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269A -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 Google Patents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269A
KR20220086269A KR1020200176568A KR20200176568A KR20220086269A KR 20220086269 A KR20220086269 A KR 20220086269A KR 1020200176568 A KR1020200176568 A KR 1020200176568A KR 20200176568 A KR20200176568 A KR 20200176568A KR 20220086269 A KR20220086269 A KR 2022008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temperature
cooling
uni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화윤
홍기주
김자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269A/ko
Priority to EP21907030.7A priority patent/EP4265563A1/en
Priority to PCT/KR2021/018898 priority patent/WO2022131726A1/ko
Priority to US18/267,981 priority patent/US20240067513A1/en
Publication of KR2022008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67D1/0431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power-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0475Type of gas or gas mixture used, other than pure CO2
    • B67D2001/0481Single inert gas, e.g. N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0475Type of gas or gas mixture used, other than pure CO2
    • B67D2001/0487Mixture of gases, e.g. N2 + CO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provided with coded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넷(10)의 내부에 와인병(B)이 저장되는 저장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10)에는 와인(B)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헤드(1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인을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하는 취출경로 상에는 온도조절모듈(200)이 배치되고,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상기 취출헤드(100)로 배출되는 상기 와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가열부와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은 취출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되어 보관온도와 다른 음용온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Wine storage and wine dispensing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와인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병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저장장치에 저장된 와인병에서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와인보관을 위한 와인전용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다.
와인의 경우 품종 등 종류에 따라 와인의 적절한 온도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와인은 적정한 온도일 때 풍미(flavors)가 부드러워지고, 향이 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와인냉장고는 와인의 보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등록특허 US 6,357.253 B1(선행기술1), 국제공개특허 WO2006044240A2(선행기술2) 및 한국등록특허 10-0889966(선행기술3)에는 보관된 와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와인은 적정한 보관온도와 음용온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의 경우 보관온도는 5도 내지 8도, 음용온도는 약 7도가 각각 적정하고, 레드와인의 경우에는 보관온도는 10~13도, 음용온도는 약 12도가 적정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와인냉장고는 와인의 보관온도는 조절할 수 있으나, 와인의 음용온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와인의 보관온도가 곧 음용온도가 될 수밖에 없다. 물론, 사용자가 와인을 별도로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원하는 음용온도로 만들 수는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히터나 쿨러로 와인의 온도를 바꾸게 되면, 그 과정에서 와인의 특성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와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면 와인의 맛이나 향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미국등록특허 US 6,357.253 B1(선행기술1) 국제공개특허 WO2006044240A2(선행기술2) 한국등록특허 10-0889966(선행기술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인의 보관온도와 와인의 음용온도(취출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 와인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인의 음용온도조절을 위해 와인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와인의 맛이나 색상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인의 음용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모듈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비넷의 내부에 와인병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에는 와인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헤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인을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하는 취출경로 상에는 온도조절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취출헤드로 배출되는 상기 와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가열부와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은 취출되면서 가열되거나 냉각되어 보관온도와 다른 음용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부는 상기 와인의 취출되는 경로 중 일부를 형성하고, 순환가열경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와인이 취출되는 경로 중 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열부와 독립적인 경로를 형성하며, 순환냉각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인은 가열부 또는 냉각부를 다수회 순환하면서 단계적으로 온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취출헤드와 상기 와인병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온도조절모듈 자체가 취출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와인저장장치의 내부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에는 메인제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와인의 취출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취출설정온도와 같아지도록 자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이 상기 순환가열경로 또는 상기 순환냉각경로를 순환하는 횟수를 제어하거나, 상기 와인이 상기 순환가열경로 또는 상기 순환냉각경로를 순환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한 자동제어를 통해서, 와인의 음용온도가 설정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출설정온도는 상기 캐비넷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온도이거나,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온도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온도로 음용온도가 맞추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와인의 명칭, 품종, 생산지, 생산년도, 적정 보관온도, 적정 음용온도 또는 취출설정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취출설정온도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저장공간에 보관된 와인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통과한 상기 와인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와인병에 연결된 취출파이프와 상기 출수노즐의 사이를 연결하는 직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출부는 와인의 보관온도와 취출설정온도가 같을 경우에 와인이 가열부나 냉각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취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출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는 서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직출부, 가열부 및 냉각부가 서로 밀집되어 온도조절모듈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비교적 적은 수의 밸브들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는 상기 와인을 가열할 수 있고, 상기 냉각부에는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는 상기 와인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는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인은 상기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 중 어느 하나만 통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냉각장치가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상기 와인을 적정한 온도로 보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에는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 비활성기체를 전달하여 상기 와인의 산화를 방지하는 가스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탱크는 상기 와인이 보관과정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인취출방법에는 상기 와인저장장치의 저장실에 저장된 와인의 보관온도와 취출설정온도가 획득되고,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가 비교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 사이에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있으면, 상기 와인저장장치에 배치된 온도조절모듈의 가열부 또는 냉각부가 동작되는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저장장치에 구비된 공급수단에 의해 와인병에 담긴 와인이 상기 온도조절모듈로 전달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온도조절모듈의 가열부 또는 냉각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취출설정온도로 변화된 와인이 상기 취출헤드를 통해 취출되는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 사이에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차이가 있으면 상기 와인은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적어도 2회 이상 순환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와인의 취출경로에 온도조절모듈을 배치하여 음용온도를 보관온도와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용온도가 조절된 상태로 취출된 와인을 마실 수 있으므로 별도로 와인의 온도조절을 할 필요가 없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와인의 종류별로 적절한 음용온도로 자동으로 조절하여 와인을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온도로 조절된 와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온도조절모듈에는 가열부와 냉각부가 포함되므로, 와인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인저장장치를 통해 다양한 음용온도를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와인의 고유한 특성에 맞는 음용온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온도조절모듈에 포함된 가열부와 냉각부는 각각 순환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와인이 가열부와 냉각부를 순환하는 횟수에 따라 와인의 음용온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함에 따라 와인의 특성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인의 풍미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온도조절모듈은 와인병과 취출헤드 사이를 연결하는 취출파이프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조절모듈이 구비되더라도 와인저장장치의 내부구조가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온도조절모듈은 와인의 보관온도와 음용온도의 차이에 따라, 와인을 온도조절 없이 곧바로 취출시키거나(직출), 와인의 가열/냉각시킨 후에 취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온도설정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된 와인의 내부에 비활성기체를 공급하여, 와인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이 개봉된 상태로 보관되더라도, 산화를 통해 와인의 맛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와인저장장치에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본관상태에 있는 와인병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장치는 와인의 종류와 현재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절한 보관온도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와인의 보관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온도조절모듈을 구성하는 가열부(또는 냉각부)는 2개 이상의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어 순환경로를 만드는데, 2개 이상의 파이프들은 병렬로 구성된다. 따라서 와인은 병렬로 연결된 파이프들을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가열(냉각)된 후에 취출되거나, 또는 병렬로 연결된 파이프들 중에서 어느 하나만 통과하여 바로 취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와인의 가열(냉각)하기 위한 전체 경로의 길이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와인의 온도조절도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각도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제1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제2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펌프와 가스탱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모듈을 중심으로 와인의 취출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
도 10 내지 도 14는 와인의 보관온도와 음용온도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와인이 취출되는 경로를 보인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와인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보인 순서도.
