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842A -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842A
KR20130052842A KR1020110118138A KR20110118138A KR20130052842A KR 20130052842 A KR20130052842 A KR 20130052842A KR 1020110118138 A KR1020110118138 A KR 1020110118138A KR 20110118138 A KR20110118138 A KR 20110118138A KR 20130052842 A KR20130052842 A KR 2013005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screw shaft
box
pos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375B1 (ko
Inventor
장현규
Original Assignee
(주)대림이엔지
장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이엔지, 장현규 filed Critical (주)대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11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6Mechanically by introducing opening fingers in the collapsed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펼쳐진 메인프레임(1) 상부에 구비되어 판 형태로 접힌 블랭크박스(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공급된 블랭크박스(1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분리된 블랭크박스(11)를 물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으로 펼치는 조우(30)와, 상기 조우(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우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조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1)에서 직립된 포스트(60)와, 이 포스트(60)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동일한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과,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축(70)과, 이 스크류축(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축결합되며 미리 설정된 입력값에 의해 제어되는 서보모터(80)와, 상기 스크류축(70)에 나사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조우(30)가 장착된 승강블록(90)을 포함하며, 상기 서보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70)이 회전됨에 따라 승강블록(90)이 스크류축(70)을 따라 승강되어 조우(3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Jaw Height Adjust Apparatus of Box Elector}
본 발명은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좀 더 간편하게 제함기의 조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보다 간단한 작동에 의해 조우의 높이가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작하게 접혀진 블랭크 박스를 펼친 후 하단에 구비된 날개를 서로 포개지도록 접어서 접착테이프로 봉합함으로써 골판지 박스와 같은 포장용 박스가 제작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박스 제함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제함기는 수평으로 펼쳐진 메인프레임(1) 상면에 판 형태로 접힌 블랭크박스(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공급된 블랭크박스(11)의 상단에 맞닿아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분리된 블랭크박스(11)의 상단부의 골판지 틈새에 끼워지는 핀을 다수 구비하여 블랭크박스(11)를 물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으로 펼치는 조우(30)와, 박스(11) 하단의 날개(11a)를 서로 포개지도록 접는 날개절첩장치(40)와, 이 날개절첩장치(40)로부터 전달되는 박스(11)를 이송시키면서 접혀진 하단부의 날개(11a)를 테이핑하여 고정하는 박스테이핑부(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블랭크박스(11)는 용도에 따라 그 규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박스의 규격이 바뀔 때마다 상기 세퍼레이터(20)와 조우(30)의 높이도 박스(11)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종래 조우(30)의 높이조절장치는 메인프레임(1)에 직립설치된 지주(2)를 따라 승강되며 조우(30)를 작동시키는 실린더(4)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판(3)과, 이 지지판(4)에 베어링(9)에 의해 축지지되는 핸들축(5)과, 이 핸들축(5)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양측에는 지지판(3)에 베어링(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하향 연장된 한 쌍의 스크류축(6a, 6b)과, 핸들축(5)과 스크류축(6a, 6b)을 구동접속시키는 복수개의 스프로켓(7a~7d) 및 풀리(8a, 8b)와, 한 쌍의 스크류축(6a, 6b)에 나사결합된 승강블록(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12)의 일측에는 조우(30)가 일체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5)을 돌려주면 승강블록(12)이 승강되어 조우(30)의 높이가 조절된다.
