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857A -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857A
KR20080105857A KR1020070053975A KR20070053975A KR20080105857A KR 20080105857 A KR20080105857 A KR 20080105857A KR 1020070053975 A KR1020070053975 A KR 1020070053975A KR 20070053975 A KR20070053975 A KR 20070053975A KR 20080105857 A KR20080105857 A KR 2008010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pufferfish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갑만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씨엘
Priority to KR102007005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857A/ko
Publication of KR2008010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8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어유를 주성분으로 하고, 천궁 추출물 및 난황유를 부성분으로하여 치질환(hemorrhoids)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과 통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외용 연고 또는 좌제(suppository)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 치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난황유 및 천궁 추출물로 구성되어,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연고제, 좌제, 패치제, 액제, 습포제,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등과 같이 피부의 국소적인 표면에 직접 적용되는 제제에 주재료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의 성분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가 제공된다.
치질환, 복어알, 복어간, 천궁, 난황유

Description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A composite,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medication for healing hemorrhoids}
본 발명은 복어유를 주성분으로 하고, 천궁 추출물 및 난황유를 부성분으로하여 치질환(hemorrhoids)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과 통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외용 연고 또는 좌제(suppository)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 치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치질환(hemorrhoids)은 우리나라 입원진료 1위를 차지하고, 50대 이상의 50% 이상이 경험하고 있고(서울대 병원), 미국에서도 전인구의 5%가 이 병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질이라고 칭하는 치질환은 주로 치핵, 치열, 항문 주위 농양 및 치루 등이 있고, 주요 증상으로는 출혈(bleeding), 치핵 돌출(prolapse), 통증(pain), 소양증(itching), 직장 기능 이상(dysfunction), 변실금(soiling)이 있다. 그 중 대부분 치질이라 함은 주로 치핵을 의미한다.
치핵은 항문의 피부와 점막 밑의 혈관조직이 늘어나고 확장되어 생기는데 혈관을 덮고 있는 피부와 점막이 같이 늘어나서 생긴 살덩어리이다. 내치핵과 외치핵, 혼합치핵으로 구분하며 항문 안쪽 1.5cm 정도에 위치한 치상선을 경계로 그 위쪽에서 생겼으면 내치핵, 아래쪽에서 생겼으면 외치핵, 위아래에 다 생겼으면 혼합치핵이라고 한다. 초기엔 내치핵만 있거나 외치핵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대개 혼합치핵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내치핵의 진행 정도를 탈항의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데, 1도는 출혈로 치핵이 진단되었으나 탈항이 없는 상태이고, 2도는 변을 볼 때 탈항이 되나 곧 다시 들어가는 상태이며, 3도는 변을 볼 때 탈항이 되어 배변 후 시간이 지나야 들어가거나 밀어 넣거나 누워있어야 들어가는 상태이고, 4도는 변을 볼 때 탈항된 것이 잘 들어가지 않거나 금방 다시 나오는 상태이다.
외치핵의 진행 정도는 누구나 인정하는 객관적인 분류가 아직 없거나 내치핵의 진행 정도와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혈전의 발생 기간을 기준으로 외치핵을 분류할 수 있다. 즉, 1도 외치핵은 혈전이 생겨 부어 있는 기간이 일 년에 10일 미만이고, 2도 외치핵은 일 년에 11~20일 정도이며, 3도 외치핵은 혈전이 생겨 부어 있는 기간이 일 년에 3주 이상일 때이고, 4도 외치핵은 혈전이 수시로 발생할 때이다.
이와 같은 치질환의 치료를 위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치질환에서 내치핵의 출혈을 가라앉히는 방법이거나, 외치핵에서 생긴 혈전과 이로 인한 부종과 통증을 가라앉히는 치료로는 내복약과 좌약, 그리고 좌욕 등이 있다.
내복약의 주성분은 혈액순환개선제로 만들어져 있고, 시중에 10여 가지의 비 슷한 약제가 판매되고 있다. 좌약은 진통소염과 항균, 수렴 작용 등을 하는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 가지의 약제가 판매되고 있다.
