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878A - 무청 음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청 음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878A
KR20220090878A KR1020200181847A KR20200181847A KR20220090878A KR 20220090878 A KR20220090878 A KR 20220090878A KR 1020200181847 A KR1020200181847 A KR 1020200181847A KR 20200181847 A KR20200181847 A KR 20200181847A KR 20220090878 A KR20220090878 A KR 20220090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unsweetened
dried radish
present
rice b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466B1 (ko
Inventor
김용래
이치호
Original Assignee
김용래
이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이치호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102020018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4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a)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에어프라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분말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청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함에 따른 기호성 관련 문제와 변질 문제를 개선하여 우수한 품질의 무청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청 음료는 총 페놀 함량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 등의 우수한 생리학적 특성을 기대할 수 있고, 낮은 pH 및 높은 산도를 나타내어 변질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다. 이에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이러한 무청의 유익한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scription

무청 음료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drink using green part of radish}
본 발명은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에어프라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분말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Raphanus sativus L.)는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해온 중요한 채소 중의 하나로 그 이용이 삼국시대 이후로 긴 역사를 지니고 있다. 2003년 통계로 약 160만 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무는 일년 중 김장철에 주로 생산되며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무 생산 시 만들어지는 무청은 일부는 이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쓰레기로 버려지는 실정에 있다. 현재는 양구를 중심으로 시래기 전용 무청이 생산되고 있다. 예로부터 무청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등의 무기물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타 지용성 비타민 A 및 수용성 비타민 B 계열 및 C 등의 함량이 풍부해 정제식품, 즉석식품 섭취의 과다 및 육식의 증가로 인한 상대적인 섬유소 섭취가 적은 현대인에게 필수성분으로서 각광받는 건강식의 주요 식재료이다.
그러나 무청과 같은 식이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은 식품 가공 섭취 면에서의 향기 및 관능 등의 기호성이 떨어져 무청 등의 소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식이섬유소 공급원인 무청의 즉석 음료화를 통한 현대인의 변비 방지 및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소재의 공급 개선은 국민 건강 증진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무청을 이용한 식품에 현대인들이 손쉽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대인의 입맛에 맞고 현대인들의 건강개선에 맞는 형태로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무청을 이용하여 식품, 특히 음료를 제조함에 따른 문제, 특히 제조된 식품의 기호성 등의 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와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식품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86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69351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무청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함에 따른 기호성 관련 문제와 변질 문제를 개선하여 우수한 품질의 무청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무청의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며 기호성 등의 우수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는 무청 음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에어프라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분말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청 음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P8을 106 내지 108 CFU/㎖로 접종하여 30 내지 40℃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 100중량부에 물 200 내지 2000중량부를 첨가하고 0 내지 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보관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 및 쌀겨를 90 내지 110℃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청 음료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100 내지 150℃에서 5 내지 60분 동안 에어프라이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무청 음료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무청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청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함에 따른 기호성 관련 문제와 변질 문제를 개선하여 우수한 품질의 무청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청 음료는 총 페놀 함량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 등의 우수한 생리학적 특성을 기대할 수 있고, 낮은 pH 및 높은 산도를 나타내어 변질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어 소비자들이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다. 이에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이러한 무청의 유익한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여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청 음료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청 음료 제조 방법의 중간 산물인 분말(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보관한 다음 증숙, 에어프라이 및 분말화한 것) 및 최종 제조된 무청 음료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무청 음료 제조 방법은 a)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에어프라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분말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청을 음료의 재료로 사용하며 무청을 건조된 상태로 이용한다. 무청은 무의 잎과 줄기 부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말린 형태로 보관하고 이렇게 무청을 말린 것을 시래기라고도 한다. 따라서 시중에 유통되는 무청 시래기를 재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생무청의 경우 건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단계는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건조 무청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배 중량의 쌀겨를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무청의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5배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4배 중량의 쌀겨를 사용한다. 보관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의 환경에 밀폐용기를 보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환경에 밀폐용기를 보관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보관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8시간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시간으로 한다.
