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384A -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 Google Patents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384A
KR20220097384A KR1020227010568A KR20227010568A KR20220097384A KR 20220097384 A KR20220097384 A KR 20220097384A KR 1020227010568 A KR1020227010568 A KR 1020227010568A KR 20227010568 A KR20227010568 A KR 20227010568A KR 20220097384 A KR20220097384 A KR 2022009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multiphase
component
oily solid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타 아즈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2009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상을 구비하고, 화장료로서 높은 심미성을 갖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접하는 투명한 제1상과 투명한 제2상을 갖고, 상기 제1상이 성분 (A) 아미노산계 겔화제와, 제1 유제(油劑)를 함유하고, 상기 제2상이 성분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성분 (C) 염료와, 제2 유제를 함유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본 발명은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유성 고형 화장료는, 입술 화장료, 아이 컬러, 향료 조성물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화장료는, 피부에 다양한 색조 및 질감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특히 메이크업 화장료는 윤기, 투명감 및 착색성 등의 화장 효과, 2차 부착되기 어려운 등의 기능성에 더해, 화장을 행하는 것의 즐거움으로 이어지는 화장료 자체의 외관의 아름다움과 기능도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외관의 아름다움 또는 사용하는 즐거움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을 고화제(固化劑)로 한 투명한 유성 고형 화장료를 제공하는 기술(특허문헌 1), 및 N-아실아미노산 유도체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액상 유분(油分)에 의한 충분한 투명성을 나타내는 입술용 봉상 제제(棒狀製劑)를 제공하는 기술(특허문헌 2)이 있다. 또한, 이러한 투명한 유성 고형 화장료의 특징을 살려, 투명성을 갖는 제1 유성 고형 조성물 중에, 높은 적점(滴點)을 갖는 제2 유성 고형 조성물이 점재하는 화장료(특허문헌 3)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2430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6082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6-88932호 공보
그러나, 유성 고형 화장료의 투명성과 심미성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투명한 상을 구비하고, 화장료로서 높은 심미성을 갖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얻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銳意)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 성분을 함유하는 투명한 제1상과, 특정 성분 및 염료를 함유하는 투명한 제2상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서로 접하는 투명한 제1상과 투명한 제2상을 갖고,
상기 제1상이 성분 (A) 아미노산계 겔화제와, 제1 유제(油劑)를 함유하고,
상기 제2상이 성분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성분 (C) 염료와, 제2 유제를 함유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성분 (A)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및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제는,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제는,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상은, 상기 성분 (C)를 0.05 ∼ 0.3질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상기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상기 제2상을 내층으로 한 2층 스틱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한 상을 구비하고, 화장료로서 높은 심미성을 갖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가 얻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서로 접하는 투명한 제1상과 투명한 제2상을 갖고, 상기 제1상이 성분 (A) 아미노산계 겔화제와, 제1 유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2상이 성분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성분 (C) 염료와, 제2 유제를 함유한다.