상기의 치질환 치료제로서 연고 및 좌약은 주로 국소 마취제, 스테로이드 제제 및 항히스타민제 등을 함유하는 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소 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는 일시적인 불편함을 완화시키기는 하나 상처의 치유를 지연되게 하고, 여러가지 전신성, 국소적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다. 게다가 상처주위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투여하는 것은 병의 치료를 늦춤으로써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치질환 환자들이 유효하고 적절한 약제를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이 권할만한 약제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종합병원이나 외과의원에서 치질환으로 수술을 하려 해도 간질환이나, 기타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좌욕과 같은 대증요법 외에는 권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 부응하고자 국소 마취제, 스테로이드 제제 및 항히스타민제 등을 함유한 치료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다양한 치료제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다양한 제제가 개시된 것들을 인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89-0003396호에는 메밀, 약쑥, 쇠고비, 지유 등의 한약재를 이용한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1-0011274호에는 연초, 소금, 유화를 함유한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3-0009610호(주식회사 선경 인더스트리)에는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좌약 제제; 대한민국특 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4-7001027호(센쥬세이야꾸)에는 폴리엔 마크로라이드계 항진균제를 함유하는 외용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4-0000111호에는 오동나무 열매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5-0031090호에는 입자 크기가 2 마이크로메터 이하인 구형 활성 탄소를 포함하는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7-0007638호에는 플록사머 및 친수성 천연고분자를 함유하는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7-0058716호에는 약쑥과 삼지 구엽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7-048182호(파나세아 바이오텍 리미티드)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베이스에 항문 직장 및 결장 질병의 제어 및 예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후라보노이드 및/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999-0044454호(다이쇼 세이야꾸)에는 아크릴산 중합체, 혈관 수축제 및 직장 조직 치료제 포함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2000-0019666호에는 대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2001-0089881호(오엠에스 홀딩스)에는 에어로졸 연고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2001-0076810호에는 호장근, 마치현, 익지인, 차전자, 포공영, 금은화, 용담초, 대황, 계내금, 소목, 목과, 천련자, 오령지, 단삼, 몰약, 파고지, 위령선, 유향, 용뇌, 현호색, 백굴채, 소회향, 삼릉, 봉출, 사상자, 향부자, 오약, 지룡, 수질을 각각 분말화하여 혼합하는 한약제 조성물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2002-0059416호에는 프로게스테론 또는 이의 유사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0-2005-0102663호(데이고꾸 세이야꾸)에는 아세틸 살리 실산 또는 그것의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 10-2005-0089663호에는 부자를 함유하는 제제;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 10-2006-0077744호에는 지유와 대계를 혼합 분말화하여 티백 포장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질환과 음부질환 및 피부질환 치료용 생약조성물;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 공보 제10-2007-0036165호에는 유효량의 국소 마취제, 유효량의 혈관수축제, 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하고, 수중유 에멀젼 형태이며, 국소 마취제와 혈관수축제가 수중유 에멀젼의 물 부분에 용해되어 있는 치질 및/또는 항문직장 장애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5234915호, 제4797392호 등은 염증 관련에 국한하여 효과가 있을 뿐이며, 특히 일부는 항생제를 포함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234914호, 제5166132호 등도 생물학적 활성 제제를 포함하나 일시적인 효과만 나타나고, 국부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관련 기술을 검토한 바와 같이 많은 치질환 환자들이 유효하고 자신에게 적절한 약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이 효능 있는 약제의 공급이 충족되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종합병원이나 외과의원에서 간질환이나, 기타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좌욕과 같은 대증요법 외에는 권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복어는 예로부터 귀중한 음식재료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고, 알 등에 포함된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은 현대의학에서 그 신경 독을 이용하여 진통제 및 진경제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909년에 일본의 다하라(田原良純) 박사에 의해 복어의 독이 테트로도록신 (tetrodotoxin)이라고 하는 이름이 붙여졌다. 복어독의 화학식은 1964년에 C11H17N308로 결정되었으며 복어독의 강도는 청산칼리의 1,000배에 비할 만큼 맹독이라 한다.
순수하게 채취한 복어독(tetrodotoxin)의 결정은 무색의 침상으로서 무미, 무취이고, 초산 산성액에 극히 녹이기 쉽지만 물과 알콜에는 녹기 어렵다. tetrodotoxin은 알칼리에 대해서는 강하며 유기산 등에는 전혀 파괴되지 않으나 황산과 염산, 질산 등의 고농도 용액에서는 파괴되며 특히 이러한 산으로 끓이면 단시간에 무독으로 된다. 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끓는 물에서도 4시간 이내에는 전혀 변화가 없고, 6시간 이상에서 파괴되기 시작해 9시간 정도에는 거의 파괴가 된다. 물론 저온인 -20℃ 에 12시간 두어도 아무런 변화가 없다. 또 효소와 각종염류에 의한 분해도 거의 받지 않고 일광에도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테트로도톡신은 사람을 살해하는 최소량이 1~2mg 정도이다.
북한 과학원 실험 생물학 연구소는 2002년 복어독 TTX를 이용한 결핵 치료용 주사제 개발했고, 관절염, 습진, 음위증, 전위선염, 화상, 알레르기에도 특효가 있는 제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산교오 주식회사에서 테트로도톡신을 상품명으로 진통제등의 주사약을 개발하고, 19세기말에 이미 발매하고 있었다고 한다. 상품명 테트로도톡신은 1.0ml의 앰플에 넣은 피하 주사약으로서 독약으로 취급되고 있다. 일반에게 통증을 멈추게 하는 약으로 판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의학용 외에 시약으로도 용도가 커져서 신경생리학, 약리학의 영역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복어 알을 이용한 관련 특허로는 복어 알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및 진통제 조성물로서 특허 등록번호 제0537437호; 복어 추출액을 함유하는 항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특허 등록번호 제0537436호; 복어 알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 제조 방법인 특허 등록번호 제0447106호; 등이 있다.