이때 쌀겨는 건조된 상태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단계는 특히 무청의 이취를 제거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b)단계는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증숙하는 단계로, 찜기와 같은 증숙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증숙 조건을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30 내지 120분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 40 내지 9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2℃, 50 내지 70분으로 한다. 이러한 b)단계는 특히 무청의 이취 제거와 함께 조직을 연화하여 이후의 발효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c)단계는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에어프라이하는 단계로, 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에어프라이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에어프라이 조건을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 10 내지 30분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에서 15 내지 25분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d)단계는 c)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분말화하는 단계로, 건조 식재료를 분말화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장치, 예를 들어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분말화는 바람직하게는 입경 10 내지 50㎛가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가 되도록 분말화한다.
본 발명에서 e)단계는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로, 이때 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내지 2000중량부의 비율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400 내지 1000중량부의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0 내지 700중량부의 비율로 한다. 추출은 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물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추출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1 내지 48시간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10 내지 4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20 내지 30시간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교반 추출하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r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r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rpm으로 교반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f)단계는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로, 통상의 발효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P8이다. 접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의 배양액을 상기 추출물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010 CFU/㎖,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09 CFU/㎖,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 내지 108 CFU/㎖이 되도록 접종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의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지, 예를 들어 MRS 배지에서, 예를 들어 30 내지 40℃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발효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6 내지 48시간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9℃, 10 내지 4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38℃, 20 내지 30시간으로 한다. 외부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한 잘못된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종 전에 추출물을 멸균한다. 이때 멸균은 예를 들어오토클레이브(autoclave)와 같은 통상의 멸균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로 5 내지 30분간 가압멸균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로 10 내지 20분간 가압멸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추출물을 여과하여 추출잔사, 즉 고형물을 제거한 추출액의 상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a) 내지 f)단계를 통해 발효물 형태의 무청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발효물은 그 형태 그대로 포장 등의 추가 과정을 거쳐 유산균, 즉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이 살아있는 형태 그대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경우 멸균하는 과정을 거쳐 유산균이 사멸된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무청 음료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양구에서 구입한 무청(무청 시래기)를 사용하였다.
건조된 무청을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쿠리에 받쳐 두어 물기를 제거하였다.
세척한 건조 무청에 건조 무청 중량 기준 약 1/3중량의 쌀겨를 혼합하고 밀폐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하루 동안 보관하였다.
보관하였던 건조 무청과 쌀겨를 찜기에 옮겨 담고 약 100℃에서 약 60분 동안 증숙하였다.
찜기에서 증숙된 무청을 꺼내어 무청에 묻어 있는 쌀겨를 제거한 다음, 에어프라이기에 담고 약 120℃에서 약 20분 동안 에어프라이하였다.
에어프라이한 무청을 그라인딩하여 분말화하고, 수득된 분말 100g 당 600㎖의 비율로 증류수를 첨가하고 약 4℃에서 약 24시간 동안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Whatman No.1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고, 이 여과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약 121℃로 약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멸균된 여과액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약 1x109 CFU/㎖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P8 배양액을 1%(v/v) 수준으로 첨가하고, 약 37℃에서 약 24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P8 배양액은 MRS 액체배지에서 약 37℃로 약 24시간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P8은 내몽골 농업대학(Inner Mongolian Agricultural University)의 낙농 바이오테크놀러지 및 바이오엔지니어링 연구소(Laboratory of Dairy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후허하오터, 내몽골, 중국)로부터 분양받아서 사용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이후 생성된 발효물을 아래의 실험에서 무청 음료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무청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에어프라이 과정과 발효 과정을 생략하여 무청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무청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발효 과정을 생략하여 무청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무청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에어프라이 과정을 생략하여 무청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무청의 일반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에서 사용한 건조 무청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정량은 AOAC법(2007)에 기초하여 수분함량은 105℃ 상압건조법, 조단백함량은 Kjeldahl법, 조지방함량은 Soxhlet법, 회분함량은 550℃ 회화법으로 측정하였고, 각각 3회 이상 반복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표 1과 같다.
