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96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969A
KR20220096969A KR1020200189865A KR20200189865A KR20220096969A KR 20220096969 A KR20220096969 A KR 20220096969A KR 1020200189865 A KR1020200189865 A KR 1020200189865A KR 20200189865 A KR20200189865 A KR 20200189865A KR 20220096969 A KR20220096969 A KR 2022009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ttern
shielding plate
cavity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형
심성훈
채윤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969A/ko
Priority to PCT/KR2021/000401 priority patent/WO2022145561A1/ko
Priority to US18/266,925 priority patent/US20240057228A1/en
Publication of KR2022009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8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티; 조리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개구부를 향하고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코일과 개구부의 사이에 배치된 차폐판을 포함한다. 차폐판은 절연체와, 절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향하는 제1패턴과, 절연체의 타면에 형성되고 제1패턴과 직교한 제2패턴를 포함한다. 제1패턴은 개구부를 향하는 영역에 슬릿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덕션 코일을 갖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등(이하, 음식물이라 칭함)을 조리하는 기기로서,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과 같이, 조리공간을 차폐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한다.
개방형 조리기기는 쿡탑 등과 같이, 오픈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조리한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대상인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기로서, 음식물을 구성하는 분자는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구성 분자 상호간에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하여 음식물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가열방식을 유전 가열방식이라 한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 이외에, 별도의 가열수단인 인덕션 코일를 장착하고, 인덕션 코일에 의한 유도가열로 캐비티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가 있다.
상기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인덕션 코일로 침투되지 않게 하는 차폐구조물이 필요하다.
조리기기의 내부에 인덕션 코일로 침투되는 전자기파을 차폐하는 차폐판을 설치하여, 인덕션 코일을 보호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176773 B1(1999년05월15일 공고)에 개시되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가 있다.
상기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는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워킹코일과; 차폐판을 포함하고, 차폐판은 다수의 금속선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제1 금속선부와, 상기 제1금속선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소정각도로 대향되도록 다수의 금속선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제2금속선부를 포함하며, 차폐판은 상기 제1금속선부와 제2금속선부의 사이에 개재된 절연물질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176773 B1(1999년05월15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차폐판은 제1 금속선부가 캐비티에 접촉될 경우, 제1 금속선부가 인덕션의 와전류 통로가 될 수 있고, 차폐판이 가열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차폐판으로 자기장이 투과하지 못해, 가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폐판이 인덕션의 와전류 통로가 되지 않고, 인덕션 코일의 가열효율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티; 조리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개구부를 향하고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 및 인덕션 코일과 개구부의 사이에 배치된 차폐판을 포함한다. 차폐판은 절연체와, 절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향하는 제1패턴과, 절연체의 타면에 형성되고 제1패턴과 직교한 제2패턴를 포함한다.
조리기기 일 예의 제1패턴는 개구부를 향하는 영역에 슬릿이 형성된다.
슬릿에 의해 와전류 형성은 방지될 수 있고, 제1패턴이 와전류 통로로 기능하지 않는다.
차폐판은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차폐판의 둘레부는 개구부의 주변부과 접촉될 수 있다.
제1패턴은 나란한 다수의 금속선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금속선 라인 각각은 개구부를 향하는 개구부 대향부와, 캐비티와 접촉되는 캐비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개구부 대향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은 개구부의 주변부와 15mm 이내의 간격을 갖을 수 있다.
슬릿은 0.5mm 이하일 수 있다.
차폐판은 제1패턴이 형성된 면에 제1패턴을 덮는 필름 또는 코팅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 다른 예는 개구부와 제1패턴의 사이에 배치되고 절연재질인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턴은 스페이서에 의해 개구부의 주변부과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에 의해 제1패턴이 캐비티와 비접촉되므로, 와전류 차단이 가능하고, 스페이서가 차폐판과 개구부 주변부 사이에서, 전자기파 누설을 막을 수 있다.
스페이서의 크기는 개구부의 크기 보다 크고, 스페이서는 개구부 주변부와 접촉될 수 있다.