그런데, 종래의 제함기용 조우 높이조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서 제작이 번거로우며 작업도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박스(11)를 펼치기 위해서 실린더(4)를 이용하여 조우(30)를 작동시키는 것과는 별개로 조우(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핸들축(5)을 직접 돌려야 하므로, 조우(30)의 높이조절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힘도 많이 들고, 조우(30)의 작동과 높이조절이 별개의 루트를 통해 이루어져서 각 루트를 위해 별개의 부품이 요구되어 부품수가 많으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핸들축(5)을 여러 번 돌려서 조우(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므로, 조우(30)의 높이를 박스(11)의 규격과 한 번에 정확하게 맞추기가 쉽지 않아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침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46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함기의 조우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높이조절하지 않고 자동으로 좀 더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편의성 및 작업의 정밀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간이 지연되지 않아서 생산성도 향상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수평으로 펼쳐진 메인프레임(1) 상부에 구비되어 판 형태로 접힌 블랭크박스(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공급된 블랭크박스(1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분리된 블랭크박스(11)를 물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으로 펼치는 조우(30)와, 상기 조우(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우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조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1)에서 직립된 포스트(60)와, 이 포스트(60)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동일한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과,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축(70)과, 이 스크류축(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축결합되며 미리 설정된 입력값에 의해 제어되는 서보모터(80)와, 상기 스크류축(70)에 나사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조우(30)가 장착된 승강블록(90)을 포함하며,
상기 서보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70)이 회전됨에 따라 승강블록(90)이 스크류축(70)을 따라 승강되어 조우(3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블록(90)에는 그 내주면이 포스트(60)의 외주면을 감싸는 가이드홈(95)이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90)이 포스트(6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보모터(80)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70)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90)에 조우(30)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종래 직접 핸들을 돌려 조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과 달리 서보모터(80)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승강블록(90)이 승강되면서 조우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조우(30)의 높이를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입력값에 의해 서보모터(80)가 박스(1)의 사이즈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종래 작업자의 눈을 통해 확인하여 조절하는 것에 비해 조우(30)의 높이조절이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박스(1)의 개함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우(30)의 작동과 높이조절이 서보모터(8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종래 조우의 작동과 높이조절이 실린더와 핸들축의 조작에 의해 각각 별개의 루트를 통해 이루어지던 것에 비해, 작동이 매우 간편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승강블록(90)의 내측에는 포스트(60)의 외주면을 감싸는 가이드홈(95)이 형성되어, 승강블록(90)이 포스트(60)를 따라 슬라이드되므로 조우(30)의 하중이 스크류축(70)을 중심으로 승강블록(90)의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아서 승강블록(90)이 스크류축(70)을 따라 보다 원활하게 승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함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제함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수평으로 펼쳐진 메인프레임(1) 상부에 구비되어 블랭크박스(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공급된 블랭크박스(1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분리된 블랭크박스(11)를 물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으로 펼치는 조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와 같은 제함기의 조우(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에서 직립된 포스트(60)와, 이 포스트(60)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동일한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과,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축(70)과, 이 스크류축(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축결합된 서보모터(80)와, 일측에 상기 조우(30)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축(70)에 나사결합된 승강블록(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60)는 메인프레임(1)의 상면에서 직립된 것으로 박스공급부(10)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포스트(60)는 블랭크박스(11)의 이송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할 때 양측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전후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홈(64)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64)에는 도시안된 볼트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60)의 전후면에는 가이드바(65)가 상기 결합홈(6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65)는 결합홈(64)의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6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포스트(60)의 상단에는 모터설치판(63)이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은 상기 포스트(60)의 일측면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박스공급부(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은 모터설치판(63)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설치판(63)의 상면에는 서보모터(80)가 설치되며, 이 서보모터(80)는 도시안된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며 터치패널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접혀진 높이가 다양한 블랭크박스(11)의 수치가 미리 설정되고, 이 수치에 따라 서보모터(8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축(70)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는 상부축지지판(61)을 관통하여 상기 서보모터(80)와 축결합된다. 이때, 스크류축(7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도시안된 베어링 등을 통해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것이다. 