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765A -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765A
KR20220098765A KR1020227019266A KR20227019266A KR20220098765A KR 20220098765 A KR20220098765 A KR 20220098765A KR 1020227019266 A KR1020227019266 A KR 1020227019266A KR 20227019266 A KR20227019266 A KR 20227019266A KR 20220098765 A KR20220098765 A KR 2022009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ragment
sampling assembly
circuit board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리
후아 카오
젠싱 첸
무 퀴안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6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object to the sensi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원은 샘플링 어셈블리(1), 전지 모듈(M2), 전지군(M) 및 장치(D)에 관한 것이다. 샘플링 어셈블리(1)는 회로 기판(11) 및 연결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11)은 신호 수집부(112) 및 상기 신호 수집부(112)에 연결된 절연막(11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12)는 본체부(121) 및 연결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연결부(122)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신호 수집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높이 방향(Z)을 따라, 상기 연결부(122)는 제1 연결단편(122a) 및 제2 연결단편(12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단편(122a)은 상기 제2 연결단편(122b)과 연결되며; 높이 방향(Z)을 따라, 상기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한다.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1)의 회로 기판(11)은 연결 부재(12)를 통해 연결편(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연결 부재(12)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직접 용접할 필요가 없어, 과도한 용접 온도로 인한 회로 기판(11) 중의 전자 기기가 손상되는 위험을 줄임으로써, 전지 셀(5)의 전극 리드(51)에 대한 회로 기판(11)의 수집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용접이 생략되어 절연막(111)의 고온 내성 성능에 대한 요구가 낮아져, 절연막(11)의 비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
본원은 2019년 12월 31일에 제출되고 출원 번호가 201922495201.4이고, 발명 명칭이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원에 통합된다.
본원은 에너지 저장 기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군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지 모듈은 전지 셀을 포함하고, 인접된 전지 셀의 전극 리드는 연결편에 의해 연결되고, 전지 셀의 작업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며, 따라서 축열로 인해 전지 모듈의 온도 상승을 초래한다. 전지 모듈이 높은 효율을 갖게 하기 위해서, 전지 모듈의 온도를 상술한 정상 동작 온도 범위 내로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해당 전지 모듈은 FPC(Flexible Printed Circruit, FPC 로 약칭)를 통해 연결편의 전압을 샘플링하여 전지 셀의 동작 과정에서의 온도를 얻는다. 관련 기술에서, FPC와 연결편은 용접 연결되나, 용접 과정에서 온도가 높아, FPC 내부의 전자 기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써, FPC의 측정 정확도 및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원은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는 전지 셀에 대한 수집 정확도 및 신뢰성이 높다.
본원의 실시예의 제1 양태는 샘플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상기 샘플링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신호 수집부 및 상기 신호 수집부에 연결된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본체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호 수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단편 및 제2 연결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단편은 상기 제2 연결단편과 연결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신호 수집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단편과 제2 연결단편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집부에는 제2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단편은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신호 수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단편과 상기 제2 연결단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에는 제1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신호 수집부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단편은 복수의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을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끝단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고;
상기 끝단은 상기 절연막을 천공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단편에 대해 절곡될 수 있어, 상기 신호 수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단편과 상기 제2 연결단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는 복수의 절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구조체는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된 상기 절곡 구조체 사이에 간극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천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완충부와 연결되고, 상기 천이부는 상기 완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에는 보강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구조체는 호형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재질은 구리 니켈 합금을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제2 양태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전지 모듈은: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 셀;
상기 전지 셀의 상기 전극 리드에 연결되는 연결편;
상술한 샘플링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샘플링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편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위치 제한 구조체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편에는 위치 제한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는 상기 위치 제한홀과 협동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제3 양태는 전지군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전지군은,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박스바디;
상술한 전지 모듈;
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수용 캐비티에 수용된다.
