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279A -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 Google Patents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279A
KR20220103279A KR1020210005680A KR20210005680A KR20220103279A KR 20220103279 A KR20220103279 A KR 20220103279A KR 1020210005680 A KR1020210005680 A KR 1020210005680A KR 20210005680 A KR20210005680 A KR 20210005680A KR 20220103279 A KR20220103279 A KR 2022010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extraction
head
cabinet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주
김자연
최화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279A/ko
Publication of KR2022010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Landscapes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비넷(10)에는 와인병이 저장되는 저장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10)에는 취출헤드(1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 또는 상기 취출헤드(10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센싱모듈(50A,50B)이 배치되어, 상기 취출헤드(100)에 접근한 취출컵(P)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듈(50A,50B)에 의해 인식된 상기 취출컵(P)의 형상, 각도 또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취출헤드(10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취출헤드(100)를 통해 취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Wine storage and wine dispensing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와인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병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저장장치에 저장된 와인병에서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와인보관을 위한 와인전용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와인냉장고 중에는 와인병을 꺼내지 않고도 와인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형태의 와인냉장고도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4393(선행기술1)과, 미국공개특허 US21050225222A1(선행기술2)에는 내부에 냉각장치가 있고,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있는 와인냉장고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와인냉장고의 디스펜서로 와인을 취출하여 와인잔에 와인을 받는 과정에서, 많은 거품이 발생하고 일부 와인은 와인잔 밖으로 튀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와인잔이 디스펜서의 노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와인잔이 똑바로 세워져 있으면 노즐에서 취출된 와인이 와인잔의 내면에 부딪히면서 거품을 발생시키거나, 일부가 와인잔의 밖으로 튀어나가기 쉽다. 와인의 튐이 발생하면 디스펜서 주변부가 오염되거나 더러워지게 되고, 거품은 와인의 본래 맛과 향을 변질시킬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와인잔을 적절하게 기울인 상태로 노즐 가까이 위치시켜야 하므로 와인을 받는 작업이 번거로워질 뿐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디스펜서의 노즐로부터 와인이 취출되는 양을 줄여 튐이나 거품발생을 줄일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와인의 취출속도가 줄어들어 사용편의성이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4393(선행기술1) 미국공개특허 US21050225222A1(선행기술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헤드에서 취출된 와인이 와인잔에 담기는 과정에서 와인의 튐이나 거품발생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이션에 놓인 와인잔의 형태나 거리 등을 와인저장장치가 자동으로 인식하고, 각 상태에 맞도록 노즐이 회전되거나 취출량이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케비넷에는 와인병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에는 취출헤드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취출헤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센싱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취출헤드에 접근한 취출컵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인식된 상기 취출컵의 형상, 각도 또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취출헤드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취출헤드를 통해 취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취출헤드는 상기 취출컵과 특정각도를 형성하도록 틸팅 또는 피봇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캐비넷의 받침판을 향하도록 상기 취출헤드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다수개의 와인병이 수납되고, 상기 취출헤드는 다수개의 상기 와인병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센싱모듈들은 상기 취출헤드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헤드의 표면에 배치되는 제1센서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는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모듈은 2D카메라, 3D카메라, 컬러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컵의 평면 또는 저면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취출컵의 바닥 중심과 상기 취출컵의 입구 중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취출컵의 바닥 중심과 상기 취출컵의 입구 중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틸팅각 또는 피봇팅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컵에 담긴 와인의 단면형상을 인식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의 단면형상의 상하폭 및 좌우폭의 상대비율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틸팅각 또는 피봇팅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모듈에는 3D카메라가 포함되고, 상기 3D카메라는 상기 취출컵의 기울기, 상기 취출헤드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 상기 취출컵의 모양을 인식하고, 이를 상기 메인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헤드는 마운팅부에 의해 상기 캐비넷에 연결되고, 상기 캐비넷에 구비된 구동부는 상기 마운팅부를 작동시켜 상기 취출헤드가 상기 캐비넷의 좌우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되거나, 상기 캐비넷의 전후 깊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센싱모듈은 와인잔(취출컵)의 형상, 각도(기울기), 취출헤드와의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고, 메인제어부는 