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214A -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 Google Patents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214A
KR20120102214A KR1020110020202A KR20110020202A KR20120102214A KR 20120102214 A KR20120102214 A KR 20120102214A KR 1020110020202 A KR1020110020202 A KR 1020110020202A KR 20110020202 A KR20110020202 A KR 20110020202A KR 20120102214 A KR20120102214 A KR 2012010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flammatory
analgesic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우영
김진희
신현구
Original Assignee
현우영
김진희
신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우영, 김진희, 신현구 filed Critical 현우영
Priority to KR102011002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214A/ko
Publication of KR2012010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61K31/24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having an amino or nitro group
    • A61K31/245Amino benzoic acid types, e.g. procaine, nov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소염 진통작용과 상처치유 효과가 탁월한 한방재에 의해 부작용 없이 치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1 중량부에 대해 옥시부프로카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를 0.1 ? 10 중량부 함유된 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에 약쑥 80 ? 85중량%, 맥문동 0.2 ? 0.3중량%, 당귀 2 ? 3중량%, 백봉령 0.5 ? 0.7중량% 인삼 5 ? 7중량%, 강활 0.7 ? 09중량%, 울금 0.5 ? 07%, 오미자 1 ? 2중량% 우슬 3 ? 5중량%, 계피 0.2 ? 0.5중량%를 포함하는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A Medicine for External Application of Natural and Oriental Herb Complex}
본 발명은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소염 진통작용과 상처치유 효과가 탁월한 한방재에 의해 부작용없이 치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소염 진통 외용제란 먹는 약이 아니라 피부에 바르는 약으로서, 약물이 일정한 속도로 피부를 투과하여 약효를 지속적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약물의 방출속도와 피부투과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계된 제제(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이다.
지금까지 부작용이 많은 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대신에 많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가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들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는 우수한 소염?진통 효과를 발휘하지만, 경구 투여에 의해서는 위장 장애의 부작용이 강하여, 따라서 부작용을 경감시킨 투여 경로로서의 경피 흡수 제제가 검토되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를 함유하는 외용제로서, 예를 들어 연고제, 경고(硬膏)제 (스틱제), 파프제, 테이프제, 현탁제, 유제,로션제 등의 액제, 에어로졸제 등의 개발이 진행되었고, 이미 몇 가지의 제제가 임상적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의 경피 흡수성은 그다지 높은 것은 아니어서, 외용제로서 투여한 경우에는 경구 투여와 비교하여 그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제제 중으로의 유효 성분인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의 함유량을 높이거나 경피 흡수 촉진제를 배합하거나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그 검토의 하나로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에 국소 마취제를 첨가하여 경피 흡수성 등의 향상을 도모하는 제안이 이루어졌다 (특허문헌 1 ? 6).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인, 예를 들어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등과 함께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 또는 벤조카인 등을 배합한 외용 첩부(貼付)제가 제안되어 있으며, 특히 만성 관절 류머티즘이나 변형성 관절증, 요통증 등의 염증을 수반하는 통증의 진통 효과가 우수한 외용 첩부제인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디클로페낙나트륨과 국소 마취제인 리도카인 또는 벤조카인 등을 배합한 외용제가 제안되어 있고, 특허문헌 3 에는 피록시캄과 함께 리도카인을 배합한 외용제가, 또한 특허문헌 4 ? 6 에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인 예를 들어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등과 함께 국소 마취제인 리도카인 또는 테트라카인 등을 배합한 외용 첩부제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안되어 있는 외용제는 예를 들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의 피부 자극성을 경감시키는 것, 혹은 조직 중에서의 약물의 침투성이나 확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가 갖는 소염?진통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외용제인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생각해 본 경우에는, 이들 외용제에 있어서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가 갖는 소염?진통 효과는 그다지 높은 것은 아니어서 추가적인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국제 공개 WO 01/47559호
(특허문헌 000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5663호
(특허문헌 000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23632호
(특허문헌 000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23502호
(특허문헌 000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68035호
(특허문헌 000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59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가 갖는 소염?진통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면서 첩부 부위에 있어서의 피부 자극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만성 관절 류머티즘이나 변형성 관절증 및 요통 등의 염증을 수반하는 통증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갖는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1 중량부에 대해 옥시부프로카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를 0.1 ? 10 중량부 함유된 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에 약쑥 80 ? 85중량%, 맥문동 0.2 ? 0.3중량%, 당귀 2 ? 3중량%, 백봉령 0.5 ? 0.7중량% 인삼 5 ? 7중량%, 강활 0.7 ? 09중량%, 울금 0.5 ? 07%, 오미자 1 ? 2중량% 우슬 3 ? 5중량%, 계피 0.2 ? 0.5중량%를 포함하는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는 약쑥이 주원료인 한방재에 의해 치료가 이루어지게되어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한방재에 의해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몸의 원기가 원활하게 회복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인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의 기본은 약효 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와 옥시부프로카인 및 약쑥이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제이다.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로는,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펠비낙, 부펙사막, 수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디클로페낙, 이부프로펜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서 선택되는화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 이들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는 1 종만이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에 따라 그리고 목적으로 하는 외용제의 제형에 따라 상이하지만, 약물 함유 제제 전체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4 중량% 이다.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해도 그 이상의 효과는 바랄 수 없고, 오히려 부작용이 발현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이들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와 함께 배합되는 옥시부프로카인은 국소 마취제로서 개발되어, 표면, 침윤, 전달 마취 작용을 가지며, 주로 안과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 마취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다.
