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312A - 골프 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312A
KR20220090312A KR1020200181385A KR20200181385A KR20220090312A KR 20220090312 A KR20220090312 A KR 20220090312A KR 1020200181385 A KR1020200181385 A KR 1020200181385A KR 20200181385 A KR20200181385 A KR 20200181385A KR 20220090312 A KR20220090312 A KR 2022009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all
magnet
golf swing
ball
swing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431B1 (ko
Inventor
한누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Priority to KR102020018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431B1/ko
Priority to JP2023526141A priority patent/JP2023554222A/ja
Priority to PCT/KR2021/012873 priority patent/WO2022139123A1/ko
Priority to CN202180072450.XA priority patent/CN116419784A/zh
Publication of KR2022009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431B1/ko
Priority to US18/308,843 priority patent/US202302640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9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63B60/04Movable ballas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8Normal golf clubs with directly attached we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66Tracking system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4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electrically conductive, e.g. for automatic arbi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olf Club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타격감을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 및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쪽 일부분에 금속재질의 금속영역이 형성되는 샤프트본체; 상기 샤프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본체의 스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걸리면서 타격감 생성을 위한 중량을 제공하며, 복수의 끼움슬롯이 구비되는 임팩트볼; 및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임팩트볼의 끼움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자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의 인력작용을 통해 상기 임팩트볼을 상기 금속영역에 구속하되, 상기 끼움슬롯들에 결합되는 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자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인력작용의 세기 조절을 허용하는 마그넷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장치{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타격감을 제공하는 중량체를 자기력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해서 원하는 장소의 홀에 넣는 운동으로 근래 들어 대중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여기서, 골프 스윙은 골프클럽의 헤드를 어떤 특정한 궤도로 움직이면서 골프공을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골프 스윙은 적절한 리듬을 갖추고 있어야만 미스샷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팩트 시 가장 빠른 스피드를 내야만 골프공을 멀리 날려 보낼 수 있다.
따라서, 골프 스윙을 연습하기 위한 연습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5-0001269호에 개시된 '골프스윙 연습용 배트'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막대형상의 샤프트본체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샤프트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중량체, 샤프트본체에 끼움 결합하는 고정링과, 고정링과 중량체 사이의 샤프트본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이동부 및 고정링에 구비되는 자석과, 이동체에 구비되어 자석에 의하여 고정링에 접촉되되, 스윙 시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고정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접촉분리부로 구성되는 연습용 배트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샤프트의 스윙시 이동체가 고정링으로부터 분리되어 중량체로 이동하면서 임팩트의 타이밍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이동체를 고정하는 자석의 자기력을 조절할 수 없는 구성이므로 다양한 중량감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이동체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윙에 의한 이동을 통해 타격감을 제공하는 임팩트볼을 마그넷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작용을 통해 샤프트에 고정하면서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자기력의 세기를 통해 다양한 중량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임팩트볼에 결합된 상태로 자기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마그넷의 수량을 선택적으로 임팩트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한 인력작용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임팩트볼에 결합된 마그넷과 샤프트본체의 금속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격거리 설정을 통해 자기력의 세기 조절과 함께 임팩트볼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중량을 제공하는 임팩트볼의 중량을 추가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타격감을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 및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쪽 일부분에 금속재질의 금속영역이 형성되는 샤프트본체; 상기 샤프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본체의 스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걸리면서 타격감 생성을 위한 중량을 제공하며, 복수의 끼움슬롯이 구비되는 임팩트볼; 및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임팩트볼의 끼움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자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의 인력작용을 통해 상기 임팩트볼을 상기 금속영역에 구속하되, 상기 끼움슬롯들에 결합되는 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자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인력작용의 세기 조절을 허용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슬롯은, 상기 임팩트볼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쪽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되, 