(제1상)
제1상에 포함되는 성분 (A) 아미노산계 겔화제는, 분자 중에 아미드 결합을 갖고, 유제를 고화하는 것이며,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는, 유제를 투명하게 고화하여 유성 고형 화장료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성분 (A)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 (비스디알킬(C14-18)아미드(에틸렌디아민/수첨(水添) 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는, 바람직하게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및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및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를 포함한다.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계 유겔화제 GP-1(Ajinomoto Co., Inc.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계 유겔화제 EB-21(Ajinomoto Co., Inc.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제1상 중, 바람직하게는 1질량%(이하, 단순히 %라고 약기함)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성분 (A)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제1상 중,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다. 이 범위이면, 제1상은, 보다 우수한 투명성과 유제를 고화하는 성형성(특히 스틱상 등의 입체 형상에서의 성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상에 포함되는 제1 유제로서는, 예를 들면, 동물유, 식물유, 합성유 등이 기원인 액체유; 휘발성유 등의 탄화수소류; 유지류; 경화유류; 에스테르유류;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실리콘유류; 불소계 유류; 라놀린 유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등의 탄화수소류; 올리브유, 피마자유, 밍크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등의 유지류; 호호바유, 2-에틸헥산산세틸, 젖산이소스테아릴, 젖산옥틸도데실, 젖산올레일, 젖산스테아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로진산펜타에리트리트에스테르,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스테아르산,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베헨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 고중합도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메타크릴 변성 폴리실록산, 스테아릴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올레일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베헤닐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메틸폴리실록산·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알콕시 변성 폴리실록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류;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의 불소계 유제류;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알코올 등의 라놀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상에 포함되는 제1 유제로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유제의 함유량은, 제1상 중,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이 범위이면, 제1상의 투명성과 성형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유제가 고형유 및/또는 페이스트상유를 포함할 경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고형유 및 페이스트상유의 합계 함유량은, 제1상 중,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이다. 즉,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제1 유제는 고형유 및 페이스트상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상의 경도(硬度)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제1상의 경도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경도는, 용융(溶融)한 화장료를 병(jar) 용기에 충전하고, 25℃에서 12시간 정치하여 고화시킨 후, FUDOH 레오미터 RTC2002D(Rheotech Co., Ltd. 제품)를 이용하고, 3㎜φ 어댑터를 이용하여 6㎝/min으로 2㎜ 침입(針入)했을 때의 저항치로 했다.
(제2상)
제2상에 포함되는 성분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분자 중의 히드록시기가 지방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관능기를 갖는 것이며,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성분 (B)는, 유제를 굳힐 수 있다. 성분 (B)로서는, 예를 들면, 팔미트산덱스트린, 미리스트산덱스트린,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팔미트산덱스트린 및/또는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을 포함한다. 팔미트산덱스트린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오펄 KL2(chiba flour milling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오펄 TL2, 레오펄 TT2(chiba flour milling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제2상 중,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이상이다. 성분 (B)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제2상 중,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보다 우수한 성형성, 고온 환경 하에서의 안정성, 매끄러운 사용성 및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제2상에 포함되는 성분 (C) 염료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성분 (C)는,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란계의 유용성(油溶性) 염료를 포함한다. 플루오란계의 유용성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적색 218호 및 적색 223호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TPP 적색 218호 및 TPP 적색 223호(모두 kishi kasei co., ltd.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제2상 중,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성분 (C)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제2상 중,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다.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발색의 화장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이 되고, 즉, 피부 또는 입술에의 도포 시에 있어서의 염료의 발색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투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제2상에 포함되는 제2 유제의 예로서는, 상기 제1상에 포함되는 제1 유제로서 예시한 유제를 들 수 있다. 제2상에 포함되는 제2 유제는, 제1상에 포함되는 제1 유제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제2상에 포함되는 제2 유제는,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유제를 이용하면, 제2상 중에서의 성분 (C) 염료의 발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유제는, 외관이 무색 투명하며, 또한, 피부 또는 입술에 도포하여 비로소 착색을 나타내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제2상은, 제1상보다 부드럽고 부착성이 좋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즉, 제2상의 경도는, 제1상의 경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상의 경도의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제2상의 경도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제1상과 제2상을 갖고, 제1상과 제2상은 서로 접하도록 조합된다. 제1상과 제2상은 각각 유성 고형 화장료이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제1상 및 제2상 이외의 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제1상 및 제2상만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각 상의 형상은, 예를 들면, 각 상이 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 각 상이 규칙적으로 혹은 랜덤으로 늘어선 것 중 어느 상에 타방의 상이 분산하는 것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 상이 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상과 제2상의 수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이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1상과 1개의 제2상이 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2층 유성 고형 화장료이다.