도 17은 와인의 보관온도와 음용온도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보인 순서도.
도 18은 와인을 순환가열하는 단계적으로 보인 보인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제어장치 및 이와 연결된 구성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인저장장치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인저장장치는 뚜껑이 개방된 와인병(B)을 보관하면서, 와인병(B)에 담긴 와인을 취출할 수 있고, 와인의 보관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취출되는 와인의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용온도(취출온도)를 보관온도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와인저장장치의 기능과 관련되 구조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와인은 적절한 보관온도와 음용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클링 와인이나 샴페인의 경우에는 보관온도 보다 음용온도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온도를 더 낮추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음용온도의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캐비넷(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은 비교적 전후 폭이 짧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는 바닥면적이 좁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없고, 따라서 바닥에 두거나, 또는 식탁 위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S)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케이스(30)와 냉각장치(C)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케이스(30)의 안에는 저장공간(32)이 만들어져 와인병(B)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S)은 상기 캐비넷(10)의 내부공간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저장공간(32)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안쪽에 마련된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설치공간(S)의 안쪽에 상기 저장공간(32)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32)은 와인병(B)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를 비롯한 다수개의 부품들이 결합하여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상기 캐비넷(10)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설치공간(S)을 만들고,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42)가 설치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를 보면,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가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냉장고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흡입그릴(15)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배출그릴(16)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흡입그릴(15) 및 상기 배출그릴(16)이 생략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직접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스페이서(14)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서 바깥쪽, 즉 냉장고의 설치공간(S)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냉장고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거리를 두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유동공간을 만들어준다. 이러한 스페이서(14)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페이서(14)를 파지하고 냉장고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3)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치공간(S)의 상면을 구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캐비넷(10)의 위쪽을 차폐하지만, 경우에 따라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커버(20)에는 힌지(25)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커버(20)는 힌지(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설치공간(S)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4는 상기 상부커버(20)를 덮는 외부커버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커버(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쪽에는 하부커버(26)가 있다. 상기 하부커버(26)는 상기 캐비넷(10)의 하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판구조이다. 상기 하부커버(26)는 냉장고가 설치되는 면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하부커버(26)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26)에는 받침판(27)이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상기 하부커버(2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받침판(27)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아래에서 설명될 취출헤드(10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7)에 컵을 올려둔 상태에서 취출헤드(100)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면, 컵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32)이 만들어지고, 상기 저장공간(32)에 와인병(B)이 수납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저장공간(32)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중심에 있는 저장공간(32)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공간(32)을 감싸는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부의 수납가이드(35)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의 냉각가이드(4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31b)에는 받침부(33)가 있다. 상기 받침부(33)는 상기 바닥부(31b)에서 상기 저장공간(32)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받침부(33)는 상기 와인병(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33)는 적어도 상기 와인병(B)의 바닥면 보다 넓거나 같은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33)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3)는 상기 바닥부(31b)에 승강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바디는 상기 바닥부(31b)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승강바디가 승강가능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높이의 와인병(B)이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높이가 높은 와인병(B)이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저장공간(32)의 높이를 더 확보해주고, 높이가 낮은 와인병(B)이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상기 위쪽으로 상승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저장공간(32)도 전방으로 개방되는데, 이렇게 개방된 부분은 도어(42)가 차폐한다. 상기 도어(42)는 상기 저장공간(32)을 사이에 두고 냉각장치(C)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열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공간의 한쪽을 구성하는 도어(42)를 보면, 상기 도어(42)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함께 상기 저장공간(32)을 감싼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가이드(40), 도어(42) 및 상기 바닥부(31b)가 함께 저장공간(32)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공간(32)의 상부는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도어(4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42)는 회전하면서 상기 저장공간(32)을 개방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도어(42)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2)이 개방되어 와인병(B)을 상기 저장공간(32) 안에 수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42)는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단열유리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을 통해서 저장공간(32)을 볼 수 있고,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와인병(B)을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42)을 통해서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음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상기 빈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냉각장치(C)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와인병(B)의 온도가 함께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을 감싸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냉각가이드(4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저장공간(3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과 도어(42)의 사이를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좌우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냉각가이드(40)를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안쪽에 있는 저장공간(32)이 냉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도어(4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저장공간(32)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장치(C)가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 설치되면, 상기 냉각장치(C)의 한쪽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구비된 흡입그릴(15) 및 배출그릴(16)과 마주보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 가장 넓은 설치공간(S)이 확보되어 있기도 하므로 상기 냉각장치(C)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면도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공간(32)은 2개이므로, 상기 냉각장치(C)도 2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냉각장치(C)는 각각 별개의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저장공간(32)은 내부온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어 독립냉각이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열전소자(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는데, 열전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상기 저장공간(32)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온부는 방열하여 상기 저장공간(32)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장치(C)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포함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도어(42)에는 비전센서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와인의 라벨(Bl)을 촬영하여 상기 라벨(Bl)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영상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사람의 눈에 해당하는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얻고, 이를 통해 영상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원산지, 품종, 생산년도, 브랜드명 등)를 찾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전센서부(50)는 획득한 영상을 메인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포함되거나,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연결된 영상처리부(154)는 수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특징(문자, 기호 등)들을 추출하는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도어(42)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도어(42)가 닫혔을 때 상기 저장공간(3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42)가 완전히 닫히거나 일부가 닫혔을 때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와인병(B)의 라벨(Bl)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라벨(Bl)의 높이에 맞는 높이로 상기 도어(42)의 내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도 1참조), 또는 상기 도어(42)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3 내지 도 5참조). 상기 비전센서부(50)가 상기 도어(42)의 중간 높이에 배치되면, 상기 라벨(Bl)과 마주하여 보다 정확한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전센서부(50)가 상기 도어(42)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비전센서부(50)의 촬영각도를 상향 조정하여 상기 라벨(Bl)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도어(42)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42)가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32)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전센서부(50)는 상기 도어(42)가 아니라, 상기 도어(42)의 상부에 해당하는 와인저장장치의 전면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라벨(Bl)이 상기 저장공간(32) 안쪽을 향하도록 상기 와인병(B)을 상기 도어(42)의 전방에 두면, 상기 비전센서부(50)가 상기 라벨(Bl)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상기 비전센서부(50)를 통해서 와인병(B)의 라벨(Bl)을 촬영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보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42)를 열고, 도어(42)의 안쪽에 와인병(B)을 배치시키면 상기 비전센서부(50)가 상기 라벨(Bl)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와인병(B)이 상기 저장공간(32)의 내부로 수납되지 않고 상기 받침판(27) 위에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와인병(B)이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비전센서부(50)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비전센서부(50)의 화각이 상기 라벨(Bl)을 정확하게 촬영하기 어려우면, 상기 도어(42)의 열림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비전센서부(50)의 화각을 달리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를 비교하면, 상기 도어(42)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a1, a2)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비전센서부(50)의 화각이 함께 달라지게 된다.