차폐판의 일부는 캐비티와 오버랩되고, 차폐판은 스페이서를 개구부의 주변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는 차폐판의 일면에 코팅된 코팅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패턴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제1패턴이 와전류 통로로 기능하지 않고, 인덕션 코일 작동시, 와전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가 제1패턴과 개구부 주변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패턴이 캐비티와 비접촉되므로, 와전류 차단이 가능하고, 스페이서가 차폐판과 개구부 주변부 사이에서, 전자기파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상면도,
도 5의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저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폐판의 변형예,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8는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상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상면도이고, 도 5의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공간(S)이 형성된 캐비티(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0)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캐비티(10)는 로어 캐비티(12)와, 로어 캐비티(12)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캐비티(14)(16) 및 백 캐비티(18)와, 로어 캐비티(12)와 상하"?향으?* 이격된 어퍼 캐비티(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고, 조리공간(S)은 캐비티(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0) 특히, 로어 캐비티(12)의 재질의 일 예는 SUS403 일 수 있다.
캐비티(10)는 일측에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는 로어 캐비티(12)와, 한 쌍의 사이드 캐비티(14)(16) 및 백 캐비티(18)와, 어퍼 캐비티(20) 증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캐비티(12)는 개구부(13) 보다 큰 홀(21a, 도 3 참조)이 형성된 로어 바디(21)와, 개구부(13)를 형성하는 포밍 바디(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1)와 포밍 바디(2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포밍 바디(22)의 내부에 포밍 공간(23)이 형성될 수 있고, 포밍 공간(23)을 하측에 개구부(13)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는 포밍 공간(23)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포팅 바디(22)에는 개구부 주변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 주변부(24)는 포밍 공간(23)을 형성하는 내측벽의 하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포밍 공간(23)에는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차폐판(40)으로 침투되지 않게 막는 글라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포딩 바디(22)는 글라스(26)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26)의 일예는 내열 글라스일 수 있다.
글라스(26)는 개구부(13)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26)는 개구부 주변부(24)에 안착될 수 있다.
글라스(26)는 실란트를 이용하여 캐비티(10)에 접합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조리공간(S)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조리공간(S)을 가열하는 히터(32,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와 히터(32)는 캐비티(10)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의 일 예는 전자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과, 마그네트론과 캐비티를 연결하고, 전자파를 조리공간(S)으로 도입하기 위한 도파관과, 균일 가열을 위해 회전되는 스터러 팬(Stirrer fan) 등의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32)는 캐비티(10)에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40, 도 2 참조)과, 인덕션 코일(40)과 개구부(13)의 사이에는 배치된 차폐판(50, 도 2 및 도 3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코일(40)은 20~70㎑ 대역 인덕션 워킹 코일이 조리공간(S) 와측에 위치하여 캐비티(10)은 가열하지 않고, 조리공간(S)에 위치하는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인덕션 코일(40)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 및 히터(32)와 이격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와 히터(32)가 캐비티(10)의 위에 배치될 경우, 인덕션 코일(40)은 캐비티(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인덕션 코일(40)을 지지하는 브라켓(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코일(40)은 브라켓(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인덕션 코일(40)과 브라켓(42)은 인덕션 모듈(IM)을 구성할 수 있다.
인덕션 코일(40)는 캐비티(10)의 외부에 개구부(13)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덕션 코일(40)의 크기는 개구부(13)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브라켓(42)은 개구부(13) 보다 클 수 있다. 브라켓(42)은 로어 캐비티(12)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42)는 로어 캐비티(1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체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2)에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져, 차폐판(50)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차폐판 홀더(44, 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차폐판 홀더(44)는 브라켓(42)과 차폐판(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차폐판(50)이 로어 캐비티(12)의 저면에 밀착되게 차폐판(5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판 홀더(44)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차폐판(50)는 조리공간(S)의 외측에서 캐비티(10)에 밀착되고, 모서리의 불연속면에 의한 스파크를 차단할 수 있다.
차폐판(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60)와, 제1패턴(70) 및 제2패턴(8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60)는 제1패턴(70)과 제2패턴(80)의 사이에서 제1패턴(70)과 제2패턴(80)를 절연할 수 있다.
제1패턴(70)과 제2패턴(80)의 예는 알루미나 계열일 수 있고, 에칭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턴(70)과 제2패턴(80)는 구리선 또는 비자성 스텐레스선일 수도 있다.
제1패턴(70)는 절연체(60)의 일면(6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턴(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를 향할 수 있다.