제1상과 제2상은 모두 투명하며, 이들을 조합한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불투명한 다른 상을 갖지 않는 한, 투명한 것이다. 제1상과 제2상은 투명하면,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하다는 것은, 종 12.5㎜ × 횡 12.5㎜ × 깊이 45㎜의 유리 셀에 용융 충전한 두께 12.5㎜의 샘플을, 1.5포인트 굵기의 검은 선을 그은 흰 종이 위에 놓고, 두께 12.5㎜ 상에서 검은 선이 명료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제1상과 제2상이 모두 무색 투명하며, 또한,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가 착색된 및/또는 불투명한 다른 상을 갖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무색 투명하다. 상기 무색 투명한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피부 또는 입술에 도포하여 비로소 착색하는, 우수한 심미성과 높은 기능성을 겸비하는 화장료일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는, 제2상 중의 성분 (C) 염료의 발색이 억제되고 있어, 무색 투명한 외관이며, 또한, 피부 또는 입술에 부착되면 성분 (C) 염료가 발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입체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어도 좋다. 특히 입체 형상이 스틱상인 경우는, 제1상 또는 제2상 중 어느 일방을 내부가 공동(空洞)인 원통상으로 성형하고(외층), 그 공동에 타방의 상(내층)을 수용한 2층 스틱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제2상을 내층으로 하는 것이, 형상 유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에 있어서의 제1상과 제2상의 질량비(제1상:제2상)는, 2:8 ∼ 8:2가 바람직하고, 3:7 ∼ 7:3이 보다 바람직하고, 4:6 ∼ 6:4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제2상을 내층으로 하는 2층 스틱상으로 했을 경우, 각각의 차이에 따라 내층으로 한 제2상이 고온 조건 하에서 돌출된다는 안정성 불량이 보일 경우가 있다. 상기 2층 스틱상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제2상의 경도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상의 경도가 10 이상이면, 스틱 형상의 보형성(保形性) 및 성형 시에 있어서의 틀(型)로부터의 이형성(離型性)이 보다 우수한 화장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층 스틱상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제2상의 경도가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상의 경도가 25 이상이면, 고온 조건 하에서도 내층이 돌출되기 어려워, 보다 안정된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제1상 및 제2상은, 각각, 상기 성분 (A) ∼ (C) 및 유제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분체(粉體), 계면활성제, 수성 성분,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산화 방지제, 미용 성분, 방부제, 색소, 향료 등의 공지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분체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체이면, 구상(球狀), 판상(板狀), 침상(針狀) 등의 형상; 연무상(煙霧狀), 미립자, 안료급 등의 입자경; 다공질(多孔質), 무공질(無孔質) 등의 입자 구조;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체류, 광휘성 분체류, 유기 분체류, 색소 분체류, 금속 분체류, 복합 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분체로서는,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황산바륨 등의 백색 무기 안료; 산화철, 카본 블랙, 티타늄·산화티탄 소결물,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감청, 군청 등의 유색 무기 안료; 탈크, 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합성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합성 세리사이트, 카올린, 탄화규소,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무수 규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규조토,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화붕소 등의 백색 체질 분체;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이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철 운모티탄, 감청 처리 운모티탄, 카르민 처리 운모티탄,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魚鱗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올레핀 적층 필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말 등의 광휘성 분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등의 합성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수지 분체; 스테아르산아연, N-아실리신 등의 유기 저분자성 분체; 실크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천연 유기 분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5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등색(橙色) 203호, 등색 204호, 청색 404호, 황색 401호 등의 유기 안료 분체; 흑색 401호, 갈색 201호, 자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3호, 청색 205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녹색 401호, 녹색 402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1), 황색 202호(2), 황색 203호, 황색 402호, 황색 403호(1), 황색 406호, 황색 407호, 등색 205호, 등색 402호, 적색 2호, 적색 3호, 적색 102호, 적색 104호(1), 적색 105호(1),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1), 적색 231호, 적색 401호, 적색 502호, 적색 503호, 적색 504호, 적색 506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분체; 알루미늄분, 금분, 은분 등의 금속 분체; 미립자 산화티탄 피복 운모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피복 운모티탄, 황산바륨 피복 운모티탄, 산화티탄 함유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함유 이산화규소 등의 복합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체로서, 이들 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이용되어도 좋다. 