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201U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201U
KR20110010201U KR2020100004240U KR20100004240U KR20110010201U KR 20110010201 U KR20110010201 U KR 20110010201U KR 2020100004240 U KR2020100004240 U KR 2020100004240U KR 20100004240 U KR20100004240 U KR 20100004240U KR 20110010201 U KR20110010201 U KR 201100102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force
swing
main body
attra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현
Original Assignee
손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현 filed Critical 손진현
Priority to KR2020100004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201U/ko
Publication of KR20110010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내부 공간이 길게 형성된 장치본체; 장치본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치본체의 일측벽과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물체; 및 장치본체의 일측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에 마련되어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인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본체 내에서 인력 발생부가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정의 힘 이상의 스윙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해 이동 물체가 인력 발생부로부터 이격된 후 장치본체의 내측벽에 충돌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종래에 비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 장치{Apparatus to practice swing of golf}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 연습 시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종래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 자세는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루(follow through), 피니쉬(finish)로 구성된다.
특히, 드라이브샷 또는 티샷과 같이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여 먼 거리를 보낼 때 다운스윙 과정에서 코킹(cocking)이 이루어지며, 이때 일정 힘 이상이 가해지도록 스윙을 하여야 골프공을 원하는 장소까지 날릴 수 있다.
이에, 골프채를 스윙할 때 가해지는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개발되어 실제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200)는, 골프채(미도시)에 부착되는 본체(210)와, 본체(2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210S)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추(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골프채를 백스윙할 때 이동추(220)가 본체(210)의 일측벽과 충돌하며 충돌음을 내고 또 팔로스윙할 때 이동추(220)가 본체(210)의 타측벽과 충돌하며 충돌음을 낸다. 이에 따라, 골프 스윙 연습 장치(200)를 사용하여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사람은 충돌음의 크기 또는 리듬을 통하여 스윙력의 크기 및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200)는, 이동추(220)와 본체(210)의 내벽이 충돌하는 충돌음의 크기만으로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측정의 정확성이 다소 부정확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일측벽과 이동추(320) 사이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30)로 연결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300)가 고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300)에 있어서는, 반복적인 스윙 연습 시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이 일부 상실되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반복적인 사용을 하더라도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본체 내에서 인력 발생부가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정의 힘 이상의 스윙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해 이동 물체가 인력 발생부로부터 이격된 후 장치본체의 내측벽에 충돌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종래에 비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반복적인 스윙 연습을 하더라도 이동 물체에 대한 인력 발생부의 인력 크기가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윙력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내부 공간이 길게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벽과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물체; 및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인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장치본체 내에서 인력 발생부가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정의 힘 이상의 스윙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해 이동 물체가 인력 발생부로부터 이격된 후 장치본체의 내측벽에 충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종래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력 발생부는 인력으로서 자력(磁力)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magnetic)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 물체는 상기 인력 발생부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메탈(metal)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물체는 구 형상 내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상기 이동 물체에 대한 상기 인력 발생부의 자력을 조절하기 위해, 일부분이 상기 인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물체 사이에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자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 조절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인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물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물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의 타측벽 및 상기 인력 발생부에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이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위치 조절되어 상기 인력 발생부에 대한 상기 이동 물체의 접근 가능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비자기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본체 내에서 인력 발생부가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정의 힘 이상의 스윙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해 이동 물체가 인력 발생부로부터 이격된 후 장치본체의 내측벽에 충돌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종래에 비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복적인 스윙 연습을 하더라도 이동 물체에 대한 인력 발생부의 인력 크기가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윙력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골프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자력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골프채에 부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사람은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골프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자력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는 골프채(1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는 그 크기 및 무게가 스윙 연습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볼펜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또한 경량의 무게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는, 골프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 공간(110S)이 길게 형성된 장치본체(110)와, 장치본체(110)의 내부 공간(110S)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치본체(110)의 일측벽(111)과의 충돌음에 따라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하게 하는 이동 물체(120)와, 장치본체(110)의 타측벽(112)에 마련되어 이동 물체(120)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인력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장치본체(110)는, 원통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또한 내부 공간(110S) 역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장치본체(110)는 후술할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인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비자기적인 물질인 플라스틱(plastic)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물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의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다만, 이동 물체(1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ball) 형상 등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이동 물체(120)는 후술할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인력에 영향을 받는 재질로 마련된다. 즉, 후술하겠지만 인력 발생부(130)는 자력(磁力)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자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이동 물체(120)는 메탈(metal) 재질로 마련된다. 따라서, 이동 물체(120)는 스윙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인력 발생부(130)의 인력 영향 범위 내에 있어 인력 발생부(130)에 대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인력 발생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물체(120)를 자력에 의해 잡아당김으로써 이동 물체(120)가 장치본체(110)의 내부 공간(110S) 상에서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력 발생부(13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magnetic) 재질로 제작되며, 장치본체(110)의 타측벽(112)에 배치된다. 또한, 이동 물체(120)는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인력, 즉 자력에 의해 인력 발생부(1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스윙력으로 골프채(101)를 스윙하는 경우, 이동 물체(120)는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떨어져 장치본체(110)의 일측벽(111)을 치게 되며, 이때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사람은 이동 물체(120)와 장치본체(110)의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스윙 시 이동 물체(120)와 장치본체(110)의 충돌음이 발생되는 경우 스윙을 연습하는 사람은 충분한 속도의 스윙을 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반면에 스윙 시 이동 물체(120)와 장치본체(110)의 충돌음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자신이 빠른 속도로 스윙을 하지 못하였음을 파악한 후 더 빠른 스윙이 요구됨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사람에 따라 힘의 차이가 있으므로,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인력 발생부(130)는 선택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인력 발생부(130)는 장치본체(1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자력을 갖는 다수의 인력 발생부(130) 중 자신의 스윙력에 기초하여 인력 발생부(130)를 선택한 후 장치본체(110)에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 간의 자력을 조절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 사이에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자력 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력 조절부(140)는,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 사이에 이동 물체(120)가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물체(120)에 대한 인력 발생부(130)의 인력 영향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자력 조절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의 내부에서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 사이에 배치되어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41)와, 장치본체(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부재(142)와, 인력 발생부(130) 및 장치본체(110)의 일측벽에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조절부재(142)와 이격 부재(14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조절부재(142)를 회전시키면 조절부재(142)와 연결부재(143)로 연결된 이격부재(141)가 장치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력 발생부(130)와 이동 물체(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조절부재(142)의 회전 시 이격부재(141)가 회전하며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43)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수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도록 장치본체(110)의 일측벽 및 인력 발생부(130)의 관통홀의 내면에는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재(141)는 인력 발생부(130)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지 않도록 비자기적인 물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plastic)으로 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이격부재(141)의 위치에 따라 인력 발생부(130)에 대한 이동 물체(120)의 접근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물체(120)에 대한 인력 발생부(130)의 인력 영향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사람은 자신이 발휘할 수 있는 스윙력 정도에 기초하여 자력 조절부(140)를 조절함으로써 인력 발생부(130)에 대한 이동 물체(12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후 스윙 연습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를 통하여 스윙력 크기 또는 스윙 속도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를 골프채(101)의 사프트 부분에 견고히 장착하다. 이후 어드레스 동작 후 백스윙을 하고, 이어서 강한 스윙력으로 골프채를 다운스윙하는데 이때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에 의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스윙 동작 시 원심력에 의해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이동 물체(120)가 이격된 후 장치본체(110)의 타측벽에 강하게 충돌됨으로써 충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스윙 연습을 하는 사람은 충돌음의 크기 또는 리듬 등을 통해서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본체(110) 내에서 인력 발생부(130)가 이동 물체(120)를 잡아당기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소정의 힘 이상의 스윙이 가해지는 경우에 한해 이동 물체(120)가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이격된 후 장치본체(110)의 일측벽에 충돌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복적인 스윙 연습을 하더라도 이동 물체(120)에 대한 인력 발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의 크기가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윙력 크기 또는 스윙 속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110 : 장치본체
120 : 이동 물체 130 : 인력 발생부
140 : 자력 조절부 141 : 이격부재
142 : 조절부재 143 : 연결부재

