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354A -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354A
KR20220094354A KR1020200185472A KR20200185472A KR20220094354A KR 20220094354 A KR20220094354 A KR 20220094354A KR 1020200185472 A KR1020200185472 A KR 1020200185472A KR 20200185472 A KR20200185472 A KR 20200185472A KR 20220094354 A KR20220094354 A KR 2022009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late
fixing
fold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530B1 (ko
Inventor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심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섭 filed Critical 심현섭
Priority to KR102020018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5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3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s, blanks or webs to stationary members, e.g. plates, plough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31B50/72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on already formed boxes
    • B31B50/724Applying tapes on the corners of set-up boxes, e.g. involving sett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31B50/726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for uniting meeting edges of collaps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를 탄성지지함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블랭크 박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박스 공급부와, 상기 박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박스를 하나씩 분리시켜 사각 함체 형태로 개함시키기 위해 지주부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박스분리부 및 박스성형부로 이루어진 박스개함장치와, 상기 박스개함장치에서 개함된 박스의 하부에 형성된 내접이 날개 및 외접이 날개들을 상호 맞접도록 된 박스날개 절첩부와, 상기 박스날개 절첩부로부터 박스를 전달받아 접혀진 부위를 테이핑하는 박스 테이핑부로 구성된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박스성형부에는 제2슬라이딩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박스의 일측 상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박스의 상단을 접는 제1조우플레이트 및 상기 제1조우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의 타측 상단을 탄성지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제2조우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된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면서 박스의 하측을 탄성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Clamping device for apparatus for folding box}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박스 클램핑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된 종래의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블랭크 박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박스 공급부와, 상기 박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박스를 하나씩 분리시켜 사각 함체 형태로 개함시키기 위한 박스개함장치와, 상기 박스개함장치에서 개함된 박스의 하부에 형성된 내접이 날개 및 외접이 날개들을 상호 맞접도록 된 박스날개 절첩부와, 상기 박스날개 절첩부로부터 박스를 전달받아 접혀진 부위를 테이핑하는 박스 테이핑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합형 박스개함장치는 지주부의 위치를 메인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세퍼레이터 및 제1,2조우플레이트의 상대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통합형 박스개함장치는 제함 박스의 두께에 따라 세퍼레이터 및 제1,2조우플레이트를 수시로 위치를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통합형 박스개함장치는 제함 박스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하부고정부) 역시 박스의 두께에 따라 상기 세퍼레이터와 제1,2조우플레이트의 간격을 고려하여 위치를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463862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를 탄성지지함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블랭크 박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박스 공급부와, 상기 박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박스를 하나씩 분리시켜 사각 함체 형태로 개함시키기 위해 지주부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박스분리부 및 박스성형부로 이루어진 박스개함장치와, 상기 박스개함장치에서 개함된 박스의 하부에 형성된 내접이 날개 및 외접이 날개들을 상호 맞접도록 된 박스날개 절첩부와, 상기 박스날개 절첩부로부터 박스를 전달받아 접혀진 부위를 테이핑하는 박스 테이핑부로 구성된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박스성형부에는 제2슬라이딩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박스의 일측 상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박스의 상단을 접는 제1조우플레이트 및 상기 제1조우플레이트에 밀착되는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의 타측 상단을 탄성지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제2조우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이송된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면서 박스의 하측을 탄성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는 박스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를 탄성지지함에 따라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클램핑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클팸핑장치 박스성형부를 보인 사시도,
도 3a,b은 도 2에 도시된 박스성형부의 고정부를 보인 일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클램핑장치의 지지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지지수단의 탄성부를 보인 일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를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블랭크 박스(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박스 공급부(20)와, 상기 박스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박스(1)를 하나씩 분리시켜 사각 함체 형태로 개함시키는 박스 성형부(32)가 포함된 박스개함장치(30)와, 상기 박스개함장치(30)에서 개함된 박스(1)의 하부에 형성된 내접이 날개 및 외접이 날개들을 상호 맞접도록 된 박스날개 절첩부(50)와, 상기 박스날개 절첩부(50)로부터 박스(1)를 전달받아 접혀진 부위를 테이핑하는 박스 테이핑부(6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이동된 박스(1)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지지수단(70)과, 상기 박스 성형부(32)에 설치되며, 박스(1)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1)의 타측 상단을 탄성지지하는 제2조우플레이트(3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70)은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고정브라켓(71)에 설치되는 지지판(72) 및 상기 지지판(72)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탄성부(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72)은 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박스개함장치(30)의 박스 성형부(32)에 의해 박스(1)를 상부로 이동시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73)는 고정브라켓(71)에 설치되는 몸체(74)와, 상기 몸체(74)의 내측에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77)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7)에 설치되는 연결부재(78)와, 상기 연결부재(78)에 설치되는 가압롤러(79)와, 상기 몸체(74)와 슬라이딩부재(77)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8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7)를 고정하는 고정판(8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74)는 슬라이딩부재(77)의 외측면이 전,후진가능하게 슬라이딩홈(75)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75)은 일측에 걸림턱(76)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77)는 봉체 또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간부분에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롤러(79)는 박스(1)의 하부 일측면을 순차적으로 누르면서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80)은 슬라이딩부재(77)의 단턱과 몸체(74)의 걸림턱(76)에 탄성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81)은 슬라이딩부재(77)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74)의 일측면에 걸려지게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77)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박스개함장치(30)는 박스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박스(1)를 하나씩 분
리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박스 분리부(31)와, 상기 박스 분리부(31)에 의해 분리된 박스(1)를 물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으로 펼치는 박스 성형부(32)를 지주부(33) 상에 상하 배치시켜 결합하게 된다.