본원의 실시예의 제4 양태는 전지 셀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술한 전지 모듈, 또는 상술한 전지군;
을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의 회로 기판은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연결 부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즉, 해당 회로 기판과 연결편은 직접 용접할 필요가 없어, 과도한 용접 온도로 인한 회로 기판 중의 전자 기기가 손상되는 위험을 줄임으로써, 전지 셀의 전극 리드에 대한 회로 기판의 수집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회로 기판과 연결편 사이의 용접이 생략되어, 절연막의 고온 내성 성능에 대한 요구가 낮아져, 즉, 절연막은 낮은 고온 내성 성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어, 절연막의 비용을 절감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할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원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하는 첨부 도면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한다. 아래 설명 중의 도면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어떠한 창조적 노력 없이도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특정 실시예에서 본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특정 실시예에서 도 1의 전지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서 도 2의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 부분의 부분 확대도로서, 여기서 제1 연결단편은 초기 상태이다.
도 6은 도 3의 I 부분의 부분 확대도로서, 여기서, 제1 연결단편은 연결된 상태이다.
도 7은 도 4의 샘플링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 부분의 부분 확대도로서, 여기서, 신호 수집부는 제1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7의 II 부분의 부분 확대도로서, 여기서 신호 수집부는 제2 실시예이다.
도 10은 제1 특정 실시예에서 본원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제2 특정 실시예에서 본원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여기서, 제1 연결단편은 초기 상태이다.
도 12는 제3 특정 실시예에서 본원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여기서 제1 연결단편은 연결 상태이다.
도면부호 설명:
D-장치;
M-전지군;
M1-박스바디;
M11-상부 박스바디;
M12-하부 박스바디;
M13-수용 캐비티;
M2-전지 모듈;
1-샘플링 어셈블리;
11-회로 기판;
111-절연막;
111a-제1 절연막;
111b-제2 절연막;
111c-제1 관통홀;
112-신호 수집부;
112a-샘플링 라인;
112b-전도성 시트;
112c-제2 관통홀;
12-연결 부재;
121-본체부;
121a-위치 제한 구조;
122-연결부;
122a-제1 연결단편;
122b-제2 연결단편;
122c - 가이드 홈;
122d-수용 캐비티;
122e-끝단;
123-완충부;
123a-절곡 구조;
123b-간극;
124-천이부;
124a-강화 구조;
2-연결편;
21-위치 제한홀;
3-끝판;
4-측판;
5-전지 셀;
51-전극 리드.
상기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원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명세서와 함께 본원의 원리를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본원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단지 일부 실시예임이 명백해야 한다. 본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동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원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태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이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일 뿐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가 있다. 또한, 본원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개체가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 "하", "좌", "우" 등의 방위어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각도로 설명된 것으로, 본원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상" 또는 "하"에 있다고 언급될 때, 이는 다른 요소 "상" 또는 "하"에 직접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요소를 통해 다른 요소 "상" 또는 "하"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실시예는 전지 셀(5)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D), 전지군(M) 및 전지 모듈(M2)을 제공하며, 여기서, 전지 셀(5)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D)는 차량, 선박, 소형 항공기 등 이동 기기를 포함하고, 해당 장치(D)는 장치(D)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을 포함하고, 해당 동력원은 