이때, 상기 비전센서부(50)에 의해 상기 라벨(Bl) 영상에 포함된 문자 또는 기호의 추출이 실패하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캐비넷(10)에 구비된 표시장치를 통해 추출실패결과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문자와 기호의 추출은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연결된 영상처리부(15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만약 영상처리부(154)가 상기 문자와 기호의 획득에 실패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영상처리부(154)에 의한 문자, 기호의 획득과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는 메인제어부(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패널(8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3)이거나, 또는 스피커(미도시)일 수도 있다.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상기 비전센서부(50)의 화각이 맞지 않는 것을 알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42)의 각도를 조절하여 화각을 맞출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와인병(B)이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도 상기 비전센서부(50)를 통해 상기 라벨(Bl)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비교해보면, 도 6과 같이 상기 와인병(B)이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되면 상기 비전센서부(50)와 상기 라벨(Bl) 사이의 거리가 가깝지만 이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있으므로 촬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영상처리부(154)에 의해 문자와 기호의 획득이 실패하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받침부(33)를 승강시키거나 회전시키면서 상기 비전센서부(50)의 화각을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전센서부(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라벨(Bl) 정보의 획득이 실패한다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해서 직접 상기 라벨(Bl)을 촬영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은 통신모듈(156)을 통해서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전달되거나, 외부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캐비넷(10)에 내장된 와인 취출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는 와인 취출을 위한 공급파이프(6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공급파이프(60)는 투입파이프(Pb)에 고압의 공기나 비활성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된다. 도 7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기 캐비넷(10)과 이너케이스(30) 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60)는 캐비넷(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데, 다수개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급파이프(60)는 에어펌프(70)에 결합되는 펌프연결라인(61)과, 가스탱크(71)에 결합되는 탱크연결라인(62)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연결라인(61)과 상기 탱크연결라인(62)은 캐비넷(10)의 설치공간 중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연결라인(61)과 상기 탱크연결라인(62)은 삼방밸브인 기체투입밸브(63)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투입밸브(63)에는 메인공급라인(64)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투입밸브(63)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펌프연결라인(61) 또는 상기 탱크연결라인(6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공급라인(6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체투입밸브(63)가 작동하여 (i) 상기 펌프연결라인(61)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이 서로 연결되면 에어펌프(70)에서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메인공급라인(64)으로 전달되고, (ii) 상기 탱크연결라인(62)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이 서로 연결되면 가스탱크(71)에서 비활성기체가 메인공급라인(64)으로 전달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은 분기라인(66A,66B)을 통해서 다시 나뉠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여러 갈래로 나누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기라인(66A,66B)의 개수는 상기 저장공간(32)의 개수, 즉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되는 와인병(B)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2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공급라인(64)과 상기 2개의 분기라인(66A,66B) 사이에는 제2밸브(6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밸브(65)는 3상밸브로 구성되어서,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2개의 분기라인(66A,66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조립체(78)에 연결되고, 연결조립체(78)는 앞서 설명한 투입파이프(Pb) 및 취출파이프(Pa)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조립체(78)를 통해서 투입파이프(Pb)-분기라인(66A,66B)이 연결되고, 또한 취출파이프(Pa)-취출노즐(60)이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저장공간(32)이 한 개이고, 와인병(B)도 한 개만 저장된다면,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생략되고,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이 연결조립체(78)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투입파이프(Pb)의 단부(Pb')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는 각각 음료용기(B)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은 다시 음료용기(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노출된다. 도 7에는 상기 투입파이프(Pb)의 단부(Pb')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가 상부에서 연장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투입파이프(Pb)의 단부(Pb')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는 각각 연결조립체(78)의 내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조절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에 온도조절모듈(200)이 연결되면,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를 통해 상기 취출헤드(100)로 배출되는 와인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에는 가열부(HM)와 냉각부(CM)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므로, 와인은 취출되는 과정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64)에는 제어밸브(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64')는 상기 기체투입밸브(63)가 에어펌프(70) 쪽을 개방했을 때, 상기 에어펌프(70)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에어펌프(7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7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투입파이프(Pb)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의 중간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에어펌프(70)와 가스탱크(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가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통해 상기 와인병(B)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와인병(B)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음료가 취출파이프(Pa)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음료가 취출노즐(6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는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펌프(70)가 후방 쪽에 위치하면, 에어펌프(70)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소음이 전방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에는 공기공급관(72)이 연결되는데, 상기 공기공급관(72)은 한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펌프(70)는 전원으로 동작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에어펌프(70)는 고압의 기체가 압축된 상태로 준비된 탱크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가스탱크(71)는 내부에 비활성기체(unreactive gas)가 내장된 것으로, 비활성기체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통해 상기 와인병(B)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비활성기체가 상기 투입파이프(Pb)를 통해 상기 와인병(B)에 투입되면, 상기 와인병(B)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로 인해 음료가 산화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기체는 질소, 헬륨가스, 아르곤가스, 이산화탄소 등의 비활성 기체 또는 상기 기체들 중 1 이상의 혼합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탱크(71)는 음료의 산화방지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와인의 취출은 앞서 설명한 에어펌프(70)가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탱크(71)의 비활성기체는 간헐적으로만 와인병(B)에 주입해주면 되므로, 상기 가스탱크(71)의 소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펌프(70)가 생략되고, 상기 가스탱크(71)가 상기 와인의 취출까지 담당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스탱크(71)는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커버(20)에 형성된 탱크장착홀(23)을 통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홀(23)은 상기 개방홀(22)과 마찬가지로 상부커버(20)에 관통되어 만들어지는데, 상기 개방홀(22) 보다는 후면플레이트(13)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 탱크장착홀(23)에 가스탱크(71)가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42)에 의해 상기 탱크장착홀(23)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즉, 도 1에는 가스탱크(71)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지만, 도어(42)를 닫으면 상기 가스탱크(7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도어(42)만 개방하면, 사용자는 가스탱크(71)를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탱크(71)와 에어펌프(70)는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가스탱크(71)와 상기 에어펌프(70)가 캐비넷(10)의 외부에 별개물로 준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공급파이프(60)가 캐비넷(10)의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가스탱크(71)와 에어펌프(70)에 연결될 수 있다.