그리고 복어알 관련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409133호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068090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409133호의 발명은 복어를 이용한 치질치료제 관한 것으로, 복어에서 채취된 복어알을 열처리한 후, 분말로 가공하여 염화나트륨과 혼합한 뒤 훈증에 의해 치질치료제로 사용되는 복어알을 이용한 치질치료제를 기술적요지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열처리 건조는 0∼30℃에서 50~150일 동안 진행되며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치질치료제가 완성된다. 따라서, 완성된 치질치료제를 이용하여 치질을 치료하는 바, 염화나트륨과 혼합된 복어분말을 알콜을 이용하여 태움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항문의 치질부위에 훈증시킴에 의해 항문의 치질이 치료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과정이 복잡할 뿐아니라, 치질환 치료를 위해 훈증이라는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0680900호에는 상기 특허의 단점을 개선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치질치료 연고에 관한 것으로, 불가사리와 복어알을 준비하여 분말화시키는 기초혼합물 형성과정과, 기초혼합물 형성과정에서 형성된 복어알 분말과 불가사리 분말에 바나나, 소금, 물을 혼합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물 형성과정과, 상기 혼합물 형성과정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용기에 수용시키고, 에칠알콜을 혼합시키는 알콜혼합과정과, 상기 알콜혼합과정을 거친 혼합물에 대하여, 혼합물이 충전된 용기에 열을 가함에 의해 간접열전달에 의해 에칠알콜을 발화시켜 발화된 상태에서 혼합물을 재차 혼합시키는 가열혼합과정과, 그리고 가열혼합과정을 거친 혼합물을 상온에서 자연냉각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질치료연고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치질치료연고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제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외용 연고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 등이 용이하며 치질치료 등에 효과가 탁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개량 발명도 복어알을 상온에서 50일 내지 150일 동안 건조하는 공정과, 그 건조 혼합물을 망치 등을 사용하여 분말 형태로 변환 시키고, 이 분말을 알콜과 재차 혼합하여 발화시키는 공정을 거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공정에서 우선 건조 시간이 너무 길고, 그 기간에 부패나 변질의 우려가 높다. 그리고 건조된 매우 견고한 알 덩어리를 망치로 분말화하는 작업도 매우 어렵게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마지막으로 가장 어려는 공정이 알콜 혼합 발화 공정인 바, 재현성(reproducibility)이 매우 낮고, 자칫하면 알콜로 인해 모두 소각되어 탄화될 우려가 있어 수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어알을 이용하여 치질환의 치료 능력이 뛰어나고, 이의 제조방법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상기 특허 등록번호 제409133호와, 제0680900호에 개시된 발명에 이어, 공정과 원료를 개량함에 있는 것으로, 복어 중에서 핵심 부위인 알과 간을 원료로 하고, 이를 재연성(reproducibility)이 높고 간편한 공정을 통해 수율 높은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이하 '조성물'이라 함)'은 연고제, 좌제, 패치제, 액제(예를 들면, 현탁제, 에멀젼제, 로션제), 습포제,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등과 같이 피부의 국소적인 표면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제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치질환 치료에 효능이 있는 복어알과 복어 간이 이용되며, 여기에 진통 및 소염에 특별한 효능이 있는 천궁 추출물과, 피부 손상 및 치질 치료 효능이 알려져 있는 난황유가 추가됨으로써, 각각의 개별원료들의 시너지효과로 효능이 극대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주재료는 복어알과 복어간으로서, 복어는 동의보감에서 "하돈(河豚, 복어)은 허한 것을 보하고 습을 없애며 허리와 다리의 병을 치료하고 치질을 낫게 하고 벌레를 죽인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본초강목에서도 복어의 간 및 알은 "개선충창(疥癬蟲瘡)을 치료한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복어에서 간도 알과 같이 핵심 장기로서 그 크기나 무게는 알보다 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어의 간도 주재료로 사용하되,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을 사용하며,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은 각각 두 가지의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재료로서 천궁과 난황유가 사용된다.
천궁은 미나리과로서, 예로부터 소염 진통 작용이 알려져 왔다.(천궁 추출물 및 분획의 소염 진통 작용, 조승길외, 27권, p282-287, 한국 생약학 회지, 1996) (Lee, CB, The Encyclopedia, 향문사. p583) 그리고 본초학에서도 천궁은 활혈 행기, 거풍 지통 효능이 뛰어나, 중풍 및 동통 질환 및 부인과 질환에 널리 사용된다고 기록되어 있다.(본초학, 전국본초학교수 공저, p450)(백일성, 대한본초학회지, 18권, p37~46, 2003)
계란의 난황은 총건물의 66% 이상이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20% 이상이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난황유는 피부손상, 치질 등의 외용 치료제 및 자양 강장제로 사용되고 있다.(김종숙외, Kor.J.Soc.Food.Sci., 12권, p295~299, 1996)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어알 또는 복어간과, 천궁 및 난황유는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난황유 및 천궁 추출물로 구성되어,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연고제, 좌제, 패치제, 액제, 습포제,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등과 같이 피부의 국소적인 표면에 직접 적용되는 제제에 주재료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고제 등의 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조성물 자체에 있어서의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난황유 및 천궁 추출물의 함량은 정량에 있어 의미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 연고 또는 좌약 등에 포함될 경우에만 외용 연고나 좌약 등의 다른 성분들과의 함량비가 필요하고, 이는 동물실험이나 임상실험 등에 의해 결정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질환에 효능이 있는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난황유 및 천궁 추출물의 혼합물이고, 이의 성분비에 대한 한정은 없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비는 어떠한 조합도 가능한 것이고, 외용 연고나 좌제 등에 사용될 경우 그 효능이 극대화되는 함량비는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복어에는 TTX(tetrodotoxin)라는 복어독이 있다. 이러한 복어독은 유기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포함되지 않아 무독성 된다.(Merck Index,12th edition,9379 쪽) 그러나 확실한 제독을 위하여 복어 부피의 2~6배가 되는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를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복어독의 제독은 "일본 식품위생검사지침 II, Kawabata, 1978)에 기재되어 있다. 물론 사용되는 초산 용액의 부피는 복어알 또는 복어간의 부피에 대하여 2~6배로 하였으나, 이는 복어알이나 복어간이 초산 용액에 충분히 침지되도록 함에 있는 것이므로, 반드시 2~6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을 얻는 모든 방법의 초기에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복어알 또는 복어간의 부피에 대하여 2~6배정도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우선, 유기용매로 복어알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복어알 추출물 제1방법은 다음과 같다.
물로 세척된 복어알 4Kg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처리된 복어알 4Kg을 복어알의 중량 대비 4~8배(바람직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넣어,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하게는 6~8시간)동안 교반한 후, 1차 추출용액을 고체 성분으로부터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걸러진 고체 성분인 복어알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알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하면 오일형태의 노랑색 복어알 추출물 약 450g 정도가 얻어지며, 분리된 용매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압착의 방법으로 복어알의 유효 성분을 얻는 복어알 압착물 제2방법은 다음 과 같은 것으로, 압착하여 오일을 얻는 방법이다.
