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00A -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400A
KR20220096400A KR1020200188803A KR20200188803A KR20220096400A KR 20220096400 A KR20220096400 A KR 20220096400A KR 1020200188803 A KR1020200188803 A KR 1020200188803A KR 20200188803 A KR20200188803 A KR 20200188803A KR 20220096400 A KR20220096400 A KR 20220096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liper
guide
deformable
park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400A/ko
Publication of KR2022009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8Seals, e.g. piston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부와, 캐리어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캘리퍼부와, 캘리퍼부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드플레이트부를 가압하여 캘리퍼부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와, 가이드부와 캘리퍼부에 연결되고, 가압부가 패드플레이트부를 가압 해제함에 따라 캘리퍼부를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PARKING BRAK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전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캘리퍼 타입의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주차시키는 경우 차량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 차량의 휠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구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 EPB)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일부를 양쪽에서 마찰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 통상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장착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스크류와 너트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을 가압하고, 피스톤의 가압력과 피스톤의 반력에 의한 캘리퍼의 이동으로 마찰재인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압착시켜 제동력을 생성한다. 제동이 끝난 후에는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Knock Back 현상과 피스톤 씰의 복원력(Roll Back 현상)을 이용하여 캘리퍼와 피스톤을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분리시켜 마찰력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캘리퍼 타입의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캘리퍼의 복원이 피스톤 씰의 탄성 복원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드래그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불필요한 마찰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 수명이 단축되고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846호(2010.09.10 공개, 발명의 명칭: 주차 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동 완료 후 캘리퍼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캘리퍼부; 상기 캘리퍼부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드플레이트부를 가압하여 상기 캘리퍼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캘리퍼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패드플레이트부를 가압 해제함에 따라 상기 캘리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캘리퍼부와 접촉되어 상기 캘리퍼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캘리퍼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변형에 의해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상기 캘리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캘리퍼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캘리퍼부의 내측에 마련된 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캘리퍼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형태가 가변되는 변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캘리퍼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캘리퍼부의 양측에 비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캘리퍼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변형부의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양측이 각각 상기 캘리퍼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밀착되어 상기 캘리퍼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상대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높이가 상기 삽입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변형유도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복원부에 의해 제동 완료 후 캘리퍼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어 드래그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복원부의 탄성 변형만으로 캘리퍼부에 리턴 성능을 부여할 수 있음에 따라 제작 및 설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단부에 의해 캘리퍼부와 가이드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캘리퍼부의 안정적인 슬라이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변형부의 양측이 캘리퍼부와 가이드부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진동과 래틀에 대한 영향이 감소되며, 캘리퍼부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모두 탄성에너지로 축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한 쌍의 결합부가 캘리퍼부의 양측에 비대칭하게 배치됨에 따라 비대칭하게 변형되는 한 쌍의 변형부의 변형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변형유도부에 의해 변형부를 간섭 없이 연속적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변형부에 축적되는 탄성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캐리어부(100), 가이드부(200), 캘리퍼부(300), 플레이트부(400), 가압부(500), 구동부(600), 복원부(700), 결합부(800)를 포함한다.
캐리어부(100)는 차체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부(200), 캘리퍼부(3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부(100)는 차체의 너클에 마운팅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캐리어부(100)는 가이드부(200), 캘리퍼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부(100)의 형상은 도 1,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체에 고정 가능한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부(200)는 캐리어부(100)로부터 제1방향(A)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200)는 후술하는 캘리퍼부(300)와 연결되고, 캘리퍼부(300)에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캐리어부(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00)가 연장되는 제1방향(A)은 후술하는 가압부(500)가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함에 따라 캘리퍼부(300)에 가해지는 반력의 방향으로, 디스크(2)의 내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방향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는 고정부(210), 마찰저감부(220)를 포함한다.
고정부(210)는 캐리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10)는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이 제1방향(A)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고정부(210)는 일단부가 캐리어부(10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캐리어부(100)로부터 탈부착 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1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0)의 타단부는 캐리어부(100)로부터 제1방향(A)을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된다. 고정부(210)의 타단부가 연장되는 소정 거리는 캘리퍼부(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마찰저감부(220)는 고정부(21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마찰저감부(220)는 캘리퍼부(300)와 접촉되어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감부(22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마찰저감부(220)는 내주면이 고정부(2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부(210)에 대한 상대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찰저감부(220)는 외주면이 캘리퍼부(30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330)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에 따라 마찰저감부(220)는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거나,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부(220)는 중공형의 완성품 형태로 제작되어 고정부(210)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고정부(210)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캘리퍼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가이드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퍼부(300)는 핑거부(310), 실린더부(320), 슬라이드부(330)를 포함한다.
핑거부(310)는 캘리퍼부(300)의 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핑거부(310)는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부(400) 중 디스크(2)를 기준으로 외측(도 2 기준)에 배치된 패드플레이트부(4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핑거부(310)는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되어 디스크(2)의 외측에 배치된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한다.