취출헤드(10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면패널(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의 후방에는 상기 투입파이프(Pb)를 비롯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도어(42) 중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제2패널(44)의 안쪽에 위치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제2패널(44)의 높이가 더 낮고, 나머지 부분을 전면패널(80)이 메울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3)는 와인저장장치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명령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3)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83)에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 보관된 음료의 보관기간, 음료의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에어레이팅 강도 정보, 저장공간(32)의 온도, 내부 조명의 밝기, 냉장고 전원의 온/오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83)에는 상기 비전센서부(50)와 상기 분광센서부(55)에 의해 측정된 상기 와인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83)는 상기 비전센서부(50)로부터 취출된 상기 와인의 품종, 생산지, 생산년도 정보와, 상기 분광센서부(55)로부터 전달된 상기 와인의 당도, pH(수소이온농도), 알코올농도, 탄닌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와인의 특성에 맞도록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에어레이팅 강도가 상기 디스플레이(83)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에어레이팅 강도를 입력부인 상기 디스플레이(83)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에어레이팅부(A)는 사용자가 입력한 에어레이팅 강도로 와인을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52)는 사용자가 입력한 에어레이팅 강도를 저장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이를 학습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넷(10)에는 취출헤드(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와인병(B)에 담긴 와인을 외부로 취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돌출되고, 2개로 구성된다. 2개의 취출헤드(100)는 각각 별개의 와인병(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연결조립체(78)에 결합된 상기 취출파이프(P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취출파이프(Pa)로 공급된 와인은 상기 취출헤드(100)에 형성된 와인배출구(115)를 통해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취출헤드(100)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헤드몸체(1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헤드몸체(110)는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헤드몸체(110)에는 노즐연결관(102)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노즐연결관(102)은 앞서 설명한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와 연결되어 와인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몸체(110)의 하단에는 와인배출구(115)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와인배출구(115)는 와인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헤드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와인배출구(115)와 상기 노즐연결관(102)의 사이에 접촉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공간은 상기 취출파이프(Pa)를 통해 배출되는 와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와 접촉되는 양을 늘리기 위한 빈 공간이다. 즉, 상기 접촉공간에서 와인의 에어레이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에어레이팅부가 상기 접촉공간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에는 도어(42)의 다른 실시례가 표현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42)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을 구성하는데 반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42)는 캐비넷(10)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는 와인병(B)의 입구(Ba)에 도어(42) 역할을 하는 커버조립체(90)가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와인병(B)의 입구(Ba)는 개방된 상태로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와인병(B)의 입구(Ba)를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 있는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와인병(B)도 저장공간(32) 바깥쪽으로 함께 딸려나오고, 반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상기 와인병(B)을 끼운 후에 상기 저장공간(32) 안으로 수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커버플레이트(9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그 안쪽에 상기 와인병(B)의 입구(Ba)가 끼워지는 결합부(9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는 회전가능하게 손잡이부(95)가 조립되는데,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여 들어올려지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상부커버(20)의 개방홀(22)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대략 판상구조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한쪽은 직사각형상이고, 다른쪽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비대칭구조이다. 그리고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다른쪽에는 손잡이부(95)가 둘러싸게 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개방홀(22)과 그 주변을 덮기 때문에,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하면,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일종의 내부도어(42)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되면 조립된 위치에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와인병(B)의 입구(Ba)도 자연스럽게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특히, 도 21에서 보듯이 상기 개방홀(22) 주변의 안착부분(22')과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전후가 비대칭구조이므로, 오조립될 가능성도 없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아래쪽에는 결합부(93)가 있는데, 상기 결합부(9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홀(22) 안쪽, 보다 정확하게는 저장공간(32)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3)에는 와인병(B)의 입구(Ba)가 끼워져 차폐된다.
