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218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218A
KR20220089218A KR1020200179643A KR20200179643A KR20220089218A KR 20220089218 A KR20220089218 A KR 20220089218A KR 1020200179643 A KR1020200179643 A KR 1020200179643A KR 20200179643 A KR20200179643 A KR 20200179643A KR 20220089218 A KR20220089218 A KR 20220089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spac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vertical ed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연경
한동우
송태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218A/ko
Priority to EP20904855.2A priority patent/EP4083528A4/en
Priority to PCT/KR2020/019011 priority patent/WO2021133064A1/ko
Priority to JP2022538401A priority patent/JP2023507826A/ja
Priority to CN202080089763.1A priority patent/CN114846275A/zh
Priority to US17/788,124 priority patent/US202300306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8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35Categorising the entire scene, e.g. birthday party or wedding scene
    • G06V20/36Indoor sce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공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풍향조절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가변시키는 풍량조절기, 실내 공간의 영상을 획득하고,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및 상기 풍향조절기 및 상기 풍량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기 및 상기 풍량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차가운 공기 또는 뜨거운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예를 들면, 등록특허 KR 10-0315780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켜지면 기본 풍향 및/또는 기본 풍량의 바람이 토출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기본 풍량 및/또는 기본 풍향은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구조, 및 크기 등에 관계없이 설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구조, 크기 등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지 못하고, 정해진 제어 방법에 따라 일률적으로 동작하게 되어, 공기조화기가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못한다. 즉, 실내 공간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빠르게 수렴시키지도 못하고, 실내 공간 내에서도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 온도 분포율이 낮아짐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온도 센서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보다 빠르게 센싱하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과냉방 및/또는 과난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추정하는 선행특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8190호)는 카메라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를 추정하는 방법을 공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특허는 실내 공간 내부의 꼭지점을 검출하고 이를 선으로 연결한 후, 미리 저장된 구조 중 어느 구조에 해당하는지를 찾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는 상기 방법으로 실내 공간의 모서리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미리 저장된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 공간의 구조를 파악할 수 없고, 각 모서리까지의 거리 정보는 파악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57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81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 정보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및/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 벽과 벽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와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 실내 공간에서 공기조화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공기조화기가 바라보는 방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실내 공간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만들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구조에 따라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실내 공간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실내 공간의 온도 분포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실내 공간의 이미지로부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고, 마스터 영상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와 세로 모서리 사이의 거리, 및/또는 실내 공간에서 공기조화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풍향조절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가변시키는 풍량조절기, 실내 공간의 영상을 획득하고,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및 상기 풍향조절기 및 상기 풍량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기 및 상기 풍량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풍량조절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인 상부 가로 모서리, 및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인 하부 가로 모서리를 포함하는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마스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학습용 영상과 상기 학습용 영상의 배경, 천장, 벽, 및 바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영상의 상기 세로 모서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의 높이, 상기 세로 모서리의 높이 픽셀수, 및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 및 상기 상부 가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와 상기 세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들 중 가장 짧은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 공간의 영상을 획득하고,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와,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토출되는 공기의 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인 상부 가로 모서리, 및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인 하부 가로 모서리를 포함하는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학습용 영상과 상기 학습용 영상의 배경, 천장, 벽, 및 바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영상의 상기 세로 모서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의 높이, 상기 세로 모서리의 높이 픽셀수, 및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 및 상기 상부 가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와 상기 세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들 중 가장 짧은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와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풍향 및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실내 공간에서 공기조화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실내 공간의 구조에 따라 최적의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 6과 같이 설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가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추정한 마스터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110) 및 실외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10)와 실외기(120) 사이에는 배관(1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10)는 카메라(111), 제어부(112), 풍향조절기(113) 및 풍량조절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10)는 설치된 실내 공간에 차가운 공기 또는 뜨거운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내기(110)는 실내의 공기와 냉매 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10)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면, 실내기(110)는 설치된 공간에 차가운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실내기(110)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면, 실내기(110)는 설치된 공간에 따뜻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10)는 바닥에 세워지는 스탠드형일 수도 있고, 벽에 부착되는 벽걸이형일 수도 있다. 또한, 실내기(110)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실내기(110)의 카메라(111)는 공기조화기(100)의 실내기(11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을 촬영하여 실내 공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111)는 실내 공간을 촬영하여 2차원의 실내 공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좌우를 기준으로 공기조화기(100)의 실내기(11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10)가 스탠드형인 경우, 카메라(111)는 스탠드형의 좌우 방향의 중간 부근에 배치되되, 실내기(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110)의 제어부(112)는 카메라(111)를 통해 획득한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고, 실내 공간 정보 및/또는 실내 공간의 온도(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가 복수개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프로세싱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이격된 서로 다른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12)는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 실내 공간에서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가 바라보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는 벽과 벽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의 위치(방향)과 세로 모서리와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제어부(112)는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마스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영상은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천장과 벽 간의 경계, 벽 간의 경계 및 벽과 바닥 간의 경계를 추출하여 이를 표현한 이미지일 수 있다. 