실린더부(320)는 캘리퍼부(300)의 후방에 형성된다. 실린더부(320)는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부(400) 중 디스크(2)를 기준으로 내측(도 2 기준)에 배치된 패드플레이트부(4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실린더부(330)는 패드플레이트부(400)와 마주보는 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부(5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슬라이드부(330)는 캘리퍼부(300)의 측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드부(330)는 가이드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33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캘리퍼부(300)의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드부(330)는 내주면이 마찰저감부(220)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가이드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슬라이드부(3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캘리퍼부(3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패드플레이트부(400)는 차륜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패드플레이트부(400)는 디스크(2)를 향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크(2)에 접촉 시 디스크(2)의 회전에 간섭되어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플레이트부(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패드플레이트부(400)는 디스크(2)를 사이에 두고 디스크(2)의 외측면 및 내측면과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부(400)는 캘리퍼부(300) 또는 캐리어부(100)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디스크(2)와 마주보는 패드플레이트부(400)의 일면에는 고무 등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을 포함하는 마찰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캘리퍼부(300)의 후방에 설치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500)는 후술하는 가압부(600)와 연결되어 가압부(60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0)는 차량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와, 유성기어 조립구조, 평기어 조립구조, 웜과 웜휠기어 조립구조 중 어느 하나의 감속 구조를 갖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600)는 캘리퍼부(300),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320)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600)는 구동부(500)와 연결되고, 구동부(5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진퇴 이동된다. 가압부(600)는 실린더부(320)의 전방 즉, 제1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부(400) 중 디스크(2)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된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한다. 가압부(600)는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캘리퍼부(300)를 제1방향(A)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가압부(600)는 실린더부(320)의 후방, 즉 제1방향(A)으로 이동됨에 따라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600)는 구동부(500)에 의해 회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스핀들, 스핀들과 나사결합되고, 스핀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진퇴 이동하는 너트, 너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600)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원부(700)는 가이드부(200)와 캘리퍼부(300)에 연결되고, 가압부(500)가 패드플레이트부(400)를 가압 해제함에 따라 캘리퍼부(300)를 제1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원부(700)는 가압부(600)의 가압에 의해 캘리퍼부(300)가 제1방향(A)으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한다. 이후 복원부(700)는 가압부(600)의 가압 해제 시 변형에 의해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캘리퍼부(300)를 제1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캘리퍼부(3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경우, 복원부(7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가요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원부(700)는 디스크(2)와 패드플레이트부(400)의 미분리로 인한 드래그(Dra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복원부(7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캘리퍼부(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원부(700)는 캘리퍼부(30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700)는 차단부(710), 변형부(720)를 포함한다.
차단부(710)는 가이드부(200)에 연결되고, 가이드부(200)와 캘리퍼부(3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차단부(710)는 가이드부(200)와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71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저감부(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차단부(710)는 일단부가 마찰저감부(220)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되고, 타단부가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부(33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차단부(71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단면이 파형 구조 또는 벨로우즈(bellows)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710)는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간섭되지 않고 이물질 차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차단부(7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드부(3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710)는 가이드부(200)와 슬라이드부(33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슬라이드부(330) 양측 모두에서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710)는 슬라이드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슬라이드부(33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차단부(710)는 마찰저감부(220)의 외주면에 압착된 일단부가 슬라이드부(33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가 슬라이드부(330)의 양단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변형부(720)는 차단부(710)로부터 연장되고, 캘리퍼부(300)의 내측에 마련된 결합부(800)와 연결되고, 캘리퍼부(300)의 이동에 연동되어 형태가 가변된다. 변형부(720)는 양측이 각각 캘리퍼부(300)와 가이드부(200)에 밀착되어 캘리퍼부(300)와 가이드부(200)에 대한 상대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변형부(720)는 복원부(700)의 실링 성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으며, 캘리퍼부(300)의 이동량을 모두 탄성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어 캘리퍼부(300)를 보다 신속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720)는 차단부(710)의 타단부로부터 슬라이드부(330)를 향해 연장되고, 후술하는 결합부(800)에 구비되는 삽입부(810)로 삽입된다. 변형부(720)는 삽입부(810)로의 삽입 시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높이가 삽입부(8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변형부(720)는 삽입부(810)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면이 슬라이드부(330)의 내측면에 압착 고정되고, 하단면이 마찰저감부(220)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다. 변형부(720)는 캘리퍼부(300)가 제1방향(A)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하단면은 마찰저감부(220)에 위치 고정되고, 상단면은 슬라이드부(330)와 함께 이동되며 제1방향(A)으로 변형된다. 한편 복원부(70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슬라이드부(33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변형부(720)는 캘리퍼부(300)의 제1방향(A)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시 서로 반대방향의 변형력에 의해 슬라이드부(33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비대칭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변형부(72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결합부(800)는 캘리퍼부(300)의 내측에 마련되어 캘리퍼부(300)와 복원부(700)를 연결시킨다. 결합부(800)는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복원부(700)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결합부(3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캘리퍼부(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800)는 캘리퍼부(300)의 양측에 비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8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캘리퍼부(300)가 제1방향(A)으로 이동됨에 따라 비대칭하게 변형되는 한 쌍의 변형부(720)의 변형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800)는 삽입부(810), 변형유도부(820)를 포함한다.
