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254A -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254A
KR20220101254A KR1020210003076A KR20210003076A KR20220101254A KR 20220101254 A KR20220101254 A KR 20220101254A KR 1020210003076 A KR1020210003076 A KR 1020210003076A KR 20210003076 A KR20210003076 A KR 20210003076A KR 20220101254 A KR20220101254 A KR 2022010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roe
organic solvent
puffer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296B1 (ko
Inventor
임갑만
Original Assignee
임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갑만 filed Critical 임갑만
Priority to KR1020210003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2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어알 추출물, 복어간 추출물,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천연 물질의 추출물을 이용한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어추출물 20∼30중량%, 와송 추출물 5∼10 중량%와 애엽추출물 5∼10 중량%, 천궁추출물 5∼10 중량%, 목단피 5∼10 중량%, 서양칠엽수추출물 5∼10 중량%, 자근추출물 5∼10 중량%의 천연생약 추출물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4∼6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ion for hemorrhoid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어알 추출물, 복어간 추출물,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천연 물질의 추출물을 이용한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0-0409133호 및 제10-680900호를 개량하여 치질 치료효과를 개선한 발명에 관련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치질환(hemorrhoids)은 우리나라 입원진료 1위를 차지하고, 50대 이상의 50% 이상이 경험하고 있고(서울대병원), 미국에서도 전인구의 5%가 이 병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질이라고 칭하는 치질환은 주로 치핵, 치열, 항문 주위 농양 및 치루 등이 있고, 주요 증상으로는 출혈(bleeding), 치핵 돌출(prolapse), 통증(pain), 소양증(itching), 직장 기능 이상(dysfunction), 변실금(soiling)이 있다. 그 중 대부분 치질이라 함은 주로 치핵을 의미한다.
치핵은 항문의 피부와 점막 밑의 혈관조직이 늘어나고 확장되어 생기는데 혈관을 덮고 있는 피부와 점막이 같이 늘어나서 생긴 살덩어리이다. 내치핵과 외치핵, 혼합치핵으로 구분하며 항문 안쪽 1.5cm 정도에 위치한 치상선을 경계로 그 위쪽에서 생겼으면 내치핵, 아래쪽에서 생겼으면 외치핵, 위아래에 다 생겼으면 혼합치핵이라고 한다. 초기엔 내치핵만 있거나 외치핵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대개 혼합치핵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내치핵의 진행 정도를 탈항의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데, 1도는 출혈로 치핵이 진단되었으나 탈항이 없는 상태이고, 2도는 변을 볼 때 탈항이 되나 곧 다시 들어가는 상태이며, 3도는 변을 볼 때 탈항이 되어 배변 후 시간이 지나야 들어가거나 밀어 넣거나 누워있어야 들어가는 상태이고, 4도는 변을 볼 때 탈항 된 것이 잘 들어가지 않거나 금방 다시 나오는 상태이다.
외치핵의 진행 정도는 누구나 인정하는 객관적인 분류가 아직 없거나 내치핵의 진행 정도와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혈전의 발생 기간을 기준으로 외치핵을 분류할 수 있다. 즉, 1도 외치핵은 혈전이 생겨 부어 있는 기간이 1년에 10일 미만이고, 2도 외치핵은 일 년에 11~20일 정도이며, 3도 외치핵은 혈전이 생겨 부어 있는 기간이 일년에 3주 이상일 때이고, 4도 외치핵은 혈전이 수시로 발생할 때이다.
이와 같은 치질환의 치료를 위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치질환에서 내치핵의 출혈을 가라앉히는 방법이거나, 외치핵에서 생긴 혈전과 이로 인한 부종과 통증을 가라앉히는 치료로는 내복약과 좌약, 그리고 좌욕 등이 있다.
내복약의 주성분은 혈액순환개선제로 만들어져 있고, 시중에 10여 가지의 비슷한 약제가 판매되고 있다. 좌약은 진통소염과 항균, 수렴 작용 등을 하는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 가지의 약제가 판매되고 있다.