상기 손잡이부(95)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와인병(B)을 끼워 이동시킬 때는 도 21과 같이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상기 저장공간(32)에 와인병(B)을 수납한 후에는 회전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연속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여 들어올려지면, 상기 손잡이부(95)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93)를 변형시켜 상기 와인병(B)의 입구(Ba)가 상기 결합부(93) 안쪽에 강하게 눌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제어부(150)와,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들이 표현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83)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장치에는 디스플레이(83) 뿐 아니라 스피커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데이터베이스(15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52)에는 와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인정보라 함은 와인의 품종 등 앞서 비전센서부(50)에 의해 라벨(Bl)로부터 얻어진 고정조건 뿐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와인의 정보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와인의 정보들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52)에는 와인의 종류에 맞는 보관온도와 음용온도가 기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음용온도가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52)에는 외부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와인과 음용온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외부서버로 저장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의 송수신은 상기 캐비넷(10)에 내장된 통신모듈(15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50)에는 센싱모듈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은 앞서 설명한 비전센서부(50)와 상기 온도센서(55)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비전센서부(50)와 상기 온도센서(55)에 의해 측정된 정보는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의해 분석된 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제어부(150)에는 영상처리부(154)가 포함되어 상기 비전센서부(50)에 의해 얻어진 영상으로부터 문자/기호를 획득할 수 있고, 온도센서(55)에 의해 측정된 와인의 온도를 분석하여 취출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와인의 음용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에는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와 상기 취출헤드(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보관되어 있던 와인이 취출될 때 와인의 온도를 조절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이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와 상기 취출헤드(100)의 사이에 있으므로, 상기 온도조절모듈(200) 자체가 일종의 취출경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을 포함하더라도 와인저장장치의 내부 구조는 간소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다수의 파이프(배관)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여러 갈래의 와인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와인이동경로들 마다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에는 가열부(HM)와 냉각부(CM)가 있고, 상기 가열부(HM)와 냉각부(CM)는 서로 독립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는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와 취출헤드(100)의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어서, 와인은 상기 가열부(HM) 또는 냉각부(CM)를 거친 후에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에는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와 상기 가열부(HM) 또는 상기 냉각부(CM) 사이에 배치되는 유입밸브(V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Va)는 상기 와인병(B)에서 배출된 와인이 상기 가열부(HM) 또는 상기 냉각부(CM) 중 어느 한쪽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Va)는 3방향밸브(3 way valve) 또는 4방향밸브(4 way valve)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싱기 유입밸브(Va)는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와인병(B)으로부터 배출된 와인을 상기 가열부(HM) 또는 상기 냉각부(CM)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인의 보관온도가 음용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유입밸브(Va)는 와인이 상기 냉각부(CM)로 전달되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에는 상기 가열부(HM) 및 냉각부(CM)를 거치지 않고 와인이 곧바로 취출되게 하는 직출부(2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출부(201)는 상기 유입밸브(Va)와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밸브(Vf)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데, 상기 직출부(201)는 상기 가열부(HM) 및 상기 냉각부(CM)와 독립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인은 직출부(201)를 거쳐 취출될 때 온도가 조절되지 않고, 이 경우에 와인의 보관온도가 그대로 음용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Va)에는 가열유입관(210)과 냉각유입관(2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유입관(210)은 상기 유입밸브(Va)와 상기 가열부(HM)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각유입관(220)은 상기 유입밸브(Va)와 상기 냉각부(CM)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가열유입관(210)에는 가열부(HM)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HM)는 상기 와인이 취출되는 경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HM)는 와인을 가열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인이 상기 가열부(HM)를 거쳐 배출되면, 와인의 보관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조절된 후에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HM)의 구성을 보면, 상기 가열부(HM)는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21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파이프(211,212)는 상기 와인이 통과하는 배관이고, 상기 가열파이프(211,212)는 가열수단(2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열수단(230)은 인덕션 히터(Induction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수단(230)은 내부에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워킹코일로부터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가열파이프(211,212)를 유도 가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가열수단(230)은 상기 가열파이프(211,212)를 감싸는 열선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열파이프(211,212)는 두 개로 구성되고, 두 개의 가열파이프(211,212)는 서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가열파이프(211,212)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폐루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폐루프 경로란, 순환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와인은 상기 두 개의 가열파이프(211,212)를 연속해서 순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열파이프(211,212)는 제1가열파이프(211)와 제2가열파이프(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와 상기 제2가열파이프(212)의 양단은 각각 제1가열밸브(Vb)와 제2가열밸브(Vc)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밸브(Vb)와 상기 제2가열밸브(Vc)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와 상기 제2가열파이프(212)는 하나의 연속된 순환경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인은 (i) 유입밸브(Va)-가열유입관(210)-제1가열밸브(Vb)-제1가열파이프(211)를 순서대로 거친 후에, 다시 (ii) 제2가열밸브(Vc)-제2가열파이프(212)-제1가열밸브(Vb)-제1가열파이프(211)-제2가열밸브(Vc)를 통과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을 마친 후에는 와인은 가열배출관(214)-배출밸브(Vf)-노즐연결관(10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와인은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만 통과하거나 상기 제2가열파이프(212)만 통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인은 유입밸브(Va)-가열유입관(210)-제1가열밸브(Vb)-제1가열파이프(211)-제2가열밸브(Vc)-가열배출관(214)-배출밸브(Vf)를 거친 후에 노즐연결관(102)을 통해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인은 상기 가열부(HM)를 구성하는 제1가열파이프(211) 또는 제2가열파이프(212) 중 어느 하나만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에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HM)와 병렬연결된 냉각부(CM)는 상기 와인이 취출되는 경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CM)는 상기 가열부(HM)나 상기 직출부(201)와는 독립된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와인을 냉각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인이 상기 냉각부(CM)를 거쳐 배출되면, 와인의 보관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조절된 후에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CM)의 구성을 보면, 상기 냉각부(CM)는 2개 이상의 냉각파이프(22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파이프(221,222)는 상기 와인이 통과하는 배관이고, 상기 냉각파이프(221,222)는 냉각수단(24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수단(240)은 냉각수가 채워진 냉각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파이프(221,222)가 상기 냉각수단(240)을 지나면서 급속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수단(240)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로 구성되거나, 상기 열전소자로 구성되어 펠티에 효과를 통해 상기 냉각파이프(221,222)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파이프(221,222)는 두 개로 구성되고, 두 개의 냉각파이프(221,222)는 서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냉각파이프(221,222)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폐루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폐루프 경로란, 순환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와인은 상기 두 개의 냉각파이프(221,222)를 연속해서 