함량
회분(%) 29.43±0.31
수분(%) 43.12±0.18
조단백(%) 4.12±0.08
조지방(%) 4.32±0.01
식이섬유(%) 19.01±0.32
* 수치는 평균±표준편차임
실시예 3. 무청 음료의 특성 분석
3-1. 실험 방법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의 무청 음료 시료를 대상으로 각 시료의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pH는 각 무청 음료 시료 2.5g에 0.8%의 NaCl 수용액 22.5g을 첨가하고 믹서기(Bagmixer 400, Interscience 사)로 90초간 균질화한 후 pH 미터기(pH 900, Precisa 사)로 측정하였다.
적정산도(titratable acidity, TA)는 pH가 증류수에서 8.3에 이르기까지(증류수 27㎖에 3g의 무청 음료 시료 함유) 0.1N NaOH를 사용하여 중화적정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중화에 요구되는 NaOH는 유산균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TA(%) = (10 x VNaOH x 0.009 x 0.1) / W x 100%
10 = 희석배율
W = 적정에 사용된 시료의 중량(g)
VNaOH = 젖산 중화에 사용된 NaOH의 부피
0.1 = NaOH의 노르말농도
젖산균 생균수는 MRS 고체배지(Oxoid Ltd)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는 조건의 도말평판법(spread plate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무청 음료 시료 100㎕에 0.85% 멸균생리식염수 900㎕를 첨가한 다음, 0.85% 멸균생리식염수로 10배씩 희석하여 각각의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이 희석액의 상층 100㎕를 MRS 고체배지에 평판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생성된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점도는 점도계(Model LVDV-E,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미들보로, 매사추세츠, 미국)로 측정하였고, 30rpm에서 spindle No. 63을 사용하였다.
총 페놀 함량(total polyphenol content: TPC)은 Wei 등의 방법(201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1N Folin-Ciocalteu's phenol 시약 용액 100㎕를 무청 음료 시료 100㎕와 혼합한 후 실온에서 3분 동안 반응시켰다. 1N Na2CO3 300㎕를 혼합액에 첨가해 실온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증류수 1㎖을 혼합액에 첨가하여 반응을 끝내고, 최종 725㎚에서 흡광도를 측정(Optizen 2120 UV, Mecasys, Co, Ltd., 한국)하였다. 단위는 표준물질로 갈릭산을 사용하여 시료 10g 갈릭산의 밀리그램(GAE) 당량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무청 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무청 음료를 일정한 양으로 동일한 용기에 담아 훈련된 5명의 패널 요원에 제시한 다음, 각 무청 음료에 대한 색 및 맛에 대한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평가 항목에 대해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10점을 가장 우수한 것, 1점을 가장 나쁜 것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모든 통계치는 SAS(Statistic Analytical Institute Cary NC, 1988)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평균 간 유의성 검정(p<0.05)은 던컨의 다중범위검정을 사용하였으며 95%(Duncan, 1955)에서 유의차 검정하였다.
3-2.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의 무청 음료의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 표 2 및 3과 같다.
  pH 적정산도(%) 젖산균수(CFU/ml) 점도 총페놀함량(GAE mg/g)
비교예 1 5.08 0.57 - 0.94 35.1
비교예 2 4.87 0.73 2.4x109 0.97 37.4
비교예 3 5.04 0.40 - 0.69 33.9
실시예 1 4.52 0.65 2.6x109 0.97 39.2
* 젖산균수 : 비교예 1 및 3은 젖산균수 평가에서 제외하였음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무청 음료의 관능평가 결과, 맛의 경우 비교예 1이 5점으로 나타난 반면 실시예 1은 8점으로 나타났으며, 색의 경우 비교예 1이 6점으로 나타난 반면 실시예 1은 7점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실시예 1의 무청 음료가 비교예 1의 무청 음료에 비해 더 높은 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7)

  1. a)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에어프라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분말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청 음료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P8을 106 내지 108 CFU/㎖로 접종하여 30 내지 40℃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수득한 분말 100중량부에 물 200 내지 2000중량부를 첨가하고 0 내지 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건조 무청을 쌀겨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보관하는 단계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 및 쌀겨를 90 내지 110℃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를 거친 건조 무청을 100 내지 150℃에서 5 내지 60분 동안 에어프라이하는 단계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무청 음료.