장치(D)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지 모듈(M2)(또는 전지군(M))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장치(D)의 구동력은 모두 전기 에너지일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 및 다른 에너지원(예: 기계적 에너지)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해당 동력원은 전지 모듈(M2)(또는 전지군(M))일 수 있으며, 해당 동력원은 전지 모듈M2(또는 전지군(M))와 엔진 등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전지 셀(5)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D)는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예로 들면, 본원의 실시예의 장치(D)는 신에너지 자동차일 수 있고, 해당 신에너지 자동차는 순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또는 주행거리 연장 전기 자동차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차량은 전지군(M)과 차량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전지군(M)은 차량 본체에 설치되고, 해당 차량 본체에는 구동 모터가 더 설치되고, 구동 모터는 전지군(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지군(M)은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고, 구동 모터는 전동 기구를 통해 차량 본체의 바퀴와 연결되어 차량의 구동시켜 주행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전지군(M)은 차량 본체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군(M)은 박스바디(M1) 및 본원의 전지 모듈(M2)을 포함하고, 여기서, 박스바디(M1)는 수용 캐비티(M13)를 가지며, 전지 모듈(M2)은 수용 캐비티(M13) 내에 수용되고, 전지 모듈(M2)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전지 모듈(M2)은 수용 캐비티(M13) 내에 배열하여 설치된다. 박스바디(M1)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형 박스바디, 원판형 박스바디, 상자형 박스바디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박스바디(M1)는 전지 모듈(M2)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박스바디(M12) 및 하부 박스바디(M12)를 덮는 상부 박스바디(M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지 모듈(M2)은 복수의 전지 셀(5) 및 전지 셀(5)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전지 셀(5)은 길이 방향(X)을 따라 적층된다. 해당 프레임 구조는 끝판(3)을 포함하고, 끝판(3)은 전지 셀(5)이 적층된 후 길이 방향(X)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전지 셀(5)의 길이 방향(X)에서의 이동을 제한한다. 동시에,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해당 프레임 구조는 측판(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양 측판(4)은 전지 셀(5)이 적층된 후 폭 방향(Y)의 양측에 위치하며, 해당 측판(4)은 끝판(3)과 연결되어 프레임 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전지 셀(5)은 전극 리드(51)를 포함하고, 각 전지 셀(5)은 정극 리드 및 부극 리드를 포함하고, 전지 모듈에서, 복수의 전지 셀(5)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직렬, 병렬 또는 혼합 연결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지 셀(5)의 전극 리드(51) 사이는 연결편(2)을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지 셀(5)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전지 셀(5)의 정극 리드와 다른 인접된 전지 셀(5)의 부극 전극 리드는 연결편(2)을 통해 연결된다.
동시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지 모듈(M2)은 샘플링 어셈블리(1)를 더 포함하고,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1)는 전지 셀(5)의 작동 과정에서의 온도 및 전압 등 신호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며, 수집된 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출력하고,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1)는 연결편(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결편(2)을 통해 전지 셀(5)에 대한 정보 수집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1)는 회로 기판(11) 및 연결 부재(12)를 포함하고, 여기서, 회로 기판(11)은 신호 수집부(112) 및 해당 신호 수집부(112)에 연결된 절연막(111)을 포함한다. 해당 신호 수집부(112)는 전지 셀(5)의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며, 절연막(111)은 신호 수집부(112)에 절연 보호를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는 회로 기판(11)과 연결편(2)을 연결하여, 전지 셀(5)의 전극 리드(51)와 회로 기판(11)이 연결 부재(12) 및 연결편(2)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며, 이로써, 전지 셀(5)의 정보 수집을 구현한다.