상기 임팩트볼의 내측면 쪽으로 개구되어 상기 마그넷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금속영역과 대면시키는 노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상기 마그넷과 동일한 형상 및 중량을 이루면서 상기 임팩트볼의 끼움슬롯들 중 상기 마그넷이 결합되지 않은 끼움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넷에 대응하는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면서 각 영역이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팩트볼은, 상기 금속영역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슬롯들이 내측 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제1 임팩트볼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끼움슬롯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슬롯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는 복수의 제1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팩트볼은, 상기 금속영역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임팩트볼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임팩트볼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끼움슬롯들이 내측 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제2 임팩트볼; 및 상기 제2 임팩트볼을 상기 제1 임팩트볼에 고정하는 볼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2 임팩트볼의 끼움슬롯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슬롯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는 복수의 제2 마그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임팩트볼은, 상기 제1 임팩트볼과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임팩트볼은, 상기 제1 임팩트볼과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임팩트볼은, 상기 제1 임팩트볼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영역은, 상기 영역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임팩트볼의 상기 제1 마그넷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영역의 나머지 부분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임팩트볼의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임팩트볼의 제2 마그넷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되, 상기 제1 마그넷과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대면하면서 상기 제2 마그넷과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대면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고정부는, 상기 제1 임팩트볼과 상기 제2 임팩트볼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되는 완충판; 상기 제1 임팩트볼 및 상기 제2 임팩트볼 중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완충판을 관통하는 센터링돌기; 상기 제1 임팩트볼 및 상기 제2 임팩트볼 중 나머지 하나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터링돌기가 끼워지는 센터링홈; 및 상기 제1 임팩트볼, 상기 완충판 및 상기 제2 임팩트볼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상기 샤프트본체 및 상기 임팩트볼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본체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적외선을 발광하는 IR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자기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마그넷이 임팩트볼에 형성되는 끼움슬롯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마그넷의 수량 조절을 통해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자기력의 세기를 통한 인력작용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중량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끼움슬롯에 결합되는 중량블록이 마그넷과 동일한 형상 및 중량을 제공하므로 마그넷의 수량을 일부 생략할 경우에도 중량블록을 통해 동일한 중량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금속영역의 외경을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할 경우에는 마그넷과 인력작용을 이루는 금속영역과의 이격거리를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격거리의 설정을 통해 자기력의 세기 조절과 함께 임팩트볼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임팩트볼을 구성하는 제1 임팩트볼 및 제2 임팩트볼이 서로 다른 중량으로 형성되어 볼고정부의 구성을 통해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2 임팩트볼을 탈착함으로써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1 임팩트볼 및 제2 임팩트볼의 내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경우에는 임팩트볼 별로 마그넷과 금속영역과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가지므로 이격거리의 설정을 통해 자기력의 세기 조절과 함께 임팩트볼의 초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IR감지부의 구성을 통해 샤프트본체의 스윙궤적과 같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윙 연습의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임팩트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임팩트볼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샤프트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임팩트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임팩트볼이 금속영역에 고정된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임팩트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임팩트볼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샤프트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임팩트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임팩트볼이 금속영역에 고정된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10)는 스윙 연습 시 이동하는 중량체를 통해 타격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10)는 크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본체(100), 임팩트볼(200) 및 마그넷(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본체(100)는 스윙 연습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로 휘둘러지는 구성요소로, 통상적인 골프클럽에 대응하는 막대형상을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를 이루는 상단부에 손잡이(110)가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본체(100)는 손잡이(110)의 반대쪽 단부에 스토퍼(120)가 설치됨으로써 손잡이(110)와 스토퍼(120)의 사이에 후술되는 임팩트볼(200)의 이동구간인 볼레일(130)을 제공할 수 있다.