마스터 영상의 일 예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은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마스터 영상에 기초하여 상술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실내기(110)의 풍향조절기(113)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실내기(110)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풍향조절기(113)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을 움직이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풍향조절기(113)는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과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내기(110)가 복수개의 토출구를 가질 경우, 복수개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또는 복수개의 토출구들 각각에 설치된 베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110) 앞에서 실내기(110)를 바라봤을 때, 상기 복수개의 토출구는 실내기(110)의 좌측에 배치된 제1 토출구와 실내기(110)의 우측에 배치된 제2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공기를 좌측으로 토출하도록 제어되고,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공기를 우측으로 토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토출구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실내기(110)가 하나의 토출구를 가질 경우,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은 복수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각 그룹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110) 앞에서 실내기(110)를 바라봤을 때, 토출구의 좌측에 제1 그룹의 베인이 배치되고, 토출구의 우측에 제2 그룹의 베인이 배치되며, 제1 그룹의 베인은 공기가 좌측으로 토출되도록 제어되고, 제2 그룹의 베인은 공기가 우측으로 토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2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의 베인과 제2 그룹의 베인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풍량조절기(114)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실내기(110)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다. 풍량조절기(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20)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20)는 실내기(110)와 연결된 배관(130)을 통해 실내기(110)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120)는 연결된 실내기(1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공기조화기가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분리형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로 형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조화기가 분리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부(112)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어부(112)는 연산부(1121) 및 메인 제어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1)와 연산부(1121)는 카메라 모듈(115)에 포함될 수 있다.
연산부(1121)는 카메라(111)가 획득한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실내 공간 정보를 메인 제어부(1122)로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122)는 실내 공간 정보 및/또는 실내 온도 등에 기초하여 풍향조절기(도 1의 113) 및/또는 풍량조절기(도 1의 114)를 조절할 수 있다.
연산부(1121)와 메인 제어부(1122)는 비동기 직렬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연산부(1121) 및 메인 제어부(112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CPU), 그래픽처리장치 (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Digital Signal Processors(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DSPD), Programmable Logic Devices(PLD),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연산부(1121) 및 메인 제어부(1122) 각각은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 또는 메모리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산부(1121) 및/또는 메인 제어부(1122)은 입력 디바이스(들) 및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121) 및/또는 메인 제어부(1122)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 폰 또는 테블릿)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산부(1121) 및/또는 메인 제어부(1122)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제어부(112)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면, 제어부(112)가 연산부(1121) 및 메인 제어부(1122)를 포함함으로써,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122)의 부담을 줄여주면서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12)는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이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각 단계는 도 1의 제어부(112)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마스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0 단계). 마스크 영상은 실내 공간에서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인 상부 가로 모서리, 및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인 하부 가로 모서리를 선분으로 나타낸 영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딥러닝 기반의 학습기를 사용할 수 있다. S100 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마스크 영상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단계). 예를 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일반적인 영상 검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S100 단계에서 추출한 마스크 영상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마스크 영상이 유효하지 않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도 2의 1122))는 실내 온도 등에 기초하여 풍향조절기(도 1의 113) 및/또는 풍량조절기(도 1의 114)를 제어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마스크 영상이 유효하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마스크 영상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S300 단계). 실내 공간 정보는 세로 모서리의 위치(방향),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와 세로 모서리 사이의 거리, 실내 공간의 모양, 실내 공간에서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의 위치, 및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가 바라보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300 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단계). 예를 들면, 제어부(112)는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영상을 복수개 획득하고, 연속적으로 획득된 복수개의 실내 공간 이미지들 각각에 기초하여 S100 단계 내지 S300 단계를 복수회 반복하고, 연속적으로 획득된 실내 공간 정보가 동일하다면 실내 공간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연속적으로 획득된 실내 공간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면 실내 공간 정보는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실내 공간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도 2의 1122))는 실내 온도 등에 기초하여 풍향조절기(도 1의 113) 및/또는 풍량조절기(도 1의 114)를 제어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실내 공간 정보가 유효하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00 단계). 제어부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성될 경우, S500 단계에서 연산부(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메인 제어부(112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500 단계에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도 2의 1122))는 실내 공간 정보 및/또는 실내 온도 등에 기초하여 풍향조절기(도 1의 113) 및/또는 풍량조절기(도 1의 1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공간 정보에 포함된 세로 모서리(벽과 벽 사이의 경계)의 위치에 기초하여,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도 2의 1122))는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세로 모서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목표 온도로 만들 수 있다. 또는, 풍향이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도 2의 1122))는 세로 모서리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도 2의 1122))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세로 모서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풍량을 증가시키고,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세로 모서리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낸 각 단계는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학습된 모델을 가져오기 위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S110 단계). 여기서, 네트워크는 학습된 모델을 가져오기 위한 신경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상기 네트워크를 인코더, 브리지, 및 디코더의 3개의 레이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학습된 모델은 학습용 영상과 학습용 영상의 배경, 천장, 벽, 및 바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학습된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영상에서 면과 면 사이의 경계(예를 들면, 벽과 벽 사이의 경계(세로 모서리),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상부 가로 모서리), 및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하부 가로 모서리))를 직접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S110 단계는 공기조화기에 최초로 전력이 공급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110 단계는 파일을 로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 상에서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기존의 결과를 로드(마스크 영상)할 수 있다(S120 단계).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카메라(도 1 또는 도 2의 111)로부터 제공받은 실내 공간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단계).