물로 세척된 복어알 4Kg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처리된 복어알 4Kg을 500℃ 이상의 열판에서 20~40분동안(바람직 하게는 30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볶는 단계; 검은색으로 볶아진 복어알을 압착기에 넣고 7,000~9,000 psi 압력으로 압착하여 복어알 압착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복어알 압착물은 약 110g 정도가 된다.
다음으로, 유기용매로 복어간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복어간 추출물 제1방법은 아래와 같다.
물로 세척된 복어간 2.5Kg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처리된 복어간 2.5Kg을 복어간의 중량 대비 4~8배(바람직 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넣어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 하게는 6~8시간) 동안 교반한 후 1차 추출용액을 고체 성분으로부터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고체 성분인 복어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에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간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하면 오일형태의 노랑색 복어간 추출물 약 1.5Kg이 얻어지 며, 분리된 용매는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압착의 방법으로 복어간의 유효 성분을 얻는 복어간 압착물 제2방법은 압착하여 오일을 얻는 방법이다.
물로 세척된 복어간 2.5Kg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 제독처리된 복어간 2.5Kg을 500℃ 이상의 열판에서 20~40분(바람직 하게는 30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볶는 단계; 볶을 때 흘러나오는 오일 형태의 액상물을 받고, 볶아진 복어간을 압착기에 넣고 7,000~9,000 psi 압력으로 압착하여 복어간 압착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복어알 압착물은 볶을 때 얻어진 것과 압착하여 얻어진 것을 합하고, 이는 약 1.5Kg 정도가 된다.
상기에서의 복어알과 복어간은 날것 또는 냉동된 것 모두 가능하며, 냉동된 것은 해동하여 사용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부재료로 사용되는 천궁과 난황유의 제조방법이다.
우선, 천궁 추출물은 천궁 근경을 사용하여 유기용매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천궁 근경 600g을 무게 대비 4~8배(바람직 하게는 5~6배) 정도의 유기용매에 넣고, 상온에서 4~20시간(바람직 하게는 6~8시간)동안 교반한후, 고체 성분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된 1차 추출용액을 보관하고,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천궁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분리된 유기용매는 회수하여 재사용한다.
이렇게 얻은 천궁 추출물은 150g 정도의 엷은 갈색의 성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천궁 추출물을 동결 건조(lyophilize)하면 옅은 갈색의 분말성 고체가 얻어진다.
난황유를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계란에서 흰자를 제거한 노른자를 모으고, 모아진 노른자 300g을 경사가 있는 열판(hot-plate)에서 고열(300℃ 이상)에서 가열하면서 저어주는 단계; 노른자가 점점 색깔이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오일성의 액체가 열판의 경사 낮은 곳으로 흘러서 모이고, 모든 노른자가 검은색으로 변한 시점까지 가열하는 단계; 이를 식히고 열판에 유기용매를 노른자 중량과 같은 중량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 열판에 있는 고체, 액체 성분을 모두 여과하여 1차 추출용액을 얻어 보관하고,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10분 내지 한 시간(바람직 하게는 20분 내지 30분) 교반한 후 걸러서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난황유를 얻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거된 유기용매는 회수하여 재사용한다.
이렇게 얻어진 난황유는 150g 정도의 진한 갈색 내지 검은색의 오일 형태의 성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재료인 복어알 추출물 또는 압착물, 복어간 추출물 또는 압착 물, 천궁 추출물 및 난황유는 추가 외용제 제조용 부형제, 예를 들면 바셀린 등과 혼합하는 방법으로 최종의 조성물인 외용 연고와 좌제 등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고제, 좌제, 패치제, 액제(예를 들면, 현탁제, 에멀젼제, 로션제), 습포제,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등과 같이 피부의 국소적인 표면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외용제에 포함되어 사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외용제에 사용되는 모든 성분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고제, 크림제, 겔제 및 로션제의 경우, 백색 바셀린(광유), 노란 바셀린, 라놀린, 정제된 밀납, 세타놀,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릴산, 경화유(hydrogenated oil), 탄화수소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등과 같은 기재;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메틸 세바세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헥실 라울레이트,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및 식물성 기름과 같은 용매 또는 용해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빈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과 같은 항산화제;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히알우론산 나트륨 등과 같은 습윤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슈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크산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증점제; 액상 석유가스, 액상 이산화탄소, 디메틸 에테르, 질소 가스, 등유, 이산화탄소 등 과 같은 추진제; 안정화제; 보존제; 흡수촉진제; 및 그외 적절한 충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좌약의 경우, 유성 기재, 수성 기재 또는 친수성 기재가 함께 사용된다. 유성기재는 카카오 버터, 위텝솔와 같은 단단한 지방이나, 반합성 유성 기재를 포함한다. 수성 또는 친수성 기재는 마크로골, 아가, 젤라틴, 글리세린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계면활성제, 용해화제, 방부제, 에멀젼화제, 분산제, 보조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습포제(cataplasm)의 경우,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 산 공중합체 등과 같은 점착부여제; 알루미늄 술페이트, 알루미늄 포타슘 술페이트, 염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및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 아미노아세테이트와 같은 가교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마크로골),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ℓ-메탄올과 같은 향료;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정제수; 및 그외 적절한 충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제의 경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태킹(tacking)제; 지방족 고리 포화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로진 수지 및 테르펜 수지와 같은 점착부여제; 액상 검 및 액상 파라핀과 같은 연화제; 디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과 같은 항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콜; 올레산과 같은 흡수증진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및 그외 적절한 충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수분-흡수 폴리머, 및 적은 양의 정제수를 함유하는 테이프제의 제조를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는, 백색 바셀린(광유), 노란바셀린, 라놀린, 정제된 밀납,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린산, 경화유, 탄화수소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상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재;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네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및 식물성 기름과 같은 용매 또는 용해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솔과 같은 항산화제;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 히알우론산과 같은 습윤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슈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언급된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에멀젼화제 또는 로션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산화아연과 같은 충진제; 액화석유가스, 액화이산화탄소, 디메틸 에테르, 질 소가스, 케로신 및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추진제; 안정화제; 완충제; 감미제; 현탁제; 에멀젼제; 향미제; 보존제; 용해제; 또는 그외 적절한 충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 각종 외용제는 각 성분들을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기재와 잘 반죽함에 의한 것과 같이 외용제의 종래 제조 방법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그렇게 제조된 제제는 병변에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섬유에 바르거나 섬유에 함침시킨 후에 적용하는, 통상의 적용법에 따라 적용된다.