제2패턴(80)는 절연체(60)의 타면(64)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패턴(80)는 제1패턴(70)과 이격될 수 있고, 절연체(60) 중 제1패턴(70)이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패턴(8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턴(70)과 직교할 수 있다. 제1패턴(70)과 제2패턴(80)은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자기파는 제1패턴(70)에 의해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중 수평편파가 제거되고, 제1패턴(70)를 투과한 수직편파는 제2패턴(80)에 의해 제거된다. 다른 예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에서 발생된 전자기파는 제1패턴(70)에 의해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중 수직편파가 제거되고, 제1패턴(70)를 투과한 수평편파는 제2패턴(80)에 의해 제거된다.
차폐판(50)는 로어 캐비티(12)의 아래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절연체(60)의 일면(62)은 절연체(60)의 상면일 수 있고, 절연체(60)의 타면(64)은 절연체(60)의 하면일 수 있다.
제1패턴(70)은 절연체(60)의 상면(62)에 형성된 어퍼 패턴 또는 어퍼 필터일 수 있고, 제2패턴(80)은 절연체(60)의 하면(62)에 형성된 로어 패턴 또는 로어 필터일 수 있다.
제1패턴(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다수의 금속선 라인(7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 다수의 제1금속선 라인으로 칭한다. 제1패턴(70)은 다수의 제1금속선 라인(7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패턴(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다수의 금속선 라인(8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 다수의 제2금속선 라인으로 칭한다. 제2패턴(80)은 다수의 제2금속선 라인(8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금속선 라인(72)과 제2금속선 라인(82) 각각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금속선 라인(72)과 제2금속선 라인(82)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금속선 라인(72)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제2금속선 라인(8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차폐판(50)은 제1금속선 라인(72)과 제2금속선 라인(82)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의 주파수인 13.56㎒, 27.12㎒, 40.68㎒, 433㎒, 915㎒, 2450㎒ 전자기파는 차폐시킬 수 있고, 인덕션 코일(40)의 주파수인 20~70㎑의 자기장은 투과시킬 수 있다.
차폐판(50)은 개구부(13)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차폐판(50)은 개구부(13)의 하측에서 개구부(13)를 막을 수 있다.
차폐판(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개구부(13)를 향하는 센터부(CA)와, 센터부(CA)의 주변에 위치하고 센터부(CA)를 둘러싸는 둘레부(OA)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50)의 센터부(CA)는 개구부(13)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부(13)을 향하는 개구부 대향부일 수 있다.
차폐판(50)의 둘레부(OA)는 개구부 주변부(24) 아래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부 주변부(24)를 향하는 개구부 주변부 대향부일 수 있다. 차폐판(50)의 둘레부(OA)는 개구부 주변부(24)과 접촉될 수 있고, 캐비티(10)에 접촉되는 캐비티 접촉부일 수 있다.
차폐판(50)의 둘레부(OA)는 개구부 주변부(24)와 오버랩 길이(L, 도 3 참조) 만큼 오버랩될 수 있다.
차폐판(50)의 상면(62)에 형성된 제1금속선 라인(72)도 개구부 대향부(CA)와 개구부 주변부 대향부(OA; 캐비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잇고, 제1금속선 라인(72)은 일부가 개구부 대향부일 수 있고, 나머지가 개구부 주변부 대향부일 수 있다.
제1패턴(70)은 개구부(13)를 향하는 영역(즉, 개구부 대향부(CA))에 슬릿(7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74)은 제1금속선 라인(72)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74)은 개구부 주변부(24)를 향하지 않고, 개구부(13)을 향할 수 있다.
만약, 개구부 대향부(CA)에 슬릿(74)이 형성되지 않고, 인덕션 코일(40)이 작동될 경우, 제1패턴(70)의 제1금속선 라인(72)과, 캐비티(10)의 접촉에 의한 와전류로 인해, 제1패턴(70)의 제1금속선 라인(72)이 가열될 수 있다. 즉, 인덕션 코일(40)에 의한 용기의 가열 효율은 낮을 수 있다.
슬릿(74)에 의해 제1패턴(70)의 제1금속선 라인(72)이 끊기는 것에 의해 와전류는 최소화될 수 있고, 인덕션 코일(40)의 자기장에 의한 가열효율은 높을 수 있다.