S1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제공받은 실내 공간 이미지가 없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에 오류가 있거나, 기타 이유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가 카메라로부터 실내 공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S1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제공받은 실내 공간 이미지가 있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추정 모드가 실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단계).
S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추정 모드가 실행중이 아니라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추정 모드를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내 공간 정보를 실행시키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S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추정 모드가 실행중이라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S110 단계에서 구성한 네트워크에 실내 공간 이미지를 입력하여 마스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40 단계). 이때,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 이미지의 크기를 줄여 상기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공간 이미지의 크기가 640X480인 경우에,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 실내 공간 이미지의 크기를 128X96로 줄여서 상기 네트워크에 입력시킬 수 있다.
만일,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110)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치된 경우, S140 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마스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7의 마스크 영상에서, 실선(321, 322, 323)은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일 수 있고, 점선(311, 312, 313)은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인 상부 가로 모서리일 수 있고, 일점쇄선(331, 332, 333)은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은 하부 가로 모서리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다르게, 마스크 영상은 세로 모서리, 상부 가로 모서리, 및 하부 가로 모서리가 서로 다른 색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실내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각 단계는 도 1의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마스크 영상에서 모서리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다(S210 단계). 예를 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마스크 영상에서 세로 모서리, 상부 가로 모서리, 및 하부 가로 모서리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상기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세로 모서리의 픽셀 정보(예를 들면, 세로 모서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좌표값 등)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추출된 모서리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단계). 예를 들면, 추출된 모서리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세로 모서리, 상부 가로 모서리, 및 하부 가로 모서리가 존재하는 경우에, 세로 모서리와 연결되는 상부 가로 모서리가 없거나, 세로 모서리와 연결되는 하부 가로 모서리가 없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추출된 모서리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모서리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파악된 실내 공간은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공간으로 판단하고,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추론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모서리 정보가 유효하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세로 모서리들 각각의 각도 및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S230 단계).
세로 모서리들 각각의 각도는 세로 모서리에 해당하는 픽셀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도 7의 마스크 영상의 세로 모서리(321)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x축 좌표값이 0인 경우를 제1 각도(예를 들면, 0도)로, x축 좌표값이 최대값인 경우를 제2 각도(예를 들면, 105도)로 설정한 후, 각 좌표값에 대응하는 각도를 계산하거나, 미리 결정된 테이블을 참조하는 방법으로 세로 모서리(321)의 각도(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의 높이, 세로 모서리의 높이 픽셀수(즉, 도 7의 마스크 영상에서의 y축 방향의 픽셀수), 및 세로 모서리의 위치(각도)에 기초하여 세로 모서리들 각각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미리 저장된 테이블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높이, 세로 모서리의 높이 픽셀수(즉, 도 7의 마스크 영상에서의 y축 방향의 픽셀수), 및 각도를 찾는 방법으로 세로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실내 공간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실내 공간의 모양을 판단할 수 있다(S240 단계). 예를 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상부 가로 모서리들 중 서로 닿아있는 2개의 상부 수평 모서리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부 가로 모서리들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실내 공간의 모양이 정사각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부 가로 모서리들의 길이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1개 이상의 세로 모서리가 존재하고, 상기 세로 모서리가 천장 및 바닥과 연결되며, 정사각형이 아닌 경우를 직사각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기타 모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공기조화기(분리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실내기)의 설치 위치와 공기조화기가 바라보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250 단계). 이때,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세로 모서리들의 길이와 위치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세로 모서리의 개수가 2개이고, 2개의 세로 모서리들의 길이차가 소정의 값 이하이면 공기조화기가 벽면(즉, 벽면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세로 모서리의 개수가 1개 또는 3개이거나, 세로 모서리의 개수가 2개이고, 2의 세로 모서리들의 길이차가 소정의 값보다 크면 공기조화기가 모서리(코너) 부근에 설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제어부가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부(도 2의 1121))는 공기조화기가 모서리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세로 모서리들 중 가장 짧은 세로 모서리의 위치가 마스크 영상의 좌측에 있다면 공기조화기는 우측 벽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하고, 세로 모서리들 중 가장 짧은 세로 모서리의 위치가 마스크 영상의 우측에 있다면 공기조화기는 좌측 벽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각 단계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공기조화기 110 : 실내기