Claims (6)

  1. 내부 공간이 길게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벽과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돌음을 통해 스윙력의 크기 또는 스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물체; 및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물체를 잡아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인력 발생부;
    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발생부는 인력으로서 자력(磁力)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magnetic)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 물체는 상기 인력 발생부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메탈(metal) 재질로 마련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는 구 형상 내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에 대한 상기 인력 발생부의 자력을 조절하기 위해, 일부분이 상기 인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물체 사이에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자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조절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인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물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력 발생부와 상기 이동 물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의 타측벽 및 상기 인력 발생부에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이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위치 조절되어 상기 인력 발생부에 대한 상기 이동 물체의 접근 가능 거리를 조절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비자기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20100004240U 2010-04-22 2010-04-22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1100102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40U KR20110010201U (ko) 2010-04-22 2010-04-22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40U KR20110010201U (ko) 2010-04-22 2010-04-22 골프 스윙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01U true KR20110010201U (ko) 2011-10-28

Family

ID=7288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40U KR20110010201U (ko) 2010-04-22 2010-04-22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20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82A1 (ko) * 2019-01-21 2020-07-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폭 향상 재활훈련 보조도구
KR20210002406U (ko) * 2020-04-22 2021-11-01 김양곤 태권도 품새 연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582A1 (ko) * 2019-01-21 2020-07-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폭 향상 재활훈련 보조도구
KR20210002406U (ko) * 2020-04-22 2021-11-01 김양곤 태권도 품새 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1975B1 (ja) スイング演習装置
KR101513473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JP6357253B2 (ja) ゴルフクラブ用のウエイト部材
KR101388527B1 (ko)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CN106714913B (zh) 高尔夫推杆矫正装置
US10799781B1 (en) Golf swing playing aid device
KR200472276Y1 (ko) 골프 스윙 연습용 기구
KR20110010201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JP2023549326A (ja) ゴルフスイング演習装置
KR10080223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6818458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1744178B1 (ko)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
JP2005348753A (ja) ゴルフスイング補助装置
KR100919936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160026850A (ko) 퍼팅 훈련 보조 기구
JP3198684U (ja) ゴルフ練習用補助具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798821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2358208B1 (ko) 스윙 연습기
KR20090005941A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3198188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101458196B1 (ko) 골프공 회전안내라인 자동화 형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