스토퍼(120)는 볼레일(130)의 단부에 임팩트볼(200)의 걸림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임팩트볼(2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볼레일(300)은 비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마그넷(300)의 자기력과 반응하지 않으면서 임팩트볼(2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본체(100)는 손잡이쪽(110) 일부분에 금속재질의 금속영역(5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영역(500)은 후술되는 임팩트볼(200)에 설치된 마그넷(300)과의 인력작용을 통해 임팩트볼(200)을 볼레일(13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단부, 즉 스토퍼(120)의 반대쪽 단부에 구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금속영역(5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외경을 이루면서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을 이루면서 제1 영역(510) 및 제2 영역(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팩트볼(200)은 샤프트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샤프트본체(100)의 스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타격감 생성을 위한 중량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임팩트볼(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를 이루는 중량체로 형성되어 샤프트본체(100)에 형성된 볼레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임팩트볼(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마그넷(300)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복수의 끼움슬롯(400)이 형성됨으로써 마그넷(300)을 통해 금속영역(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샤프트본체(100)의 스윙 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여 스토퍼(130)에 걸림으로써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임팩트볼(2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를 이루면서 제1 임팩트볼(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를 이루면서 제1 임팩트볼(210), 제2 임팩트볼(220) 및 볼고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임팩트볼(210)은 금속영역(500)의 외경부가 큰 내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마그넷(300)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작용을 통해 금속영역(500)에 고정되면서 마그넷(300)의 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인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임팩트볼(210)은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임팩트볼(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끼움슬롯(400)이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마그넷(300)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끼움슬롯(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를 이루면서 방사형태를 이루면서 제1 임팩트볼(2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노출홈(410)의 구성을 통해 마그넷(300)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출홈(410)은 제1 임팩트볼(210)의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형성됨으로써 마그넷(30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제1 임팩트볼(210)의 내측면 쪽으로 개구되어 마그넷(300)을 노출시키면서 금속영역(500)과 대면시킴으로써 제1 임팩트볼(210)을 금속영역(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끼움슬롯(400)은 걸림홈(42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홈(420)은 전술한 노출홈(410)의 일측에 단턱형태의 단면을 이루는 홈으로 형성됨으로써 마그넷(300)의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300)은 임팩트볼(200)을 전술한 금속영역(500)에 고정하기 위한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복수로 구성되어 임팩트볼(200)에 구비되는 끼움슬롯(4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300)은 끼움슬롯(400)에 결합된 상태로 임팩트볼(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영역(500)과 대면하면서 금속영역(500)과의 인력작용을 통해 임팩트볼(200)을 금속영역(500)에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300)은 복수로 구성됨으로써 끼움슬롯(400)들에 결합되는 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자기력을 제공함으로써 인력작용의 세기 조절을 허용할 수 있다.
즉, 마그넷(300)은 복수의 끼움슬롯(400) 각각에 모두 결합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끼움슬롯(400)들 중 일부에만 결합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슬롯(4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끼움슬롯(400)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전지 형상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끼움슬롯(400)에 소정의 수량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블록(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량블록(600)은 마그넷(300)에 대응하는 중량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마그넷(300)과 동일한 형상 및 중량으로 형성되어 임팩트볼(200)의 끼움슬롯(400)들 중 마그넷(300)이 결합되지 않은 끼움슬롯(4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300)은 임팩트볼(200)이 단수의 제1 임팩트볼(210)로 구성될 경우에는 복수의 제1 마그넷(300)으로 구성되어 제1 임팩트볼(210)의 끼움슬롯(4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임팩트볼(200)이 복수의 제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220)로 구성될 경우에는 제2 임팩트볼(220)의 끼움슬롯(4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마그넷(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마그넷(310)은 제1 임팩트볼(210)에 구비되는 끼움슬롯(400)들에 선택적인 수량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슬롯(400)을 이루는 노출홈(410)에 의해 제1 임팩트볼(210)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면서 금속영역(5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그넷(320)은 제2 임팩트볼(220)에 구비되는 끼움슬롯(400) 들에 선택적인 수량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슬롯(400)을 이루는 노출홈(410)에 의해 제2 임팩트볼(220)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면서 금속영역(5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할 수 있다.