여기서, 도 5,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는 본체부(121)와 연결부(122)를 포함하고, 해당 본체부(121)는 연결부(122)와 연결되고, 해당 연결 부재(12)는 신호 수집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높이 방향(Z)을 따라, 연결부(122)는 제1 연결단편(122a) 및 제2 연결단편(122b)을 포함하고, 제1 연결단편(122a)은 제2 연결단편(122b)과 연결되며, 높이 방향(Z)을 따라, 신호 수집부(112A)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샘플링 어셈블리(1)의 회로 기판(11)과 연결편(2)은 연결 부재(1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연결 부재(12)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즉, 해당 회로 기판(11)과 연결편(2)은 직접 용접할 필요가 없어, 과도한 용접 온도로 인해 회로 기판(11) 상의 전자 기기가 손상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전지 셀(5)의 전극 리드(51)에 대한 회로 기판(11)의 수집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회로 기판(11)과 연결편(2) 사이의 용접이 생략되어, 절연막(111)의 고온 내성 성능에 대한 요구가 낮아진다. 즉, 절연막(111)은 고온 내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어, 절연막(111)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여기서, 해당 회로 기판(11)이 연결 부재(12)와 연결되는 경우, 높이 방향(Z)을 따라,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122)의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하고, 따라서, 제1 연결단편(122a) 및 제2 연결단편(122b)을 통해 신호 수집부(1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 수집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집부(112)에는 제2 관통홀(112c)이 설치되고, 연결부(122)의 제1 연결단편(122a)은 제2 관통홀(112c)을 관통하여,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단편(122a)은 제2 관통홀(112c)을 통과한 후, 연결부(122)와 신호 수집부(112)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수집부(112)에 제2 관통홀(112c)을 설치함으로써, 연결부(122)와 신호 수집부(112)의 연결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고, 신호 수집부(112)의 완전성을 향상시켜, 신호 수집부(112)의 변형 및 파손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절연막(111)에는 제1 관통홀(111c)이 설치되고, 샘플링 어셈블리(1)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연결부(12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관통홀(111c)을 관통하고, 신호 수집부(1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2) 및 절연막(111)은 두께 방향(Z)을 따라 배치되고, 절연막(111)에 제1 관통홀(111c)을 설치함으로써, 연결 부재(12)의 연결부(122)가 두께 방향(Z)을 따라 해당 제1 관통홀(111c)을 통과하고 샘플링 어셈블리(1) 내로 진입하여 신호 수집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해당 제1 관통홀(111c)을 설치함으로써, 신호 수집의 구현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께 방향(Z)을 따라 연신된 제1 연결단편(122a)은 제2 관통홀(112c)을 통과한 후, 신호 수집부(112)에 대해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된 후, 두께 방향(Z)을 따라, 해당 제1 연결단편(122a)은 신호 수집부(112)와 맞닿아 접촉하고, 및/또는, 제2 연결단편(122b)은 신호 수집부(112)와 맞닿아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신호 수집부(112)에는 2개의 제2 관통홀(112c)이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제2 관통홀(112c)은 이격되어 분포된다. 상기 연결부(122)는 이격되어 설치된 2개의 제1 연결단편(122a)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1 연결단편(122a)은 각각 2개의 제2 관통홀(112c) 관통할 수 있으며, 신호 수집부(112)에 대해 절곡되고, 2개의 제1 연결단편(122a)은 서로를 향해 절곡된다. 2개의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둘러싼 구조를 형성하고, 양자가 둘러싸여 수용 캐비티(122d)을 형성하며, 2개의 제2 관통홀(112c) 사이의 신호 수집부(112)는 해당 수용 캐비티(122d)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조의 연결 부재(12)와 신호 수집부(112) 사이의 연결 면적이 커서, 양자의 연결 신뢰성 및 신호 수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수집부(112)에 제2 관통홀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해당 신호 수집부(112)는 도전성 시트(112b) 및 샘플링 라인(1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샘플링 라인(112a)은 전지 셀(5)의 신호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도전성 시트(112b)는 샘플링 라인(11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샘플링 라인(112a)은 도전성 시트(112b)의 연결 부재(12)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샘플링 라인(112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122d) 사이에 위치하며, 이로써, 연결 부재(12)와 샘플링 라인(112a)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해당 신호 수집부(112)에 샘플링 라인(112a)을 설치함으로써, 신호 수집부(112)와 연결 부재(12) 사이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고, 양자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의 연결부(122)에서, 제1 연결단편(122a)은 복수의 끝단(122e)을 포함하고, 회로 기판(11)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끝단(122e)의 단면 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연결 부재(12)가 회로 기판(11)에 연결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끝단(122e)은 회로 기판(11)의 절연막(111)을 천공할 수 있고, 제2 연결단편(122b)에 대해 절곡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회로 기판(11)의 절연막(111)에는 미리 제1 