연고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출발물질로서, 지방, 지방유, 라놀린, 왁스, 수지, 플라스틱, 글리콜, 고분자량 알콜, 글리세린, 물, 에멀젼화제, 현탁제 또는 적절한 부형제를 사용하거나, 기재로서 상기 물질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완전히 균일하게 배합하여 연고제를 제조한다.
가온하에 기재를 녹이고, 균질해지도록 저어준 후에, 만약 필요하다면, 흡수강화제, 항산화제, 살균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등을 첨가한다. 분말상태의 아세틸살리실산을 휘저어 주면서 혼합물을 첨가해 연고제 또는 크림제를 제조한다.
좌약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유성 기재, 함수기재 또는 기재로서 적당한 물질을 사용해, 가온하에 녹인 후, 활성 성분 자체, 필요하다면 에멀젼화제 또는 현탁제를 거기에 첨가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균질해질 때까지 반죽한다. 혼합물이 형성되고, 그것을 적당한 코팅으로 둘러싸거나 감아서 좌약을 제조한다.
습포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젤라틴, 카멜로 오스 소듐, 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과 같은 수 보존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를 주로 함유하는 연고기재와 미리 반죽한 후, 상기 혼합물을 부직포와 같은 지지물에 바른다. 기재 표면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고 원하는 크기로 자른다.
테이프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와 같은 점착제에, 지방족고리 포화 탄화수소 수지, 송진 수지, 테르펜 수지등과 같은 증점제, 액체 고무, 액체 파라핀등과 같은 연화제, 흡수 촉진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거나 가열하여 녹인다. 상기 혼합물에 분말 상태 또는 용매에 용해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방출지에 바르고, 용액 형태의 경우에는 바르고 건조시킨 후, 혼합물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섬유, 부직포 등과 같은 연성 지지물에 적층시킨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다.
로션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용매, 에멀젼화제, 현탁제를 수용액에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균질하게 될 때까지 저어준다.
현탁액형 로션은 다음과 같이 제조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글리세린 또는 에탄올에 적신 뒤, 여기에 점차적으로 현탁제 또는 로션 기재의 용액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저어준다.
한편, 에멀젼 로션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유용성 및 유상약제를 용기에 붓는다. 수상은 다른 용기에 붓는다. 각각의 용기를 가온하고 O/W형의 에멀젼인 경우, 유상을 점차적으로 수상에 첨가하고, 반대로 W/O의 경우에는 수상 을 점진적으로 유상에 첨가하고, 혼합물은 에멀젼이 완벽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저어준다.
에어로졸제는 약제를 포함하는 액제,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에멀젼화제, 액제, 로션제등을 상기와 같이 준비하고 그것을, 밀봉된 용기에 액화 가스, 가압가스등과 함께 충진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상기와 같은 다앙한 외용제로 제조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몇가지 경우에 대하여 상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외용 연고로 실시하는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제1실시예는 복어알 추출물 제1방법과, 복어간 추출물 제1방법으로 얻어진 복어알 추출물과, 복어간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아래의 도표는 연고 1튜브 순중량 20g을 기준으로 하여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원료 함유량(g) 조성비(중량%)
복어알 추출물 1.82 9.1
복어간 추출물 0.78 3.9
난황유 1.82 9.1
천궁 추출물 0.78 3.9
디유비 4.16 20.8
바셀린 10.44 52.2
메틸파라벤(방부제) 0.2 1.0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외용 연고로 실시하는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제2실시예는 복어알 압착물 제2방법과, 복어간 압착물 제2방법으로 얻어진 복어알 압착물과, 복어간 압착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아래의 도표는 연고 1튜브 순중량 20g을 기준으로 하여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원료 함유량(g) 조성비(중량%)
복어알 압착물 1.82 9.1
복어간 압착물 0.78 3.9
난황유 1.82 9.1
천궁 추출물 0.78 3.9
디유비 4.16 20.8
바셀린 10.44 52.2
메틸파라벤(방부제) 0.2 1.0
상기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조성비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조성비로 실시될 수 있는 것다. 즉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 5~15중량%,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 2~6중량%, 난황유 5~15중량%, 천궁 추출물 2~6중량%, 디비유 15~25중량%, 바셀린 45~60중량%, 메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0.5~1.5중량% 정도이면 가능하고, 이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좌제로 실시하는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좌제로 실시하는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제3실시예는 복어알 추출물 제1방법과, 복어간 추출물 제1방법으로 얻어진 복어알 추출물과, 복어간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아래의 도표는 좌제 1정 순중량 1.5g을 기준으로 하여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원료 함유량(g) 조성비(%)
복어알 추출물 0.128 8.5
복어간 추출물 0.053 3.5
난황유 0.105 7.0
천궁 추출물 0.080 5.3
위텝솔 1.090 72.6
메틸파라벤(방부제) 0.044 3.1
본 발명의 조성물을 좌제로 실시하는 제4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제4실시예는 복어알 압착물 제2방법과, 복어간 압착물 제2방법으로 얻어진 복어알 압착물과, 복어간 압착물을 사용한 경우이다. 그리고 아래의 도표는 좌제 1정 순중량 1.5g을 기준으로 하여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원료 함유량(g) 조성비(%)
복어알 압착물 0.128 8.5
복어간 압착물 0.053 3.5
난황유 0.105 7.0
천궁 추출물 0.080 5.3
위텝솔 1.090 72.6
메틸파라벤(방부제) 0.044 3.1
상기의 조성비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조성비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 5~10중량%,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 2~6중량%, 난황유 6~10중량%, 천궁 추출물 4~8중량%, 위텝솔 62~80중량%, 메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2~5중량% 정도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제제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위한 동물 실험인 진통효능시험인 꼬리 치우기 실험(Tailflick)과, 꼬리 포르말린시험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총 25마리 30~35g 체중의 웅성 ICR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들은 12시간 주기로 명암을 조절하였고, 실온 20~25℃에서 사육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고, 실험 시작 전 일주일 동안 적응기간을 주었다. 동물은 총 5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각 그룹당 5마리로 분류하였다.