이에 따라, 서보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70)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승강블록(90)은 상기 스크류축(70)에 나사결합되는 제1승강블록(91)과, 이 제1승강블록(91)의 일측에 결합된 제2승강블록(9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승강블록(91)은 포스트(6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축(70)과 나사결합되는 도시안된 너트공이 형성되어, 스크류축(70)이 회전되면 제1승강블록(91)이 스크류축(70)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는 볼스크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1승강블록(91)의 전후방향 양단부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결합돌부(91a)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 디귿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승강블록(92)도 제1승강블록(9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양단부에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결합돌부(92a)가 형성되어, 단면 디귿자 형상을 이룬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결합돌부(92a)들은 제1결합돌부(91a)들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제1결합돌부(91)와 제2결합돌부(92a)가 결합볼트(95)에 의해 서로 결합됨에 따라 제1 및 제2승강블록(91, 92)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 중공부에는 상기 포스트(60)의 전후면에 장착된 가이드바(65)를 감싸도록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93)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65)와 면접촉되는 가이드부재(93)의 내측면이 가이드홈(94)을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96은 가이드부재(93)를 승강블록(90)에 결합시키는 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는 서보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70)이 회전되고, 스크류축(70)이 회전됨에 따라 승강블록(90)이 스크류축(70)을 따라 승강된다. 이때, 승강블록(90)의 가이드부재(93)의 가이드홈(94)이 가이드바(65)와 면접한 상태로 가이드바(65)를 따라 슬라이드되므로, 조우(30)의 중량에 의한 하중이 승강블록(90)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승강블록(90)이 보다 원활하게 승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작업자가 직접 핸들을 돌려 조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서보모터(80)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승강블록(90)이 승강되면서 조우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조우(30)의 높이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서보모터(80)가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작동되므로, 조우(30)의 높이조절이 종래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는 것에 비해 정밀성과 신속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수평으로 펼쳐진 메인프레임(1) 상부에 구비되어 판 형태로 접힌 블랭크박스(1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박스공급부(10)와, 공급된 블랭크박스(11)를 하나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20)와, 분리된 블랭크박스(11)를 물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으로 펼치는 조우(30)와, 상기 조우(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우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조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1)에서 직립된 포스트(60)와, 이 포스트(60)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서 동일한 측방으로 돌출된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과,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축지지판(61, 6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축(70)과, 이 스크류축(7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축결합되며 미리 설정된 입력값에 의해 제어되는 서보모터(80)와, 상기 스크류축(70)에 나사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조우(30)가 장착된 승강블록(90)을 포함하며,
    상기 서보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70)이 회전됨에 따라 승강블록(90)이 스크류축(70)을 따라 승강되어 조우(3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90)에는 그 내주면이 포스트(60)의 외주면을 감싸는 가이드홈(95)이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90)이 포스트(6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KR1020110118138A 2011-11-14 2011-11-14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KR101367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38A KR101367375B1 (ko) 2011-11-14 2011-11-14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38A KR101367375B1 (ko) 2011-11-14 2011-11-14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42A true KR20130052842A (ko) 2013-05-23
KR101367375B1 KR101367375B1 (ko) 2014-03-12

Family

ID=4866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138A KR101367375B1 (ko) 2011-11-14 2011-11-14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68B1 (ko) * 2020-12-04 2021-09-01 (주)로픽 제함기
KR20220094354A (ko) * 2020-12-29 2022-07-06 심현섭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41B1 (ko) * 2021-08-12 2023-11-03 노태환 이동성이 향상된 경량형 오픈형태 박스 제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936B2 (ja) * 1991-11-18 1994-09-28 馬場産業機械株式会社 段ボール箱の組立て装置
KR200392468Y1 (ko) * 2005-05-27 2005-08-17 장현규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68B1 (ko) * 2020-12-04 2021-09-01 (주)로픽 제함기
KR20220094354A (ko) * 2020-12-29 2022-07-06 심현섭 제함기용 접혀진 박스 클램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375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12135U (zh) 一种全自动数控开料机
KR101367375B1 (ko) 제함기의 조우 높이조절장치
CN105436033A (zh) 一种桌面式自动点胶机
CN217345673U (zh) 一种手提包生产裁切装置
CN111035148A (zh) 一种建筑设计用绘图展示台
CN212469238U (zh) 一种酸轧机的切边装置
CN110103509B (zh) 一种打钉深度可调节的钉箱机
CN211090190U (zh) 一种方便定位安装的贴片组装平台
CN210411371U (zh) 点胶机
CN210203814U (zh) 一种工作台面高度可调节的裁剪台
CN114274588B (zh) 一种pp蜂窝板围板箱在线同步压痕机的可更换式刀具
CN203637346U (zh) 喷码机喷头微调器
CN209021155U (zh) 一种广告交通标志牌自动铆接机
CN209094861U (zh) 一种h型钢组立机
CN207207241U (zh) 一种纸盒成型机
CN213533964U (zh) 一种自动纸箱成型机
CN105438552A (zh) 一种气缸调节式瓦楞纸箱顶部翻折部压紧装置
CN214606163U (zh) 一种纸板自动钉箱机
CN201357586Y (zh) 装模快速定位装置
CN219214243U (zh) 一种酒盒加工用折边机
CN215390954U (zh) 一种环保型纸杯成型机
CN216463559U (zh) 一种便于调节倒角大小的倒角机
CN109333699A (zh) 一种板材可调开槽装置
CN212707236U (zh) 一种木板刀模加工用工作台
CN220240335U (zh) 一种激光打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