상기의 치질환 치료제로서 연고 및 좌약은 주로 국소 마취제, 스테로이드 제제 및 항히스타민제 등을 함유하는 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소 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는 일시적인 불편함을 완화시키기는 하나 상처의 치유를 지연되게 하고, 여러가지 전신성, 국소적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다. 게다가 상처주위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투여하는 것은 병의 치료를 늦춤으로써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치질환 환자들이 유효하고 적절한 약제를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이 권할만한 약제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종합병원이나 외과의원에서 치질환으로 수술을 하려 해도 간질환이나, 기타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좌욕과 같은 대증요법 외에는 권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본 출원인이 안출하여 등록된 특허 제10-0409133호 및 제10-680900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00℃의 고온에서도 분해되지 아니하고 산성이 강한 어떠한 조미료로도 독성이 소실되지 아니하며 단지 염산에서만 서서히 독성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진 테트로톡신이라는 갈색 액체의 맹독성을 가지는 복어알 및 불가사리를 치료용으로 이용하여 치질 치료에 효과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그러나 선등록특허는 복어알 또는 불가사리를 혼합한 추출물만으로 심한 출혈과 내치핵 및 외치핵, 항문 주위의 발진과 가려움 등을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에 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등록된 특허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어알 천연 생약을 조합하여 치질 치료효과를 월등하게 개선한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약을 이용하여 종래의 좌약이나 약물 요법 등의 부작용이나 유해한 성분이 없고 치료시 통증이 없이 치질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어추출물 20∼30중량%, 와송 추출물 5∼10 중량%와 애엽추출물 5∼10 중량%, 천궁추출물 5∼10 중량%, 목단피 5∼10 중량%, 서양칠엽수추출물 5∼10 중량%, 자근추출물 5∼10 중량%의 천연생약 추출물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4∼6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어알,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깨끗히 수세하여 건조하는 재료의 준비 및 전처리 단계;
상기의 복어알,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으로 부터 복어추출물과 생약추출물을 각각 얻는 추출물 추출단계;
추출물의 혼합단계;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를 거쳐 제조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어추출물 추출단계는 복어알 및 복어간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복어추출물은 물로 세척된 복어알 100중량부를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 처리된 복어알 100중량부를 복어알의 중량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넣어,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동안 교반한 후, 1차 추출용액을 고체 성분으로부터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걸러진 고체 성분인 복어알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혼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알 추출물을 얻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약추출물 추출단계는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각각 100중량부를 무게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에 넣고,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후, 고체 성분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생약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질 치료용 조성물은 치질 질환 즉 내치핵, 외치핵의 치료에 모두 적용되어 치료효과가 크고, 혈변, 항문탈출과 항문 주위의 가려움증과 피부발진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어알과 복어간 추출물(이하 복어추출물이라 함),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으로 이루어진 생약추출물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의 조합으로 부터 얻어진 천연 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복어추출물 20∼30중량%, 와송 추출물 5∼10 중량%와 애엽추출물 5∼10 중량%, 천궁추출물 5∼10 중량%, 목단피 5∼10 중량%, 서양칠엽수추출물 5∼10 중량%, 자근추출물 5∼10 중량%의 천연생약 추출물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4∼6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복어에는 TTX(tetrodotoxin)라는 복어독이 있다. 이러한 복어독은 유기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포함되지 않아 무독성이 된다. (Merck Index,12th edition, 9379쪽) 그러나 확실한 제독을 위하여 복어 부피의 2~6배가 되는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를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복어독의 제독은 '일본 식품위생검사지침(II, Kawabata, 1978)'에 기재되어 있다. 물론 사용되는 초산 용액의 부피는 복어알 또는 복어간의 부피에 대하여 2~6배로 하였으나, 이는 복어알이나 복어간이 초산 용액에 충분히 침지되도록 함에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2~6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은 복어추출물은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와송은 본초강목 동의보감에도 기록되어 있는 약초이다. 근래 많은 연구를 통해 항암치료에 좋다는 논문도 발표되고 있는데, 암세포의 전이 방지를 돕고 면역 항체를 증가시켜서 암 예방 이나 재발방지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와송은 강한 항암 성분이 있어 각종 암의 암세포를 파괴하고, 인체 DNA의 면역 항체를 증가시켜 암세포의 전이를 막고 암 예방 및 수술 후 재발방지에 효과가 뛰어나며, 각종 악성종양의 치료 예방, 전이방지에도 쓰인다.