한편, 임팩트볼(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220)로 구성되면서 볼고정부(33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임팩트볼(220)은 후술되는 볼고정부(230)를 통해 제1 임팩트볼(210)에 결합됨으로써 제1 임팩트볼(210)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임팩트볼(220)은 제1 임팩트볼(210)과는 서로 다른 중량 및 내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제1 임팩트볼(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마그넷(320)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끼움슬롯(40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임팩트볼(220)은 제1 임팩트볼(210)과 동일한 중량 및 내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임팩트볼(220)은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임팩트볼(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팩트볼(210)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끼움슬롯(400)에 결합된 제2 마그넷(320)이 제1 임팩트볼(210)의 제1 마그넷(31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금속영역(500)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 임팩트볼(220)은 제1 임팩트볼(21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금속영역(500)과 이격됨으로써 제1 임팩트볼(2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세기의 인력작용을 통해 금속영역(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고정부(230)는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을 결합시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볼 고정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판(231), 센터링돌기(232), 센터링홈(233) 및 체결볼트(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판(231)은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접촉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접촉부위를 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판(231)은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제1 임팩트볼(210)의 끼움슬롯(400)과 제2 임팩트볼(220)의 끼움슬롯(400)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310) 및 제2 마그넷(320)은 완충판(231)에 의해 제1 임팩트볼(210)의 끼움슬롯(400)과 제2 임팩트볼(220)의 끼움슬롯(400)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끼움슬롯(400)은 마그넷(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물로 이루어진 캡과 같은 미도시된 차폐부재가 결합됨으로써 마그넷(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터링돌기(232)는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를 결합하기 위한 수형부재를 이루는 것으로,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 중 하나에 복수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어 완충판(231)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센터링홈(233)은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를 결합하기 위한 암형부재를 이루는 것으로,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 중 나머지 하나에 복수의 홈으로 형성되어 센터링돌기(232)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은 센터링돌기(231) 및 센터링홈(232)의 결합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234)는 제1 임팩트볼(210), 완충판(231) 및 제2 임팩트볼(220)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1 임팩트볼(210)과 제2 임팩트볼(220)을 결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금속영역(50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10) 및 제2 영역(520)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영역이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510) 및 제2 영역(520)은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외경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로 작용하는 인력을 통해 임팩트볼(200)을 위치에 따라 다른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510)는 임팩트볼(200)을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510)는 금속영역(500) 중 손잡이(110) 쪽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임팩트볼(200)의 마그넷(300)과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임팩트볼(200)을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20)는 임팩트볼(200)을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520)는 금속영역(500) 중 손잡이(110) 반대쪽의 나머지부분을 이루면서 제1 영역(510)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제1 영역(510)에 비하여 마그넷(300)과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임팩트볼(200)을 제1 영역(510)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할 수 있다.
즉, 임팩트볼(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의 제1 임팩트볼(210)로 구성되어 제1 영역(510)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1 마그넷(310)이 제1 영역(510)와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약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팩트볼(210)은 제2 영역(520)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1 마그넷(310)이 제2 영역(520)와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임팩트볼(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임팩트볼(2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면서 제1 영역(51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임팩트볼(220)은 제1 영역(510)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제2 마그넷(320)을 통해 제2 영역(520)에만 구속될 수 있으며, 제2 마그넷(320)이 제1 마그넷(31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제2 영역(520)와 이격됨으로써 제1 임팩트볼(210)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인력으로 제1 영역(520)에 구속될 수 있다.
종합하면,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220)로 구성될 경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계의 인력 세기로 금속영역(500)에 구속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을 통해서만 제2 영역(520)에 위치할 경우, 제1 마그넷(310)을 통해서만 제2 영역(520)에 구속되므로 3단계 중 가장 약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임팩트볼(200)은 샤프트본체(100)의 스윙 시 상대적으로 약한 원심력에 의해서도 금속영역(500)에서 분리되면서 스토퍼(120)를 향해 이동하여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을 통해 제2 영역(520)에 위치할 경우, 제1 마그넷(310) 및 제2 마그넷(320)을 통해 제2 영역(510)에 구속되면서 제1 마그넷(310)이 제1 영역(510)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3단계 중 중간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을 통해 제1 영역(510)에 위치하면서 및 제2 임팩트볼을 통해 제2영역(520)에 위치할 경우, 제1 마그넷(310)을 통해 제1 영역(510)에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제2 마그넷(320)을 통해 제2 영역(520)에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3단계 중 가장 강한 세기의 인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임팩트볼(200)은 샤프트본체(100)의 스윙 시 상대적으로 강한 원심력에 의해서만 금속영역(500)에서 분리되면서 스토퍼(120)를 향해 이동하여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발광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R발광부(700)는 미도시된 감지센서에 의한 샤프트본체(100)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적외선을 발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IR발광부(700)는 샤프트본체(100)의 전단에 설치되거나, 임팩트볼(200) 및 스토퍼(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됨으로써 샤프트본체(100)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도시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IR발광부(700)를 통해 샤프트본체(100)의 움직임이나 이동궤적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IR발광부(600)를 기반으로 샤프트본체의 스윙 연습에 따른 횟수나 궤적, 정확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도출하여 제공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임팩트볼(200)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면서 마그넷(300)의 자기력을 통해 금속영역(50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300)은 선택적인 수량으로 임팩트볼(200)의 끼움슬롯(400)에 결합되면서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마그넷(300)은 상대적으로 강한 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설정할 경우 임팩트볼(200)의 끼움슬롯(400) 모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약한 자기력을 제공하도록 설정할 경우끼움슬롯(400)의 일부분에만 결합될 수 있다.
