거하고 바닥벽을 제거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celain inlet that can be combined with a ready-made product and a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자기와 기존에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기성품을 결합하여 하나의 작품 또는 상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성품과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제작하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점토를 빚어 제작된 기물을 소성 하여 도자기가 완성되는데, 완성된 도자기는 처음 제작된 기물의 크기에 비해 흙이 가지는 고유의 수축률에 따라 그 부피와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성부품과 잘 결합되는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연결부분을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성품과의 연결부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작틀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정을 거치는 기술이 존재하긴 하나 흙물(slip)을 부어서 비교적 쉽게 만드는 것이 아닌, 점토를 직접 투입하여 손으로 성형을 해야 하는 등 성과에 비해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과다한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연결부분(입구부)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한국특허 제10-1695759호(공개일자: 2017.1.13., 발명의 명칭: 이중구조 도자기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이중구조 도자기 제작방법)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자기 입구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입구부 제작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구부 제작틀을 이용하여 내측에 나사산부가 구비된 기성부품에 결합되기 위한 도자기 입구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부금형부, 중간금형부 및 베이스금형부를 포함하여 복수개 층으로 이루어진 석고재의 입구부 제작틀의 수용공간으로 흙물(slip)을 유입시키는 흙물 유입단계; 기 설정된 시간동안 건조하여 입구부 제작틀에 직접 닿는 부분의 수분이 입구부 제작틀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중간금형부를 차례로 제거한 후 상기 건조단계에 의하여 생기는 측벽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전 단계 입구부 내부의 미건조 흙물(slip)을 제거하고 바닥벽을 제거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은 정확한 크기와 균일도를 갖는 입구부를 제작할 수 있어 그 품질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은 흙물(slip)을 부어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제작이 간소하며 제작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입구부에 결합되는 기성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입구부가 본체 기물과 별도의 제작물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을 이용하여 입구부를 제작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에 의하여 제작된 도자기 입구부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의 상부금형부의 상,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의 중간금형부의 상, 하부 및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의 베이스금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 입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입구부에 결합되는 기성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입구부가 본체 기물과 별도의 제작물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입구부(10)는 기성부품(1)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은 일예로서, 도자기재로 구성된 향수병에 관한 것이며 향수를 분무할 수 있는 분무구조(1)가 도자기재 향수병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자기는 점토로 제작된 기물이 건조와 소성과정을 거치며 수분 증발 등의 이유로 그 크기와 부피가 수축하게 되므로, 분무구조(1)의 크기에 딱 맞게 기물을 제조하면 소성과정을 거친 최종 기물은 분무구조(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결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0)를 최종 기물이 기성부품(1)에 적절히 결합이 되도록 별도의 틀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하고, 그 후 별도 제작된 입구부(10)를 본체기물(20)에 결합시킨 후 건조 및 소성과정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기성부품(1)을 입구부(10)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입구부(1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입구부를 제조하기 위한 제작틀 및 제작틀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을 이용하여 입구부를 제작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에 의하여 제작된 도자기 입구부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100)은 상부금형부(200), 중간금형부(300) 및 베이스금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구부 제작틀(100)을 이용하여 입구부(10)를 제조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입구부(10)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흙물 유입단계, 건조단계 및 마무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흙물 유입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물(slip, W)을 상부금형부, 중간금형부 및 베이스금형부를 포함하여 복수개 층으로 이루어진 석고재의 입구부 제작틀(100)의 수용공간으로 흙물(slip)을 유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단계는 흙물울 유입시키고 나서 약 4분에서 6분정도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건조시켜 입구부 제작틀(100)에 직접 닿는 부분의 수분이 입구부 제작틀(100)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석고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흙물이 밀접하게 닿는 부분은 수분이 제작틀(100)로 흡수되어 해당부분(외주면과 바닥면)은 두께 약 3.5mm 내지 4.5mm 내외의 건조된 측벽과 바닥벽이 발생될 수 있다.
마무리단계는 상부금형부(200)와 중간금형부(300)를 차례로 해체 제거한 후 건조단계에 의하여 생기는 측벽(a)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전 단계 입구부' 내부에 존재하는 아직 건조되지 않은 미건조 흙물(b)을 흘려 보내 제거하고, 15분 내지 25분의 2차 건조과정을 거친 후 상단에 개방된 구멍과 대응되는 크기로 펀칭 과정을 통해 바닥벽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건조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바닥벽 펀칭 제거 시 측벽 형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정 수준의 견고함이 필요하고, 본체 기물(20)과 동등한 정도의 건조 정도가 되어 양자가 서로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쳐 도 7에 도시된 입구부가 제작될 수 있다.