측정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취출헤드를 회전시키거나 취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잔에 와인이 채워질 때 와인이 튀거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취출헤드는 와인잔과 특정각도를 이루도록 자동제어될 수 있어서, 와인의 취출과정에서 거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거품 발생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에어레이팅 등이 이루어져 와인의 맛과 향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용시점에서 가장 적절한 풍미의 와인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헤드를 통해 와인이 취출될 때도, 센싱모듈은 와인잔에 채워지는 와인량을 연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메인제어부는 와인잔 내부에 채워진 와인량에 따라 취출헤드의 각도 또는 와인의 취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취출헤드가 실시간으로 제어되므로 와인이 튀거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다수의 센싱모듈들이 서로의 화각을 보완하여 보다 정확한 와인잔의 모양이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인잔의 상태에 대한 측정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를 취출헤드의 제어에 반영하여 정확한 자동제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센싱모듈은 다수개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인식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센싱모듈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가 보다 다양해질 수 있고, 와인잔의 상태에 대한 측정정확도를 더욱 높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의 구성을 도 1과 다른 각도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 앞에 와인잔이 놓인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조도.
도 6(a) 내지 도 6(c)는 와인잔의 각도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취출헤드가 서로 다른 각도로 틸팅된 모습을 각각 보인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와인저장장치로부터 와인잔이 떨어진 거리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취출헤드가 서로 다른 각도로 틸팅된 모습을 각각 보인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와인잔의 형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취출헤드가 서로 다른 각도로 틸팅된 모습을 각각 보인 예시도.
도 9는 내지 도 9(c)는 와인잔의 각도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취출헤드가 서로 다른 각도로 피봇팅된 모습을 각각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인저장장치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b)는 와인잔이 세워진 상태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와인잔의 전체 평면 형상을 각각 보인 개념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와인잔이 세워진 상태와 기울어진 상태일 때 와인잔 입구의 평면 형상을 각각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인저장장치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인저장장치는 뚜껑이 개방된 와인병(B)을 보관하면서, 와인병(B)에 담긴 와인을 취출할 수 있고, 와인의 보관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인잔(P)의 형태, 각도 또는 거리 등에 따라서 와인이 적절하게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와인저장장치의 기능과 관련되 구조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캐비넷(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은 비교적 전후 폭이 짧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는 바닥면적이 좁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없고, 따라서 바닥에 두거나, 또는 식탁 위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S)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케이스(30)와 냉각장치(C)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케이스(30)의 안에는 저장공간(32)이 만들어져 와인병(B)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S)은 상기 캐비넷(10)의 내부공간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저장공간(32)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안쪽에 마련된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설치공간(S)의 안쪽에 상기 저장공간(32)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32)은 와인병(B)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를 비롯한 다수개의 부품들이 결합하여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상기 캐비넷(10)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설치공간(S)을 만들고,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42)가 설치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를 보면,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가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냉장고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흡입그릴(15)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배출그릴(16)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흡입그릴(15) 및 상기 배출그릴(16)이 생략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직접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스페이서(14)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서 바깥쪽, 즉 냉장고의 설치공간(S)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냉장고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거리를 두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유동공간을 만들어준다. 이러한 스페이서(14)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페이서(14)를 파지하고 냉장고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3)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치공간(S)의 상면을 구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캐비넷(10)의 위쪽을 차폐하지만, 경우에 따라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커버(20)에는 힌지(25)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커버(20)는 힌지(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설치공간(S)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4는 상기 상부커버(20)를 덮는 외부커버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커버(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쪽에는 하부커버(26)가 있다. 