상기 분체는, 필요에 따라, 불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금속 비누, 레시틴, 수소 첨가 레시틴, 콜라겐,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왁스, 로우, 계면활성제 등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분체는, 복합화된 것이어도 좋다. 화장료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1상 및 제2상은 모두 상기 분체를 함유하지 않는 것 또는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란, 제1상 및/또는 제2상 중의 분체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인 것을 말한다. 제1상 중의 분체의 함유량과 제2상 중의 분체의 함유량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계면활성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글리콜 부가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글리콜 부가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 알킬렌글리콜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성분으로서는, 물에 가용(可溶)인 성분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수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 외에, 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롤류; 알로에베라, 위치하젤, 하마멜리스, 오이, 레몬, 라벤더, 로즈 등의 식물 추출액;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PABA계, 계피산계, 살리실산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및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단백질, 무코다당, 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α-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미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류, 소염제, 생약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유제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다. 상기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예를 들면, 립스틱, 립크림, 볼연지, 아이 컬러, 컨실러, 베이스(下地), 모발 착색료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립스틱이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다음과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성분 (A), 제1 유제 및 필요에 따라 그 외 성분을 성분 (A)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여, 제1상을 조제한다. 성분 (B), 성분 (C), 제2 유제 및 필요에 따라 그 외 성분을 성분 (B)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여, 제2상을 조제한다. 제1상을 칸막이를 설치한 용기에 충전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칸막이를 분리하고 공극(空隙) 부분에 제2상을 충전, 냉각 고화한다. 이에 따라,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가 얻어진다.
또한, 다른 태양에서는, 성분 (A), 제1 유제 및 필요에 따라 그 외 성분을 성분 (A)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여, 제1상을 조제한다. 성분 (B), 성분 (C), 제2 유제 및 필요에 따라 그 외 성분을 성분 (B)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여, 제2상을 조제한다. 스틱형에 내층용의 틀(이하, 내층형이라고 함)을 고정하고, 제1상을 스틱형 내의 외층 측(스틱형과 내층형 사이)에 충전하고, 냉각 고화한 후, 내층형을 분리하고, 공극 부분에 제2상을 충전하여 냉각 고화한다. 이에 따라, 2층 스틱상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를 2층 스틱상으로 할 경우, 상기 화장료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9 ∼ 3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 20㎜이다. 이 범위이면, 사용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내층의 직경은, 화장료의 심미성과 보형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4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이다. 내층의 단면적은, 화장료의 심미성과 사용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틱상의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의 단면적 중, 바람직하게는 10 ∼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40%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들은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틱상 립스틱 1 ∼ 14
[유성 고형 조성물의 조제]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유량의 제1상과, 표 2에 나타낸 성분 및 함유량의 제2상을 이하의 방법으로 조제하고, 외관의 투명성과 착색의 육안 확인, 및 경도의 측정을 행했다.
외관의 투명성에 대해서는, 종 12.5㎜ × 횡 12.5㎜ × 깊이 45㎜의 유리 셀에 용융 충전한 두께 12.5㎜의 샘플을, 1.5포인트 굵기의 검은 선을 그은 흰 종이 위에 놓고, 두께 12.5㎜ 상에서 검은 선이 명료하게 보이는 것을 투명이라고 평가하고, 그 이외는 불투명이라고 평가했다.
표 1의 제1상의 조성물 및 표 2의 제2상의 조성물은 모두 투명한 것이었다.
경도는, 용융한 상기 조성물을 병 용기에 충전하고, 25℃에서 12시간 정치하여 고화시킨 후, FUDOH 레오미터 RTC2002D(Rheotech Co., Ltd. 제품)를 이용하고, 3㎜φ 어댑터를 이용하여 6㎝/min으로 2㎜ 침입했을 때의 저항치로 했다.