120 : 실외기 130 : 배관
111 : 카메라 112 : 제어부

Claims (20)

  1.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풍향조절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가변시키는 풍량조절기;
    실내 공간의 영상을 획득하고,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및
    상기 풍향조절기 및 상기 풍량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기 및 상기 풍량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풍량조절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인 상부 가로 모서리, 및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인 하부 가로 모서리를 포함하는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마스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학습용 영상과 상기 학습용 영상의 배경, 천장, 벽, 및 바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영상의 상기 세로 모서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의 높이, 상기 세로 모서리의 높이 픽셀수, 및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 및 상기 상부 가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모양을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와 상기 세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로 모서리들 중 가장 짧은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방향을 파악하는 공기조화기.
  11. 실내 공간의 영상을 획득하고,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와,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토출되는 공기의 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벽 사이의 경계인 세로 모서리,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천장 사이의 경계인 상부 가로 모서리, 및 상기 실내 공간의 벽과 바닥 사이의 경계인 하부 가로 모서리를 포함하는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학습용 영상과 상기 학습용 영상의 배경, 천장, 벽, 및 바닥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영상을 획득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영상의 상기 세로 모서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의 높이, 상기 세로 모서리의 높이 픽셀수, 및 상기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세로 모서리와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 및 상기 상부 가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모양을 파악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의 개수와 상기 세로 모서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세로 모서리들 중 가장 짧은 세로 모서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방향을 파악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179643A 2019-12-23 2020-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89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43A KR20220089218A (ko) 2020-12-21 2020-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20904855.2A EP4083528A4 (en) 2019-12-23 2020-12-23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PCT/KR2020/019011 WO2021133064A1 (ko) 2019-12-23 2020-12-2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22538401A JP2023507826A (ja) 2019-12-23 2020-12-23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202080089763.1A CN114846275A (zh) 2019-12-23 2020-12-23 空调机以及其控制方法
US17/788,124 US20230030691A1 (en) 2019-12-23 2020-12-23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643A KR20220089218A (ko) 2020-12-21 2020-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218A true KR20220089218A (ko) 2022-06-28

Family

ID=8226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643A KR20220089218A (ko) 2019-12-23 2020-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2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780B1 (ko) 1998-12-11 2002-10-19 엘지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제어방법
KR20190128190A (ko) 2017-03-17 2019-11-15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룸 레이아웃 추정 방법들 및 기술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780B1 (ko) 1998-12-11 2002-10-19 엘지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제어방법
KR20190128190A (ko) 2017-03-17 2019-11-15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룸 레이아웃 추정 방법들 및 기술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3978B (zh) 空调室内机及其送风方法
CN107525237B (zh) 一种智能空调器控制方法及智能空调器
CN107631423B (zh) 一种基于人体位置的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
CN110500705B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CN107305035B (zh) 空调机
US20170153032A1 (en) Virtual thermostat for a zonal temperature control
CN101191652B (zh) 空调器和控制该空调器的气流的方法
JP7055218B2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90945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JP6678748B2 (ja) 空気調和機
WO2016203538A1 (ja) 空調制御システム
WO2020089996A1 (ja) 遠隔操作端末および空調システム
WO2021019761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制御装置
WO2021218538A1 (zh) 用于环境调节系统的控制方法及环境调节系统
KR202200892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8954722A (zh) 一种具有景深识别功能的空调及应用于该空调的送风方法
CN106062486A (zh) 空气调节机和空气调节机的控制方法
JP7061917B2 (ja) 空気調和装置
CN113864983B (zh) 空调运行策略的调整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8001169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23507826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4781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923526B (zh) 温度调节方法、风扇、系统和存储介质
CN114484781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2797582A (zh) 空调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