상기 하부커버(26)는 상기 캐비넷(10)의 하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판구조이다. 상기 하부커버(26)는 냉장고가 설치되는 면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하부커버(26)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26)에는 받침판(27)이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상기 하부커버(2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받침판(27)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아래에서 설명될 취출헤드(10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7)에 컵을 올려둔 상태에서 취출헤드(100)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면, 컵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32)이 만들어지고, 상기 저장공간(32)에 와인병(B)이 수납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저장공간(32)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중심에 있는 저장공간(32)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공간(32)을 감싸는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부의 수납가이드(35)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의 냉각가이드(4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31b)에는 받침부(33)가 있다. 상기 받침부(33)는 상기 바닥부(31b)에서 상기 저장공간(32)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받침부(33)는 상기 와인병(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33)는 적어도 상기 와인병(B)의 바닥면 보다 넓거나 같은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33)는 승강바디(도면부호 미부여)와 액츄에이터(33a)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바디는 상기 바닥부(31b)에 승강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바디는 상기 바닥부(31b)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승강바디가 승강가능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높이의 와인병(B)이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높이가 높은 와인병(B)이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저장공간(32)의 높이를 더 확보해주고(도 3참조), 높이가 낮은 와인병(B)이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상기 위쪽으로 상승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는 것이다.(도 4참조)
이를 위해서, 상기 액츄에이터(33a)는 상기 승강바디를 승강시켜줄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33a)는 모터나 유압실린더 등의 받침부 구동원(34)에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 구동원(34)에 의해 엑츄에이터(33a)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바디를 함께 승강시켜줄 수 있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디가 승강되면 센싱모듈이 상기 와인잔(P)을 촬영하기 적절한 화각(angle of view)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와인잔(P)을 촬영하여 와인잔(P)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는데, 상기 승강바디가 승강하면서 가장 적절한 화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와인잔(P)의 상태란, 와인잔(P)의 각도, 형태 및 와인저장장치로부터 와인잔(P)의 거리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33)는 그 전체 또는 상기 승강바디가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부(33)의 하부에는 받침부 구동원(34)인 모터가 장착되어서, 상기 받침부(33) 전체 또는 상기 승강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33) 전체 또는 상기 승강바디가 회전되면, 상기 센싱모듈이 상기 와인잔(P)을 촬영하기 적절한 화각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와인잔(P)을 촬영하여 와인잔(P)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상기 받침부(33) 전체 또는 상기 승강바디가 회전하면서 가장 적절한 화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33)의 승강과 회전은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획득된 와인잔(P)의 영상정보로부터 문자나 기호를 얻기 어렵다면,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받침부(33)를 승강시키거나 회전시켜서 상기 센싱모듈이 적절한 화각을 가지고 와인의 와인잔(P)을 촬영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저장공간(32)도 전방으로 개방되는데, 이렇게 개방된 부분은 도어(42)가 차폐한다. 상기 도어(42)는 상기 저장공간(32)을 사이에 두고 냉각장치(C)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열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공간의 한쪽을 구성하는 도어(42)를 보면, 상기 도어(42)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함께 상기 저장공간(32)을 감싼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가이드(40), 도어(42) 및 상기 바닥부(31b)가 함께 저장공간(32)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공간(32)의 상부는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도어(4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42)는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단열유리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을 통해서 저장공간(32)을 볼 수 있고,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와인병(B)을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42)을 통해서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음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상기 빈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냉각장치(C)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된 와인병(B)의 온도가 함께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을 감싸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냉각가이드(4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저장공간(3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과 도어(42)의 사이를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좌우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냉각가이드(40)를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안쪽에 있는 저장공간(32)이 