임팩트볼(200)은 마그넷(300)의 수량에 따라 제공되는 자기력을 통해 금속영역(5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220)로 구성되면서 금속영역(500)이 제1 영역(510) 및 제2 영역(520)으로 구성될 경우, 제1 임팩트볼(210) 및 제1 마그넷(310)을 통해서만 제2 영역(520)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장 약한 인력으로 고정되면서 무게중심을 샤프트본체(100)의 하부 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220)을 통해 제2 영역(520)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중간 단계의 인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또 달리, 임팩트볼(200)은 제1 임팩트볼(210) 및 제2 임팩트볼(220)을 통해 제2 영역(510) 및 제1 영역(520)에 각각 위치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장 강한 인력으로 고정되면서 무게중심을 샤프트본체(100)의 손잡이 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샤프트본체(100)는 손잡이(110)를 통해 사용자에 파지된 상태로 스윙이 이루어진다.
이때, 임팩트볼(200)은 샤프트본체(100)의 스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금속영역(500)에서 분리된 후, 볼레일(130)을 따라 이동하여 스토퍼(120)에 부딪히면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임팩트볼(200)은 상대적으로 약한 인력으로 고정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원심력에 의해서도 금속영역(50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강한 인력으로 고정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원심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금속영역(500)에서 분리되므로 스윙 연습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10)에 의하면, 자기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마그넷(300)이 임팩트볼(200)에 형성되는 끼움슬롯(4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마그넷(300)의 수량 조절을 통해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자기력의 세기를 통한 인력작용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중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골프 스윙 연습장치
100 : 샤프트본체
110 : 손잡이
120 : 스토퍼
130 : 볼레일
200 : 임팩트볼
210 : 제1 임팩트볼
220 : 제2 임팩트볼
230 : 볼고정부
231 : 완충판
232 : 센터링돌기
233 : 센터링홈
234 : 체결볼트
300 : 마그넷
310 : 제1 마그넷
320 : 제2 마그넷
400 : 끼움슬롯
500 : 금속영역
510 : 제1 영역
520 : 제2 영역
600 : 중량블록
700 : IR발광부

Claims (11)

  1.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타격감을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 및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쪽 일부분에 금속재질의 금속영역이 형성되는 샤프트본체;
    상기 샤프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본체의 스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에 걸리면서 타격감 생성을 위한 중량을 제공하며, 복수의 끼움슬롯이 구비되는 임팩트볼; 및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임팩트볼의 끼움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자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의 인력작용을 통해 상기 임팩트볼을 상기 금속영역에 구속하되, 상기 끼움슬롯들에 결합되는 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자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인력작용의 세기 조절을 허용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슬롯은,
    상기 임팩트볼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쪽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되, 상기 임팩트볼의 내측면 쪽으로 개구되어 상기 마그넷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금속영역과 대면시키는 노출홈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상기 마그넷과 동일한 형상 및 중량을 이루면서 상기 임팩트볼의 끼움슬롯들 중 상기 마그넷이 결합되지 않은 끼움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마그넷에 대응하는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블록을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면서 각 영역이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볼은,
    상기 금속영역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슬롯들이 내측 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제1 임팩트볼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끼움슬롯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슬롯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는 복수의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볼은,
    상기 금속영역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임팩트볼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임팩트볼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끼움슬롯들이 내측 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제2 임팩트볼; 및
    상기 제2 임팩트볼을 상기 제1 임팩트볼에 고정하는 볼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2 임팩트볼의 끼움슬롯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슬롯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금속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는 복수의 제2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팩트볼은,
    상기 제1 임팩트볼과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팩트볼은,
    상기 제1 임팩트볼과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팩트볼은,