관통홀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연결 부재(12)가 회로 기판(11)에 연결될 때, 연결 부재(12)의 끝단(122e)으로 절연막을 천공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12)와 회로 기판(11)의 연결 위치는 제1 관통홀의 위치의 제한을 받지 않음으로, 연결 부재(12)를 회로 기판(11)에 연결하는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수집부(112)에는 제2 관통홀(112c)을 설치할 수 있고, 끝단(122e)이 절연막(111)을 천공한 후, 제2 관통홀(112c)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 수집부(112)에 연결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신호 수집부(112)에는 제2 관통홀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 해당 신호 수집부(112)는 도전성 시트(112b) 및 샘플링 라인(1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샘플링 라인(112a)은 전지 셀(5)의 신호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도전성 시트(112b)는 샘플링 라인(11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샘플링 라인(112a)은 도전성 시트(112b)의 연결 부재(12)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끝단(122e)이 절연막(111)을 천공한 후, 샘플링 라인(112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해당 샘플링 라인(112a)의 적어도 일부는 끝단(122e)과 제2 연결단편(112b) 사이에 위치하여, 샘플링 라인(112a)과 끝단(122e)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의 제2 연결단편(122b)에는 가이드 홈(122c)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연결 부재(12)의 연결부(122)는 복수의 끝단(122e)을 포함할 수 있으며, 2열의 서로 평행되는 끝단(122e)을 포함하고, 2열의 끝단(122e)은 모두 복수의 이격되어 설치된 끝단(122e)을 포함하며, 2열의 끝단(122e)은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된 후, 해당 끝단(122e)과 가이드 홈(122c)의 바닥벽 사이에 기설정된 공간을 갖고, 해당 기설정된 공간은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한 신호 수집부(112)(예: 샘플링 라인(112a))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는 완충부(123)를 더 포함하고, 해당 완충부(123)는 연결부(122)와 본체부(121)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와 연결되고, 해당 완충부(123)는 힘이 가해지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부(122)와 본체부(121)는 전지 모듈(M2)의 폭 방향(Y)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완충부(123)는 폭 방향(Y)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전지 모듈(M2)의 작동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해당 완충부(123)는 변형되어 연결 부재(12)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M2)의 작업 과정에서 팽창이 발생하면, 연결 부재(12)가 팽창력의 작용을 받으며, 이때, 완충부(133)는 변형되어 연결 부재(12)에 가해지는 팽창력을 완충시킬 수 있어, 연결 부재(12)와 회로 기판(11)이 차단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완충부(123)는 복수의 절곡 구조체(123a)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절곡 구조체(123a)는 높이 방향(Z)(샘플링 어셈블리(1)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돌출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1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결부(122)와 본체부(121)가 멀어지는 경향이 있는 경우, 해당 절곡 구조체(123a)가 변형될 수 있어, 연결부(122)와 본체부(121)의 변형을 보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부(122)와 본체부(121)의 당김에 의해 연결 부재(12)와 회로 기판(1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된 절곡 구조체(123a) 사이에는 간극(123b)을 구비하고, 해당 간극(123b)은 각 절곡 구조체(123a)를 서로 이격시켜, 완충부(123)가 용이하게 변형하도록 하며, 이로써, 연결 부재(12)와 회로 기판(1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인접된 절곡 구조체(123a) 사이의 간극(123b)은 연결 부재(12)의 무게를 감소시켜, 전지 모듈(M2)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는 천이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천이부(124)는 연결부(122)와 완충부(123)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천이부(124)는 구체적으로 원뿔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완충부(123)에서 연결부(122)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천이부(124)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여, 해당 천이부(124)의 양단이 완충부(123)와 연결부(122) 모두와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천이부(124)에는 연결부(122)와 천이부(124)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강 구조체(124a)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연결부(122)의 변형 위험성을 낮추고, 이로써, 연결부(122)와 회로 기판(1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해당 보강 구조체(124a)는 호형일 수 있고, 호형 구조의 보강 구조체(124a)는 응력 집중을 감소시켜, 연결 부재(12)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결 부재(12)의 본체부(121)에는 위치 제한 구조체(121a)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위치 제한 구조체(121a)는 구체적으로 하부로 연신되는 시트형 구조일 수 있다. 