슬릿(74)은 제1금속선 라인(72)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슬릿(74)은 개구부 주변부(24)에 근접할 수 있다. 슬릿(74)은 개구부 주변부(24)와 15mm 이내의 간격을 각고, 개구부 주변부(24)로부터 15mm 이내의 거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릿(7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대향부(CA)를 갖는 모든 제1금속선 라인(7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슬릿(75)은 제1금속선 라인(72)의 길이방향으로 0.5mm 이하일 수 있다. 슬릿(75)에 의해 제1금속선 라인(72)은 끊김을 갖고, 제1금속선 라인(72)을 통한 와전류 통로는 차단될 수 있다.
제1금속선 라인(72)은 슬릿(75)에 의해 절단된 금속선 라인일 수 있다.
제1금속선 라인(72)의 일 예는 인접한 제1금속선 라인(72)의 폭이 3mm이고, 제1금속선 라인(72)의 간격이 0.5mm이며, 슬릿(75)이 0.1mm 일 수 있다.
차폐판(50)의 하면(64)에 형성된 제2금속선 라인(82)는 그 전부가 캐비티(1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캐비티(10)와 이격된 이격부일 수 있다.
제2금속선 라인(7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0)와 이격되므로, 별도의 슬릿(74)이 형성될 필요 없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 주변부(24)에 접촉되는 제1금속선 라인(72)에 슬릿(75)이 형성되고, 제2금속선 라인(82)는 제1금속선 라인(72) 및 캐비티(10)의 각각과 이격되어, 인덕션 코일(40)의 작동시, 와류전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폐판의 변형예이다.
차폐판(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턴(70)이 형성된 면(62)에 제1패턴(70)을 덮는 필름(90) 또는 코팅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패턴(80)이 형성된 면(62)에 제2패턴(80)을 덮는 필름(92) 또는 코팅이 배치될 수 있다.
필름(90)(92) 또는 코팅은 제1패턴(70)과 제2패턴(8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패턴(70)과 제2패턴(80)은 고온으로 올라갈수록 산화될 수 있으므로, 절연체(60)에는 제1패턴(70)과 제2패턴(80)을 덮는 필름(90)(92) 혹은 도금이 형성될 수 있다.
필름(90)(92)은 산화 방지에 적합한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는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상면도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차폐판의 저면도이다.
조리기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0)와,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기(30)와, 인덕션 코일(40) 및 차폐판(50)을 포함하고, 스페이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조리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일측에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0)는 조리기기 일 예의 캐비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는 조리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할 수 있고, 조리기기 일 예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덕션 코일(40)은 개구부(13)를 향하고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어 유도 가열을 할 수 있고, 조리기기 일 예의 인덕션 코일(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폐판(50')은 인덕션 코일(40)과 개구부(13)의 사이에 배치되되, 스페이서(100)에 의해 캐비티(10)과 이격될 수 있다.
차폐판(50')은 제1패턴(70')이외의 구성이 조리기기 일 예의 차폐판(50)과 유사하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폐판(50')의 일부는 캐비티(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차폐판(50')은 스페이서(100)를 개구부 주변부(24)에 밀착시킬 수 있다.
차폐판(50')은 절연체(60)와, 제1패턴(70') 및 제2패턴(8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60)의 구성은 조리기기 일 예의 절연체(60)과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패턴(70')은 절연체(60)의 일면에 형성되어 개구부(13)를 향할 수 있다. 제1패턴(70')는 스페이서(100)에 의해 개구부 주변부(24)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패턴(70')은 캐비티(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와류전류가 차단 가능하다.
제1패턴(70')은 개구부 주변부(24)와 전기적으로 이격되고, 제1패턴(70')을 구성하는 제1금속선 라인(72)에는 조리기기의 일예와 같은 슬릿(74)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제2패턴(80)은 절연체(60)의 타면에 형성되고 제1패턴(70')과 직교할 수 있고, 조리기기 일 예의 제2패턴(80)과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페이서(100)는 개구부(13)와 제1패턴(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절연재질일 수 있다.
스페이서(100)의 크기는 개구부(13)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개구부 주변부(24)와 접촉될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중앙부가 개구부(13)를 향할 수 있고, 둘레부가 개구부 주변부(2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겹칠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개구부 주변부(24)와 차폐판(50')의 사이에 게재되어 개구부 주변부(24)와 차폐판(50')의 사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차폐할 수 있고,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글라스(26)와 차폐판(50')의 사이에서 마이크로 웨이브의 차폐를 막을 수 있다.
스페이서(100)의 두께는 최대 0.2mm 이하일 수 있고, 최소 0.01mm 일 수 있다.