또한, 상기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및 옥시;부프로카인과 함께 배합 생약제는 약쑥 80 ? 85중량%, 맥문동 0.2 ? 0.3중량%, 당귀 2 ? 3중량%, 백봉령 0.5 ? 0.7중량% 인삼 5 ? 7중량%, 강활 0.7 ? 09중량%, 울금 0.5 ? 07%, 오미자 1 ? 2중량% 우슬 3 ? 5중량%, 계피 0.2 ? 0.5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배합되고 있는 약쑥은 단군신화에 나올 정도로 한국인들에게 필수적인 건강 식품이다.
약쑥에는 무려 100여 가지나 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는데,
10개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2005년부터 3년간 연구, 분석한 결과 위장병 개선, 암세포 및 고지혈증 억제, 간장 보호, 항당뇨 및 신경통이나 관절염등에 탁월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쑥 80 ? 85중량%를 포함한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를 어깨나 뒷목 및 허리나 무릎에 부착하면, 피부를 통하여 중추신경 및 두뇌를 자극하여 스트레스나 노동으로 인한 심신피로를 진정시켜주며, 근육이완과 근육 뭉침으로 인해 오는 통증을 완화시켜 줌과 동시에 위장병 개선, 암세포 및 고지혈증 억제, 간장 보호, 항당뇨 및 신경통이나 관절염등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인삼은 과거 수천년 전부터 신비의 영약으로 불려져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구소련의 약리학자 브레크만(Brekhman) 박사는 1975년 인삼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그때까지의 인삼에 대한 생리학적, 생물학적 및 화학적 연구결과를 총정리하였다.
인삼은 강장효과, 피로방지효과, 작업능률 증진 및 중추신경에 대한 흥분과 진정작용이 있고, 이는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배당체 사포니 성분에 기인한다고 함으로써 인삼에 대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인삼 배당체 사포니에는 항암, 피로회복, 항산화, 항당뇨, 항염증, 조혈기능 촉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인삼 5 ? 7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한 결과 신경통증 진정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과 함께,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약리학적으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당귀 2 ? 3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한 결과 관상동맥의 혈류량 촉진시켜 신경통이나 관절염등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백봉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버섯으로서, 활성탄이나 스펀지 모양의 미세한 구공이 많이 생긴 식이섬유로 활성화되어 영양소를 흡착하여 서서히 방출시키면서 세포완전연소로 영양소가 간장에서 지방으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백봉련의 효능중에는 진정작용이 있는데 비허로 붓거나 담음병에 걸렸을 때 치료제로 쓰이는 약제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백봉련 0.5 ? 0.7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붓기가 가라 앉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강활은 발산 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과 전신통 및 오한, 열 등의 증상에 사용되는 약재로써, 풍한습으로 인한 관절통, 근육경련마비, 견갑배통, 구안와사, 수족을 못 쓰고 말을 못 하는 증상에도 활용되며, 피부궤양 및 창진 초기에 오한, 발열, 동통이 있고 땀이 없는 증상에도 쓴다.
주사액은 해열, 진통작용이 있고 피부진균을 억제한다.
정유성분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발병하는 심장 근육 결혈 치료와 심장 근육 영양성 혈류량 증가에 효험을 보이므로 실험성 신장 이상 작용에 저항력을 얻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강활 0.7 ? 09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관절통, 근육경련마비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울금은 동의보감에는 강황이라는 항목으로 설명 기를 소통시키고 울채된 것을 풀어주며 피의 열을 내려주고 어혈을 치료한다고 나와있다.
열병에 의한 정신 혼미,토혈,코피,혈뇨,활달 등을 치료 급체나 치질등에 쓰인다고 나와있다.
본초강목에는 기가 떨어지고 혈액이 막힌곳 조정 "모든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으로 기록 되어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울금 0.5 ? 07%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황산화작용 노화예방향염 향균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오미자(五味子)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의 관목이며 잎은 도란형으로 끝은 급히 뽀쪽하고 치아 모양의 거치가 있다.