상응하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모듈(M2)의 연결편(2)에는 위치 제한홀(21)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위치 제한 구조체(121a)의 적어도 일부는 위치 제한홀(21)로 진입하여 위치 제한홀(21)과 협동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모듈(M2)에서, 높이 방향(Z)을 따라, 연결 부재(12)는 연결편(2)과 샘플링 어셈블리(1)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 부재(12)는 회로 기판(11)에 연결되며(기계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 포함), 동시에 해당 연결 부재(12)는 또한 연결편(2)과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연결편(2)과 회로 기판(11)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여, 회로 기판(11)이 연결편(2)을 통해 전지 셀(5)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2)와 연결편(2) 사이는 상술한 위치 제한 구조체(121a)와 위치 제한홀(21)의 협동을 통해 연결 부재(12)와 연결편(2)이 용접되기 전에 양자의 상대적 운동을 제한하여, 양자의 용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12)의 재질은 구리 니켈 합금(백동)일 수 있고, 구리 니켈 합금은 니켈을 주요 첨가 원소로 하는 구리계 합금이고, 니켈의 함량은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해당 연결 부재(12)의 재질이 구리 니켈 합금인 경우, 해당 연결 부재(12)는 높은 연성 및 강도를 가지므로, 압착이 용이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12)와 신호 수집부(112)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해당 연결 부재(12)는 연결편(2)에 용접될 수 있다(연결편(2)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연결 부재(12)와 연결편(2)는 높은 연결 신뢰성을 가지고, 신호 수집부(112)와도 높은 연결 신뢰성을 갖는다.
이상은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원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샘플링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11) 및 연결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11)은 신호 수집부(112) 및 상기 신호 수집부(112)에 연결된 절연막(11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12)는 본체부(121) 및 연결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연결부(122)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신호 수집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높이 방향(Z)을 따라, 상기 연결부(122)는 제1 연결단편(122a) 및 제2 연결단편(12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단편(122a)은 상기 제2 연결단편(122b)과 연결되며;
    높이 방향(Z)을 따라, 상기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단편(122a)과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집부(112)에는 제2 관통홀(112c)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단편(122a)은 상기 제2 관통홀(112c)을 통과하여, 상기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단편(122a)과 상기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111)에는 제1 관통홀(111c)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1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관통홀(111c)을 통과하여, 상기 신호 수집부(1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단편(122a)은 복수의 끝단(122e)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11)을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끝단(122e)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고;
    상기 끝단(122e)은 상기 절연막(111)을 천공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단편(122b)에 대해 절곡될 수 있어, 상기 신호 수집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단편(122e)과 상기 제2 연결단편(1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2)는 완충부(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123)는 상기 연결부(122)와 상기 본체부(121)에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123)는 복수의 절곡 구조체(123a)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구조체(123a)는 높이 방향(Z)을 따라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인접된 상기 절곡 구조체(123a) 사이에 간극(123b)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2)는 천이부(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완충부(123)와 연결되고, 상기 천이부(124)는 상기 완충부(123)와 상기 연결부(122)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124)에는 보강 구조(124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구조(124a)는 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12)의 재질은 구리 니켈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링 어셈블리.
  10. 전지 모듈(M2)에 있어서,
    전극 리드(51)를 포함하는 전지 셀(5);
    상기 전지 셀(5)의 상기 전극 리드(51)에 연결되는 연결편(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샘플링 어셈블리(1);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샘플링 어셈블리(1)는 상기 연결 부재(12)를 통해 상기 연결편(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1)에는 위치 제한 구조체(121a)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편(2)에는 위치 제한홀(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121a)는 상기 위치 제한홀(21)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2. 전지군(M)에 있어서,
    수용 캐비티(M13)를 구비하는 박스바디(M1);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 모듈(M2);
    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지 모듈(M2)은 상기 수용 캐비티(M13)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군.