제1그룹은 컨트롤 그룹으로서 꼬리를 DMSO(디메틸설폭시드) 단독 용액에 담근 그룹이다.
제 2그룹은 꼬리를 제1실시예의 조성물중 바셀린, 디유비, 메틸 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원료, 복어알 추출물, 복어간 추출물, 천궁 추출물, 난황유를 제1실시예의 비율대로 혼합한 조성물을 1 리터 DMSO에 50.0 % w/v 농도로 담근 그룹이다.
제 3그룹은 꼬리를 제1실시예의 조성물 중 바셀린, 디유비, 메틸 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원료, 복어알 추출물, 복어간 추출물, 천궁 추출물, 난황유를 제1실시예의 비율대로 혼합한 조성물을 1 리터 DMSO 에 25.0 % w/v 농도로 담근 그룹이다.
제 4그룹은 꼬리를 제2실시예의 조성물 중 바셀린, 디유비, 메틸 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원료, 복어알 압착물, 복어간 압착물, 천궁 추출물, 난황유를 제2실시예의 비율대로 혼합한 조성물을 1 리터 DMSO에 50.0 % w/v 농도로 담근 그룹이다.
제 5그룹은 꼬리를 제2실시예의 조성물 중 바셀린, 디유비, 메틸 파라벤을 제외한 나머지 원료, 복어알 압착물, 복어간 압착물, 천궁 추출물, 난황유를 제2실시예의 비율대로 혼합한 조성물을 1 리터 DMSO에 25.0 % w/v 농도로 담근 그룹이다.
상기의 그룹으로 Tailflick(꼬리 치우기 실험)을 행하였다. Tailflick 실험은 진통 효과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열광선을 마우스의 꼬리에 쪼여줄 때 마우스가 뜨거움을 느껴 꼬리를 치울 때까지 걸리는 시간(latency time)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측정 기구는 가로 20cm, 세로15cm, 높이10cm 아크릴 박스안에 가로 8cm, 세로 3cm의 아크릴 방을 설치하고 방 뒤로 작은 구멍으로 마우스의 꼬리를 빼어놓는다.
열광선은 조절기로 세기를 조절하여 제1그룹의 컨트롤 마우스의 latency time 이 2초에서 3초로 조정한다. 열광선은 마우스 꼬리 끝에서 2~2.5cm 위치에 쪼 여준다. 마우스에 과도한 열이 부과되지 않도록 8초의 자동 꺼짐(cut-off) 장치를 부착한다.
DMSO는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침투력이 매우 강한 장점이 있어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DMSO 단독으로는 latency time 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각 그룹별로 DMSO 단독 용액 처치 컨트롤 실험에서 latency time이 2~5초안에 드는 마우스만을 선발하여 사용하고, DMSO 단독 처치 latency time을 한 마리당 3회 실시하여 평균 latency time을 계산한다.(컨트롤 latency time)
조성물의 DMSO 용액(50.0 w/v %, 25.0 w/v %)을 준비한 후, 마우스를 한 마리씩 꼬리를 용액에 3분간 충분히 담근다. 이때 국소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꼬리 이외의 부분은 담그지 않는다.
용액처리 후 30분 경과시 마우스를 tailflick 측정기에 넣고 열광선 쪼여 latency time을 측정한다. 한 마리당 3회 측정하여 latency time의 평균값을 계산한다.(약제 처리 latency time)
결과에 사용되는 진통 효능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 진통 효능 = [{(약제 처리 latency time) - (컨트롤 latency time)} × 100 ] / {(자동 꺼짐 시간) - (컨트롤 latency time)}
상기의 실험에서 대기시간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군 대기시간(latency time) (단위:초)
제1군 2.5
제2군 6.0
제3군 5.0
제4군 4.5
제5군 4.0
Figure 112007040429932-PAT00001
그리고 상기의 실험에서 진통 효능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군 진통 효능(antinociceptive activity) %
제1군 -
제2군 63.6
제3군 45.5
제4군 36.4
제5군 27.2
Figure 112007040429932-PAT00002
상기의 Tailflick 실험 외에 꼬리 포르말린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은 Tailflick에 비교할 때, 열에 의한 통증이 아닌 것이 다른 점이며, 특히 통증의 지속 시간이 길어 진통제의 지속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포르말린 실험은 마우스의 뒷발을 이용하는 방법과 꼬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 바, 본 실험에서는 꼬리를 이용하였다. 외용제 형태의 진통 효능 평가에는 꼬리 방법이 유리하다.