[표 1]
Figure pct00001
※1: 아미노산계 유겔화제 GP-1(Ajinomoto Co., Inc. 제품)
※2: 아미노산계 유겔화제 EB-21(Ajinomoto Co., Inc. 제품)
※3: 놈코트 HP-30(The Nisshin OilliO Group, Ltd. 제품)
※4: DOCADIT TM 13 N(The Nisshin OilliO Group, Ltd. 제품)
※5: TPP 적색 218호(kishi kasei co., ltd. 제품)
※6: PEMULEN TR-2(The Lubrizol Corporation 제품)
(제조 방법)
A. 성분 (1) ∼ (5)를, 13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 (8)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표 2]
Figure pct00002
※7: 레오펄 KL2(chiba flour milling co., ltd. 제품)
※8: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ITO OIL CHEMICALS CO., LTD. 제품)
※9: AEROSIL R976S(NIPPON AEROSIL CO., LTD. 제품)
A. 성분 (1) ∼ (5)를, 9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 (9)를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스틱상 립스틱의 제조]
얻어진 제1상과 제2상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3에 따라, 다음의 절차로 스틱상의 립스틱을 제조했다.
내측에 직경 1.2㎝ × 높이 4㎝의 공극이 있는 봉상의 틀(스틱형)의 내측에, 바닥 면적 0.6㎠ × 높이 4㎝의 내층형을 고정했다. 제1상을 13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스틱형 내의 외층 측(스틱형과 내층형 사이)에 틀의 높이까지 충전했다. 제1상이 고화한 후, 내층형을 분리하고, 공극 부분에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한 제2상을 충전하고, 냉각하여 고화했다. 틀로부터 분리한 제1상 및 제2상을 용기에 장전했다. 이에 따라,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제2상을 내층으로 한, 투명한 외관의 2층 스틱 형상의 립스틱 1 ∼ 14를 얻었다. 얻어진 립스틱 1 ∼ 14에 대해서, 하기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pct00003
(평가 방법)
Ⅰ. 사용성
전문 패널 10명이 표 3의 각 립스틱에 대해서 사용성(매끄러운 사용감을 갖는지의 여부)을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입술에의 도포 시에, 내층과 외층이 매끄럽고 균일하게 입술에 부착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 하기 절대 평가 기준에서 7단계로 평가하여 평점을 매겨, 각 립스틱에 대해서 패널 전원의 평점 합계로부터 그 평균치를 산출하고,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했다.
절대 평가 기준
(평점): (평가)
6: 매우 좋음
5: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2: 약간 나쁨
1: 나쁨
0: 매우 나쁨
판정 기준
(판정): (평점의 평균점)
A: 4.5점 초과: 매우 양호
B: 3점 초과 4.5점 이하: 양호
C: 3점 이하: 불량
Ⅱ. 충전 성형성(이형성)
성형 시의 틀로부터 분리했을 때의 내층의 립스틱 천면(天面)에 벗겨짐이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명료한 벗겨짐이 없는 것을 A, 명료한 벗겨짐이 있는 것을 B라고 평가했다.
Ⅲ. 고온 안정성(내층의 돌출)
50℃에서 1주간 보존 후에 내층의 튀어나옴이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0.5㎜ 이상의 튀어나옴이 없는 것을 A, 0.5㎜ 이상의 튀어나옴이 있는 것을 B라고 평가했다.
Ⅳ. 고온 안정성(내층의 수축)
50℃에서 1주간 보존 후에 내층에 수축이 일어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외층과 내층 사이에 명료한 극간(隙間)이 없는 것을 A, 외층과 내층 사이에 명료한 극간이 있는 것을 B라고 평가했다.
표 3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립스틱 1 ∼ 14는 모두 투명하고 높은 심미성을 갖고 있었다. 특히 립스틱 1, 2, 4, 5는, 무색 투명한 심미성이 높은 외관과, 매끄러운 사용감, 염료에 의한 화장 효과를 겸비하고, 고온 영역에서의 안정성이 높은 립스틱이었다.