삽입부(810)는 캘리퍼부(30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변형부(72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810)는 슬라이드부(330)의 내주면으로부터 슬라이드부(33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부(8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드부(330)의 양측에 배치된다. 삽입부(810)의 높이는 변형부(7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삽입부(810)로 삽입된 변형부(72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 변형시킨다. 삽입부(81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형부(720)가 상하로 압축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유도부(820)는 삽입부(8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변형부(720)의 변형을 유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형유도부(820)는 삽입부(810)의 일측에 변형부(720)가 간섭 없이 연속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가이드 경로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변형유도부(820)는 변형부(720)에 축적되는 탄성에너지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유도부(342)는 삽입부(341)로부터 제1방향(A)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변형유도부(82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변형유도부(820)는 모두 삽입부(810)의 전방(도 6 기준)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3,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압부(500)가 내측에 배치된 패드플레이트부(400)를 제1방향(A)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캘리퍼부(300)는 가압부(500)의 가압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가이드부(200)를 따라 제1방향(A)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캘리퍼부(3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변형부(720)는 탄성 변형되며 탄성에너지를 축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형부(720)는 하단부가 마찰저감부(220)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단부가 슬라이드부(330)의 내주면과 함께 제1방향(A)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방향(A)을 향해 기울어진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한 쌍의 변형부(720)는 모두 제1방향(A)을 향해 기울어진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변형되어 슬라이드부(33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비대칭하게 변형된다.
이 경우, 변형유도부(820)가 제1방향(A)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변형부(720)는 변형 과정에서 별다른 간섭없이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변형부(720)의 변형은 변형부(720) 전체에 걸쳐 제1방향(A)으로만 일어나므로, 변형부(720)에 축적된 탄성에너지는 모두 캘리퍼부(300)를 제1방향(A)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후 가압부(400)가 플레이트부(400)를 가압 해제하는 경우, 캘리퍼부(300)에 가해지는 반력 또한 해제된다.
캘리퍼부(300)에 가해지는 반력이 해제됨에 따라 변형부(720)는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 복귀된다. 즉, 변형부(720)의 상단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방향(A)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변형부(720)의 상단부에 압착 고정된 슬라이드부(330)는 변형부(720)의 상단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1방향(A)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캘리퍼부(3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 디스크
100 : 캐리어부 200 : 가이드부
210 : 고정부 220 : 마찰저감부
300 : 캘리퍼부 310 : 핑거부
320 : 실린더부 330 : 슬라이드부
400 : 패드플레이트부 500 : 구동부
600 : 가압부 700 : 복원부
710 : 차단부 720 : 변형부
800 : 결합부 810 : 삽입부
820 : 변형유도부 A : 제1방향

Claims (9)

  1.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캘리퍼부;
    상기 캘리퍼부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드플레이트부를 가압하여 상기 캘리퍼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캘리퍼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패드플레이트부를 가압 해제함에 따라 상기 캘리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캘리퍼부와 접촉되어 상기 캘리퍼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캘리퍼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변형에 의해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상기 캘리퍼부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캘리퍼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캘리퍼부의 내측에 마련된 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캘리퍼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형태가 가변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캘리퍼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캘리퍼부의 양측에 비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캘리퍼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변형부의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양측이 각각 상기 캘리퍼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밀착되어 상기 캘리퍼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상대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높이가 상기 삽입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유도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0200188803A 2020-12-31 2020-12-31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220096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03A KR20220096400A (ko) 2020-12-31 2020-12-31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03A KR20220096400A (ko) 2020-12-31 2020-12-31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00A true KR20220096400A (ko) 2022-07-07

Family

ID=8239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03A KR20220096400A (ko) 2020-12-31 2020-12-31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4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508B2 (en) Electronic disc brake
KR101220405B1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CN214036597U (zh) 用于车辆的制动设备
KR20220096400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220099863A (ko)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마모 검출장치
US20230097648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2015012827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220098558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11629764B2 (en) Caliper brake pad spring and brake device
KR102032723B1 (ko)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0622473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EP4353985A1 (en) Brake device, brake system, and vehicle
KR100349539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60184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KR20230003897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84590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090011750A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220105486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1956721B1 (ko) 스핀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1317157B1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20240054695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20210130392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20220168378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20150071322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CN116136238A (zh) 用于车辆的制动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