이 후 마무리단계를 거친 입구부는 비슷한 정도로 건조된 본체 기물에 접합되는 접합단계와 접합 후 전체 기물이 건조 및 소성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소성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부금형부(200)는 흙물이 중간금형부(300)의 흙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그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유입홀(210)을 포함하고, 유입홀(210)의 하단 직경은 흙물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금형부(200)는 상부금형부의 하단 직경이 도자기 입구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흙물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흙물의 상단이 직접 접촉되어 해당부분의 수분 제거를 조력하도록 구성되는 상단접촉가이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단면도를 기준으로 보면 상단접촉가이드부(211)는 흙물 수용공간의 상단에서 흙물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흙물 수용공간에 유입된 흙물은 중간금형부(300)의 내주면과 베이스금형부(400)의 상면 및 상부금형부(200)의 상단접촉가이드부(211) 총 세 면에 의해 둘러쌓여 직접 접촉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수분이 제거되어 원활한 건조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금형부(200)의 유입홀(210)의 상단 직경은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포물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흙물(W)의 원활한 유입을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의 상부금형부의 상,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의 중간금형부의 상, 하부 및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의 베이스금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부금형부(200) 및 중간금형부(300) 베이스금형부(4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금형부(200)는 제작틀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금형부(200)는 그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하기 중간금형부(300)의 거치홈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부(220 내지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거치부(220)는 가장자리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며, 그 단면형상은 두 개의 호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며 이 두 호의 각 양단을 잇는 두 직선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거치부(230)는 제1거치부(220)와 반대편에 떨어져 대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부금형부(200)가 중간금형부(300)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서로 대면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제2거치부(230)의 그 폭(호의 길이)과 두께(직선의 길이)는 제1거치부(220)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거치부(230)와 제1거치부(220)는 중앙을 기준으로 120°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거치부(240)는 반 구 형태로 상부금형부(200)의 하부에서 볼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중간금형부(300)의 제3거치홈(340)에 대응 결합될 수 있다.
중간금형부(300)는 2개의 분할 가능한 제1중간금형부(300A)와 제2중간금형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금형부(300A)와 제2중간금형부(300B)는 입구부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흙물 수용공간을 중앙에 두고 이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중간금형부(300A)와 제2중간금형부(300B)는 각각 반원형이되 직선 모서리부분의 중앙에 반원의 홀이 형성된 형상이며 이 둘이 대면하도록 합쳐지면 중앙 반원의 두 홀이 흙물 수용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으로 구성된 이유는 입구부 제조 시 건조단계 후 어느정도 건조된 입구부에 영향(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등)을 주지 않고 중간금형부(300)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중간금형부(300)는 상부금형부(200)의 제1 내지 제3 거치부(220 내지 240)에 대응되도록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홈(320 내지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금형부(300A)에 제1거치홈(320)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면하는 제2중간금형부(300B)에 제2거치홈(3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옆에 반구 형태로 내측 함몰 형성되는 제3거치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금형부(300)는 하부에 후술하는 베이스금형부(400)의 제4 및 제5거치부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4거치홈(350) 및 제5거치홈(36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금형부(300)의 상하부에 거치홈이 형성되는 이유는, 이가 입구부 형상 제조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므로 상부금형부(200)와 베이스금형부(400)가 그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거치부들을 통해 이를 지지하여 피치못할 외력이 가해져도 위치이동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중간금형부(300A)는 제2중간금형부(300B)와 대면하는 위치에 흙물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300A-1)와 제2돌출부(300A-2)를 포함하고, 제2중간금형부는 제1돌출부(300A-1)와 제2돌출부(300A-2)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수용홈(300B-1, 3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금형부(300A)와 제2중간금형부(300B)는 흙물 수용공간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금형부(400) 제4 내지 제5 거치홈(350, 360)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4 및 제5 거치부(450 및 4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금형부(400)는 중간금형부(3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입구부 제조 시 최하단에서 지지해주는 베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흙물의 하단을 지지하여 바닥벽 형성을 유도하는 하단접촉가이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접촉가이드부(410)는 베이스금형부(400)의 상단 평활면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바닥벽의 두께나 형상을 조절하기 위하여 흙물 수용공간의 크기(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상단에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형 입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틀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입구부 제작틀 제조방법은 도자기 입구부의 모형인 모형 입구부를 제조하는 모형 제조단계(S100), 모형 입구부에 대응되도록 모형 입구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석고재의 중간금형부를 제조하는 중간금형부 제조단계(S200), 모형 입구부의 바닥을 지지하며 상기 중간금형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베이스금형부를 제조하는 베이스금형부 제조단계(S300) 및 모형 입구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슬립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금형부와 결합되는 상부금형부를 제조하는 상부금형부 제조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형 제조단계(S100)는 석고재의 모형 입구부(50)를 제조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모형 입구부는 흙의 수축률을 고려하여 기성품에 결합될 실제 도자기 입구부에 비하여 크게 제작될 수 있다. 