냉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도어(4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저장공간(32)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장치(C)가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 설치되면, 상기 냉각장치(C)의 한쪽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구비된 흡입그릴(15) 및 배출그릴(16)과 마주보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 가장 넓은 설치공간(S)이 확보되어 있기도 하므로 상기 냉각장치(C)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면도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공간(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공간(32)은 2개이므로, 상기 냉각장치(C)도 2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냉각장치(C)는 각각 별개의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저장공간(32)은 내부온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어 독립냉각이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열전소자(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는데, 열전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상기 저장공간(32)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온부는 방열하여 상기 저장공간(32)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장치(C)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포함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캐비넷(10) 또는 상기 취출헤드(10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센싱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헤드(100)에 접근한 취출컵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취출컵은 앞서 설명한 와인잔(P)일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인식된 상기 와인잔(P)의 형상, 각도 또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취출헤드(10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취출헤드(100)을 통해 취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는, 와인잔(P)의 모양, 와인잔(P)의 각도, 상기 취출헤드(100)에 대한 와인잔(P)의 상대위치 또는 상기 와인잔(P)에 따라진 액체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셍모듈은 이러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카메라, 3D비전카메라, 컬러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센싱모듈을 구성하는 센싱카메라(50A,50B)가 상기 취출헤드(10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는 상기 캐비넷(10)의 받침판을 향하도록 상기 취출헤드(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공간에는 다수개의 와인병이 수납되고, 상기 취출헤드(100)는 다수개의 상기 와인병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들은 상기 취출헤드(100)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를 센싱모듈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는 하부에 위치한 와인잔(P)을 촬영하여 와인잔(P)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는 일반적인 2D카메라이거나 3D센싱카메라(50A,50B)일 수 있다. 2D카메라의 경우에 2개의 축(X,Y)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3D센싱카메라(50A,50B)일 경우에는 3개의 축(X,Y,Z)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3D센싱카메라(50A,50B)는 와인잔(P)까지의 거리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는 2개로 구성되므로, 2개의 센싱카메라(50A,50B)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방식의 3D센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2개의 센싱카메라(50A,50B) 중 하나는 일반카메라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물체에 특정광 패턴을 주사하는 구조광장치로 구성되어, 3D비전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센싱카메라(50A,50B)를 대신하여, 어느 하나의 취출헤드(100)에는 광원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ToF(Time of Flight)가 구비되어 ToF방식으로 3D비전이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2개의 센서(카메라)가 하나의 취출헤드(100)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헤드(100)의 표면에 배치되는 제1센서(50A,50B)와, 상기 캐비넷(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센서(150A,15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영상처리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센서(50A,50B) 또는 상기 제2센서(150A,150B)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를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센서(50A,50B)는 앞서 설명한 센싱카메라(50A,50B)일 수 있고, 상기 제2센서(150A,150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7)에 설치된 카메라, 레이저센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를 통해 와인이 취출될 때,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는 상기 취출컵 내부에 채워지는 와인량을 연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량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100)의 각도 또는 와인의 취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인잔(P)이 45도 내외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라면, 취출되는 와인이 와인잔(P)의 기울어진 내벽에 먼저 부딪혀 외부로 튀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취출유량이 많아져도 무방하다. 이와 달리, 와인잔(P)이 세워진 상태라면, 취출되는 와인이 와인잔(P)의 바닥에 부딪힌 후에 위쪽으로 튀는 양이 많으므로 취출유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로부터 얻어진 정보로 이러한 취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도 6(a)와 같이 상기 와인잔(P)이 기울어진 각도(β1)가 40도~60도 사이라면, 취출유량이 높게 설정되고, 도 6(c)와 같이 상기 와인잔(P)이 기울어진 각도가 수직이라면, 취출유량이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출헤드(100)는 마운팅부(102)에 의해 상기 캐비넷(10)에 연결되고, 상기 캐비넷(10)에 구비된 구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마운팅부(102)를 작동시켜 상기 취출헤드(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은 (i) 상기 취출헤드(100)가 상기 캐비넷(10)의 좌우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틸팅과, 상기 캐비넷(10)의 전후 깊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와인잔(P)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100)가 틸팅될 수도 있다. 