상기 박스 성형부(32)는 지주부(33)에 레일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록(34)과, 상기 슬라이딩블록(34)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1)의 상단을 집어서 사각으로 펼치는 제1, 제2조우플레이트(35,37)과, 상기 제1, 제2조우플레이트(35,37)의 상측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의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신축 직선운동되는 제2엑츄에이터(39)와, 상기 제2엑츄에이터(39)와 제2조우플레이트(37)를 사이를 연결시켜 제2엑츄에이터(39)의 직선운동을 제2조우플레이트(37)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링크(40) 및 상기 슬라이딩블록(34) 전체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액츄에이터(4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블록(34) 전면에는 박스(1)의 상단을 집어서 사각으로 펼치는 제1, 제2조우플레이트(35,37)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제2조우플레이트(35,37)는 슬라이딩블록(34)의 전면에서 상기 제2조우플레이트(37)가 직각으로 회동되어 펼쳐치거나 접히도록 작동된다.
상기 제1, 제2조우플레이트(35,37)의 내측벽에는 박스(1)의 단면을 핀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핀블록(36,37)들이 형성되어 있어, 박스(1)가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부(33)를 기준으로 했을 때, 슬라이딩블록(34)의 박스 공급부(20) 반대측에 제1, 제2조우플레이트(35,37)의 힌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박스 공급부(20) 반대측에서 제2조우플레이트(37)의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엑츄에이터(39)와 제2조우플레이트(37)를 사이에 회전링크(4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링크(40)는 제2엑츄에이터(39)와 제2조우플레이트(37)를 연결시켜 각운동됨으로써, 제2엑츄에이터(39)의 직선운동을 제2조우플레이트(37)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제2조우플레이트(37)는 슬라이딩블록(34)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유도판(42)과, 상기 회동유도판(42)의 하부에 배치되는 누름판(43)과, 상기 회동유도판(42)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4)와, 상기 고정부재(44)와 누름판(43)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45) 및 상기 가이드부재(45)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44)와 누름판(43) 사이에 탄성지되는 복원스프링(46)과, 상기 가이드부재(45)를 상기 고정부재(44)의 후면에 고정하는 체결판(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판(43)은 가이드부재(45)의 전,후진을 유도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엑츄에이터(39)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조우플레이트(37)가 회전되어 상기 제1조우플레이트(35)에 밀착된 박스(1)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조우플레이트(37)의 누름판(43)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박스(1)의 두께에 따라 상기 복원스프링(46)와 누름판(43)의 후방으로 후퇴되는 길이를 달리 하면서 상기 누름판(43)에 의해 박스(1)를 탄성지지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70: 지지수단 71: 고정브라켓
73: 탄성부 80: 스프링

Claims (3)

  1.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블랭크 박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박스 공급부와, 상기 박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박스를 하나씩 분리시켜 사각 함체 형태로 개함시키기 위해 지주부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박스분리부 및 박스 성형부로 이루어진 박스개함장치와, 상기 박스개함장치에서 개함된 박스의 하부에 형성된 내접이 날개 및 외접이 날개들을 상호 맞접도록 된 박스날개 절첩부와, 상기 박스날개 절첩부로부터 박스를 전달받아 접혀진 부위를 테이핑하는 박스 테이핑부로 구성된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박스 성형부(32)에는 슬라이딩블록(3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박스(1)의 일측 상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박스(1)의 상단을 접는 제1조우플레이트(35) 및 상기 제1조우플레이트(35)에 밀착되는 박스(1)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되면서 박스(1)의 타측 상단을 탄성지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제2조우플레이트(37)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며, 이송된 박스(1)의 두께에 따라 일정길이로 후퇴면서 박스(1)의 하측을 탄성지지하는 지지수단(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70)은 메인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고정브라켓(71)에 설치되는 지지판(72) 및 상기 지지판(72)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탄성부(73)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73)는 고정브라켓(71)에 설치되는 몸체(74)와, 상기 몸체(74)의 