또한, 와송은 인체의 세포 활성 및 DNA 면역력 강화로 인체의 노화를 방지하고, 해독성분이 포함돼 간 기능 회복과 간염, 간경화 등 손상된 간 기능을 재생 회복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와송은 코피나 치질, 피부미용 등에 도움을 줄뿐더러 종양을 삭혀주는 기능을 하여 소독 등에도 효과를 보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와송은 특수 성분과 와송 올리고당 성분이 장염이나 신장염, 췌장염 등 우리 신체 기관의 각종 염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심장과 대장근육 등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변비의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식물이다. 특히 당뇨로 고생하는 분들도 세포활성으로 인해서 불치병이라 할 수 있는 당뇨치료에도 효과를 발휘한다고 하니 그 쓰임새가 참으로 다양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여성에게는 생리불순의 막힌 경혈을 열어주며, 갱년기 생기를 활성화 시켜주고 피부미용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와송은 상기 복어추출물과 혼합되어 치질의 종양을 삭혀주고 염증을 해소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애엽은 동의보감에서는 '사자발쑥 또는 약쑥'을 애엽(艾葉)이라고 하는데, 성질이 따뜻하나 뜨겁다고도 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다. 애엽은 잎 및 어린줄기로 잎은 오그라져 있으나 펴보면 길이 4~10cm, 너비 2~10cm이며 깃꼴로 갈라져 어긋나게 붙어있다. 잎의 윗면은 녹색~어두운 녹갈색이고 아랫면은 회백색의 가는 솜털이 촘촘히 나며 부드러운 촉감을 준다.
애엽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시네올(cineol), 콜린(chiline), 아데닌(adenine), 유칼리프톨(eucalyptol) 등의 다양한 유효성분이 있고, 한방에서는 친체의 차가운 기운을 날리고 통증을 완화시키고, 경락을 따뜻이 하고 출혈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어 월경불순, 감기, 복통, 소화불량, 식욕부진, 천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은 옛날부터 쑥잎을 즙을 내어 소화 정장 지사 복통 지혈 등의 치료에 민간약으로 써 왔으며, 쑥은 이른 봄 쑥국과 쑥떡 등을 식용하고 전초(全草)는 약용에 사용하는데 생약명은 애엽(艾葉)이라 하며 맛이 쓰고 맵고 약성은 따뜻한 성질이다. 약효는 지혈 지사 항세균 항진균 항염증 항암 건위 소화불량 신경세포보호 간세포보호 월경불순 가려움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애엽은 내치핵과 외치핵에서 발생되는 출혈을 멈추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천궁은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중국이며 주로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길이는 30~60cm이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핀다. 비교적 여름철에 서늘하고 습기가 적절한 지역의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간질·대하·치풍 치료에 쓰고 보익제·진정제·진통제·강장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약제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이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한방 약재로 사용하는 뿌리줄기는 길이 2~7cm, 지름 2~5cm이며 흔히 목심이 노출되어서 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갈색을 나타내고 쭈글쭈글하며 도처에 평행한 나이테와 같은 무늬와 뿌리흔적이 있다. 쪼갠 면은 거칠고 연한 갈색이나 유황색을 나타내고 강한 방향(芳香)이 있다. 7~8월에 천궁이 완전히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 알코올, 페놀성 물질, 새다논산 등이 있다. 주로 간경·담경·심포경에 작용한다.
천궁의 효능으로는 활혈행기·거풍지통(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치료함)이 있다. 월경통·희발월경·과소월경·무월경 등으로 입술색이 담백하고 안면이 창백하며 하복통 등의 혈허증상이 있을 때는 천궁을 사용해서 활혈 시키고 진통하며, 아울러 다른 양혈약을 배합한다. 천궁의 성미는 신산(辛散)하여 거풍력이 강하므로 주로 풍한감의 두통이나 풍습으로 인한 편두통에 유효하다. 따라서 모든 두통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정서적 자극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간의 기운이 뭉쳐지는 간기울결로 인한 어혈 두통이 생겼을 때 몇 가지 약재와 배합하여 뭉친 혈액을 원활하게 하고 통증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풍습이나 기체로 인한 혈관폐색이나 근육에 대한 혈액의 영양장애 등으로 인해 생긴 전신의 동통·마목·마비에 사용한다. 다발성신경염·뇌혈관연축·뇌혈전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신경염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러한 효과를 가진 천궁은 치질 치료에 있어서 항문의 어혈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목단피(牧丹皮, Moutan Radicis Cortex)는 '모란 뿌리의 껍질'을 약재로 이르는 말로, 성분으로는 패오노사이드(paeonoside; paeonol glucoside), 패오노라이드(paeonolide; paeonol-rhamnoglucoside) 및 패오놀(paeonol)을 함유하며, 패오노사이드는 저장중에 분해되어 당과 패오놀을 생성한다. 또한, 패오니플로린 (paeoniflorin), 옥시패오니플로린(oxypaeoniflorin), 벤조일페오니플로린 (benzoylpaeoniflorin), 패오노라이드 탄닌(paeonolide tannin), 프로시아니딘 B1 (procyanidin B1), 벤조일옥시패오니플로린(benzoyloxypaeoniflorin), 패오닌 (paeonin),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페라고닌(pelargo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근피뿐만 아니라 목심부에도 존재함이 조직화학적으로 확인되었다. 