도 6(b)에서 보듯이,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와인잔(P)이 기울어진 각도(β2)에 맞추어,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α1)만큼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6(c)와 같이 상기 와인잔(P)이 완전히 세워진 상태라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전방으로 더 큰 각도(α2)만큼 회전하여 와인이 튀는 정도를 줄일 수도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센싱카메라(50A',50B')가 상기 와인잔(P)의 거리를 감지하고, 메인제어부가 적절하게 취출헤드(100)를 틸팅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와인잔(P)이 상기 캐비넷(10)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취출헤드(100)가 틸팅될 수도 있다. 도 7(a)와 같이, 상기 와인잔(P)이 상기 캐비넷(10)에서 떨어진 거리(L1)가 가깝다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틸팅되지 않고 그대로 와인을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상기 와인잔(P)이 상기 캐비넷(10)에서 떨어진 거리(L2)가 멀다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와인잔(P)의 입구(Pa)를 향하도록 틸팅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센싱카메라(50A',50B')는 상기 취출헤드(100)의 측면이 아니라 정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보면, 상기 센싱카메라(50A',50B')가 상기 와인잔(P)의 형태를 감지하고, 메인제어부가 적절하게 취출헤드(100)를 틸팅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 도 8(a)에서 보듯이 와인잔(P)의 입구(Pa)가 넓다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틸팅되지 않고 그대로 와인을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와 같이, 와인잔(P)의 입구(Pa)가 좁다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와인잔(P)의 입구(Pa)를 향하도록 틸팅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상기 취출헤드(100)가 피봇팅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 도 9(a)에서 보듯이 와인잔(P)이 똑바로 세워져 있다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피봇팅되지 않고 그대로 와인을 취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b) 또는 도 9(c)와 같이 와인잔(P)이 완쪽이나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면, 상기 취출헤드(100)는 피봇팅되어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를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센싱카메라(50A,50B)에 의해 획득된 와인잔(P)의 정보를 메인제어부가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와인잔(P)의 평면 또는 저면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와인잔(P)의 바닥 중심(Pb)과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 중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인잔(P)의 바닥 중심(Pb)은 와인이 담기는 와인잔(P)의 볼(Bow;)과 베이스(base) 사이를 연결하는 스템(Stem)의 상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a)에는 상기 와인잔(P)이 똑바로 세워져 상기 와인잔(P)의 바닥 중심(Pb)과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 중심이 일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와인이 와인잔(P)의 바닥에 부딪혀 튈 우려가 높기 때문에 상기 취출헤드(100)가 틸팅되거나 피봇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b)에는 상기 와인잔(P)이 기울어져 상기 와인잔(P)의 바닥 중심(Pb)과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 중심이 소정 거리(K) 어긋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와인이 와인잔(P)의 바닥에 부딪혀 튈 우려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기 취출헤드(100)가 틸팅되거나 피봇팅되지 않거나, 또는 작은 각도만 회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의 형태로부터 상기 와인잔(P)이 기울어짐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 형상이 도 12(a)와 같이 정원 형상이라면, 상기 와인잔(P)이 똑바로 세워진 상태임을 알 수 있고, 도 12(b)와 같이 상기 와인잔(P)의 입구(Pa) 형상이 좌우직경(K1)과 상하직경(K2)이 다른 타원 형상이라면, 상기 와인잔(P)이 기울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이러한 와인잔(P)의 입구(Pa) 형상 정보를 통해서 와인의 취출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취출헤드(1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센싱모듈에 컬러센서가 구비된다면, 상기 컬러센서는 상기 와인잔(P) 내부의 색파장을 추출해서 와인잔(P)의 단면 형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취출헤드(100) 중에서 한 쪽에는 일반 카메라가 설치되고, 다른 한쪽에는 컬러센서가 설치되면, 상기 와인잔(P) 내부에 담긴 와인의 색상을 주변 색상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별된 색상을 통해서 와인잔(P)의 기울어짐을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컬러센서는 상기 취출해드 또는 상기 받침대(27)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컬러센서는 상기 와인잔(P)에 채워진 와인을 체적을 확인하여, 와인이 채워진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와인이 채워진 정도에 따라 상기 와인의 취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모듈에 레이저센서가 포함되면, 상기 레이저센서는 레이저가 상기 와인잔(P)의 바닥면에 반사되어 돌아온 시간을 측정하여 와인잔(P)의 높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레이저센서는 레이저가 상기 와인잔(P)의 바닥면에 반사되어 돌아온 각도로부터 상기 와인잔(P)의 기울어진 각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한 제어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와인잔(P)의 형상, 각도, 취출헤드(100)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인식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하여 상기 취출헤드(100)가 상기 와인잔(P)과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거나, 상기 취출헤드(100)를 통해 배출되는 와인의 취출유량이 제어되는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헤드(100)를 통해 와인이 취출될 때, 상기 센싱모듈이 상기 와인잔(P) 내부에 채워지는 와인량을 연속적으로 인식하는 단계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잔(P)의 내부에 채워진 와인량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100)의 각도 또는 와인의 취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상기 와인잔(P)의 상태와 메인제어부의 제어상태가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패널(8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83)이거나, 또는 스피커(미도시)일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를 통해서 와인의 추출각도가 충분히 조절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의 안내에 따라 직접 와인잔(P)의 각도나 접근 거리, 또는 높이를 맞출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캐비넷(10)에 내장된 와인 취출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와인 취출을 위한 공급파이프(6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공급파이프(60)는 투입파이프(Pb)에 고압의 공기나 비활성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된다. 