  13. 전지 셀(5)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D)에 있어서,
    상기 장치(D)는,
    상기 장치(D)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전지 모듈(M2), 또는 제12항에 따른 전지군(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27019266A 2019-12-31 2020-09-29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 KR20220098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2495201.4 2019-12-31
CN201922495201.4U CN211320199U (zh) 2019-12-31 2019-12-31 采样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PCT/CN2020/119086 WO2021135475A1 (zh) 2019-12-31 2020-09-29 采样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765A true KR20220098765A (ko) 2022-07-12

Family

ID=7207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266A KR20220098765A (ko) 2019-12-31 2020-09-29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23930A1 (ko)
EP (1) EP3930090A4 (ko)
JP (1) JP7414998B2 (ko)
KR (1) KR20220098765A (ko)
CN (1) CN211320199U (ko)
WO (1) WO2021135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0520A (zh) * 2019-10-21 2021-02-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组件、电池模块、电池组和装置
CN211320199U (zh) * 2019-12-31 2020-08-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CN114156551A (zh) * 2021-11-26 2022-03-08 冯凯 电池系统和电池系统的控制方法
CN217787321U (zh) * 2022-04-28 2022-11-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组件、电池及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568A (ja) 2001-09-05 2003-03-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ピアシング端子の接続構造
CN105122498B (zh) 2013-02-18 2017-05-10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电池块和二次电池组件
JP6579375B2 (ja) 2015-10-23 2019-09-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検知端子及び検知端子の製造方法
CN205609644U (zh) * 2016-03-25 2016-09-28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组采样连接组件
CN107403889B (zh) * 2016-05-20 2020-06-30 莫列斯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
CN107403899B (zh) * 2016-05-20 2020-05-08 莫列斯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
CN207156976U (zh) * 2017-09-12 2018-03-3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组件及电池管理装置
CN207426196U (zh) * 2017-09-20 2018-05-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件、电连接组件及用于电池包内电连接和管理的装置
CN207459047U (zh) * 2017-11-29 2018-06-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09004167B (zh) * 2018-06-15 2023-12-0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09638209A (zh) * 2018-12-17 2019-04-16 安捷利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具有折弯结构的电池信号采集线束及其折弯工艺
CN209730082U (zh) * 2019-01-30 2019-12-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电路板及电池模组
CN211320199U (zh) * 2019-12-31 2020-08-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0090A1 (en) 2021-12-29
WO2021135475A1 (zh) 2021-07-08
CN211320199U (zh) 2020-08-21
JP7414998B2 (ja) 2024-01-16
EP3930090A4 (en) 2022-06-08
US20220223930A1 (en) 2022-07-14
JP2023504891A (ja)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8765A (ko) 샘플링 어셈블리, 전지 모듈, 전지군 및 장치
KR102102927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8780861B (zh) 电源装置
KR102395683B1 (ko) Fpcb에 실장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1217941B1 (ko) 이차 전지
KR20090127319A (ko) 전력 저장 전지를 결합하고 보관하기 위한 장치
JP2018067485A (ja) 電池パック
CN209766537U (zh) 电池模组及电动装置
US11942647B2 (en) Harness isolation plate assembl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device
KR20190106060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19501477A (ja) 電気エネルギー蓄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3193A (ja) 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車両
KR20220068237A (ko) 연결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
CN112272897A (zh) 包括设有浮动螺母的端子连接结构的电池模块及包括其的电池组
CN110337737A (zh) 电池模块
CN112470335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2321794B1 (ko) 양방향 체결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3674923B2 (ja) 燃料電池
JP4453424B2 (ja) 燃料電池用配線
CN217468609U (zh) 一种电池模组装置及电动车辆
CN217934130U (zh) 电池组件
CN217691575U (zh) 绝缘膜组件及电池装置
JP7386986B2 (ja) 接続ユニット、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装置
JP4453423B2 (ja) 燃料電池用配線
CN218101500U (zh) 电池模组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