모형 입구부의 크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기성부품(1)에 알맞게 들어갈 실제 도자기 입구부의 크기(a)를 결정하고, 흙의 수축률을 대략 18%정도로 17.5% 내지 18.5%의 범위를 고려하여 모형 입구부의 크기(A)를 결정한다. 즉, A*(1-0.18) = a 인 것이다. 여기서 a는 기성부품(1)의 수치의 허용공차(ex. 0.1mm내외)를 고려하여 정확한 값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니, 이를 기초로 역산하면 모형 입구부의 크기(A)가 결정될 수 있다. 대략 A=a/0.82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산출된 값을 기초로 모형 입구부(50)를 제작할 수 있다. 모형 입구부(50)는 말 그대로 모형으로 그 외관 둘레 크기만 고려하면 되는 것이므로 중앙에 구멍이 뚫리게 제작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중간금형부 제조단계(S200)는 제작된 모형 입구부(50)를 사이에 두고 이를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거쳐 중간금형부(300)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모형 입구부(50)를 기초로 그 중앙에 형성될 흙물 수용공간의 크기와 형상이 정해질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하여 이 후 위에서 언급한 두 개의 분할된 구성요소(제1 및 제2중간금형부)를 제작하는 과정 및 상하부에 형성되는 거치홈을 제작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금형부 제조단계(S300)는 이 후 모형 입구부(50)의 바닥을 지지하며 중간금형부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베이스금형부(400)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금형부 제조단계(S400)는 모형 입구부(50)의 상단을 지지하며 흙물(슬립, slip)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그 하부에 중간금형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금형부(200)를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작틀이 제조될 수 있고, 제작된 제작틀을 활용하여 기성부품(1)에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입구부(10)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입구부
50: 모형 입구부
100: 제작틀
200: 상부금형부
300: 중간금형부
400: 베이스금형부

Claims (10)

  1. 입구부 제작틀을 이용하여 내측에 나사산부가 구비된 기성부품에 결합되기 위한 도자기 입구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부금형부, 중간금형부 및 베이스금형부를 포함하여 복수개 층으로 이루어진 석고재의 입구부 제작틀의 수용공간으로 흙물(slip)을 유입시키는 흙물 유입단계;
    기 설정된 시간동안 건조하여 입구부 제작틀에 직접 닿는 부분의 수분이 입구부 제작틀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중간금형부를 차례로 제거한 후 상기 건조단계에 의하여 생기는 측벽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전 단계 입구부 내부의 미건조 흙물(slip)을 제거하고 바닥벽을 제거하는 마무리단계
    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금형부는,
    2개의 분할 가능한 제1중간금형부와 제2중간금형부를 포함하며 입구부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흙물 수용공간을 중앙에 두고 상기 제1중간금형부와 제2중간금형부가 이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는,
    흙물이 상기 중간금형부의 흙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그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의 하단 직경은 상기 흙물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단 직경은 상기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 증가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의 하단 직경이 도자기 입구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흙물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흙물의 상단이 직접 접촉되어 해당부분의 수분 제거를 조력하도록 구성되는 상단접촉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포물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금형부는,
    상기 중간금형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흙물의 하단을 지지하여 바닥벽 형성을 유도하는 하단접촉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는 그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하기 중간금형부의 거치홈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금형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의 제1 내지 제3 거치부에 대응되도록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홈을 포함하며, 하기 베이스금형부의 거치부에 대응결합 되도록 하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및 제5 거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금형부는 상기 제4 내지 제5 거치홈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4 및 제5 거치부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금형부는 상기 흙물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중간금형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에 대응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흙물 수용공간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형성부
    을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물 수용공간은 사용되는 흙의 수축률을 고려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입구부의 직경 대비 17.5% 내지 18.5% 크게 형성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10. 도자기 입구부의 모형인 모형 입구부를 제조하는 모형 제조단계;
    상기 모형 입구부에 대응되도록 모형 입구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석고재의 중간금형부를 제조하는 중간금형부 제조단계;
    상기 모형 입구부의 바닥을 지지하며 상기 중간금형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베이스금형부를 제조하는 베이스금형부 제조단계; 및
    상기 모형 입구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슬립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금형부와 결합되는 상부금형부를 제조하는 상부금형부 제조단계
    를 포함하는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작틀 제조방법.