꼬리 포르말린 실험에도 약제의 용매 및 컨트롤로 DMSO가 사용되었다. 이는 DMSO의 용해력과 피부 투과력의 장점뿐 아니라 Tailflick 실험에서와 같이 DMSO 단독으로는 포르말린 실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컨트롤 마우스(DMSO 단독 용액에 3분간 꼬리를 담근 마우스 그룹 : 제 1그룹)의 꼬리 피부에 10% 포르말린 용액 20μ리터를 해밀톤 주사기로 주입한다. 주입 즉시 마우스를 거울이 부착된 박스에 넣고 5분간 관찰하면서, 꼬리를 핥는 시간을 측정한다(T2 : 컨트롤 마우스의 핥는 시간). 꼬리를 핥는 시간은 통증에 정비례한다.
약제 처리 마우스(DMSO 약제 용액에 3분간 꼬리를 담근 마우스 그룹 : 제 2~5 그룹)의 꼬리 피부에 10% 포르말린 용액 20μ리터를 약제 처리 후 즉시 해밀톤 주사기로 주입한다. 주입 즉시 마우스를 거울이 부착된 박스에 넣고 5분간 관찰하면서,꼬리를 핥는 시간을 측정한다(T1 : 약제 처리 마우스의 핥는 시간).
이의 결과에 사용되는 진통 효능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진통 효능% = 100 - {(T1 × 100)/T2}
상기의 실험에서 핥는 시간(licking time)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군 핥는 시간(licking time) 초
제1군 25.6
제2군 15.7
제3군 18.2
제4군 16.3
제5군 18.3
Figure 112007040429932-PAT00003
그리고 진통 효능(antinociceptive activity)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 진통 효능(antinociceptive activity) %
제1군 0.0
제2군 38.7
제3군 28.9
제4군 36.3
제5군 28.5
Figure 112007040429932-PAT00004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인체 임상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종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예를 들면 치핵 돌출(prolapse), 출혈(bleeding), 통증(pain), 소양증(itching), 앉기 거북함 등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자원자에 한하여 본제제 제1실시예의 복어 추출물 외용 연고, 제2실시예의 복어 압출물 외용 연고, 제3실시예의 복어 추출물 좌제, 제4실시예의 복어 압출물 좌제를 외용제는 바르거나 동봉한 항문 삽입용 존데(대롱)로 처치하고, 좌제는 삽입하게 한 후 각각 2 일이 지난 후 개선 인자를 보고하게 하였다.
호전된 정도는 치핵돌출, 출혈, 통증 등의 증상 등은 본 조성물을 처치하지 않았을 때를 100으로 할 때, 본 발명에서 조성물 혹은 양성 대조물질(제품 I사 P제품)을 바르고 일주일 후까지 느끼는 정도를 %로 나나낸다.(즉 25라 함은 예를 들어 출혈이 75%정도 줄어들었음을 나타낸다. 75라 함은 출혈이 25% 정도 줄었음을 의미한다)
복용물질 나이 병력(년) 치핵돌출 출혈 통증 소양증 앉기 거북함
본발명조성물 제1실시예 56 10 70 0 0 원래 없음 0
본발명조성물 제1실시예 50 5 50 0 0 0 0
본발명조성물 제1실시예 47 5 75 25 25 25 0
본발명조성물 제1실시예 48 3 75 0 0 원래 없음 0
본발명조성물 제1실시예 51 15 50 25 50 0 0
본발명조성물 제1실시예 48 10 50 25 50 25 25
본발명조성물 제2실시예 53 15 75 25 50 0 0
본발명조성물 제2실시예 40 2 50 0 25 0 25
본발명조성물 제2실시예 44 3 75 0 0 0 0
본발명조성물 제2실시예 43 5 75 25 25 25 25
본발명조성물 제2실시예 41 1 75 0 0 원래 없음 0
본발명조성물 제2실시예 39 2 50 25 25 0 0
본발명조성물 제3실시예 44 7 50 0 25 0 0
본발명조성물 제3실시예 45 5 50 25 0 원래 없음 0
본발명조성물 제3실시예 49 5 75 0 5 25 25
본발명조성물 제3실시예 50 10 100 25 25 0 0
본발명조성물 제3실시예 58 10 75 25 0 0 0
본발명조성물 제3실시예 39 5 100 50 25 25 0
본발명조성물 제4실시예 44 1 50 0 25 50 0
본발명조성물 제4실시예 53 5 75 0 0 원래 없음 0
본발명조성물 제4실시예 35 1 75 0 0 0 25
본발명조성물 제4실시예 54 10 100 25 25 25 0
본발명조성물 제4실시예 41 1 50 25 0 0 0
본발명조성물 제4실시예 42 2 75 50 75 50 0
제품P 42 1 75 75 50 75 25
제품P 40 1 75 100 50 0 0
제품P 44 10 75 50 75 50 0
제품Y 49 2 100 25 50 100 0
제품Y 50 10 100 25 100 100 0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처치 2일 후에 출혈은 거의 대부분 정지되었고, 통증과 소양증, 앉기 거북함에서도 효능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치핵 돌출의 경우는 처치 2일 후에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양성 대조군인 타사 제품에 비교 할 때는 그 효능이 매우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어알과 복어간의 추출물 또는 압착물을 천궁의 추출물과 난황유와 함께 혼합한 조성물을 연고, 좌제 등의 주재료로 사용할 경우, 치질환에 상당한 치유 능력을 가지게 된다.