순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파이프(221,222)는 제1냉각파이프(221)와 제2냉각파이프(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와 상기 제2냉각파이프(222)의 양단은 각각 제1냉각밸브(Vd)와 제2냉각밸브(Ve)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밸브(Vd)와 상기 제2냉각밸브(Ve)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와 상기 제2냉각파이프(222)는 하나의 연속된 순환경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인은 (i) 유입밸브(Va)-냉각유입관(220)-제1냉각밸브(Vd)-제1냉각파이프(221)를 순서대로 거친 후에, 다시 (ii) 제2냉각밸브(Ve)-제2냉각파이프(222)-제1냉각밸브(Vd)-제1냉각파이프(221)-제2냉각밸브(Ve)를 통과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을 마친 후에는 와인은 냉각배출관(224)-배출밸브(Vf)-노즐연결관(10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와인은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만 통과하거나 상기 제2가열파이프(212)만 통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인은 유입밸브(Va)-냉각유입관(220)-제1냉각밸브(Vd)-제1냉각파이프(221)-제2냉각밸브(Ve)-냉각배출관(224)-배출밸브(Vf)를 거친 후에 노즐연결관(102)을 통해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인은 상기 냉각부(CM)를 구성하는 제1냉각파이프(221) 또는 제2냉각파이프(222) 중 어느 하나만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에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는 각각 폐루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는 각각 일종의 폐루프 제어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드백제어가 가능할 수 있는데, 피드백제어 시스템은 출력신호가 제어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출력신호는 상기 가열부(HM) 또는 상기 냉각부(CM)를 거친 와인의 온도(현재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에는 온도센서(5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온도센서(55)는 상기 저장공간에 보관된 와인의 보관온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을 통과한 상기 와인의 취출온도(현재온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2가열밸브(Vc)와 상기 제2냉각밸브(Ve)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를 통과하는 와인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음용온도와 같아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센서는 폐루프제어시스템에서 피드백제어를 위한 출력신호를 만들 수 있다.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가 각각 순환경로를 만들면, 와인은 상기 가열부(HM) 또는 상기 냉각부(CM)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230)과 냉각수단(240)의 온도조절레벨을 낮게 유지하면, 와인이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흐르면서 점진적으로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의 온도가 급격하게 조절되면서 와인의 고유특성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와인이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를 흐르는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에어펌프(70)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와인이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를 흐르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와인이 가열 또는 냉각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와인의 보관온도를 음용온도로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보관온도는 상기 와인병에 보관된 상태의 와인온도를 의미하고, 음용온도란 상기 취출헤드(100)를 통해 취출되는 취출온도를 의미한다. 와인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보관온도와 음용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온도조절모듈(200)은 와인이 적정한 음용온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용온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저장된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설정된 값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값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미 저장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비전센서부(50)로부터 자동으로 얻어진 것을 수 있다. 즉 상기 비전센서부(50)가 상기 와인의 라벨(Bl)을 촬영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50)에 의해 얻어진 와인정보로부터 상기 음용온도의 값이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음용온도는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S10) 그리고,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상기 와인의 보관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S15) 이와 달리 와인의 보관온도의 측정이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S20) 그리고 메인제어부(150)는 와인의 음용온도와 와인의 보관온도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 만약 음용온도와 보관온도가 같다면, 와인의 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와인은 가열부(HM)나 냉각부(CM)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인은 직출부(201, 직수관)로 안내하고(S40), 이어서 와인은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S50)
이와 같은 와인의 흐름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은 상기 와인병(B)에서 배출되어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를 통해 상기 유입밸브(Va)로 전달되고, 상기 유입밸브(Va)는 와인을 상기 직출부(201)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직출부(201)를 거친 와인은 상기 배출밸브(Vf)를 통해 상기 취출헤드(10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그 차이가 기준값 보다 적다면 상기 직출부(201)를 통해 와인을 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차이가 1℃ 이내라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와인을 가열부(HM)나 냉각부(CM)로 안내하지 않고, 상기 직출부(201)를 통해 취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음용온도와 보관온도가 같지 않다면, 다시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음용온도가 보관온도 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0) 만약 음용온도가 보관온도 보다 높다면, 메인제어부(150)는 와인을 상기 가열부(HM)로 전달할 수 있다.(S80) 그리고, 만약 음용온도가 보완온도 보다 낮다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와인을 상기 냉각부(CM)로 전달할 수 있다.(S90)
상기 가열부(HM)로 전달된 와인은 상기 가열부(HM)에서 가열되고,(S82)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되어 취출될 수 있다.(S50) 그리고, 냉각부(CM)로 전달된 와인은 상기 냉각부(CM)에서 냉각되고,(S92)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되어 취출될 수 있다.(S50)
도 17에는 상기 가열부(HM)와 상기 냉각부(CM)에 의한 와인의 온도조절과정이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메인제어부(150)가 상기 음용온도와 보관온도의 차이를 판단하고,(S70) 음용온도의 온도가 더 높은 경우에는 다시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온도차를 판단한다.(S72) 이때,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차이가 설정값(n) 보다 작다면 온도차가 크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가열부(HM)에 의해 와인을 가열시키되 순환가열하지 않고,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 또는 제2가열파이프(212) 중 어느 하나를 통과시킬 수 있다.(S80, S82)
만약,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온도차가 설정값(n) 보다 크다면, 상기 와인은 상기 가열부(HM)의 순환경로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온도가 올라가게 될 수 있다.(S80, S85) 이를 통해 와인의 온도가 급격하게 가열되어 와인의 특성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는 와인이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만 거치면서 가열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와인이 가열부(HM)를 순환하면서 순환가열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온도가 상기 보관온도 보다 높되, 그 차이가 설정값(n) 보다 작다면, 도 11과 같이 와인은 제1가열파이프(211, 또는 제2가열파이프(212))만 거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와인의 온도를 많이 올릴 필요가 없고, 따라서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만 통과시켜도 와인의 온도가 원하는 음용온도로 가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와인이 가열된 후에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와인은 먼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를 통해 상기 유입밸브(Va)로 전달된다.(화살표①) 그리고, 상기 유입밸브(Va)를 거친 와인은 가열유입관(210)을 통해 제1가열밸브(Vb)로 안내될 수 있다.(화살표②) 상기 제1가열밸브(Vb)는 상기 와인은 제1가열파이프(211)로 안내하고, 와인은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를 거치면서 가열될 수 있다.(화살표③)
이렇게 가열된 와인은 상기 제2가열밸브(Vc)를 통과하여 상기 가열배출관(214)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배출관(214)은 와인을 배출밸브(Vf)로 전달할 수 있다.(화살표④)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Vf)는 와인을 상기 취출헤드(100)로 유동시켜서 상기 와인이 와인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화살표⑤)
도 12를 보면, 와인이 순환가열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먼저 와인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를 통해 상기 유입밸브(Va)로 전달된다.(화살표①) 그리고, 상기 유입밸브(Va)를 거친 와인은 가열유입관(210)을 통해 제1가열밸브(Vb)로 안내될 수 있다.(화살표②) 상기 제1가열밸브(Vb)는 상기 와인은 제1가열파이프(211)로 안내하고, 와인은 상기 제1가열파이프(211)를 거치면서 가열될 수 있다.(화살표③)
이어서 상기 제2가열밸브(Vc)를 거친 와인은 상기 가열배출관(214)으로 전달되지 않고, 다시 제2가열파이프(2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와인은 제2가열파이프(212)를 통과하면서 다시 가열될 수 있다.(화살표③')