도 5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기 캐비넷(10)과 이너케이스(30) 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60)는 캐비넷(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데, 다수개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급파이프(60)는 에어펌프(70)에 결합되는 펌프연결라인(61)과, 가스탱크(71)에 결합되는 탱크연결라인(62)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연결라인(61)과 상기 탱크연결라인(62)은 캐비넷(10)의 설치공간 중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연결라인(61)과 상기 탱크연결라인(62)은 삼방밸브인 제1밸브(63)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밸브(63)에는 메인공급라인(64)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63)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펌프연결라인(61) 또는 상기 탱크연결라인(6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공급라인(6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밸브(63)가 작동하여 (i) 상기 펌프연결라인(61)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이 서로 연결되면 에어펌프(70)에서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메인공급라인(64)으로 전달되고, (ii) 상기 탱크연결라인(62)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이 서로 연결되면 가스탱크(71)에서 비활성기체가 메인공급라인(64)으로 전달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은 분기라인(66A,66B)을 통해서 다시 나뉠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여러 갈래로 나누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기라인(66A,66B)의 개수는 상기 저장공간(32)의 개수, 즉 상기 저장공간(32)에 수납되는 와인병(B)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2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공급라인(64)과 상기 2개의 분기라인(66A,66B) 사이에는 제2밸브(6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밸브(65)는 3상밸브로 구성되어서,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2개의 분기라인(66A,66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조립체(78)에 연결되고, 연결조립체(78)는 앞서 설명한 투입파이프(Pb) 및 취출파이프(Pa)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조립체(78)를 통해서 투입파이프(Pb)-분기라인(66A,66B)이 연결되고, 또한 취출파이프(Pa)-취출노즐(60)이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저장공간(32)이 한 개이고, 와인병(B)도 한 개만 저장된다면, 상기 분기라인(66A,66B)은 생략되고,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이 연결조립체(78)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공급라인(64)에는 제어밸브(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64')는 상기 제1밸브(63)가 에어펌프(70) 쪽을 개방했을 때, 상기 에어펌프(70)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에어펌프(7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7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투입파이프(Pb)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의 중간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에어펌프(70)와 가스탱크(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가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통해 상기 와인병(B)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와인병(B)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음료가 취출파이프(Pa)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음료가 취출노즐(6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는 상기 저장공간(32)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펌프(70)가 후방 쪽에 위치하면, 에어펌프(70)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소음이 전방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70)에는 공기공급관(72)이 연결되는데, 상기 공기공급관(72)은 한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펌프(70)는 전원으로 동작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에어펌프(70)는 고압의 기체가 압축된 상태로 준비된 탱크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가스탱크(71)는 내부에 비활성기체(unreactive gas)가 내장된 것으로, 비활성기체를 상기 메인공급라인(64)을 통해 상기 와인병(B)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비활성기체가 상기 투입파이프(Pb)를 통해 상기 와인병(B)에 투입되면, 상기 와인병(B)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로 인해 음료가 산화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기체는 질소, 헬륨가스, 아르곤가스, 이산화탄소 등의 비활성 기체 또는 상기 기체들 중 1 이상의 혼합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탱크(71)는 음료의 산화방지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와인의 취출은 앞서 설명한 에어펌프(70)가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탱크(71)의 비활성기체는 간헐적으로만 와인병(B)에 주입해주면 되므로, 상기 가스탱크(71)의 소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펌프(70)가 생략되고, 상기 가스탱크(71)가 상기 와인의 취출까지 담당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스탱크(71)는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커버(20)에 형성된 탱크장착홀(23)을 통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홀(23)은 