그리고 잎 뒷면에서 약간 털이 있고 꽃은 홍백색으로 6~7월에 피며 과실은 장과(漿果)로서 이삭 모양으로 9월에 붉게 익는다.
이 열매는 약용으로 쓰는 것이다.
중국, 일본, 대만 등과 우리나라 전역의 산약에 많이 자생하는 이 나무는 덩굴성 목본식물이다.
오미자와 열매는 독특한 방향과 신맛이 있으며 속칭 다섯가지 맛이 난다고 오미자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
껍질은 달콤하고 살은 시며 씨는 맵고 쓰고 떨은맛이 나며 잘 익은 열매는 단맛이 있고 독특한 향기가 난다.
이것을 합한 맛이 아주 좋기 때문에 사람들이 산에 올라가서 즐겨 따먹고 있는 열매이다.
성분으로는 정유(精油), 유기산으로 말레인산(malicacid), 주석산(tartaric acid), 시트랄(citral), 시잔드린(schizandrin), 차미그렌(chamigrene), 차미그레날(chamigrenal)의 성분을 가지고 있다.
약용식물사전(藥用植物事典) 에 보면 열매는 한방에서 내복하면 폐허해(肺虛該) 역상기요약(逆上氣要藥)으로 자양강장제, 진해거담제 또는 수렴제로 정(精)을 증진시켜 내분비의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고 한다.
본초서(本草書)에서는 허로(虛勞)와 몸을 보(補)하고 눈을 밝게 하고 신장을 데우며 음(陰)을 강 하게 하고 남자의 겅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소갈을 그치고 번열(煩熱)을 없앤다.
심혈관 계통에 있어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피의 순환장애를 개선시키며, 중추신경계통의 반응성을 높여 뇌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기능을 안정시켜 치매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사고력과 집중력을 증대시킨다.
한의학적으로도 오미자는 폐를 돕는 효능이 뛰어난데, 만성기관지확장증 환자의 기침과 천식에 매우 잘 듣고, 공기가 탁한 환경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기침, 가래 증상에 효과적이다.
아이가 기침을 자주 할 때 오미자 우린 물을 꾸준히 먹이면 효험이 있다.
이밖에 혈당치를 떨어뜨려 당뇨병 환자의 갈증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항 피로 효과가 뛰어나서 건강한 사람도 오미자를 먹으면 약 30분이 지나 정신적 및 육체적 활동력이 높아지고 피로를 덜 느끼게 되는데 이 효과는 3?4시간 계속된다.
감기에 걸렸을 때 오미자를 설탕에 담아 숙성시킨 후 그 농축액을 먹으면 감기예방, 면역력 증강에 도움이 되며, 체력을 비축시키는 가을 보약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오미자 1 ? 2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면역력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계피는 관절의 통증 특히 상지의 통증인 목디스크나 어깨관절통 등에 다용합니다.
또한 따뜻한 성질이 있어 찬 것을 흩어 버리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산한지통(散寒止痛)의 효능이 있어 속이 냉하면서 복통이 있거나 손발이 찬 경우, 생리통 등을 치료해 준다.
계피는 따뜻한 기운을 하부로 작용하게 해 복부의 여러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크며, 따뜻한 기운을 상부로 작용하게 해 상지의 관절 질환에 다양하게 쓰인다.
약리학적으로 계피에 함유된 신남알데히드는 심장 운동을 흥분시켜 수축력과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며 관상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신경을 흥분시키는 효능이 있어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장내의 이상 발효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항균작용도 있는데, 특히 그람양성균에 대한 억제 작용이 강하다.