내층의 경도가 낮은 립스틱 8은 내층에 돌출이 보였다. 또한, 내층의 경도가 낮은 립스틱 9는, 도포 시에 형상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가 있었다. 내층, 외층 모두 경도가 높은 립스틱 7은 사용 시의 부착성이 약간 떨어지는 것이었다.
립스틱 1 ∼ 11 및 13은, 내층 및 외층이 무색 투명하고, 립스틱 전체가 무색 투명의 미려(美麗)한 것이며, 높은 심미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립스틱 1 ∼ 11 및 13은, 입술에 도포하여 비로소 선명하게 염료가 발색하는 것이며, 염료에 의한 화장 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 스틱상 틴트 치크
제1상(외층)
성분 (%)
(1)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1 8
(2)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2 2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50
(4) 수첨 폴리데센 잔량
(5)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6) 페녹시에탄올 0.2
(7) 의이인 추출물(Coix Seed Extract) 0.1
(8) 라즈베리 추출물 0.1
제2상(내층)
성분 (%)
(1) 팔미트산덱스트린 15
(2)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5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30
(4)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5)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잔량
(6) 페녹시에탄올 0.1
(7) 적색 218호 0.1
(8) 향료 0.2
(제조 방법)
제1상
A. 성분 (1) ∼ (8)을, 13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제2상
A. 성분 (1) ∼ (5)를, 9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 (8)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스틱상 틴트 치크
내측에 공극이 있는 봉상의 틀(스틱형)의 내측에, 봉상의 내층형을 고정했다. 제1상을 13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스틱형 내의 외층 측(스틱형과 내층형 사이)에 틀의 높이까지 충전했다. 제1상이 고화한 후, 내층형을 분리하고, 공극 부분에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한 제2상을 충전하고, 냉각하여 고화했다. 틀로부터 분리한 제1상 및 제2상을 용기에 장전했다. 이에 따라,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제2상을 내층으로 한, 투명한 외관의 스틱상 틴트 치크를 얻었다. 상기 스틱상 틴트 치크에 있어서의 제1상과 제2상의 질량비(제1상:제2상)는, 3:7이었다.
얻어진 스틱상 틴트 치크는, 외층 및 내층이 무색 투명하며, 매끄러운 사용감, 염료에 의한 화장 효과, 충전 성형성, 고온 안정성, 심미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틴트 립크림
제1상(외층)
성분 (%)
(1)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1 4
(2)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2 1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40
(4) 수첨 폴리데센 잔량
(5)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6) 옥틸산폴리글리세릴-10 20
(7) 메틸페닐폴리실록산 5
(8) 에틸헥실글리세린 0.2
제2상(내층)
성분 (%)
(1) 팔미트산덱스트린 10
(2)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5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20
(4)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5) 파라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20
(6)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잔량
(7) 폴리부텐※10 20
(8) 에틸헥실글리세린 0.1
(9) 적색 218호 0.1
(10)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5
(11) 향료 0.2
※10: 정제 폴리부텐 100F(Japan Natural Products Co., Ltd. 제품)
(제조 방법)
제1상
A. 성분 (1) ∼ (8)을, 13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제2상
A. 성분 (1) ∼ (7)을, 9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8) ∼ (11)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틴트 립크림
수지 접시의 중앙에 별형(星型)의 내층형을 고정하고, 제1상을 13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수지 접시 내의 외층 측(수지 접시의 외연(外緣)과 내층형 사이)에 수지 접시의 높이까지 충전했다. 제1상이 고화한 후, 내층형을 분리하고, 공극 부분에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한 제2상을 충전하고, 냉각하여 고화했다. 틀로부터 분리한 제1상 및 제2상을 용기에 장전했다. 이에 따라,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제2상을 내층으로 한, 투명한 외관의 틴트 립크림을 얻었다. 상기 틴트 립크림에 있어서의 제1상과 제2상의 질량비(제1상:제2상)는, 4:6이었다.
