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742A -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742A
KR20220089742A KR1020200179402A KR20200179402A KR20220089742A KR 20220089742 A KR20220089742 A KR 20220089742A KR 1020200179402 A KR1020200179402 A KR 1020200179402A KR 20200179402 A KR20200179402 A KR 20200179402A KR 20220089742 A KR20220089742 A KR 20220089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change
vehicle
lamp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318B1 (ko
Inventor
김승윤
이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7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K2370/1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측 지면 및 우측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는 램프부와,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향 지시등 감지부와,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램프부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차선 변경을 하고자 하는 차선의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여 후방 차량에게 차선 변경 의사를 더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lane change}
본 발명은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선 변경 시 운전자는 방향 지시등을 조작하여 주변 운전자에게 차선 변경을 한다는 의사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후방 차량에서 전방주시 태만으로 인하여 전방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차량 주변의 밝고 어두운 정도나 타 차량에 의한 시야 차단으로 인해 전방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후방 차량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은 상태로 직진하다가 차선 변경을 하는 전방 차량과 충돌을 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지시등 이외에도, 차량이 차선 변경을 시도한다는 것을 후방 차량에게 더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후방 차량에게 차선 변경 의사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 변경 시 후방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측 지면 및 우측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는 램프부;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향 지시등 감지부; 및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좌측 후방의 지면 및 우측 후방의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더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후측방에 위치하여 주행하는 후방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후방 차량이 감지되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고, 후방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후방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되면,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화된 프로필과 연동하여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으로서, 제어부가,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램프부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차량의 좌측 후방의 지면 및 우측 후방의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더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센서부에서 후방 차량이 감지되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고, 후방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 사이에, 후방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되면,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는 운전 미숙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개인화된 프로필과 연동하여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좌측 지면 및 우측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는 램프부와,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향 지시등 감지부와,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램프부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차선 변경을 하고자 하는 차선의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여 후방 차량에게 차선 변경 의사를 더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측 후방의 지면 및 우측 후방의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더 표시함으로써, 차선 변경 시 후방 차량의 접근을 차단시킬 수 있고, 후방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미숙한 상태인 것을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 미숙 및 차선 변경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 및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은 램프부(110), 센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방향 지시등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프부(110)는 차선변경의 보조를 위한 패턴이나 라인을 지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후방 차량(1)을 대상으로 차선변경 의사를 알리기 위한 차선변경 알림 패턴(11)과, 차선변경 시 안전 거리 유지를 위한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 및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기 위한 초보운전 문구(1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램프부(110)는 패턴 표시 램프(111), 라인 표시 램프(112) 및 문구 표시 램프(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 표시 램프(111)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좌측 지면 및 우측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 표시 램프(111)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될 수 있으며, 펜더나 도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표시 램프(111)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111a)과, 광원(111a)에서 조사되는 빛을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으로 형성하는 마스킹 필름(111b)과, 마스킹 필름(111b)의 외부에 형성되는 렌즈 커버(11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인 표시 램프(112)는 차량의 좌측 후방의 지면 및 우측 후방의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을 표시하며, 차량의 테일 램프에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리어 펜더에서 차량의 좌측 후방과 우측 후방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문구 표시 램프(113)는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13)를 표시하며, 차량의 트렁크 리드 또는 리어 범퍼에서 차량 후방의 지면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라인 표시 램프(112)와 문구 표시 램프(113)의 경우에도 전술한 패턴 표시 램프(111)와 동일하게 광원(111a)과 마스킹 필름(111b) 및 렌즈 커버(111c)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차량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후방 차량(1)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120)는 BSD(Blind Spot Detection)로 구비되어 차량의 후측방에 위치하여 주행하는 후방 차량(1)을 감지할 수 있으며, 후방 차량(1)이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경고나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차선변경을 시도하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20)에서 감지한 후방 차량(1)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5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차량에 탑재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est, Driver1 및 Driver2로 구분되는 개인화된 프로필(131)을 제공하고, 개인화된 프로필(131)과 연동하여 각각의 개인화된 프로필(131) 내에서 차선변경 보조 램프(Lane Change Assistance Lamp) 모드(132)와 후방 보조 램프(Rear Assistance Lamp) 모드(133)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또는 키 조작 방식으로 사용자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 중 어느 하나에 모드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제어부(150)에 출력하여 제어부(150)에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향 지시등 감지부(140)는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방향 지시등 감지부(140)는 차량의 방향 지시등 조작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턴 시그널을 수신하거나, 차량의 제어기(ECU)로부터 방향 지시등의 턴 시그널을 전달받아,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었는지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방향 지시등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방향 지시등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5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설정된 모드에 따라 램프부(11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을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을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50)는 센서부(120)에서 후방 차량(1)이 감지되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11)만을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하고, 후방 차량(1)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11)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가 설정되면, 초보운전 문구(13)를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에서 제어부(150)에 의해 수행되는 램프부(110)의 동작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 및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에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가 설정되고 센서부(120)의 감지 범위 이내에 후방 차량(1)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제어부(150)는 램프부(110)를 제어하여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을 동시에 표시하게 한다.