내측에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77)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7)에 설치되는 연결부재(78)와, 상기 연결부재(78)에 설치되는 가압롤러(79)와, 상기 몸체(74)와 슬라이딩부재(77)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80)과, 상기 슬라이딩부재(77)를 고정하는 고정판(8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우플레이트(37)는 슬라이딩블록(34)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유도판(42)과, 상기 회동유도판(42)의 하부에 배치되는 누름판(43)과, 상기 회동유도판(42)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4)와, 상기 고정부재(44)와 누름판(43)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45) 및 상기 가이드부재(45)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44)와 누름판(43) 사이에 탄성지되는 복원스프링(46)과, 상기 가이드부재(45)를 상기 고정부재(44)의 후면에 고정하는 체결판(4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KR1020200185472A 2020-12-29 2020-12-29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KR10243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72A KR102439530B1 (ko) 2020-12-29 2020-12-29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72A KR102439530B1 (ko) 2020-12-29 2020-12-29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54A true KR20220094354A (ko) 2022-07-06
KR102439530B1 KR102439530B1 (ko) 2022-09-01

Family

ID=8240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472A KR102439530B1 (ko) 2020-12-29 2020-12-29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5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722B1 (ko) * 2003-02-25 2012-02-22 오.에이.엠. 에스.피.에이. 용기 성형장치
KR20130052842A (ko) * 2011-11-14 2013-05-2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KR20140004479A (ko) * 2012-07-03 2014-01-1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
KR20140108050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KR101752382B1 (ko) * 2016-11-10 2017-06-30 주식회사 원익큐브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
CN110202832A (zh) * 2019-06-13 2019-09-06 安徽世品佳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夹持推折机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722B1 (ko) * 2003-02-25 2012-02-22 오.에이.엠. 에스.피.에이. 용기 성형장치
KR20130052842A (ko) * 2011-11-14 2013-05-2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KR20140004479A (ko) * 2012-07-03 2014-01-1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
KR20140108050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KR101463862B1 (ko)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KR101752382B1 (ko) * 2016-11-10 2017-06-30 주식회사 원익큐브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
CN110202832A (zh) * 2019-06-13 2019-09-06 安徽世品佳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夹持推折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530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3330A1 (ko)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CN207737922U (zh) 一种图书整理机器人结构
US9126380B2 (en) Case erector with reversible picker and erector assembly
CN107934338A (zh) 一种图书整理机器人结构及操作方法
CN112975487B (zh) 一种用于机械制造的夹具
KR101367619B1 (ko) 제함기
KR102439530B1 (ko)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CN216270156U (zh) 包装设备
CN108163273B (zh) 瓷砖包装用供箱-翻箱机
US2709950A (en) Bellows folding machine
CN204132699U (zh) 一种折叠桌
CN216056164U (zh) 一种组装式电缆桥架
CN206344108U (zh) 一种架空设备维修专用工具
CN209825747U (zh) 一种办公用书架
CN217101107U (zh) 一种建筑装饰设计用绘图辅助工具箱
CN219360708U (zh) 一种方便折叠的绘图板
KR200176058Y1 (ko) 제함기의 종이박스 밑면 접는 장치
TWM650274U (zh) 紙箱開箱裝置
CN218315491U (zh) 一种拼框机往复夹持结构
CN220616385U (zh) 一种页片翻转机构
CN219781918U (zh) 一种具有折叠功能的绘图架
CN216083186U (zh) 一种具备快速维护结构的光电箱
CN218314141U (zh) 一种竹筷生产用可调节型切条装置
CN220475658U (zh) 一种环保且便捷的移动能源供给工作站
CN220307165U (zh) 一种可伸展折叠式光伏发电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