구어혈약으로서의 항염증 작용은 모노페르펜 글리코사이드(Monoterpene glycosides) 성분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패오놀에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시험관 내에서 대장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고초균등의 증식을 1,500 ~ 2,000배의 희석 농도에서 억제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벤조일페오니플로린, 벤조일옥시패오니플로린 등은 비만 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작용이 있고, 패오노라이드 탄닌은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패오니플로린은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을 하고 피브리노겐을 감소시킨다. 목단피는 성질이 차서 한방에서 소염성 구어혈약으로서 이용되며, 그 약효는 하복부 장기의 혈관계의 염증, 울혈에 의한 동통, 발열, 화농, 출혈등을 대상으로, 특히 부인과 영역에서 월경불순, 자궁 및 부속기의 염증, 울혈, 견인통에 대해서 소염, 진통, 진경의 효과가 있으며, 치질, 충수염에도 응용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목단피는 항균작용과 항염증 작용이 탁월하여 항문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혈액의 염증, 울혈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키며 출혈을 멎게 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서양칠엽수는 나도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유럽 남부가 원산지이고, 가로수나 녹음수로 주로 쓰인다. 키가 30m이고 지름이 1~2m이다. 마주나는 잎은 손바닥을 편 모양의 겹잎으로 5~7갈래로 갈라져 있다. 잎자루가 길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나 있다. 꽃은 5~6월에 길이가 20~30cm인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열매는 둥글고 가시가 달렸으며 대개 1개의 씨가 들어 있는데, 씨는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다. 마로니에라고도 한다.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마로니에 공원에 있는 나무는 사실 서양칠엽수가 아니라 일본 원산의 칠엽수이다.
종자는 독이 있지만 약으로도 쓰여 옛날부터 치질, 자궁출혈 등의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열매에는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염제로 쓰인다.
자근은 자지(紫芝)·자초(紫草)·지초(芝草)라고도 한다. 뿌리는 굵고 땅속 깊이 뻗어 인삼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자주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는데 전체에 위로 향한 잔털이 많다. 관상용·염료·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를 자근(紫根) 또는 자초라 하여 약재로 쓰며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불로약으로 사용해 왔다. 옛날에는 자줏빛 물감으로 이용했다. 지치는 염색 외에 나물로도 식용하였으며 약식에 넣어 식용 색소로도 사용하였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자근은 피부과·순환계·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간열, 간염, 강심제, 강장보호, 개창, 건위, 결막염, 단독, 동상, 두진, 두풍, 발모제, 변비, 복부팽만, 복통, 부종, 비뉵혈, 소변불통, 소염제, 습진, 오로, 오풍, 요혈, 이뇨, 이질, 정신분열증, 종독, 중독, 진통, 창종, 척추질환(추간판헤르니아), 치질, 탕화창(화상), 토혈, 표저, 피부병, 피부염, 피임, 해열, 행혈, 화농, 황달, 소아질병: 홍역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질 치료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을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추출물'은 상기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재료의 준비 및 전처리 단계와 각 재료에 따른 추출물 추출단계, 추출물의 혼합단계,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재료의 준비 및 전처리 단계는 복어알,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깨끗히 수세하여 건조하는 단계이다.
추출물 추출단계는 상기의 복어알,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으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서,
먼저, 복어알 및 복어간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복어추출물은 물로 세척된 복어알 100중량부를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처리된 복어알 100중량부를 복어알의 중량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넣어,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 후, 1차 추출용액을 고체 성분으로부터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걸러진 고체 성분인 복어알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혼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알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하면 오일형태의 노랑색 복어알 추출물이 약 450g 정도가 얻어지며, 분리된 용매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의 복어알과 복어간은 날것 또는 냉동된 것 모두 가능하며, 냉동된 것은 해동하여 사용한다
또한, 천연생약의 추출은 유기용매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각각 100중량부를 무게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에 넣고,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 성분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생약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분리된 유기용매는 회수하여 재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생약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게 되면 분말성 고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복어추출물과 생약추출물을 혼합하는 추출물의 혼합단계를 거치게 된다.