상기 개방홀(22)과 마찬가지로 상부커버(20)에 관통되어 만들어지는데, 상기 개방홀(22) 보다는 후면플레이트(13)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 탱크장착홀(23)에 가스탱크(71)가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42)에 의해 상기 탱크장착홀(23)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즉, 도 1에는 가스탱크(71)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지만, 도어(42)를 닫으면 상기 가스탱크(7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도어(42)만 개방하면, 사용자는 가스탱크(71)를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탱크(71)와 에어펌프(70)는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가스탱크(71)와 상기 에어펌프(70)가 캐비넷(10)의 외부에 별개물로 준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공급파이프(60)가 캐비넷(10)의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가스탱크(71)와 에어펌프(70)에 연결될 수 있다.
취출헤드(10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면패널(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의 후방에는 상기 투입파이프(Pb)를 비롯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도어(42) 중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제2패널(44)의 안쪽에 위치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제2패널(44)의 높이가 더 낮고, 나머지 부분을 전면패널(80)이 메울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3)는 와인저장장치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명령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3)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83)에는 상기 저장공간(32)의 온도, 보관된 음료의 보관기간, 음료의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에어레이팅 강도 정보, 저장공간(32)의 온도, 내부 조명의 밝기, 냉장고 전원의 온/오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에는 취출헤드(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와인병(B)에 담긴 와인을 외부로 취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돌출되고, 2개로 구성된다. 2개의 취출헤드(100)는 각각 별개의 와인병(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의 헤드몸체(110) 내부에는 와인의 에어레이팅을 위한 에어레이팅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연결조립체(78)에 결합된 상기 취출파이프(P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취출파이프(Pa)로 공급된 와인은 상기 취출헤드(100)에 형성된 와인배출구(115)를 통해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취출헤드(100)는 상기 마운팅부(10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102)의 내부에는 기어조립체와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취출헤드(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운팅부(102)의 내부에는 유압이나 공압실린더가 내장되어 상기 취출헤드(1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캐비넷 20: 상부커버
30: 이너케이스 40: 냉각가이드
50A,50B: 센싱카메라 60: 공급파이프
70: 에어펌프 71: 가스탱크
80: 전면패널 90: 커버조립체
100: 취출헤드 102: 마운팅부

Claims (15)

  1. 와인병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구비되고, 상기 와인병에 담긴 와인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헤드;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취출헤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헤드에 접근한 취출컵을 인식하는 센싱모듈;과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인식된 상기 취출컵의 형상, 각도 또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취출헤드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취출헤드을 통해 취출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인저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취출헤드는 상기 취출컵과 특정각도를 형성하도록 틸팅 또는 피봇팅되는 와인저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캐비넷의 받침판을 향하도록 상기 취출헤드에 배치되는 와인저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는 다수개의 와인병이 수납되고, 상기 취출헤드는 다수개의 상기 와인병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센싱모듈들은 상기 취출헤드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와인저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헤드의 표면에 배치되는 제1센서;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와인저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2D카메라, 3D카메라, 컬러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와인저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출헤드를 통해 와인이 취출될 때,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컵 내부에 채워지는 와인량을 연속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량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각도 또는 와인의 취출유량을 조절하는 와인저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컵의 평면 또는 저면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취출컵의 바닥 중심과 상기 취출컵의 입구 중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취출컵의 바닥 중심과 상기 취출컵의 입구 중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틸팅각 또는 피봇팅각을 조절하는 와인저장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컵에 담긴 와인의 단면형상을 인식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의 단면형상의 상하폭 및 좌우폭의 상대비율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틸팅각 또는 피봇팅각을 조절하는 와인저장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에는 3D카메라가 포함되고, 상기 3D카메라는 상기 취출컵의 기울기, 상기 취출헤드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 상기 취출컵의 모양을 인식하고, 이를 상기 메인제어부에 전달하는 와인저장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출헤드는 마운팅부에 의해 상기 캐비넷에 연결되고, 상기 캐비넷에 구비된 구동부는 상기 마운팅부를 작동시켜 상기 취출헤드가 상기 캐비넷의 좌우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되거나, 상기 캐비넷의 전후 깊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팅되도록 하는 와인저장장치.