스페이서(100)의 일 예는 유리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일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차폐판(50')과 별도인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차폐판(50')의 일면(62)에 코팅된 코팅층인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캐비티 13: 개구부
30: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40: 인덕션 코일
50: 차폐판 60: 절연체
70: 제1패턴 74: 슬릿
80: 제2패턴 S: 조리공간

Claims (11)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티;
    상기 조리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상기 개구부를 향하고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
    상기 인덕션 코일과 개구부의 사이에 배치된 차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판은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제1패턴과,
    상기 절연체의 타면에 형성되고 제1패턴과 직교한 제2패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턴은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영역에 슬릿이 형성된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의 둘레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과 접촉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은 나란한 다수의 금속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금속선 라인 각각은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개구부 대향부와,
    상기 캐비티와 접촉되는 캐비티 접촉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개구부 대향부에 형성된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은 나란한 다수의 금속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와 15mm 이내의 간격을 갖는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0.5mm 이하인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제1패턴이 형성된 면에 상기 제1패턴을 덮는 필름 또는 코팅이 배치된 조리기기.
  8.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티;
    상기 조리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상기 개구부를 향하고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유도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
    상기 인덕션 코일과 개구부의 사이에 배치된 차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판은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제1패턴과,
    상기 절연체의 타면에 형성되고 제1패턴과 직교한 제2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패턴의 사이에 절연재질인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과 이격된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크기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 보다 크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와 접촉되는 조리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일부는 상기 캐비티와 오버랩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개구부의 주변부에 밀착시키는 조리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차폐판의 일면에 코팅된 코팅층인 조리기기.
KR1020200189865A 2020-12-31 2020-12-31 조리기기 KR2022009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865A KR20220096969A (ko) 2020-12-31 2020-12-31 조리기기
PCT/KR2021/000401 WO2022145561A1 (ko) 2020-12-31 2021-01-12 조리기기
US18/266,925 US20240057228A1 (en) 2020-12-31 2021-01-12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865A KR20220096969A (ko) 2020-12-31 2020-12-31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969A true KR20220096969A (ko) 2022-07-07

Family

ID=8225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865A KR20220096969A (ko) 2020-12-31 2020-12-3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57228A1 (ko)
KR (1) KR20220096969A (ko)
WO (1) WO20221455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773B1 (ko) 1995-05-09 1999-05-15 구자홍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65B1 (ko) * 2006-05-02 2008-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자파차폐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전자파차폐필름
KR20080028707A (ko) * 2006-09-27 2008-04-01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은-고분자복합체를 이용한 전자파차폐필터와 그 제조방법
KR101884052B1 (ko) * 2015-12-21 2018-07-31 주식회사 두산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2130B1 (ko) * 2017-01-23 2018-07-25 한국과학기술원 터치가 가능한 투명 전자파 차폐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773B1 (ko) 1995-05-09 1999-05-15 구자홍 유도가열조리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57228A1 (en) 2024-02-15
WO2022145561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5589B1 (en) Door assembly of microwave oven
KR910003967B1 (ko) 정지유도기기
US20090008386A1 (en) Shielding system for microwave ovens and microwave oven using this shielding system
JP2009026470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096969A (ko) 조리기기
JP5355205B2 (ja) 加熱調理器
JP2563573B2 (ja) ヒータ付高周波加熱調理装置
JPH03196611A (ja) 高周波加熱装置
CN216087059U (zh) 电磁加热组件和电磁加热烹饪器具
KR102329538B1 (ko) 조리기기
JPH07211450A (ja) 電子レンジ用マグネトロンのノイズ遮蔽装置
JPH03207920A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2183993A (ja) 複合調理器
JP4117952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EP2647915B1 (en) Heating cooker
JPS63281377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2594597B1 (ko) 기판처리장치
KR20220152871A (ko) 조리기기
KR900007384B1 (ko) 전자조리를 내장한 고주파 가열장치
CN208046951U (zh) 低辐射的电磁烹饪器具
KR0131465Y1 (ko) 전자렌지용 마그네트론의 차폐구조
KR0139272Y1 (ko) 복합조리기
KR100229141B1 (ko) 전자렌지의 히터고정용 고리부재
JPH09289080A (ja) 加熱調理器
CA1177904A (en) Flux shaping arrangement for induction surfac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