추출물의 혼합은 복어추출물 20∼30중량%, 와송 추출물 5∼10 중량%와 애엽추출물 5∼10 중량%, 천궁추출물 5∼10 중량%, 목단피 5∼10 중량%, 서양칠엽수추출물 5∼10 중량%, 자근추출물 5∼10 중량%의 천연생약 추출물과 지용성 화합물로서 피부보호와 황산화 효과가 있는 비타민E인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4∼6 중량%를 혼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복어추출물과 각종 생약추출물을 상온에서 냉각시켜 최종 치질치료제를 얻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복어알과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물로 수세하여 약 5%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복어알 4Kg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와 제독처리된 복어알 4Kg을 복어알의 중량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넣어,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 후, 1차 추출용액을 고체 성분으로부터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걸러진 고체 성분인 복어알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를 거쳐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혼합한 후 감압 증류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알 추출물 450g 정도를 얻었다.
다음 건조된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각각 150g을 무게 대비 5배의 유기용매에 넣고,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 성분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대략 1kg의 생약 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복어추출물 450g과 1kg의 생약추출물 및 50g의 토코페롤 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냉각시켜 치질 치료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4)

  1. 복어추출물 20∼30중량%, 와송 추출물 5∼10 중량%와 애엽추출물 5∼10 중량%, 천궁추출물 5∼10 중량%, 목단피 5∼10 중량%, 서양칠엽수추출물 5∼10 중량%, 자근추출물 5∼10 중량%의 천연생약 추출물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4∼6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
  2. 복어알,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깨끗히 수세하여 건조하는 재료의 준비 및 전처리 단계;
    상기의 복어알, 복어간,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으로 부터 복어추출물과 생약추출물을 각각 얻는 추출물 추출단계;
    추출물의 혼합단계;
    혼합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를 거쳐 제조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어추출물 추출단계는 복어알 및 복어간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복어추출물은 물로 세척된 복어알 100중량부를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처리된 복어알 100중량부를 복어알의 중량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넣어,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 후, 1차 추출용액을 고체 성분으로부터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걸러진 고체 성분인 복어알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혼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알 추출물을 얻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생약추출물 추출단계는 와송, 애엽, 천궁, 목단피, 서양칠엽수, 자근을 각각 100중량부를 무게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에 넣고,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고체 성분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생약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03076A 2021-01-11 2021-01-11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4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76A KR102645296B1 (ko) 2021-01-11 2021-01-11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76A KR102645296B1 (ko) 2021-01-11 2021-01-11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254A true KR20220101254A (ko) 2022-07-19
KR102645296B1 KR102645296B1 (ko) 2024-03-07

Family

ID=8260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076A KR102645296B1 (ko) 2021-01-11 2021-01-11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2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29B1 (en) * 2002-08-01 2002-12-11 Chul Yoo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KR20080105857A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비앤씨엘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29B1 (en) * 2002-08-01 2002-12-11 Chul Yoo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KR20080105857A (ko) * 2007-06-01 2008-12-04 주식회사 비앤씨엘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296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1203B (zh) 一种治疗难愈性创面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091258B (zh) 一种祛除疤痕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804166B (zh) 一种治疗小儿皮炎湿疹的中药组合物
CN102178804B (zh) 一种治疗肛周湿疹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178844A (zh) 一种治疗牙龈肿痛的口腔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784363A (zh) 一种治疗胰腺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CN103751633A (zh) 一种治疗下肢静脉曲张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51716B (zh) 一种治疗肾结石和胆结石的药物组合物
CN103638250B (zh) 一种治疗面神经麻痹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000164B (zh) 一种治疗银屑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877247B (zh) 用于治疗褥疮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2178818B (zh) 一种治疗乳腺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536826A (zh) 一种治疗阴道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213256A (zh) 一种舒敏祛红柔肤水及其制备方法
CN105125467A (zh) 一种祛红血丝乳液及其制备方法
KR20110130555A (ko) 아토피 피부 예방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CN105497972A (zh) 用于治疗烧烫伤的医用薄膜及制备方法
CN104758900A (zh) 一种用于治疗急性胰腺炎的中药
KR102645296B1 (ko)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751708A (zh) 一种治疗下肢静脉曲张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148230A (zh) 一种治疗癌痛的药物及其制作方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CN115414427B (zh) 治疗慢性皮肤瘙痒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