KR1020200181847A 2020-12-23 2020-12-23 무청 음료 제조 방법 KR10259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847A KR102592466B1 (ko) 2020-12-23 2020-12-23 무청 음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847A KR102592466B1 (ko) 2020-12-23 2020-12-23 무청 음료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878A true KR20220090878A (ko) 2022-06-30
KR102592466B1 KR102592466B1 (ko) 2023-10-20

Family

ID=8221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847A KR102592466B1 (ko) 2020-12-23 2020-12-23 무청 음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439B1 (ko) 2022-10-31 2024-02-05 나리찬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백김치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백김치 음료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505B1 (ko) * 1995-06-30 1998-07-01 서중일 무우를 주재로 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38680B1 (ko) 2006-08-28 2007-07-11 한국식품연구원 식이섬유가 강화된 무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0807733B1 (ko) * 2006-12-21 2008-02-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쌀겨 및 스테비아 잎 분말을 첨가한 단무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351B1 (ko) 2013-03-08 2014-12-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60114817A (ko) * 2015-03-25 2016-10-06 김제경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KR101957599B1 (ko) * 2017-10-23 2019-03-13 김상현 훈제 단무지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훈제 단무지
KR20200028152A (ko) * 2018-09-06 2020-03-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프라이를 이용한 식품 소재용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505B1 (ko) * 1995-06-30 1998-07-01 서중일 무우를 주재로 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38680B1 (ko) 2006-08-28 2007-07-11 한국식품연구원 식이섬유가 강화된 무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0807733B1 (ko) * 2006-12-21 2008-02-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쌀겨 및 스테비아 잎 분말을 첨가한 단무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351B1 (ko) 2013-03-08 2014-12-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60114817A (ko) * 2015-03-25 2016-10-06 김제경 한방 시래기 가공방법
KR101957599B1 (ko) * 2017-10-23 2019-03-13 김상현 훈제 단무지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훈제 단무지
KR20200028152A (ko) * 2018-09-06 2020-03-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프라이를 이용한 식품 소재용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439B1 (ko) 2022-10-31 2024-02-05 나리찬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백김치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백김치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466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591B1 (ko) 천연 항산화 기능성 배-포도 혼합식초 및 그 제조방법
Schaide et al. Effect of olive leaf extract combin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able olives
KR20120110956A (ko) 미생물발효에 의한 고활성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Palachum et al. Guava pulp fermentation and processing to a vitamin B12‐enriched product
KR20190102729A (ko) 매실가공물이 포함된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7530A (ko) 두유의 제조 방법
KR102592466B1 (ko) 무청 음료 제조 방법
KR20180029155A (ko)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7269B1 (ko) 보리를 포함하는 gaba 함유량이 높은 요구르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요구르트
KR20130057757A (ko) 발효 오일 및 그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746826B1 (ko) 두유식혜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유식혜요구르트
Chaudhary et al. Effect of incorporation of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on the antimicrobial, ACE inhibitory,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otential of a milk-millet composite probiotic fermented product
KR101292085B1 (ko) 양파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87050B1 (ko) 닭 가슴살 육질 개선용 구기자 유산균 발효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연화처리 방법
CN113907345A (zh) 一种青梅酵素原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73303B1 (ko) 관능적으로 뛰어나고 가바(gaba)함량이 높은 발아, 발효 현미를 활용한 누룽지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숭늉 음료 제조관련 기술
KR102140872B1 (ko) 중성지방축적을 억제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한 레드비트 발효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음료 제조방법
CN111296699A (zh) 一种富含花青素的蓝莓益生菌发酵原液及其制备方法
KR102549244B1 (ko) 한라봉 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라봉 빵
KR101403593B1 (ko) 보리 함유 요구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9819B1 (ko) 발효 비파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010100210A (ko) 천연 응고제를 이용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Rusmarilin et al. Soy-yamgurt probiotic drink as a natural potential of antioxidant
CN111109415A (zh) 一种山楂叶茶饮料的加工方法
RU216054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евого проду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