또한 충치를 일으키는 치아우식 원인균들의 성장을 평균 80% 이상 억제하며, 항산화 효과와 항암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는 장거리운전 때 졸음을 쫓고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계피의 향이 장거리운전에서 오는 피로감을 덜어주고 각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에 계피 0.2 ? 0.5중량%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목디스크나 어깨관절통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계자 0.2중량%, 맥문동 0.2중량%을 배합하여 근육통, 관절통, 골절통, 요통, 견통, 신경통, 류마티스통 등에 탁월한 효과가 나탈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외용제로는, 피부의 질환부 표면에 유효 성분을 직접 투여할 수 있는 제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연고제, 액제 (현탁제, 유제, 로션제 등), 파프제,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및 외용산제 등의 제제로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제제를 조제할 때,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그리고 옥시부프로카인 이외에, 통상의 외용제를 조제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종 배합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로션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등의 기제 ;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 ;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 파라하이드 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안정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pH 조정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또, 파프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점착 부여제 ; 황산알루미늄, 황산칼륨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아세테이트 등의 가교제 ;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마크로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류 ;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등의 계면 활성제 ; 1-멘톨 등의 향료 ;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안정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pH 조정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테이프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블록 공중합체) 나 아크릴 수지 등의 점착제 ;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계 수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 ; 액상 고무, 유동 파라핀 등의 연화제 ;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 ;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 올레산 등의 흡수 촉진제 ;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등의 계면 활성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또,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나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함수 가능한 고분자와 소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함수 테이프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추가로 원하는 바에 따라 안정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pH 조정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고제?크림제?겔제?현탁제?유제?액제 및 로션제 등의 조제에 사용되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 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기제 ;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세바크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 ;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 추가로 각종 안정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외용산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탤크, 산화아연 등의 부형제 또는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추가로 원하는 바에 따라 각종 안정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외용제를 조제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제형에 따라 각 성분 및 필요에 따라 기제 성분을 충분히 혼련하는 등의 통상의 외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또, 파프제 및 테이프제의 조제에 있어서는, 혼련한 혼합물을 이형지 상에 전연 (展延), 건조시키고, 추가로 유연한 지지체와 첩합 (貼合) 시키고, 원하는 크기로 재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외용제는, 예를 들어 연고제, 액제 (현탁제, 유제, 로션제 등), 에어로졸제 및 외용산제의 경우에는, 피부 환부에 도포 등에 의해 직접 적용하거나, 혹은 천 등의 지지체에 도포 또는 함침시켜 적용하거나 하는 등의 통상의 사용 방법에 의해 사용된다.
또, 파프제 혹은 테이프제의 경우에는, 이들 제제를 피부 환부에 직접 첩부하는 방법에 의해 사용된다.

Claims (1)

  1.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진통제 1 중량부에 대해 옥시부프로카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를 0.1 ? 10 중량부 함유된 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에 약쑥 80 ? 85중량%, 맥문동 0.2 ? 0.3중량%, 당귀 2 ? 3중량%, 백봉령 0.5 ? 0.7중량% 인삼 5 ? 7중량%, 강활 0.7 ? 09중량%, 울금 0.5 ? 07%, 오미자 1 ? 2중량% 우슬 3 ? 5중량%, 계피 0.2 ? 0.5중량%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KR1020110020202A 2011-03-08 2011-03-08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KR20120102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02A KR20120102214A (ko) 2011-03-08 2011-03-08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02A KR20120102214A (ko) 2011-03-08 2011-03-08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14A true KR20120102214A (ko) 2012-09-18

Family

ID=4711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02A KR20120102214A (ko) 2011-03-08 2011-03-08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22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5316A (zh) * 2013-11-12 2014-02-19 王宗理 一种治疗疼痛的祛瘀止痛散及其制备方法
CN104257806A (zh) * 2014-10-14 2015-01-07 刘峰 治疗甲沟炎的外敷中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5316A (zh) * 2013-11-12 2014-02-19 王宗理 一种治疗疼痛的祛瘀止痛散及其制备方法
CN104257806A (zh) * 2014-10-14 2015-01-07 刘峰 治疗甲沟炎的外敷中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gyu et al. The medicin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abuckthorn
WO2015163316A1 (ja) 末梢神経障害の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WO2014010658A1 (ja) ヒハツ配合製剤
CN106890269A (zh) 一种治疗化疗药物诱导性周围神经病变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用途
CN104645077A (zh) 防治缺血性脑血管病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20102214A (ko) 한방복합 생약 소염 진통 외용제
CN107596355A (zh) 一种医用镇痛、消肿、退热的外用凝胶剂及其制备方法
RU2240131C1 (ru) Средство "артровит"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артритов и артрозов
WO2001064229A1 (fr) Medicament de traitement de l'obesite,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N114177160A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足贴及其制备方法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US1148456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natural mixture extracts
JP2005330199A (ja) 関節クリーム
CN110269926A (zh) 温中舒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504905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magnesium compound and/or a magnesium saltfor improving sexual dysfunction
CN102526252B (zh) 一种治疗颈椎病的蒙药枕
CN105816831B (zh) 一种外用敷贴治疗寒瘀骨痛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与应用
CN101991829B (zh) 一种治疗胃病的药物
CN108653431A (zh) 防治鼻炎的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和制剂
CN117338889B (zh) 防治血瘀证的精油组合物及其用途
CN116570700B (zh) 一种具有抑菌、消炎、祛痘功效的中药制剂及其应用
CN102000214B (zh) 一种治疗疱疹的中草药剂
RU2133096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пари" и способ ее употребления
Barker et al. Naturopathic pain management
KR20050055302A (ko) 고려인삼 한방 패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