그러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에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었을 때 센서부(120)의 감지 범위에 후방 차량(1)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램프부(110)를 제어하여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만을 표시한다. 이때, 차량의 내부에는 제어부(150)나 센서부(120)에 의해 후방 차량(1)의 감지 여부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경고나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에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와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가 모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램프부(110)를 제어하여 차선변경 알림 패턴(11)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 및 초보운전 문구(13)를 모두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20)의 감지 범위에 후방 차량(1)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와 초보운전 문구(13)만을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에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와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가 모두 설정되어 있더라도, 방향 지시등이 조작되지 않으면, 차량의 후방에 초보운전 문구(13)만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 변경을 하고자 하는 차선의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을 표시함으로써, 후방 차량(1)에게 차선 변경 의사를 더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고,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을 더 표시함으로써, 차선 변경 시 후방 차량(1)의 접근을 차단시켜서 후방 차량(1)과 충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은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13)를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미숙한 상태인 것을 후방 차량(1)의 운전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고, 운전 미숙 및 차선 변경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차선변경 보조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100)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 설정 명령에 따라 모드를 설정한다(S100).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개인화된 프로필(131)과 연동하여 차선변경 보조 램프(Lane Change Assistance Lamp) 모드(132)와 후방 보조 램프(Rear Assistance Lamp) 모드(133)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입력되는 모드 설정 명령에 따라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를 설정하고(S110), 또한,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를 설정할 수 있다(S120).
다만, S110단계에서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가 설정되지 않으면, 후술하는 각 단계를 별도 수행하지 않으며, S110단계에서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132)가 설정되었을 때 S120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가 설정되면 초보운전 문구(13)를 표시한다(S200).
이때, 제어부(150)는 램프부(110)를 제어하여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13)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S120단계에서 후방 보조 램프 모드(133)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S200단계는 별도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다음,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300).
이때, 방향 지시등 감지부(140)는 차량의 방향 지시등 조작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턴 시그널을 수신하거나, 차량의 제어기(ECU)로부터 방향 지시등의 턴 시그널을 전달받아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방향 지시등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방향 지시등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50)에 출력된다.
한편, S300단계에서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전술한 S110단계를 다시 반복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에 따라 차선변경의 보조를 위한 패턴이나 라인을 지면에 표시한다(S400).
이때, 제어부(150)는 센서부(120)에서 후방 차량(1)이 감지되는지 확인하고(S410), 센서부(120)에서 후방 차량(1)이 감지되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11)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110)를 제어하며(S420), 후방 차량(1)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11)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12)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430).
또한, S420단계와 S43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을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11)을 표시하도록 램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지시등이 원래 위치로 조작되면, S420단계와 S430단계를 종료하여 전술한 S110단계를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110 : 램프부
120 : 센서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방향 지시등 감지부
150 :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의 좌측 지면 및 우측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는 램프부;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향 지시등 감지부; 및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좌측 후방의 지면 및 우측 후방의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차량의 후측방에 위치하여 주행하는 후방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후방 차량이 감지되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고, 후방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후방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되면,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개인화된 프로필과 연동하여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6.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으로서,
    제어부가,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
    방향 지시등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좌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램프부를 제어하고, 우측 방향 지시등이 턴온되면, 차량의 우측 지면에 차선변경 알림 패턴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차량의 좌측 후방의 지면 및 우측 후방의 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센서부에서 후방 차량이 감지되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만을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고, 후방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선변경 알림 패턴과 접근 금지 가이드 라인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 사이에,
    후방 보조 램프 모드가 설정되면, 차량의 후방 지면에 운전 미숙 여부를 알리는 초보운전 문구를 표시하는 운전 미숙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개인화된 프로필과 연동하여 차선변경 보조 램프 모드 및 후방 보조 램프 모드의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보조 방법.
KR1020200179402A 2020-12-21 2020-12-21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02A KR102450318B1 (ko) 2020-12-21 2020-12-21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02A KR102450318B1 (ko) 2020-12-21 2020-12-21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42A true KR20220089742A (ko) 2022-06-29
KR102450318B1 KR102450318B1 (ko) 2022-10-05

Family

ID=8226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402A KR102450318B1 (ko) 2020-12-21 2020-12-21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80B1 (ko) * 2006-08-14 2008-01-21 김태현 차량 안전표시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속상황표시 방법
KR101679980B1 (ko) * 2015-08-27 2016-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20073362A (ja) * 2015-01-13 2020-05-14 マクセル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80B1 (ko) * 2006-08-14 2008-01-21 김태현 차량 안전표시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속상황표시 방법
JP2020073362A (ja) * 2015-01-13 2020-05-14 マクセル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射方法
KR101679980B1 (ko) * 2015-08-27 2016-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318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139B1 (en) Determining a driver alert level for a vehicle alert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8932868B (zh) 车辆的危险预警系统及方法
JP6517161B2 (ja) 走行制御装置
US9092987B2 (en) Lane change assist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US20180334089A1 (en) Driving intention indicating device and method
US20090051516A1 (en) Assistance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US20100283591A1 (en) Method for graphically representing a danger for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EP3581452A1 (en) Driving assist control device
JP4158796B2 (ja) 走行支援装置
US119322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uggested steering action indicator to user interface of vehicle
KR102199743B1 (ko) 사각지대 영상을 제공하는 운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3915200B2 (ja) 車両の障害物警報装置
KR20180089717A (ko) 차량의 주행 지원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6624016B2 (ja) 車両用自動運転制御装置
KR102450318B1 (ko)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4813B1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JPH05221263A (ja) 車両用表示装置
JP4543581B2 (ja) 走行支援装置
KR20140012364A (ko) 차량의 주행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3251B1 (ko) 자동차의 차폭 표시 장치
KR20230075413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투영 장치
KR20220117407A (ko) 자율 주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22023621A (ja) 車両用報知装置
JP7298456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240013660A1 (en) Control device, warn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