  12. 와인저장장치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에 있어서,
    센싱모듈에 의해 취출컵의 형상, 각도, 취출헤드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인식되는 단계;
    메인제어부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하여 상기 취출헤드가 상기 취출컵과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거나, 상기 취출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와인의 취출유량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인취출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취출헤드를 통해 와인이 취출될 때, 상기 센싱모듈이 상기 취출컵 내부에 채워지는 와인량을 연속적으로 인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취출컵 내부에 채워진 와인량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각도 또는 와인의 취출유량을 조절하는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촬영된 상기 취출컵의 바닥 중심과 상기 취출컵의 입구 중심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취출헤드의 틸팅각 또는 피봇팅각을 조절하는 와인취출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취출컵에 담긴 와인의 단면형상을 인식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와인의 단면형상의 상하폭 및 좌우폭의 상대비율에 따라 상기 취출헤드의 틸팅각 또는 피봇팅각을 조절하는 와인취출방법.
KR1020210005680A 2021-01-15 2021-01-15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KR20220103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80A KR20220103279A (ko) 2021-01-15 2021-01-15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80A KR20220103279A (ko) 2021-01-15 2021-01-15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279A true KR20220103279A (ko) 2022-07-22

Family

ID=826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80A KR20220103279A (ko) 2021-01-15 2021-01-15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27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93B1 (ko) 2010-07-01 2012-08-16 코리아콜드시스템(주) 와인디스펜서
US20150225222A1 (en) 2008-07-11 2015-08-13 Sunbeam Products, Inc. Beverage Preservation, Chilling and Dispens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5222A1 (en) 2008-07-11 2015-08-13 Sunbeam Products, Inc. Beverage Preservation, Chill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174393B1 (ko) 2010-07-01 2012-08-16 코리아콜드시스템(주) 와인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0398B2 (en) Refrigerator
CN100502733C (zh) 陈列柜
EP3670435B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1505544A (ja) 瓶および缶等の飲料容器を冷却するための冷却器および冷却方法
KR101697114B1 (ko) 냉장고
KR20220103279A (ko) 와인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인취출방법
US20240124291A1 (en) Wine storage device and wine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US20180127255A1 (en)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filling level and/or vessel recognition device,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a drink
US11618665B1 (en) Beverage-dispensing appliance having a signal shield
JP2012252688A (ja) 試飲装置
EP4265563A1 (en) Wine storage device and wine dispensing method using same
WO2021103477A1 (zh) 保鲜分酒器
JP444244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210112761A (ko) 음료용 냉장고
CN110353494B (zh) 一种自动蒸菜售卖机
JP3232065U (ja) 酒類の提供装置
JP2558240Y2 (ja) 冷飲料供給装置
KR102012472B1 (ko) 냉각 장치
KR10161170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15406173B (zh) 水壶及倾倒取水控制方法、具有其的制冷装置
KR101974211B1 (ko) 냉각 장치의 제어 방법
JPH03123632A (ja) 試作用炭酸飲料製造装置
JP200620615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609920B1 (ko) 냉장고
KR20210112760A (ko) 음료용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