그리고, 상기 와인은 제1가열밸브(Vb)에 의해, 다시 제1가열파이프(211)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열부(HM)는 일종의 순환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와인은 제1가열파이프(211)와 상기 제2가열파이프(212)를 따라 연속해서 유동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230)의 가열레벨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수단(230)은 와인이 천천히 가열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인데, 예를 들어 와인이 상기 가열부(HM)를 1순환할 때마다 0.5°씩 온도가 올라가도록 가열수단(230)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밸브(Vc)에는 제2온도센서(5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온도센서(55)는 순환되고 있는 와인의 온도를 측정하여 메인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전달된 온도가 음용온도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S86), 만약 와인의 온도가 음용온도에 도달하지 못했으면 상기 제2가열밸브(Vc)가 상기 와인을 계속 순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와인의 온도가 음용온도와 같아 졌다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제2가열밸브(Vc)가 상기 와인을 상기 배출밸브(Vf)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와인은 가열배출관(214)을 통해 상기 배출밸브(Vf)로 유동할 수 있다.(화살표 ④)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밸브(Vf)는 상기 와인은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하고, 상기 와인은 취출헤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화살표 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와인은 순환가열경로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가열되므로, 급격한 가열로 인해 맛이나 향이 변질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메인제어부(150)가 상기 음용온도와 보관온도의 차이를 판단하고,(S70) 음용온도의 온도가 더 낮은 경우에는 다시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온도차를 판단한다.(S72) 이때,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차이가 설정값(n) 보다 작다면 온도차가 크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냉각부(CM)에 의해 와인을 냉각시키되 순환냉각하지 않고,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 또는 제2냉각파이프(222) 중 어느 하나를 통과시킬 수 있다.(S90, S92)
만약, 상기 음용온도와 상기 보관온도의 온도차가 설정값(n) 보다 크다면, 상기 와인은 상기 냉각부(CM)의 순환경로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온도가 내려가게 될 수 있다.(S90, S95) 이를 통해 와인의 온도가 급격하게 냉각되어 와인의 특성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에는 와인이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만 거치면서 냉각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와인이 냉각부(CM)를 순환하면서 순환냉각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온도가 상기 보관온도 보다 낮되, 그 차이가 설정값(n) 보다 작다면, 도 13과 같이 와인은 제1냉각파이프(221, 또는 제2냉각파이프(222))만 거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와인의 온도를 많이 내릴 필요가 없고, 따라서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만 통과시켜도 와인의 온도가 원하는 음용온도로 냉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와인이 냉각된 후에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와인은 먼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를 통해 상기 유입밸브(Va)로 전달된다.(화살표①) 그리고, 상기 유입밸브(Va)를 거친 와인은 냉각유입관(220)을 통해 제1냉각밸브(Vd)로 안내될 수 있다.(화살표②) 상기 제1냉각밸브(Vd)는 상기 와인은 제1냉각파이프(221)로 안내하고, 와인은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를 거치면서 냉각될 수 있다.(화살표③)
이렇게 냉각된 와인은 상기 제2냉각밸브(Ve)를 통과하여 상기 냉각배출관(224)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냉각배출관(224)은 와인을 배출밸브(Vf)로 전달할 수 있다.(화살표④)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Vf)는 와인을 상기 취출헤드(100)로 유동시켜서 상기 와인이 와인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화살표⑤)
도 14를 보면, 와인이 순환냉각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먼저 와인은 상기 취출파이프(Pa)의 단부(Pa')를 통해 상기 유입밸브(Va)로 전달된다.(화살표①) 그리고, 상기 유입밸브(Va)를 거친 와인은 냉각유입관(220)을 통해 제1냉각밸브(Vd)로 안내될 수 있다.(화살표②) 상기 제1냉각밸브(Vd)는 상기 와인은 제1냉각파이프(221)로 안내하고, 와인은 상기 제1냉각파이프(221)를 거치면서 냉각될 수 있다.(화살표③)
이어서 상기 제2냉각밸브(Ve)를 거친 와인은 상기 냉각배출관(224)으로 전달되지 않고, 다시 제2냉각파이프(2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와인은 제2냉각파이프(222)를 통과하면서 다시 냉각될 수 있다.(화살표③')
그리고, 상기 와인은 제1냉각밸브(Vd)에 의해, 다시 제1냉각파이프(221)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냉각부(CM)는 일종의 순환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와인은 제1냉각파이프(221)와 상기 제2냉각파이프(222)를 따라 연속해서 유동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단(240)의 냉각레벨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수단(240)은 와인이 천천히 냉각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인데, 예를 들어 와인이 상기 냉각부(CM)를 1순환할 때마다 0.5°씩 온도가 내려가도록 냉각수단(240)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밸브(Ve)에는 제2온도센서(5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온도센서(55)는 순환되고 있는 와인의 온도를 측정하여 메인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전달된 온도가 음용온도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와인의 온도가 음용온도에 도달하지 못했으면 상기 제2냉각밸브(Ve)가 상기 와인을 계속 순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와인의 온도가 음용온도와 같아 졌다면, 상기 메인제어부(150)는 상기 제2냉각밸브(Ve)가 상기 와인을 상기 배출밸브(Vf)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와인은 냉각배출관(224)을 통해 상기 배출밸브(Vf)로 유동할 수 있다.(화살표 ④)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밸브(Vf)는 상기 와인은 상기 취출헤드(100)로 전달하고, 상기 와인은 취출헤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화살표 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와인은 순환냉각경로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냉각되므로, 급격한 냉각으로 인해 맛이나 향이 변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ㅇ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캐비넷 20: 상부커버
30: 이너케이스 40: 냉각가이드
50: 비전센서부 60: 공급파이프
70: 에어펌프 71: 가스탱크
80: 전면패널 90: 커버조립체
100: 취출헤드 200: 온도조절모듈

Claims (24)

  1. 와인병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구비되고, 상기 와인병에 담긴 와인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헤드;와
    상기 와인을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하는 취출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헤드로 배출되는 상기 와인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와인이 취출되는 경로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와인을 가열하는 순환가열경로를 갖는 가열부;와
    상기 와인이 취출되는 경로 중 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열부와 독립적인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와인을 냉각하는 순환냉각경로를 갖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와인저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취출헤드와 상기 와인병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인저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는 메인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의 보관온도와 상기 와인의 음용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판단하며, 상기 온도차가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와인이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순환하도록 하는 와인저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와인이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인의 온도가 취출설정온도와 같아지도록 하는 와인저장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이 상기 순환가열경로 또는 상기 순환냉각경로를 순환하는 횟수 또는 순환하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와인저장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취출설정온도는 상기 캐비넷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온도이거나,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온도인 와인저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와인의 명칭, 품종, 생산지, 생산년도, 브랜드, 적정 보관온도, 적정 음용온도 또는 취출설정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저장되는 와인저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저장공간에 보관된 와인의 보관온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통과한 상기 와인의 취출온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와인저장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와인병에 연결된 취출파이프와 상기 출수노즐의 사이를 연결하는 직출부;
    밸브를 통해 상기 직출부와 분기되고, 상기 직출부와 독립된 경로를 갖는 상기 가열부;와
    상기 밸브를 통해 상기 직출부 및 상기 가열부와 분기되고, 상기 직출부 및 상기 가열부와 독립된 경로를 갖는 상기 냉각부;를 포함하는 와인저장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직출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는 서로 병렬연결되는 와인저장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는 상기 와인을 가열하고, 상기 냉각부에는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는 상기 와인을 냉각하는 와인저장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인덕션 히터(Induction Heater)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수단은 냉각수가 채워진 냉각탱크로 구성되는 와인저장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는 서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와인은 상기 밸브의 제어에 의해 상기 2개 이상의 가열파이프 중 어느 하나만 통과할 수 있는 와인저장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냉각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2개 이상의 냉각파이프는 서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와인은 상기 2개 이상의 냉각파이프 중 어느 하나만 통과할 수 있는 와인저장장치.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냉각장치가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와인저장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는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 비활성기체를 전달하여 상기 와인의 산화를 방지하는 가스탱크가 배치되는 와인저장장치.