    상기 제1 임팩트볼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영역은,
    상기 영역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임팩트볼의 상기 제1 마그넷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영역의 나머지 부분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임팩트볼의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임팩트볼의 제2 마그넷과 소정의 간격으로 대면하되, 상기 제1 마그넷과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대면하면서 상기 제2 마그넷과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대면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고정부는,
    상기 제1 임팩트볼과 상기 제2 임팩트볼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되는 완충판;
    상기 제1 임팩트볼 및 상기 제2 임팩트볼 중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완충판을 관통하는 센터링돌기;
    상기 제1 임팩트볼 및 상기 제2 임팩트볼 중 나머지 하나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터링돌기가 끼워지는 센터링홈; 및
    상기 제1 임팩트볼, 상기 완충판 및 상기 제2 임팩트볼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상기 샤프트본체 및 상기 임팩트볼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본체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적외선을 발광하는 IR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0200181385A 2020-12-22 2020-12-22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46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85A KR102460431B1 (ko) 2020-12-22 2020-12-22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2023526141A JP2023554222A (ja) 2020-12-22 2021-09-17 ゴルフスイング演習装置
PCT/KR2021/012873 WO2022139123A1 (ko) 2020-12-22 2021-09-17 골프 스윙 연습장치
CN202180072450.XA CN116419784A (zh) 2020-12-22 2021-09-17 高尔夫挥杆练习装置
US18/308,843 US20230264091A1 (en) 2020-12-22 2023-04-28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85A KR102460431B1 (ko) 2020-12-22 2020-12-22 골프 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312A true KR20220090312A (ko) 2022-06-29
KR102460431B1 KR102460431B1 (ko) 2022-10-31

Family

ID=8215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85A KR102460431B1 (ko) 2020-12-22 2020-12-22 골프 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64091A1 (ko)
JP (1) JP2023554222A (ko)
KR (1) KR102460431B1 (ko)
CN (1) CN116419784A (ko)
WO (1) WO202213912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633B1 (ko) * 2009-01-08 2012-02-16 임승배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8118926A1 (en) * 2016-12-22 2018-06-28 Golf Tailor, Llc Swing train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077A (ja) * 1999-06-28 2001-01-16 Metoro Golf Yohin Kk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100937384B1 (ko) * 2008-05-16 2010-01-18 김현수 야구 스윙 연습기
CN205612998U (zh) * 2016-04-12 2016-10-05 王本寰 高尔夫球挥杆矫正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633B1 (ko) * 2009-01-08 2012-02-16 임승배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8118926A1 (en) * 2016-12-22 2018-06-28 Golf Tailor, Llc Swing train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19784A (zh) 2023-07-11
KR102460431B1 (ko) 2022-10-31
WO2022139123A1 (ko) 2022-06-30
JP2023554222A (ja) 2023-12-27
US20230264091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584B1 (en) Swing speed trainer
US20230256315A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060025532A (ko) 골프스윙연습장치 및 방법
US20170291090A1 (en) Golf swing trainer
KR102460431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20030027656A1 (en) Sports swing training device
AU2014209998A1 (en) Tennis teaching aids
US5860873A (en) Golf swing trainer
US9468829B2 (en) 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swing system
US10709952B2 (en) Tennis stroke practice device
KR101337757B1 (ko) 스윙 연습 골프채
KR102159878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US3722890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US20190126119A1 (en) Down-blow swing practice apparatus
KR102123447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US9072958B2 (en) Golf practice aid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200391326Y1 (ko) 퍼팅 연습기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KR20150128226A (ko) 골프연습용배트
KR102405500B1 (ko) 골프스윙연습기
KR20150001269U (ko) 골프스윙 연습용 배트
WO2002087702A3 (en) Apparatus for projecting a golf ball
KR20110010201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90024333A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