얻어진 틴트 립크림은, 외층 및 내층이 무색 투명하며, 매끄러운 사용감, 염료에 의한 화장 효과, 충전 성형성, 고온 안정성, 심미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4: 스틱 틴트 아이 컬러
제1상(외층)
성분 (%)
(1)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5
(2)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20
(3)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잔량
(4) 데실테트라데칸올 10
(5) 수첨 폴리데센 50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말 3
(7) 페녹시에탄올 0.2
제2상(내층)
성분 (%)
(1) 팔미트산덱스트린 10
(2)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5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10
(4)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5) 파라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20
(6) 트리에틸헥사노인 잔량
(7) 폴리부텐※10 20
(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말 5
(9) 페녹시에탄올 0.1
(10) 유용성 로즈마리 0.1
(11) 적색 218호 0.1
(12) 향료 0.2
(제조 방법)
제1상
A. 성분 (1) ∼ (5)를, 13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및 (7)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제2상
A. 성분 (1) ∼ (3)을, 9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4) ∼ (12)를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스틱 틴트 아이 컬러
내측에 공극이 있는 봉상의 틀(스틱형)의 내측에, 봉상의 내층형을 고정했다. 제1상을 13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스틱형의 외층 측(스틱 측과 내층형 사이)에 틀의 높이까지 충전했다. 제1상이 고화한 후, 내층형을 분리하고, 공극 부분에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한 제2상을 충전하고, 냉각하여 고화했다. 틀로부터 분리한 제1상 및 제2상을 용기에 장전했다. 이에 따라,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제2상을 내층으로 한, 투명한 외관의 스틱 틴트 아이 컬러를 얻었다. 상기 스틱 틴트 아이 컬러에 있어서의 제1상과 제2상의 질량비(제1상:제2상)는, 6:4였다.
얻어진 스틱 틴트 아이 컬러는, 외층 및 내층이 무색 투명하며, 매끄러운 사용감, 염료에 의한 화장 효과, 충전 성형성, 고온 안정성, 심미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5: 헤어 왁스
제1상
성분 (%)
(1)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1 8
(2)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2 2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50
(4) 수첨 폴리데센 잔량
(5)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6) 페녹시에탄올 0.2
(7) 시스테인 0.1
제2상
성분 (%)
(1) 팔미트산덱스트린 15
(2) 말산디이소스테아릴 30
(3)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4)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잔량
(5) 페녹시에탄올 0.1
(6) 적색 218호 0.1
(7) 향료 0.2
제3상
성분 (%)
(1) 팔미트산덱스트린 15
(2) 말산디이소스테아릴 30
(3)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20
(4)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잔량
(5) 페녹시에탄올 0.1
(6) 벵갈라·산화티탄 피복 유리말 0.5
(7) 적색 223호 0.05
(8) 향료 0.2
(제조 방법)
제1상
A. 성분 (1) ∼ (5)를, 13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및 (7)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한다.
제2상(적색 투명)
A. 성분 (1) ∼ (5)를, 9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및 (7)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제3상(무색 투명)
A. 성분 (1) ∼ (5)를, 90℃에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B. A에 성분 (6) ∼ (8)을 더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헤어 왁스
병 용기의 내측에, 병 용기 내부가 3구획이 되도록 2매의 칸막이 판을 평행하게 고정했다. 제1상을 13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상기 3구획 중 중앙의 구획에 병 용기의 높이까지 충전했다. 제1상이 고화한 후, 2매의 칸막이 판을 분리하여, 양단의 공극의 일방에,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한 제2상(적색 투명)을 충전했다. 다른 일방의 공극에,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한 제3상(무색 투명)을 충전했다. 제2상 및 제3상을 냉각하여 고화하고, 투명한 외관의 헤어 왁스를 얻었다. 상기 헤어 왁스에 있어서의 제1상, 제2상 및 제3상의 질량비(제1상:제2상:제3상)는, 2:2:3이었다.