  17. 와인병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구비되고, 상기 와인병에 담긴 와인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헤드;와
    상기 와인을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하는 취출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이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인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모듈에는 온도조절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이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와인이 통과하는 경로의 전체 길이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에 구비된 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와인저장장치.
  18. 와인저장장치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인저장장치의 저장실에 저장된 와인의 보관온도와 취출설정온도가 획득되고,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가 비교되는 단계;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 사이에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있으면, 상기 와인저장장치에 배치된 온도조절모듈의 가열부 또는 냉각부가 동작되는 단계;
    상기 와인저장장치에 구비된 공급수단에 의해 와인병에 담긴 와인이 상기 온도조절모듈로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온도조절모듈의 가열부 또는 냉각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취출설정온도로 변화된 와인이 상기 취출헤드를 통해 취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인취출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와인이 순환되면서 가열될 수 있는 순환가열경로를 갖는 가열부;와
    상기 와인이 순환되면서 냉각될 수 있는 순환냉각경로를 갖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 사이에 설정된 값 이하의 차이가 있으면 상기 와인은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통과하며,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 사이에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차이가 있으면 상기 와인은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적어도 2회 이상 순환하는 와인취출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메인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와인의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이 차이에 따라 상기 와인이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를 순환하는 횟수 또는 순환하는 속도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와인취출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통과한 상기 와인의 취출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취출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 사이에 설정값 이상의 차이가 있으면 상기 와인을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냉각부에 재순환시키는 와인취출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모듈에는 직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와인의 보관온도와 상기 취출설정온도가 같거나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와인이 상기 직출부를 통해 상기 취출헤드로 전달되는 와인취출방법.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취출설정온도는 상기 캐비넷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온도이거나,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온도인 와인취출방법.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와인의 적정 음용온도를 상기 취출설정온도로 자동설정하는 와인취출방법.
KR1020200176568A 2020-12-16 2020-12-16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KR20220086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68A KR20220086269A (ko) 2020-12-16 2020-12-16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EP21907030.7A EP4265563A1 (en) 2020-12-16 2021-12-13 Wine storage device and wine dispensing method using same
PCT/KR2021/018898 WO2022131726A1 (ko) 2020-12-16 2021-12-13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US18/267,981 US20240067513A1 (en) 2020-12-16 2021-12-13 Wine storage device and wine dispens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68A KR20220086269A (ko) 2020-12-16 2020-12-16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269A true KR20220086269A (ko) 2022-06-23

Family

ID=8205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568A KR20220086269A (ko) 2020-12-16 2020-12-16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67513A1 (ko)
EP (1) EP4265563A1 (ko)
KR (1) KR20220086269A (ko)
WO (1) WO202213172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4240A2 (en) 2004-10-20 2006-04-27 Cold Fusion Industries, Llc Walk-in refrigerator/freezers and wine coolers for home use
KR100889966B1 (ko) 2007-06-28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959A (ko) * 1997-03-20 1998-11-05 윤종용 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JP4110687B2 (ja) * 1999-08-25 2008-07-02 株式会社森商品研究所 ワインディスペンサー
US6357253B1 (en) 2001-01-22 2002-03-19 Darryl A. Condy Wine bottle cooling device
KR200463774Y1 (ko) * 2012-05-08 2012-11-26 김선주 와인 디스펜서
US9708575B2 (en) * 2014-12-17 2017-07-18 Wine Pl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ne processing
KR20170114490A (ko) * 2016-04-05 2017-10-16 주식회사 윌링스 온도제어가 용이한 정수시스템 및 그 온도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4240A2 (en) 2004-10-20 2006-04-27 Cold Fusion Industries, Llc Walk-in refrigerator/freezers and wine coolers for home use
KR100889966B1 (ko) 2007-06-28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US 6,357.253 B1(선행기술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726A1 (ko) 2022-06-23
US20240067513A1 (en) 2024-02-29
EP4265563A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6530A1 (en) Beer maker
US11168291B2 (en) Beer maker
EP3670435A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739030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CN203116430U (zh) 一种保鲜冷藏醒酒组合酒柜
US20240124291A1 (en) Wine storage device and wine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KR20220086269A (ko)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CN111489495A (zh) 一种饮料贩卖机
CN109178664A (zh) 一种智能葡萄酒储存机
KR20220103279A (ko)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KR102528396B1 (ko) 음료 제조기
KR20210112761A (ko) 음료용 냉장고
KR20160132714A (ko) 가정용 맥주 제조장치
KR102534864B1 (ko) 발효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534860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58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62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US20200362280A1 (en) Beverage maker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4863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20210158727A (ko) 발효주 제조장치
KR20220011499A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469223B1 (ko) 음료 제조기
KR20180077985A (ko) 음료 냉온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