KR1020210004138A 2021-01-12 2021-01-12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KR10253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138A KR102533778B1 (ko) 2021-01-12 2021-01-12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138A KR102533778B1 (ko) 2021-01-12 2021-01-12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86A true KR20220101986A (ko) 2022-07-19
KR102533778B1 KR102533778B1 (ko) 2023-05-17

Family

ID=8260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138A KR102533778B1 (ko) 2021-01-12 2021-01-12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26B1 (ko) * 2002-04-13 2003-09-06 최광호 플라스틱 마개용 도자기 병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745B1 (ko) * 2011-05-11 2011-09-28 이계안 성형틀 제조 방법 및 도자기 제조 방법
KR101091880B1 (ko) * 2009-03-03 2011-12-12 배명학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KR101298029B1 (ko) * 2011-12-05 2013-08-26 우리산업기술개발 주식회사 다공표면 인조석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의 제조방법
KR101695759B1 (ko) 2015-06-10 2017-01-13 김명효 이중구조 도자기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이중구조 도자기 제작방법
KR20170125433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해든코리아 도자기 밀폐용기 제조방법
KR101993086B1 (ko) * 2018-03-19 2019-06-25 김세기 도자기용기를 형성하는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용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26B1 (ko) * 2002-04-13 2003-09-06 최광호 플라스틱 마개용 도자기 병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880B1 (ko) * 2009-03-03 2011-12-12 배명학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KR101068745B1 (ko) * 2011-05-11 2011-09-28 이계안 성형틀 제조 방법 및 도자기 제조 방법
KR101298029B1 (ko) * 2011-12-05 2013-08-26 우리산업기술개발 주식회사 다공표면 인조석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의 제조방법
KR101695759B1 (ko) 2015-06-10 2017-01-13 김명효 이중구조 도자기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이중구조 도자기 제작방법
KR20170125433A (ko) * 2016-05-04 2017-11-15 주식회사 해든코리아 도자기 밀폐용기 제조방법
KR101993086B1 (ko) * 2018-03-19 2019-06-25 김세기 도자기용기를 형성하는 형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용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778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34860A (ru) Ларингоскопическая мас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220101986A (ko) 기성품에 결합될 수 있는 도자기 입구부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입구부 제작틀
FR2720749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poly(méthacrylate de méthyle) à teneur élevée en triades syndiotactiques.
WO2003016627A1 (fr) Procede de production d'un produit forme de fibres creuses, corps forme de fibres creuses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un corps forme de fibres creuses
KR20050057882A (ko) 건조 드럼의 제조 방법
US7134864B2 (en) Molding apparatus with removable mold cores
KR900005515B1 (ko) 가스 유통체 및 그 제조방법
CA2276225C (en) Stackable plastic cover
FR3112351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objet moulé en fibres de cellulose
JP2006128719A5 (ko)
KR101135359B1 (ko) 블록용 거푸집
WO2018039819A1 (zh) 一种四联阀阀体铸件及其模具
CN216540842U (zh) 一种用于烧结环形制品的承载治具
CN110239026A (zh) 一种光电传感器外壳的加工方法
CN218838507U (zh) 外观部件、家用电器以及模具
CN208084861U (zh) 一种制备异形镜片的模具
TWM614541U (zh) 薄型均溫板
CN209297619U (zh) 楼体模型
CN203317519U (zh) 砂岩文化砖模具
JP2003138500A (ja) 繊維成形体の抄造型
CN206561121U (zh) 一种粉末注射成型的手机支架半成品
CN218109281U (zh) 一种涡盘砂芯的下芯模具
CN219093560U (zh) 一种小行星架制造模
CN204566342U (zh) 精密陶瓷热压注模具排气槽
CN209665150U (zh) 高效的砂轮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