얻어진 헤어 왁스는, 제1상 및 제3상이 무색 투명하고, 제2상이 적색 투명하며, 매끄러운 사용감, 화장 효과, 충전 성형성, 고온 안정성, 심미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Claims (6)

  1. 서로 접하는 투명한 제1상과 투명한 제2상을 갖고,
    상기 제1상은 성분 (A) 아미노산계 겔화제와, 제1 유제(油劑)를 함유하고,
    상기 제2상은 성분 (B)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성분 (C) 염료와, 제2 유제를 함유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는,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미드 및 디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미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제는,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제는,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멜리트산트리트리데실 및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은, 상기 성분 (C)를 0.05 ∼ 0.3질량% 함유하는,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는, 상기 제1상을 외층으로 하고, 상기 제2상을 내층으로 한 2층 스틱상인,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KR1020227010568A 2019-11-05 2020-10-29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KR20220097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0901 2019-11-05
JPJP-P-2019-200901 2019-11-05
PCT/JP2020/040582 WO2021090754A1 (ja) 2019-11-05 2020-10-29 多相油性固形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384A true KR20220097384A (ko) 2022-07-07

Family

ID=7584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568A KR20220097384A (ko) 2019-11-05 2020-10-29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090754A1 (ko)
KR (1) KR20220097384A (ko)
CN (1) CN114615968A (ko)
TW (1) TW202126280A (ko)
WO (1) WO202109075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01A (ja) 2004-10-27 2006-05-18 Ands Corporation 固形化粧料
JP2010260825A (ja) 2009-05-08 2010-11-18 Ands Corporation 油性組成物及び棒状製剤
JP2016088932A (ja)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コーセー 多色油性固形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613A (ja) * 1999-07-05 2001-01-23 Asanuma Sogyo Kk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JP3963370B2 (ja) * 2002-11-29 2007-08-22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固形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35905A (ja) * 2003-07-17 2005-02-10 Asanuma Corporation 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9200A (ja) * 2006-07-12 2008-01-31 Kokyu Alcohol Kogyo Co Ltd リップグロス組成物
JP5801503B1 (ja) * 2015-01-21 2015-10-28 株式会社 資生堂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6918489B2 (ja) * 2015-12-29 2021-08-11 株式会社コーセー スティック状油性固形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01A (ja) 2004-10-27 2006-05-18 Ands Corporation 固形化粧料
JP2010260825A (ja) 2009-05-08 2010-11-18 Ands Corporation 油性組成物及び棒状製剤
JP2016088932A (ja)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コーセー 多色油性固形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0754A1 (ja) 2021-05-14
JPWO2021090754A1 (ko) 2021-05-14
CN114615968A (zh) 2022-06-10
TW202126280A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8489B2 (ja) スティック状油性固形化粧料
JP5144896B2 (ja) 口唇化粧料
JP6859078B2 (ja) スティック状油性固形化粧料
JP5000978B2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
JP5425540B2 (ja) 多色油性固型化粧料
JP2002154927A (ja) 多層構造を有する角度依存性色材を含有する親油性連続相を有する化粧用組成物とそのメークアップのための使用
EP2986274A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oily phase comprising a silicone elastomer in dispersed aqueous droplets and a particular surfactant
JP5203622B2 (ja) 油性化粧料
JP4414082B2 (ja) 油性化粧料
JP2016124863A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12012378A (ja) 油性化粧料
JP4990544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19119744A (ja)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6420052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6273806A (ja) 睫用化粧料
WO2017170217A1 (ja) 化粧料セット
JP2006219486A (ja) 口唇化粧料
EP2986344A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mulsion, the oily phase comprising a compound consisting of a silicone elastomer and a surfactant, a silicone elastomer powder and a polyalkyl (meth)acrylate
JP4704603B2 (ja) 油性化粧料
JP6964326B2 (ja) 口唇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048564B2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
JP6643864B2 (ja) 多色油性固形組成物
JP4181976B2 (ja) 油性化粧料
KR20220097384A (ko) 다상 유성 고형 화장료
JP6465701B2 (ja) 油性固形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