Claims (11)

  1.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과, 난황유 및 천궁 추출물로 구성되어,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연고제, 좌제, 패치제, 액제, 습포제,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등과 같이 피부의 국소적인 표면에 직접 적용되는 제제에 주재료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2. 복어알 또는 복어간을 유기용매에 홉합하여 걸러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 추출액을 얻는 단계; 천궁 근경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걸러서 천궁 추출액을 얻는 단계; 계란의 노른자를 구운 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걸러서 난황유를 얻는 단계; 상기 복어알 또는 복어간 추출액과, 천궁 추출액 및 난황유를 일정 조성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3. 복어알 또는 복어간을 볶은 후 압착하여 복어알 또는 복어간 압착물을 얻는 단계; 천궁 근경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걸러서 천궁 추출액을 얻는 단계; 계란의 노른자를 구운 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걸러서 난황유를 얻는 단계; 상기 복어알 또는 복어간 추출액과, 천궁 추출액 및 난황유를 일정 조성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을 유기용매에 홉합하여 걸러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물로 세척된 복어알 또는 복어간 100중량부와, 상기 복어알 또는 복어간의 중량에 대하여 400~800중량부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4~20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걸러서 고형분으로부터 1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걸러진 고형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걸러서 고형분으로부터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하여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복어알 추출물 또는 복어간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을 볶은 후 압착하여 복어알 또는 복어간 압착물을 얻는 단계는 물로 세척된 복어알 또는 복어간 100중량부를 500℃ 이상의 열판에서 20~40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볶는 단계; 복어알 또는 복어간을 압착기에 넣고 7,000~9,000 psi 압력으로 압착하여 복어알 추출물 또는 복어간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천궁 근경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걸러서 천궁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천궁 근경 100중량부와, 상기 천궁 근경의 무게에 대하여 400~800중량부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4~20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걸러서 고체 성분으로부터 1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상기 고체 성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4~10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걸러서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로 유기용매를 분리하여 천궁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계란의 노른자를 구운 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걸러서 난황유를 얻는 단계는 계란의 노른자를 300℃ 이상의 열판에서 검은색으로 변할 때까지 저으면서 가열하는 단계; 이를 식히고 열판에 유기용매를 노른자 중량과 같은 중량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 열판에 있는 혼합물을 여과하여 1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고형분에 다시 첫 번째 사용한 유기용매의 절반 내지 2/3 가량의 새로운 유기용매를 넣고 재차 상온에서 10분 내지 한 시간 교반한 후 걸러서 2차 추출용액을 얻는 단계; 1차 추출용액과 2차 추출용액을 합한 후, 감압 증류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난황유를 얻는 단계;로 구성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 추출액을 얻는 단계의 전단계로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가 포함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을 볶은 후 압착하여 복어알 또는 복어간 압착물을 얻는 단계로서, 복어알 또는 복어간이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양의 0.05~0.5% 초산 용액에 20~28시간 침지하여 복어독을 제거하는 제독 전처리단계;가 포함된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 5~15중량%,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 2~6중량%, 난황유 5~15중량%, 천궁 추출물 2~6중량%, 디비유 15~25중량%, 바셀린 45~60중량%, 방부제 0.5~1.5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11. 복어알 추출물(또는 압착물) 5~10중량%, 복어간 추출물(또는 압착물) 2~6중량%, 난황유 6~10중량%, 천궁 추출물 4~8중량%, 위텝솔 62~80중량%, 방부제 2~5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KR1020070053975A 2007-06-01 2007-06-01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KR2008010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975A KR20080105857A (ko) 2007-06-01 2007-06-01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975A KR20080105857A (ko) 2007-06-01 2007-06-01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857A true KR20080105857A (ko) 2008-12-04

Family

ID=4036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975A KR20080105857A (ko) 2007-06-01 2007-06-01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8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1004A2 (ko) 2009-06-23 2010-12-29 Yeo Oh-Young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함유하는 치핵 치료를 위한 국소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KR20220101254A (ko) * 2021-01-11 2022-07-19 임갑만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1004A2 (ko) 2009-06-23 2010-12-29 Yeo Oh-Young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함유하는 치핵 치료를 위한 국소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KR20220101254A (ko) * 2021-01-11 2022-07-19 임갑만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4530C (zh) 用于抗炎化合物局部释放的载体
TW201002334A (en) Andrographis paniculata extract
WO2001056583A1 (fr) Medicament contenant une anemonine efficace pour traiter les inflammations aseptiques
CN101292997B (zh) 一种治疗烧烫伤或胃溃疡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7008965A (ja) 育毛剤
CN103736070B (zh) 一种香砂养胃口服乳剂及其制备方法
CN108704017A (zh) 一种去腐生肌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403939A (zh) 治疗痔疮及便秘的中药复方制剂及所用中药组合物
CN102038778B (zh) 一种舒经活络、祛风除湿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80105857A (ko) 치질환 및 기타 항문 직장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질환 치료제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5982882B (zh) 一种光学活性原料组合物组方治疗痔疮的外用药及制备工艺
CN102028825A (zh) 一种含蒲公英的口腔溃疡贴片及其制备方法
CN115381912A (zh) 一种降低癌性疼痛的外用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WO2001064229A1 (fr) Medicament de traitement de l'obesite,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N114469971A (zh) 白头翁皂苷b5在制备治疗阳痿药物中的应用
CN101023952A (zh) 七叶皂苷在缓解腹胀和便秘的用途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KR101605711B1 (ko)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53855A (zh) 一种去除湿疹的熏香及其制备方法
CN105687797A (zh) 一种用于治疗烧烫伤的药物制剂及其用途
CN106539804B (zh) 一种用于缓解骨关节炎疼痛的分子中药霜剂及其制备方法
CN105944104B (zh) 一种治疗消化道溃疡的药物组合物
CN114652732B (zh) 白头翁皂苷b4在制备治疗阳痿药物中的应用
JPH06107553A (ja) 鎮痛機能を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05

Effective date: 201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